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rban street

검색결과 517건 처리시간 0.025초

도시 협곡에서 건물 지붕 냉각이 스칼라 물질 확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uilding-roof Cooling on Scalar Dispersion in Urban Street Canyons)

  • 박수진;김재진
    • 대기
    • /
    • 제24권3호
    • /
    • pp.331-341
    • /
    • 2014
  •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building-roof cooling on scalar dispersion in three-dimensional street canyons are investigated using a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model. For this, surface temperature of building roof is systematically changed and non-reactive pollutants are released from street bottom in urban street canyons with the aspect ratio of 1. The characteristics of flow, air temperature, and non-reactive pollutant dispersion in the control experiment are analyzed first. Then, the effects of building-roof cooling are investigated by comparing the results with those in the control experiment. In the control experiment, a portal vortex which is a secondary flow induced by ambient air flow is formed in each street canyon. Averaged air temperature is higher inside the street canyon than in both sides of the street canyon, because warmer air is coming into the street canyon from the roof level. However, air temperature near the street bottom is lower inside the street canyon due to the inflow of cooler air from both sides of the street canyon. As building-roof temperature decreases, wind speed at the roof level increases and portal vortex becomes intensified (that is, downdraft, reverse flow, and updraft becomes stronger). Building-roof cooling contributes to the reduction of average concentration of the non-reactive pollutants and average air temperature in the street canyon. The results imply that building-roof cooling has positive effects on improvement of thermal environment and air quality in urban areas.

활성화된 골목형 도시상업가로의 가로공간특성에 관한 연구 -부산시 '전리단길'과 '망미단길'을 사례로- (A Study on the Street Spatial Characteristics of Revitalized Alley-type Urban Commercial Street -With Cases of 'Jeonridan-gil' and 'Mangmidan-gil'in Busan City-)

  • 최강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9호
    • /
    • pp.137-151
    • /
    • 2021
  • 활성화된 골목형 도시상업가로는 사람들이 선호하는 장소로서 최근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골목형 도시상업가로 조성을 위한 계획 및 설계방법에 있어서의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부산시의 대표적인 활성화된 골목형 도시상업가로인 '전리단길'과 '망미단길'을 사례대상지로 선정하여 이론적 고찰과 사례분석을 통하여 사례대상지 개요, 가로공간구성, 건축물 용도, 가로경관, 가로시설물에 대하여 가로공간특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보행공간 및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가로환경의 조성이 필요하다. 둘째, 기존에 입지한 주요용도와 새로 도입된 용도간의 상생이 필요하다. 셋째, 적응적 재사용 등을 통한 가로의 정체성 유지가 필요하다. 넷째, 민간에 의한 자생적 형성과 공공에 의한 계획적 조성의 협력이 필요하다.

스트리트 퍼니처(Street Furniture)의 심미성요소와 선호도에 관한 연구 - 휴게공간과 관련된 시설물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esthetics Factors and Preference of Street Furniture - Focused on Resting Places and Their Related Facilities -)

  • 형성은;홍정표;양종열;이상락
    • 디자인학연구
    • /
    • 제14권4호
    • /
    • pp.15-24
    • /
    • 2001
  • 환경 미학은 장대한 자연의 미와 도시경관의미 전체영역을 포함하는 것이라고 한다면 도시경관은 '도시의 보기 좋은 경치' 또는 '미관'이라고 정의되고 있다. 그러므로 우리는 도시경관의 새로운 계획 패러다임으로 미의 문제를 상정하고 이를 해결 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이러한 환경미학이란 도시경관의 새로운 계획을 모색하는 것으로 도시경관의 미적 가치와 내용을 살피고 도시경관의 미적 경험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미학적 맥락인 심미성의 평가는 도시시설물인 스트리트퍼니처(street furniture)의 조형미인 디자인요소를 추출하는 것으로 도시환경 디자인에 있어 새로운 의미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도시 가로변 고층 아파트 색채 이미지 평가 연구 (A Study on the Color Image Evaluation of high-rise apartment on Urban Street)

  • 정가영;이향미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4권2호
    • /
    • pp.67-74
    • /
    • 2012
  • This study investigated that grasped the present state of high-rise apartment on Urban Street color, through the color image estimation effect of primary factor on color image preference. The range of study were high-rise apartment on Urban Street color of land for housing, Sangmu, Woonnam, Shinchang, Pungam, Ilgok, Moonheung district. The method of study put out a model of reference after photography a spot colorimeter BIB test. And the data analyzing was factor analysis, multi regression through Semantic Differential Method, questionnaire. The result of study, the present state of color was used predominate, support color is YR, Y, and stress color is YR, R. Predominate color showed distribution of high luminosity, low freshness and assistance, stress color is middle luminosity, low freshness. And effects of primary factor on color image preference were 'unification', 'comfortableness', 'sophistic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need high luminosity color for comfortableness to improve of high-rise apartment on Urban Street color, harmony of color, harmony of vertical horizontality color scheme pattern, consult square rate of stress color.

택지개발지구 중심가로 활성화에 관한 연구 - 대구광역시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Vitality of the Main Street in Urban Residential Estate)

  • 박선경;김혜경;하재명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4권2호
    • /
    • pp.9-18
    • /
    • 2003
  • The vitality of a main street is essential to get the urbanity of the urban residential estat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itality of a main street and street land uses in the residential estate. The outcom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reet land uses have influence on the vitality of a main street; the main streets with the small commercial and business facilities are more vitalized than those with the boundary wall of the residential building or the buffer zone. Second, the number of shops in street has positive influence on the vitality of a main street. Third, the vitality of a main street is effected by the entrance of apartment site.

서울시 가로망 중심성의 토지가격 효과 연구 (Effects of Street Centrality on the Land Prices in Seoul, South Korea)

  • 강창덕
    • 부동산연구
    • /
    • 제27권3호
    • /
    • pp.51-70
    • /
    • 2017
  • 이 연구는 가로망 폭을 반영하여 가로망 중심성을 측정하고 그 효과를 토지가격을 통해 규명한다. 그동안 도시공간구조를 분석한 도시경제와 정책에 대한 연구는 단핵도시구조에서 다핵도시구조로 발전하여 왔다. 그러나 이러한 시각은 여전히 도시현상을 설명하는 데 한계가 있으므로 미시공간수준의 가로망 분석이 새로운 연구영역으로 자리잡고 있다. 특히, 최근에 가로망 중심성을 다양한 방법으로 측정하고 도시현상에 대한 효과를 경험적으로 분석하는 연구가 많아지고 있다. 이 연구는 기존의 시각을 확장하기 위해 가로망 폭을 반영한 중심성을 측정한 후 주거용과 비주거용 토지가격에 대한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다층회귀분석모형 결과는 대체로 주거용 토지의 경우 폭이 넓은 가로망에 도달하는 경유 빈도가 많고 이러한 가로망에 가까이 있으면 가격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비주거용 토지는 넓은 가로망에 도달하는 경유 빈도가 높고 가시성이 높은 가로망에 가까이 있으면 가격 수준이 높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가로망 폭을 고려한 보다 현실적인 가로망 중심성이 토지 시장에 미치는 효과를 경험적으로 검증한 것이다. 이를 통해 가로망 중심성이 향후 토지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장기적으로 토지시장의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대구광역시 중구의 가로수 및 열섬 모자이크 현황 분석 (Analysis of Street Trees and Heat Island Mosaic in Jung-gu, Daegu)

  • 김수봉;정응호;김기호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25-332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practical suggestions to mitigate Urban Heat Island(UHI) problems in Daegu regarding urban surface temperature. Urban street trees's size and the relations between urban land use types and surface temperature are analysed using aerial photos, the numerical value map and Landsat TM image with special reference to Jung-gu. Total urban street tree's crown size is $156,217.6m^2$ and it is equal to 2.24% of study area. In addition, the size of 'city and residential area' is $6,681,870m^2$(95.7% of study area), which causes UHI and the total size of 'river' shows the lowest surface temperature area and 'road' and 'business and service area' are the highest surface temperature zones. Therefore, it is probable that the network between urban street trees and the lowest surface temperature areas mitigate UHI effects.

강풍 발생 시 국내 가로수의 취약성 분석 (Wind Fragility for Urban Street Tree in Korea)

  • 심 비리야붓;정우영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98-304
    • /
    • 2019
  • 이 논문에서는 한국의 가로수에 대한 바람 취약성을 유도하는 분석 방법을 보여준다. 몬테 카를로 시뮬레이션 방법은 도시 가로수의 파괴 확률을 결정하는 데 사용되었다. 이 확률 결과는 대구 지역의 가로수를 기반으로 4 가지 유형에 대한 바람 취약성 매개 변수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이로 인해 풍하중에서 가로수 손상 확률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이 직경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선택된 4 가지 유형 중에서 높이 7m, 직경 35cm의 가로수는 손상률이 제일 낮은 반면, 높이 8m, 직경 30cm의 가로수는 가장 낮은 풍하중에서 저항하였다. 높이 7m의 가로수의 평균 손상 풍속은 직경 30cm 및 35cm에 대해 각각 43.8m/s 및 50.6m/s로 나타났으며, 높이 8m의 가로수의 평균 손상 풍속은 직경 30cm 및 35cm에 대하여 각각 38.7m/s 및 45.4m/s로 나타났다.

군산 근대 민간 건축의 배치 및 평면 유형 특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a Plot Plan and a Floor Plan of Modern Private Housing Architecture in Gunsan)

  • 김종성;배진아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5권2호
    • /
    • pp.43-52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building layout and plan types according to the urban location, use and function of civil an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by the type classified. After constructing a framework (Mathia type, Nagaya type, Detached House type) for analyzing Modern Private Housing Architecture in Gunsan, the research was conducted on 30 representative buildings, and a plot plan, a floor plan and elevation were created. After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ot of land and the urban street, we classified the type of arrangement into Mathia type and Nagaya type which directly enter the building from the road, and derived the Detached House type which indirectly enters from the road. When we look at the use of the derived arrangement types, most of the Mathia type are commercial and residential buildings, and some of them are specially designed for commercial buildings. The Nagaya type appears in the form of commercial and residential house or residential private house, and the Detached House type is classified as residential style. As a relation with the urban street, the Mathia type and the Nagaya type are generally located on the main urban street, whereas the Detached House type is located on the small urban stree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loor plan was changed according to the plot plan. The plan of the Mathia and Nagaya type are arranged to enter directly from the street, with commercial space being mainly located on the street, and the residential space being composed on the back or the second floor. the plan of the Detached House is a type that enters indirectly into the interior through a separate space (Courtyard), and forms an organic space between the residential interior and the front and rear yar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a plot plan and a floor plan of Modern Private Housing Architecture in Gunsan by means of analysis considering the urban street, Uses of buildings, Construction method and the yard through actual measurement.

GIS를 이용한 가로등 및 가로수의 저탄소 정보 관리 (Low-Carbon Information Management of Street Lamps and Street Trees Using GIS)

  • 최병길;나영우;권오섭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55-62
    • /
    • 2014
  •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LED가로등 교체, 가로수 식수 등 다양한 개선사업들이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대상 도시시설물에 대한 온실가스 배출량 및 흡수량에 대한 정보화가 이루어 지지 않아 기후변화 정책의 효과를 정확하게 분석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GIS를 이용하여 가로등 및 가로수의 탄소 관련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방안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도시시설물의 정확한 저탄소 정보 구축을 위해서는 시설물별 탄소배출량 및 흡수량 산정방법이 정립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GIS를 이용한 가로등 및 가로수의 저탄소 관련정보의 시각화는 기존의 온실가스 배출량 및 흡수량을 수치적으로 나타내는 것에 비해 기후변화 대응 정책의 효과를 쉽게 시각적으로 파악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