• 제목/요약/키워드: variance covariance matrix

검색결과 104건 처리시간 0.024초

Multivariate EWMA control charts for monitoring the variance-covariance matrix

  • Jeong, Jeong-Im;Cho, Gyo-Young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3권4호
    • /
    • pp.807-814
    • /
    • 2012
  • We know that the exponentially weighted moving average (EWMA) control charts are sensitive to detecting relatively small shifts. Multivariate EWMA control charts are considered for monitoring of variance-covariance matrix when the distribution of process variables is multivariate normal. The performances of the proposed EWMA control charts are evaluated in term of average run length (ARL). The performance is investigated in three types of shifts in the variance-covariance matrix, that is, the variances, covariances, and variances and covariances are changed respectively. Numerical results show that all multivariate EWMA control charts considered in this paper are effective in detecting several kinds of shifts in the variance-covariance matrix.

가변추출간격상(假變抽出間格上)에서 분산(分散)-공분산(共分散) 행례(行例)에 대한 다변량(多變量) 기하이동평균(幾何移動平均) 처리원(處理圓) (Multivariate EWMA Control Charts for the Variance-Covariance Matrix with Variable Sampling Intervals)

  • 조교영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4권
    • /
    • pp.31-44
    • /
    • 1993
  • Multivariate exponentially weighted moving average (EWMA) control charts for monitoring the variance-covariance matrix are investigated. A variable sampling interval (VSI) feature is considered in these charts. Multivariate EWMA control charts for monitoring the variance-covariance matrix are compared on the basis of their average time to signal (ATS) performances. The numerical results show that multivariate VSI EWMA control charts are more efficient than corrsponding multivariate fixed sampling interval (FSI) EWMA control charts.

  • PDF

통계모형을 이용하여 모의실험 결과 분석하기에 대한 보완연구 (A complementary study on analysis of simulation results using statistical models)

  • 김지현;김봉성
    • 응용통계연구
    • /
    • 제35권4호
    • /
    • pp.569-577
    • /
    • 2022
  • 비모수적 추정량의 성능을 이론적으로 비교하기 힘들 때 흔히 모의실험을 실시한다. 다양한 실험조건에서 여러 추정량에 대해 얻어진 모의실험 결과를 회귀모형을 이용해 분석하면 보다 체계적이고 정확한 비교를 할 수 있다는 것을 Kim과 Kim (2021)에서 보였다. 이 연구는 Kim과 Kim (2021)에 대한 후속연구이자 보완연구이다. 회귀모형의 오차항에 대한 분산공분산행렬에서 이분산성만 고려하고 공분산을 선행연구에서 무시했는데, 공분산을 고려하게 되면 분산공분산행렬은 블록대각행렬이 된다. 본 연구에서 블록대각행렬인 분산공분산행렬을 추정하여 분석에 이용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렇게 하면 명목신뢰수준을 보장하면서 유의하게 성능 차이가 나는 추정량 짝을 더 잘 찾을 수 있다는 것도 보였다.

DFT와 CDFT의 분산 분포 (Variance Distributions of the DFT and CDFT)

  • 최태영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7-12
    • /
    • 1984
  • DFT로 대각선화 할 수 있는 circulant matrix가 대칭이고 실수인 경우에 이를 대각선화 할 수 있는 CDFT(composite DFT)를 유도했다. 일반적인 실수 신호의 대칭 covariance matrix에 대하여 DFT와 CDFT 변환했을 경우의 variance 분포를 분석했고, 이를 토대로 rate distortion 이론에 의하여 이들의 성능을 비교한 결과 CDFT가 DFT보다 bit rate면에서 효과적임을 볼 수 있었다. 그리고 f(q)=(0.95)q인 covariance matrix(64×64)에 대해 CDFT가 DFT에 비해. 계산결과, 평균적으로 0.0095bit가 감소될 수 있었다.

  • PDF

GPS 반송파 위상관측의 미지정수해를 위한 블록 비상관화 방법 (The Block Decorrelation Method for Integer Ambiguity Resolution of GPS Carrier Phase Measurements)

  • 트랜 쿠옥 빈;임삼성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0권8호
    • /
    • pp.78-86
    • /
    • 2002
  • GPS 반송파 위상관측값은 미지정수를 포함하고 있어 이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분산-공분산 행렬의 비상관화 과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미지정수 비상관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방법은 분산-공분산 행렬을 유사한 크기의 작은 4개 블록으로 나눈 다음 각 블록을 독립적으로 비상관화 하는 것이다. 각 블록의 비상관화는 전 단계의 결과가 다음 단계의 과정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귀납적으로 이루어진다. 임의로 선정된 몇가지 수치적 예시에 의하면 이 방법은 기존의 다른 방법보다 좋거나 유사한 결과를 보여 주지만, 분산-공분산 행렬의 작은 블록에서 계산이 이루어지므로 본 방법의 계산 속도가 상대적으로 빠르다.

통계계산에서의 갱신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Updating algorithms in statistical computations)

  • 전홍석
    • 응용통계연구
    • /
    • 제5권2호
    • /
    • pp.283-292
    • /
    • 1992
  • 개인용 컴퓨터의 보급이 급격히 늘어남에 따라 자료의 통계분석에 개인용 컴퓨터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컴퓨터의 하드웨어가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고 있음으로 웬만큼 많은 양의 자료를 분석하는 데에는 컴퓨터의 기억용량이나 처리속도등이 문제되지는 않는다. 자료가 축차적(sequentially)으로 주어질 때 어떤 통계량을 계산하기 위하여 매번 전체 자료를 다시 읽어야 한다면 이는 번거로운 작업이 될 것이며 기억용량의 낭비임에 틀림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S/W 적인 입장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노력이 바로 갱신 알고리즘(Updating Algorithm)이다. 이 연구에서는 몇가지 통계량에 대한 갱신 알고리즘들을 알아보고 그들의 특성을 밝힘으로써 소형 및 개인용 컴퓨터를 이용하여서도 많은 양의 자료분석이 가능하도록 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Multivariate Exponentially Weighted Moving Average Control Charts for Monitoring the Variance-Covariance Matrix

  • Cho, Gyo-Young;Sung, Sam-Kyung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54-65
    • /
    • 1994
  • Multivariate exponentially weighted moving average (EWMA) control charts for monitoring the variance-covariance matrix are investigated. Two basic approaches, "combine-accumulate" approach and "accumulate-combine" approach, for using past sample information in the developement of multivariate EWMA control charts are considered. Multivariate EWMA control charts for monitoring the variance-covariance matrix are compared on the basis of their average run length (ARL) performances. The numerical results show that multivariate EWMA control charts based on the accumulate-combine approach are more efficient than corresponding multivariate EWMA control charts based on the combine-accumulate approach.

  • PDF

Multivariate Shewhart control charts for monitoring the variance-covariance matrix

  • Jeong, Jeong-Im;Cho, Gyo-Young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3권3호
    • /
    • pp.617-626
    • /
    • 2012
  • Multivariate Shewhart control charts are considered for the simultaneous monitoring the variance-covariance matrix when the joint distribution of process variables is multivariate normal. The performances of the multivariate Shewhart control charts based on control statistic proposed by Hotelling (1947) are evaluated in term of average run length (ARL) for 2 or 4 correlated variables, 2 or 4 samples at each sampling point. The performance is investigated in three cases, that is, the variances, covariances, and variances and covariances are changed respectively.

공분산 추정방법에 따른 최적자산배분 성과 분석 (Covariance Estimation and the Effect on the Performance of the Optimal Portfolio)

  • 이순희
    • 한국경영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137-152
    • /
    • 2014
  • In this paper, I suggest several techniques to estimate covariance matrix and compare the performance of the global minimum variance portfolio (GMVP) in terms of out of sample mean standard deviation and return. As a result, the return differences among the GMVPs are insignificant. The mean standard deviation of the GMVP using historical covariance is sensitive to the estimation window and the number of assets in the portfolio. Among the model covariance, the GMVP using constant systematic risk ratio model or using short sale restriction shows the best performance. The performance difference between the GMVPs using historical covariance and model covariance becomes insignificant as the historical covariance is estimated with longer estimation window. Lastly, the implied volatilities from ELW prices do not lead to superior performance to the historical variance.

다변량 경시적 자료 분석을 위한 공분산 행렬의 모형화 비교 연구 (Comparison study of modeling covariance matrix for multivariate longitudinal data)

  • 곽나영;이근백
    • 응용통계연구
    • /
    • 제33권3호
    • /
    • pp.281-296
    • /
    • 2020
  • 같은 개체로부터 반복 측정한 자료를 경시적 자료(longitudinal data)라고 한다. 이러한 자료를 분석하려면 흔히 사용되는 횡단 자료 분석과는 다른 분석 방법이 필요하다. 즉, 경시적 자료에서 공변량의 효과를 추정할 때에는 반복 측정된 결과 간의 상관성을 고려해야 하며, 따라서 공분산행렬을 모형화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추정해야 할 모수가 많고, 추정된 공분산행렬이 양정치성을 만족해야 하므로 공분산 행렬의 모형화는 쉽지 않다. 특히 다변량 경시적 자료분석을 위한 공분산행렬의 모형화는 더욱더 심층적인 방법론을 사용해야 한다. 본 논문은 다변량 경시적 자료분석을 위한 공분산행렬을 모형화하기 위해 두 가지 방법론을 고찰한다. 두 방법 모두 수정된 콜레스키 분해(modified Cholesky decomposition)를 이용하여 시간에 따른 응답변수들의 상관관계를 설명하고 있다. 하지만 같은 시간에서 관측된 응답변수들간의 상관관계를 설명하는 방법이 다르다. 첫 번째 방법론에서는 향상된 선형 공분산 모형(enhanced linear covariance models)을 사용하여 공분산행렬이 양정치성을 만족하도록 한다. 두 번째 방법론에서는 분산-공분산 분해(variance-correlation decomposition)와 초구분해(hypersphere decomposition)을 이용하여 공분산 행렬을 모형화 한다. 이 두 방법론의 성능을 비교하고자 모의실험을 진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