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terine cervix cancer

검색결과 147건 처리시간 0.028초

자궁경부암 환자의 근치적 방사선치료성적 (Treatment Results of Radical Radiotherapy in Uterine Cervix Cancer)

  • 허승재;김보경;임도훈;신성수;이정은;강민규;안용찬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0권3호
    • /
    • pp.237-245
    • /
    • 2002
  • 목적 : 삼성서울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근치적 목적으로 외부조사와 고선량율 강내치료를 이용하여 치료한 자궁경부암 환자의 치료 성적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4년 9월부터 1998년 7월까지 근치적 목적으로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10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환자의 연령분포는 $22\~89$세(중앙값, 61세)이었다. 98명의 환자에서 편평상피암이었다. 환자의 FIGO 병기는 CIS 4명, IA 4명, IB 17명, IIA 15명, IIB 33명, IIIA 2명, IIIB 27명, IVA가 4명이었다. ECOG 활동도는 88명에서 1이하였다. 11명의 환자에서 전보조화학요법이 시행되었다. 방사선치료는 상피내암인 4명을 제외한 102명에서 30.6-50.4 Gy를 외부 조사하였으며 고선량율 강내치료를 모든 환자에서 A점 기준으로 24 Gy/6회 시행하였다. 치료 예후 인자는 연령($\leq60$세 vs >60세), 병리조직학적 소견(편평상피암 vs 기타 병리), FIGO 병기(IIA 이하 vs IIB vs IIIA 이상), ECOG 활동도(ECOG 0, 1 vs 2), 항암화학요법의 시행여부, 그리고 방사선치료 후 반응정도(완전관해 vs 부분관해), 방사선치료기간($\leq55$일 vs >55일)에 따라 비교하였다. 환자의 추적관찰기간은 $6\~66$개월(중앙값, 28개월)이었다. 결과 : 전체 3년 및 5년 생존율은 각각 $82\%,\;73\%$이었으며, 무병생존율은 각각 $72\%,\;69\%$이었다. FIGO 병기별 생존율은 병기 IB, IIA, IIB, 그리고 III에서 3년 생존율이 각각 $100\%,\;83\%,\;87\%,\;62\%$이었고 5년 생존율은 IB $100\%$, IIA $69\%$, IIB $80\%$, III에서는 $62\%$이었다. 단변량분석에 따른 예후인자를 살펴보면 전체생존율에서는 FIGO 병기와 방사선치료의 반응이 무병생존율과 골반부 조절율에는 나이와 병기, 방사선치료의 반응, 방사선치료기간이 의미 있는 인자로 확인되었다. 방사선치료 부작용으로 직장 출혈은 모두 14명$(13\%)$의 환자에서 나타났다. 결론 : 자궁경부암 환자의 고선량율 강내치료와 외부 방사선치료는 효과적인 치료방법임을 확인하였으며, 치료기간의 단축이 중요한 예후 결정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부적절한 수술루 침윤성 자궁경부암의 방사선치료 결과 (Radiation Therapy Results of Invasive Cervical Carcinoma Found After Inappropriate Hysterectomy)

  • 최두호;김은석;남계현;허승재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4권3호
    • /
    • pp.211-219
    • /
    • 1996
  • 목적 : 상피내암, 초기 침윤성 자궁경부암, 또는 양성 질환으로 자궁적출술 받은 후 침윤성 자궁경부암으로 확인되어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의 치료 결과와 예후를 분석 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5년 9월부터 1993년 12월까지 수술후 침윤성 자궁암으로 진단되어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6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수술전 진단은 상피내암이 가장 많았으며 (38명), 초기 침윤성 자궁암 (10명), 자궁근종 (6명)등이었다. 대부분 수술후 2개월 이내에 방사선치료를 시행하였으며 3명은 추적검사중 재발암으로 확인되어 치료하였다. 8명은 강내치료만을, 47명은 외부 방사선치료만을, 그리고 6명은 강내치료와 외부 방사선치료를 같이 시행하였다. 결과 : 5년 생존율 및 무병 생존율은 각각 $83.8\%$, $86.9\%$ 였으며 수술 당시의 육안적 잔존병소가 있었던 경우는 $38.4\%$로 매우 낮았다. 모두 8명의 치료실패가 있었으며 예후인자로는 후향적 병기, 잔존병소 유무, 병리조직유형이 있었다. 결론 : 조기 침윤성 자궁암은 부적절한 수술후에도 방사선치료로 효과가 좋으나 잔존병소가 있는 경우에는 예후가 불량하므로 좀 더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며, 무엇보다도 조기에 정확한 검진과 병기 결정을 시행하여 각 병기에 따른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다.

  • PDF

자궁경부암 고선량율 강내조사치료시 A, B점 선량과 Curie-minutes 단위의 비교 (Intracavitary Dosimetry: A Comparison of Doses at Point A and B to Curie-minutes in Cervical Cancer)

  • 허승재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7권1호
    • /
    • pp.81-83
    • /
    • 1989
  • This study, involving thirty-two patients with carcinoma of uterine cervix treated by high dose rate intracavitary irradiation using a remotely controlled afterloading system, compares the doss at point A and 8 with the Curie-minutes prescription. A linear least-squar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compare the two sets of dat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doses at points A and B and the Ci-min prescription are 0.92 (p<0.001) and 0.90 (p<0.001), respectively, and linear relationship is observed between these two system. The limitation and significance of the comparison of the two approaches to intracavitary dosimetry is discussed.

  • PDF

Cytotoxicity and L-Amino Acid Oxidase Activity of Crude Insect Drugs

  • Ahn, Mi-Young;Ryu, Kang-Sun;Lee, Yong-Woo;Kim, Yeong-Shik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3권5호
    • /
    • pp.477-481
    • /
    • 2000
  • The cytotoxicity of crude insect drugs was measured using HeLa cells originating from human cervix and uterine cancer. using the dye uptake assay in order to find potential anticancer agents. Three kinds of extracts (buffer, methanol and ethylacetate) were prepared from 26 insects and used as raw materials for the activity assay. Among these, the buffer extracts from Tabanus, Mylabris and Huechys showed a potent anticancer activity, and those from Catharsius, Red ant, Scorpion, Tabanus and Vespae Nidus showed a strong L-amino acid oxidase (AAO) activity as well as cytotoxicity. In contrast, buffer extracts from Gryllotalpa orientalis and Apriona germari larvae showed greater/more rapid Hela cell growth than that of other insects.

  • PDF

자궁경부암세포의 3차원 분석을 위한 컨포컬 현미경 영상의 재구성 방법 (Reconstruction method of confocal microscopic image for 3-dimensional analysis of uterine cervix cancer cell)

  • 최익환;최현주;이병일;조남훈;정구보;최흥국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 /
    • pp.242-245
    • /
    • 2003
  • 현미경을 통해 획득한 세포영상이나 조직영상은 질병의 유무나 암의 진행 정도를 파악하여 환자를 치료하기 위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하지만 현재 세포나 조직영상에 대한 분석은 광학현미경을 통해 얻어진 2차원 영상분석방법을 주로 이용하고 있으므로 잘린 단면의 각도나 두께에 따라 서로 다른 분석결과를 나타내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콘포컬 현미경을 사용하여 50nm 두께의 연속적 섹션 영상을 획득한 후, 이를 바탕으로 자궁경부암세포를 3차원으로 재구성 방법을 제안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2차원 정량분석에 대한 한계를 극복하고 정확한 진단과 예후 추정으로 환자에게 최적의 임상적 치료를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데 활용하고자 한다

  • PDF

Expression of P-glycoprotein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53 in Human Papilloma Virus Induced Squamous Intraepithelial Lesions of Uterine Cervix: Poor Prognosis Association

  • Singh, Madhulika;Singh, Uma;Mathur, Neeraj;Shukla, Yogeshwer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12호
    • /
    • pp.6039-6045
    • /
    • 201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predictive value of p-glycoprotein (p-gp) and p53 immunoexpression in human papillomavirus (HPV) infected cases of cervical dysplasia. Expression of both p-gp and p53 proteins was detected in cervical smears from 177 squamous intraepithelial lesions (SIL) cases along with 183 "atypical squamous cells of unknown significance" (ASCUS) and 150 normal cases. HPV 16 and 18 infection was detect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using type-specific primers for HPV sub-types. There were no significant detectable p53 and p-gp expression in the normal cervix smears (p>0.05). In the ASCUS group 10 cases were positive for both p53 and p-gp immunoreactivity. In cervical dysplasia cases, p53 was positive in 86 (48.58%) while p-gp was positive in 93 (52.54%) and the two markers showed a highly significant correlation (r=0.92, p<0.001). Expression of p53 and p-gp was associated with grade of SIL (p<0.001).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presence of HPV and expression of proteins p53 and p-gp in smears of patients with cervical lesions was also noted (p<0.001). Thus, p53 and p-gp immunostaining in cervical smears may act as an auxiliary biomarker for detection of HPV-associated cervical lesions. Additionally,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scending grades of SIL and labeling indices of markers suggests that p53 and p-gp can be used as an adjunct to cytomorphological interpretation of conventional cervical Pap smears.

자궁경부암의 방사선치료시 예후인자의 재분석 (Analysis of Prognostic Factors in Patients with Carcinoma of Uterine Cervix)

  • 김재영;조철구;심재원;류성렬;김미숙;윤형근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4권4호
    • /
    • pp.307-315
    • /
    • 1996
  • 목적 :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자궁경부암 환자들의 생존율을 예후인자별로 비교분석함으로써 방사선 치료의 지표로 삼고자 하였다. 방법 : 1987년 1월부터 1988년 12월까지 자궁경부암으로 진단받고 본원 치료방사선과에서 방사선치료를 시행하였던 460명의 환자에 대한 치료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방사선치료 방법으로는 외부방사선 조사만 시행한 군이 103예, 외부방사선 조사 및 자궁강내 방사선 치료를 함께 시행한 군이 357예였다. 추적율은 88%, 총 추적 기간의 중앙값은 48개월이었다. 결과 : 전체 환자의 5년 생존율은 66.2%였다. FlGO 병기에 따른 5년 생존율은 Ib 81.2%, IIa 76.3%, IIb 73.1%, IIIa 50%, IIIb 52.3%, IVa 11.5%였다. 예후인자에 대한 분석에서 종양의 크기(P=0.0002), 림프절의 전이여부(p=0.0001), 종양의 성장형태(p=0.003), 치료 당시의 혈중 혈색소 농도(p=0.0001), 종양 세포의 종류(p=0.0001)등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예후인자였으며, 35세 미만의 조기 발병인 경우 생존율의 감소가 관찰되었다(p=0.03). 그외 편평상피세포암의 종양 세포의 각질화 유무, 강내 방사선 치료 회수 등에 의한 생존율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 자궁경부암의 방사선 치료시 주요 예후인자로는 종양의 크기 및, 성장형태, 림프절의 전이여부, 방사선치료시의 평균 혈중 혈색소치, 종양 세포의 종류등 이었다. 또한 35세 이전의 조기 발병 시에도 생존율이 감소하였다. 종양의 크기가 크면서 내장성 종양이거나, III기 이상이면서 종양이 큰 경우 등은 생존율의 향상을 위해 좀더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 PDF

근칙적 절제술과 술후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자궁경부암 환자의 치료성적, 예루인자와 실패양상 (Adjuvant Radiotherapy Following Radical Hysterectomy and Bilateral Pelvic Lymph Node Dissection for the Uterine Cervical Cancer : Prognostic Factors and Failure Patterns)

  • 최두호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5권4호
    • /
    • pp.357-367
    • /
    • 1997
  • 목적 : 근치적 절제술과 골반림프절 절제술을 시행한 자궁경부암 환자 중에서 치료실패의 위험인자가 있어서 술후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치료성적, 예후인자, 실패양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FIGO 병기 IB, IIA와 IIB 환자 중에서 근치적 수술과 방사선치료를 시행하고 추적조사가 가능하였던 12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들은 1985년 3월부터 1994년 3원까지 수술후 방사선치료를 시행하였으며 최소 추적기간은 24개월이었다. 모든 환자는 4-MV 선형가속기를 이용한 외부방사선치료를 전골반에 50-6OGy를 조사하였고 일부 환자는 코발트를 이용한 고선량율 강내치료를 추가하였다. 결과 : 전체 환자의 5년 생존율과 5년 무병 생존율은 각각 $75.4\%,\;73.5\%$였고, 단변수 분석상 5년 무병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림프절 전이 유무, 개수와 위치, 종양의 크기, 자궁체부 침운, 자궁주위조직 침윤, 병기, 자궁경부벽 침윤정도, 질 절제면 양성, 그리고 치료 관계 인자로 방사선량, 강내치료, 항암제 등이 통계상 유의하였으며, 다변량 분석상 림프절 전이와 종양의 크기, 질 절제면 양성이 유의하였다. 치료 실패는 33명이었고 2명은 다른 원인으로 사망하였고 부위별로는 국소재발이 13명, 원격전이 13명 국소-원격 동시 실패가 7명이었고 추적 종료시점까지 5명이 생존하였다. 국소재발은 병기 IB, 림프절 전이 양성 또는 질 절제면 양성 환자에서 많이 발생하였으며 림프절 전이 음성환자에서는 빈도는 낮았으나 원격전이가 상대적으로 더 많았다. 그리고 병기 lIB에서 5년 생존율 은 $56\%$ 였고 22명 중에서 9명이 재발하였다. 결론 : 수술후 방사선치료는 비교적 효과적인 방법이지만 다수의 재발 위험인자들을 가진 환자에게 술후 방사선치료만으로는 재발을 막기가 충분하지 않으므로 방사선감작제의 추가나 동시방사선-항암치료 등의 보다 효과적인 방법이 필요할 것으로 성각되며, 술혹 방사선치료의 효율을 정하기 위하여 무작위 표본 추출에 의한 전향적 연구가 필오하다. 그리고 병기 IIB는 항암치료와 수술후 방사선치료를 시행해도 치료 성적이 나쁘므로 일차적으로 근치적 방사선치료를 시행해야한다.

  • PDF

Cervical Cancer in Morocco: Epidemiological Profile from Two Main Oncological Centers

  • Berraho, Mohamed;Bendahhou, Karima;Obtel, Majdouline;Zidouh, Ahmed;Benider, Abdellatif;Errihani, Hassan;Nejjari, Chakib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7호
    • /
    • pp.3153-3157
    • /
    • 2012
  • Background: In Morocco, the epidemiological profile of cervical cancer is not well established. The focus of the present study was both epidemiological and pathological characteristics. Methods: For all cases of cervical cancer treated between 2003 and 2007 in the National Institute of Oncology and the Oncology Department of the IbnRochd hospital (Casablanca), 900 cases were randomly selected. Results: The mean age was $52.1{\pm}11.8$ years. The most (90.5%) represented histological type was squamous cell carcinoma. For more than 57.0% cases the mean distance between patient's origin and center of treatment was greater than 100km. According to the FIGO classification, only 17.2% of patients were identified as being in early stages (0 and I). For 72.2% patients the follow-up did not exceed 2 years. At 1 year of following-up 55.8% of patients were alive and 43.4% were lost to following-up. Conclusion: Our study addressed the issue of the burden of cervical cancer in Morocco. The result provides a basis for decision-makers for the development of strategic measures to implement the fight against cervical cancer in Morocco.

유방암과 자궁경부암 수검자용 한국판 건강정보이해력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Assessment of Health Literacy in Breast and Cervical Cancer Screening)

  • 신혜숙;지은림;한혜라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51권6호
    • /
    • pp.769-781
    • /
    • 2021
  • Purpose: Health literacy is a significant determinant of health and health behaviors such as cancer screening. Despite its significance, there are limited instruments available to assess health literacy targeting Korea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Korean translation of a validated health literacy instrument in cancer screening-Korean version of assessment of health literacy in breast and cervical cancer screening (K-AHL-C). Methods: A total of 555 women aged 20~65 participated in the online survey study. Of 52 items addressing five domains included in the original version, we focused on 36 items addressing three key domains closely associated with cancer screening: familiarity, health navigation, and comprehension. Results: During content validation, two items from the health navigation domain were removed, yielding 34 items. Using Rasch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 found the evidence of construct validity of K-AHL-C. The Korean version was also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measures of Functional Health Literacy scale, cancer prevention behaviors,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suggesting convergent validities respectively. Finally, K-AHL-C had acceptable reliability coefficients (α) ranging from 0.71 to 0.92 for each domain and the total scale. Conclusion: These psychometric properties support the K-AHL-C is a valid and reliable instrument for measuring Koreans' health literacy in cancer screening. Also it is expected to use the instrument to detect breast and cervical cancer early and improve the screening rate, and ultimately to contribute to the promotion of women's health and women's health nursing pract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