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tilitarian shopping value

검색결과 108건 처리시간 0.023초

SNS의 사회인지요인이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Social Cognitive Factors on the Usage of SNS)

  • 손달호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3권3호
    • /
    • pp.73-97
    • /
    • 2014
  • Internet has begun various transformation and innovation in terms of society, culture and industry. Today, Social Network Service(SNS) is an exceedingly popular and useful tool for making human relationships. Previous studies related to SNS, which based on Technology Acceptance Model(TAM), were focused on user acceptance of new technology. However, they had the limitations to focus on technology acceptance, without the consideration of the cognitive factors in using SNS. This study examined how the main factors of intention to use of SNS continuously affect perceived usefulness and ease of use through familiarity, self-expression, hedonic shopping value, utilitarian shopping value and personal relationship. The results of hypothesis testing showed that familiarity, self-expression, hedonic shopping value and personal relationship have some positive impacts on the perceived usefulness and ease of use. The practical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to suggest useful decision alternatives concerned to marketing strategies for acquiring and retaining long-term customers related to SNS business.

소비자의 쇼핑가치가 패션제품 속성평가 및 브랜드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가격수준에 따른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The Influence of Consumer's Shopping Values on the Evaluations of Fashion Product Attributes and Brand Re-purchase Intention - Focused on the Moderating Role of Price Level -)

  • 박현희;구양숙;구동모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36-246
    • /
    • 2007
  •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underlying reasons of fashion brand repurchase intention formation based on means-end chain theory and to identify whether the price level moderates the relationships between attribute evalua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Questionnaire data from 291 consumers who had purchase experience of casual wear during the last 6 month period through off-line retail shops were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hedonic shopping value had a positive impact on aesthetic attribute and utilitarian shopping value also had a positive impact on physical attribute of fashion product. While aesthetic attribute had a positive influence on brand repurchase intention, physical attribute had no effect on brand repurchase intention. In addition, there was no moderating effect of price level between the links from shopping value to fashion product attribute evaluation. When casual wear companies have to devise price related strategies, they need to pay attention to diverse promotion factors except for product attributes to realize price-based differentiation.

한국과 중국 대학생들의 쇼핑가치에 따른 의류점포속성 중요도 비교 (A Cross-National Comparison of the Importance of Apparel Store Attributes for Shopping Valu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College Students)

  • 박나리;장영실;박재옥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3권12호
    • /
    • pp.1862-1872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중국 대학생을 대상으로 의복쇼핑가치 유형을 밝히고 쇼핑가치 유형에 따라 한국과 중국의 대학생들의 의류점포속성 중요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각 세분집단에서 한국과 중국에 대학생들에 따라 의류점포속성 중요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한국의 경우 고 관여 쇼핑 집단의 응답자들은 다른 집단들 보다 점포 분위기, 편의성, 판매원의 행동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반면 중국 소비자들의 경우 쾌락적 쇼핑 집단인 다른 집단들 보다 점포 분위기를 더 중요시 여기고 있었으며 고 관여 쇼핑 집단이 다른 집단들 보다 점포 분위기, 점포 서비스, 제품의 구색과 편의성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쾌락적 쇼핑 집단에서 한국 응답자들은 중국 응답자들 보다 서비스를 더 중요시 여기고 있었으며 중국의 응답자들은 점포의 편의성 더 한국의 응답자들보다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저 관여 쇼핑 집단에서 한국의 응답자들은 중국의 응답자들보다 점포의 분위기와 서비스, 다양한 상품의 구색을 갖추고 있는지를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고 관여 쇼핑 집단에서 한국의 응답자들은 중국의 응답자들보다 판매원의 행동 부분들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으며 중국의 응답자들은 한국의 응답자들보다 점포의 거리와 같은 편리성 부분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실용 쇼핑 집단에서 한국의 응답자들이 중국의 응답자들보다 점포의 서비스, 상품구색, 판매원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골프의류 소비자의 쇼핑가치가 점포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독특성 욕구와 점포 유형의 조절효과 (The Impact of Golf Apparel Consumers' Shopping Value on Store Loyalty: The Moderating Role of Consumers' Need for Uniqueness and a Store Type)

  • 박성진;한진욱;김민수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1권4호
    • /
    • pp.197-210
    • /
    • 2012
  • 본 연구는 골프 의류 소비자의 쇼핑가치가 점포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소비자의 독특성 욕구와 점포 유형의 조절효과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 소재 두 곳의 백화점 골프 의류매장과 네 곳의 대형마트 골프 의류매장을 이용하는 소비자들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229부의 자료가 분석에 이용되어졌고 기술통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성분석,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 및 조절회귀분석을 실행하여 수립된 가설을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골프 의류 소비자의 쇼핑가치 두 개의 하위 요인인 실용적 및 쾌락적 쇼핑가치는 점포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실용적 쇼핑가치가 점포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은 독특성 욕구가 약한 소비자들에게 더 강하게 나타났고, 쾌락적 쇼핑가치가 점포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은 독특성 욕구가 강한 소비자들에게 더 강한 것으로 드러났다. 셋째, 실용적 쇼핑가치가 점포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은 점포유형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쾌락적 쇼핑가치가 점포충 성도에 미치는 영향은 백화점 골프 의류매장 소비자들에게 더 강하게 나타났다.

쇼핑가치, 긍정적 감정 및 구매압박감이 의류제품의 e-충동구매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hopping Value, Positive Emotion and Urge to Buy Impulsively on E-impulse Buying for Apparel Products)

  • 강은미;유정;박은주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87-96
    • /
    • 2014
  • E-shopping is traditional method to purchase products in a modern society. Fashion products are one of the most popular product categories sold and impulsively bought online. This study examined the causal relationship of shopping value, positive emotion, urge to buy impulsively, and e-impulse buying in the context of shopping for apparel products.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developed from the literature was administered in class to 501 female college students in Busan. AMOS 21.0 estimate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of e-impulse buying using a correlation matrix with a maximum likelihood. The analysis of the data supported most of the predictions. The results suggested that consumer shopping values (hedonic shopping value and utilitarian shopping value) had a positive effect on positive emotion; in addition, positive emotion urge to buy impulsively directly affected the e-impulse buying of apparel products. In the structural model, e-impulse buying of consumers can be predicted by the attitudinal component (e.g., shopping values), emotional factors (e.g., enthusiastic or proud), and the urge to buy impulsively felt by young consumers. There are implications that both positive emotion and impulsive buying are important predictors for the e-impulse buying of apparel products by consumers. Moreover, the urge to buy impulsively was an important mediator to determine the e-impulse buying of apparel products. This study provides insight to retailers and researchers to understa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consumer characteristics and the e-impulse buying of apparel products.

Revitalizing Department Store Shopping Value and In-store Experiences: A Case Study on Debenhams and Selfridges

  • Claridge, Christina;Hur, Eunsuk
    • 패션비즈니스
    • /
    • 제25권6호
    • /
    • pp.81-101
    • /
    • 2021
  • Traditional department stores have been struggling to attract customers for several years. Many retail stores have closed in recent years, even before the COVID-19 pandemic. The reinvention of in-store shopping value and experience is imperative to attract customers and reinvigorate retail busin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over which in-store components can improve customer experiences and loyalty while also identifying dissatisfaction issues in consumer experiences in department store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two consumer groups-luxury department store (Selfridges) customers and mid-market department store (Debenhams) customers-to identify the types of value and experiences they seek most often. The findings showed that to enhance their store patronage, Debenhams should reposition their brand image in a way that allows customers to connect with their self-image and lifestyle by improving efficiency and convenience and prioritizing the utilitarian and social value types. By contrast, Selfridges should enhancetheir store atmosphere, visual merchandising and sensory experiences by maximizing slow retailing experiences and emphasizing the aspirational self-concept image for symbolic and hedonic value. This research uncovered the existence of numerous overlappingvalue dimensions, each of which contributed to the enhancement of the others. Several young customers expressed their support for ecologically responsible, cost-effective second-hand luxury products. Instead of focusing merely on conventional value dimensions, department retailers should determine how environmental and ethical objectives can be fulfilled. This study explained how department stores can craft their in-store environments to appeal to their customers' preferred value types to ensure success in a competitive market.

온라인 쇼핑 상황에서 고객충성도의 결정요인: 인터넷 쇼핑과 모바일 쇼핑의 비교 분석 (Determinants of Customer Loyalty in the Context of Online Shopping: A Comparative Analysis of Internet Shopping and Mobile Shopping)

  • 고준;최수정;안백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1호
    • /
    • pp.486-500
    • /
    • 2015
  • 본 연구는 인터넷 쇼핑과 모바일 쇼핑에서 현재의 소비자들을 장기적으로 유지하는 문제 즉, 어떻게 이들로부터 고객충성도를 이끌어 낼 것인가를 연구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각각의 쇼핑 환경에서 고객충성도에 가장 영향력 있는 변수가 무엇인지를 비교, 규명하고자 한다. 수많은 선행연구들에서 고객충성도의 출발점은 우수한 서비스품질임을 강조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서비스품질을 고객충성도의 핵심 선행변수로 고려한다. 또 다른 선행변수로써 실용적 가치인 유용성과 쾌락적 가치인 즐거움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인터넷 쇼핑과 모바일 쇼핑의 각 집단에서 서비스품질 및 쇼핑가치가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효과에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분석한다. 실증분석 결과는 첫째, 인터넷 쇼핑 집단에서는 쾌락적 가치인 즐거움을 제외한 나머지 선행변수들 즉, 서비스품질 차원인 대응성과 공감성 그리고 실용적 가치인 유용성이 모두 고객충성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모바일 쇼핑 집단에서는 즐거움만이 고객충성도에 유의하였다. 둘째, 서비스품질 및 쇼핑가치가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효과는 인터넷 쇼핑 및 모바일 쇼핑에 따라 명백한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각각의 쇼핑에 효과적인 고객충성도 관리방법이나 전략이 다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싱글 소비자의 심리적 특성변수와 대인영향력에 대한 민감성이 의류쇼핑 추구가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ingle Consumers' Psychologic Characteristics and Susceptibility to Interpersonal Influence on Clothes Shopping Pursuing Value)

  • 서용한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29-236
    • /
    • 2007
  • Many researchers have focused on consumers' clothes purchase behavior, These researches could no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ingle consumers' clothes purchase behavior. In addition, little has been written on the single consumer.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dentify the concept and psychologic characteristics of single consumer and investigate the effects of single consumers' psychologic characteristic and susceptibility to interpersonal influence on clothes shopping pursuing value. Also, It was analyzed how single consumer' pursuing values are different based on the type of single motivation. To test research problems, Data were collected by means of a survey questionnaire, which was sent to 300 single in Pusan and Ulsan. In total, 274 were returned and 14 were unusable because of unacceptable levels of missing data.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elf-efficacy, informative and normative influence were positively related to utilitarian pursuing value employee satisfaction. Also, self-efficacy, variety seeking, innovativeness and informative influence had a positive effect on hedonic pursuing value. Second, voluntary single and nonvoluntary single group had different perceptions about self-efficacy, variety seeking, innovativeness, informative influence, and hedonic pursuing value.

소비가치와 소비자의 인지욕구가 온라인 쇼핑 웹사이트에 대한 신뢰성을 매개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nsumption Value and Consumers' Need for Cognition on Satisfaction through the Mediating Role of Trust in Online Shopping Websites)

  • 이윤선
    • 벤처혁신연구
    • /
    • 제6권4호
    • /
    • pp.99-111
    • /
    • 2023
  • 본 연구는 온라인 쇼핑 웹사이트에 대한 소비자의 만족도가 과거와는 다른 현상으로 변화됨을 확인하고자 한다. 즉, 팬데믹 이후 전 세계적으로 이커머스(e-commerce)의 이용이 확대되고, 모바일커머스, 소셜커머스 등 다양한 형태의 커머스가 형성화되는 상황에서, 소비자의 정보처리과정과 의사결정과정은 소비자가 지각하는 소비가치와 개인적 특성에 따라 새로운 환경에 의해 소비자의 지각된 동기수준에 기반하여 변화된 행동을 살펴보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즉, 소비가치와 소비자의 인지욕구가 웹사이트에 대한 신뢰성의 매개역할로 온라인 웹사이트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고자 한다. 가설 1을 검증한 결과 웹사이트에 대한 소비자의 감각적 가치뿐 아니라 실용적 가치는 웹사이트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미치며, 특히 실용적 가치가 상대적으로 감각적 가치보다 더 큰 영향력을 나타냈다. 다만, 소비자의 인지욕구와 만족도 간에는 부(-)의 관계를 단측검증 하에 유의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가설 2에서는 2-1인 소비가치 중 실용적 가치 만이 웹사이트에 대한 신뢰성을 매개로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냈다. 웹사이트의 만족도에 소비가치 중 실용적 가치가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전 연구결과와는 다르게 소비가치가 감각, 감정에 기반하는 가치뿐 아니라 실용적 소비가치가 더 큰 영향력을 가졌다는 점이 본 연구의 의의라 하겠다. 따라서 소비자가 이용하는 웹사이트의 신뢰성을 기반으로 매개역할을 한다면 실용적 가치와 인지욕구가 만족도에 더욱 강하게 영향력을 주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온라인으로 소비를 하게 된 현 시장의 트렌드가 반영된 결과이며, 본 연구결과를 통해 소비자의 행동 이해와 주요 요인들을 기반으로 온라인 웹사이트의 관리 및 운영 전략에 도움이 되리라 본다.

판매촉진이용성향에 따른 쇼핑가치 지각 및 소비자만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ceived Shopping Value and Consumer Satisfaction as related to Consumer′s Deal Proneness)

  • 오영심;고애란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6권7호
    • /
    • pp.1066-1077
    • /
    • 2002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 to identify the effects of clothing involvement on deal Proneness, store images related to promotions and perceived shopping value, and 2) to reveal the effects of antecedent variables on the consumer satisfactio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624 female consumers living in Seoul, Korea vi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and were analyzed by frequency, factor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 (1) Among the factors related to clothing involvement deal proneness, store images of promotions and perceived shopping values, Clothing importance, Shopping interest Fashion interest and all three factors of deal proneness had the effect on perceived hedonic shopping values. Clothing importance, Prudent purchase, Shopping interest store images related to promotions had the effects on perceived hedonic shopping values. And Prudent purchase had the positive effects and store images related to Display had the negative effects on perceived negative shopping values. (2) From the resulted of analyzing the effects of antecedent variables on consumer satisfaction, Sweepstakes/gifts proneness, store images related to Price discount/events and Display, perceived hedonic and utilitarian shopping values positive]y influenced the consumer satisfaction. Store images related to Price discount/events had the most significant effects on consumer satisfaction. From the results of path analysis, clothing involvement had the effects on consumer satisfaction indirectly through deal proneness, store images related to promotions and perceived shopping valu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