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rushiol congeners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2초

옻(Rhus verniciflua Stokes)으로 부터 분리한 알레르기 유발물질의 BALB/c mice에 대한 특성 (Characteristics of Allergy Inducing Materials Isolated from Rhus verniciflua Stokes on BALB/c Mice)

  • 남상해;주옥수;이준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7호
    • /
    • pp.899-904
    • /
    • 2009
  • 옻 allergy 유발물질을 분리하고 그 특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국내산, 중국산 및 일본산 생 옻을 사용하였다. 옻의 crude extracts로부터 crude urushiol을 정제하고, 다시 allergy 유발물질로 알려져 있는 3종의 urushiol congeners를 분리하였다. 분리한 urushiol congeners는 RV-1 였으며, 전체의 80%에 해당하였다. RV-1의 함량은 중국산에서 70.07%로 가장 많았으며, 일본산에서 62.38%로 가장 적었다. 반면에 RV-2는 일본산은 9.25%로서 국내산과 중국산의 4.28 및 3.09%에 비하여 약 2$\sim$3 배정도 많았다. Allergy 유발특성을 보면, RV-1은 초기유발강도가 강하고 지속적이어서 회복속도도 늦었다. RV-2는 초기유발강도는 약하지만 회복속도는 늦었다. 반면에 RV-3는 초기유발강도는 비교적 약했지만, 감작 후 48시간 째에 가장 강하게 유발되었고, 회복속도가 빨라서 72시간이 경과하였을 때에는 거의 대조군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따라서 allergy유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urushiol은 RV-1이었으며, RV-1의 함량이 가장 많은 중국산이allergy의 유발강도가 가장 강하였고 회복속도도 늦음을 알 수 있었다.

옻나무 추출물 중 우루시올 동종체의 함량비 분석 (The analysis of the urushiol congeners from the extracts of lacquer trees)

  • 조유미;정유경;김진산;이준배;팽기정
    • 분석과학
    • /
    • 제22권1호
    • /
    • pp.65-74
    • /
    • 2009
  • 옻나무는 아시아지역 전역에 주로 분포하며 예로부터 도료 및 약용 식물로 많이 사용되어져 왔었다. 특히 우리나라에서 재배되는 옻나무가 그 기능이 더욱 우수하다고 알려져 있는데 그 원인은 명확히 밝혀진 바가 없다. 우선 옻나무에서 우루시올의 추출을 위하여 나무는 soxhlet의 방법으로, 옻나무 추출물은 liquid-liquid extraction (LLE)의 방법을 이용하여 각각의 우루시올을 추출하였으며, 추출한 각 성분들은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ultraviolet & visible detector system (HPLC/UV-Vis)에 먼저 적용하여 분리의 최적 조건을 찾았다. 그리고 각 성분에 대한 정확한 분석을 위하여 reverse phase liquid chromatography on-line electro spray ionization mass spectrometer (LC-MS/MS)를 이용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분자량에 따른 성분 확인과 함량을 연구하였다. 이동상의 조건으로는 methanol : 0.1% formic acid : DDW를 929 : 1 : 70의 부피비로 사용하여 최적의 분리 조건을 얻었다. 이러한 LC의 조건으로 다시 LC-MS/MS에 적용하여 MRM의 방식으로 각각의 함량을 구할 수 있었다. 분자량에 따라 총 4종류의 우루시올 동종체들이 존재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한국산 옻나무 추출물의 경우 외국산 옻나무의 것 보다 곁사슬에 이중결합이 많은 우루시올 동종체의 함량이 많이 존재하며 그 전체적 비율이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Biological Detoxification of Lacquer Tree (Rhus verniciflua Stokes) Stem Bark by Mushroom Species

  • Choi, Han-Seok;Kim, Myung-Kon;Park, Hyo-Suk;Yun, Sei-Eok;Mun, Sung-Phil;Kim, Jae-Sung;Sapkota, Kumar;Kim, Seung;Kim, Tae-Young;Kim, Sung-Jun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6호
    • /
    • pp.935-942
    • /
    • 2007
  • The stem bark of Rhus verniciflua (RVSB) has been used in herbal medicine to treat diabetes mellitus and stomach ailments for thousands of years in Korea, despite its content of the plant allergen, urushiol. A new biological approach for the removal of urushiol from RVSB using mushrooms is described. All mushroom species (11 sp.) employed in this study were able to grow on RVSB, although the growth rate (mm/day) was lower than the control (sawdust). The components of urushiol congeners [C15 triene (m/z 314), C15 diene (m/z 316), C15 monoene (m/z 318), and C15 saturated (m/z 320)] were purified by HPLC and identified by GC-MS. A C15:3 (3-pentadecatrienly catechol) was found to be most abundant in RVSB. Urushiol analogues decreased remarkably from 154.15 to 10.73 mg/100 g (approximately 93%) by Fomitella fraxinea, whereas Trametes vercicolor showed only a 1.46% degradation capacity despite its 2 fold higher growth rate. Similarly, laccase activity was found to be high for F. fraxinea and low for T. vercicolor. Moreover, approximately 98% detoxification was accomplished by F. fraxinea cultivated on RVSB supplemented with 20%(w/w) rice bra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mushrooms can be used in the detoxification of RVSB.

원주산과 옥천산 참옻나무의 부위별 flavonoid 및 urushiol 함량 비교 (Comparison of the Flavonoid and Urushiol Content in Different Parts of Rhus verniciflua Stokes Grown in Wonju and Okcheon)

  • 이원재;강지은;최지호;정석태;김명곤;최한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58-163
    • /
    • 2015
  • 참옻나무의 줄기전체, 껍질, 목질부위에 함유되어있는 총 phenol 함량은 원주산이 각각 15.73, 13.29, 13.21, 옥천산이 16.14, 16.63, 14.81 mg gallic acid/g db이었다. 총 flavonoid 함량은 원주산이 32.04, 15.16, 31.05, 옥천산이 45.51, 22.09, 43.48 mg quercetin/g db로 나타났다. Flavonoid 성분 중 fustin이 껍질 부위에서는 성분합계양의 98%이상, 줄기와 목질에서는 73.0-86.7%를 차지하는 주요성분이었다. Butein은 부위별로 0.31-2.17, fisetin은 0.27-3.32, sulfuretin은 0.15-0.80 mg/g db 함유되어 있었다. 각 부위별 urushiol 함량의 합계는 각각 5.09-6.29, 55.05-56.30, 0.38-0.39 mg/100 g dry base로 껍질에 다량함유 되어 있었다. 껍질에 함유된 urushiol congener들의 분포는 C15:3 (pentadecatrienyl catechol)이 63%, C15:1 (pentadecenyl catechol)이 33-35%, C15:2 (pentadecadienyl catechol)가 2-3% 함유되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