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ptake counts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28초

Detection of bone marrow involvement with FDG PET/CT in patients with newly diagnosed lymphoma

  • Ozpolat, H. Tahsin;Yilmaz, Ebru;Goksoy, Hasan Sami;Ozpolat, Sahre;Dogan, Oner;Unal, Seher Nilgun;Nalcaci, Meliha
    • BLOOD RESEARCH
    • /
    • 제53권4호
    • /
    • pp.281-287
    • /
    • 2018
  • Background Bone marrow involvement (BMI) affects the lymphoma stage, survival, and treatment. Bone marrow biopsy (BMB) and fluorodeoxyglucose (FDG) positron emission tomography-computed tomography (PET/CT) are useful techniques to detect BMI. Both hav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We aimed to identify factors that could be used to predict BMI with positive and negative results on PET/CT compare them with BMB in newly diagnosed patients with lymphoma. Methods We included 22 non-Hodgkin and 16 Hodgkin lymphoma patients in this single center study. All patients had PET/CT examination and BMB before treatment. BMI in BMB was reported as negative or positive. Bone marrow was classified into 3 types by FDG uptake on PT/CT; diffuse involvement, focal involvement, and normal bone marrow. Results PET/CT and BMB results were concordant (7 positive, 15 negative) in 22 patients (57%). We evaluated concordant and discordant patient characteristics and risk-stratified patients for BMI. Our findings suggest that patients with diffuse FDG uptake on PET/CT, especially patients with advanced age and low platelet and white blood cell counts, are likely to have BMI and could potentially forego BMB. Patients with negative PET/CT findings and no significant laboratory abnormalities are very unlikely to have BMI. Conclusion Our results suggest that BMI should not be decided solely based PET/CT or BMB findings. It is reasonable to use both diagnostic assays along with clinical and laboratory findings. PET/CT result, clinical and laboratory findings could be useful for predicting BMI in patient for whom BMB is contraindicated.

동적 타액선 신티그라피에서 기능적 매개변수 지표를 활용한 정량 분석의 유용성 (Usefulness of the quantitative analysis by using the functional parameter index from dynamic salivary glands scintigraphy)

  • 신채호;김봉수;조용귀;조진우;진성은;표성재
    • 핵의학기술
    • /
    • 제19권2호
    • /
    • pp.81-86
    • /
    • 2015
  • 동적 타액선 신티그라피는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타액선의 기능을 평가하는데 널리 사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타액선 신티그라피의 시간-방사능 곡선에서 다양한 기능적 매개변수지표를 측정하고 구강건조증 환자 그룹과 건강한 Control 그룹과 비교를 통해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2014년 12월부터 2015년 2월까지 구강 건조증으로 내원하여 동적 타액선 신티그라피를 시행한 환자 그룹 30명과 건강한 Control 그룹 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검사방법은 370 MBq의 $^{99m}Tc$-과산화테크네슘을 정맥으로 순간 주사 후 약 30분간 동적 타액선 신티그라피를 연속 촬영하였으며, 주사 후 20분째에 최타 자극제로 비타민C 파우더를 이용하였다. 정량분석은 이하선과 악하선의 시간-방사능 곡선을 통해 기능적 매개변수 지표를 획득하고,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강 건조증 환자와 건강한 Control 그룹과 비교하였다. 동적 타액선 신티그라피에서 이하선과 악하선의 기능적 매개변수 지표인 섭취율(Uptake Ratio, UR), 최대 방사능 시간(Time at Maximum counts, Tmax), 최소 방사능 시간(Time at Minimum counts, Tmin), 최대 축적율(Maximum Accumulation, MA), 축적속도(Accumulation Velocity), 최대 배출율(Maximum Secretion, MS), 최대 자극 배출율(Maximum Stimulation Secretion, MSS), 배출속도(Secretion Velocity, SV)를 각각 측정하였다. 구강 건조증 환자와 건강한 Control 그룹간의 이하선과 악하선의 기능적 매개변수 지표 비교에서는 최소 방사능 시간을 제외한 모든 지표에서 건강한 Control 그룹이 환자 그룹에 비하여 유의성 있게 높게 측정되었으며, 시간에 따른 변화량도 Control 그룹이 환자 그룹에 비하여 유의성 있게 변화량이 크게 측정 되었다. 동적 타액선 신티그라피에서 다양한 기능적 매개변수 지표를 이용한 정량분석은 구강 건조증 환자의 타액선 기능을 평가하는데 객관적이고 표준화된 정보를 제공해 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뇌혈류 단일광자방출단층촬영 영상 품질 향상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Quality Improvement of Brain Perfusion SPECT Image)

  • 길상형;임영현;박광열;조성묵
    • 핵의학기술
    • /
    • 제23권2호
    • /
    • pp.13-19
    • /
    • 2019
  • 뇌혈류 영상용 방사성의약품 Tc-99m HMPAO는 방사분해에 의해 발생하는 중간산물 때문에 화학적으로 불안정하고, 불순물 생성이 많아 표지효율 저하가 나타나기 쉽다. 과산화테크네슘(free pertechnetate)은 뇌혈류장벽을 통과하지 못하고 침샘과 구강 점막에 집적되며, 불순물이 제거되지 않으면 영상 품질이 저하되어 시각적 평가에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Tc-99m HMPAO를 이용한 뇌혈류 단일광자방출단층촬영(brain perfusion SPECT)에서 타액분비촉진제(sialogogues) 투여가 침샘 및 구강 점막에 집적된 불순물을 줄여 영상 품질 향상에 유용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뇌혈류 단일광자방출단층촬영을 시행한 환자 중 연구에 동의한 30명을 대상으로 침샘 섭취계수(uptake coefficient)와 뇌혈류 영상을 비교 분석 하였다. 방사성의약품 Tc-99m HMPAO 555 MBq을 투여 후 기저(basal) 두 경부 전면 영상과 뇌혈류 투사상(projection view)을 획득하였다. 타액분비촉진제 구연산(citric acid)을 사용하여 침샘을 자극시킨 후 기저영상 획득 방법과 동일하게 침샘 자극 후 영상(post-citric acid image)을 얻었다. Siemens사의 영상처리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좌 우 침샘부위에 관심영역을 설정한 다음 타액분비촉진제 투여 전 후 침샘 섭취계수의 평균차이를 분석(paired t-test)하였으며, 뇌혈류 영상 비교는 획득한 투사상을 반복적재구성(iterative reconstruction) 방법으로 영상을 재구성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두 경부 전면 영상의 침샘 섭취계수를 비교 분석한 결과 구연산 투여 전 섭취계수의 평균값은 $12900{\pm}3101$, 투여 후 섭취계수의 평균값은 $10677{\pm}2742$였다. 타액분비촉진제 투여 후 불순물이 많이 감소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t = 10.78, P < 0.05). 뇌혈류 영상을 비교 한 결과 침샘과 구강점막에 집적되었던 불순물이 제거되어 이미지 품질이 크게 향상되었다. 타액분비촉진제를 투여하면 침샘 및 구강 점막에 집적된 불필요한 불순물이 제거되어, 생리적 섭취에 따른 영상 품질저하를 줄일 수 있어 정확한 뇌혈류 평가에 도움이 될 것이다.

톡소포자충 RH tachyzoites에 대한 감마선 조사가 충체의 숙주세포내 증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amma-irradiation on intracellular proliferation of Toxoplasma gondii RH tachyzoites)

  • 국진아;오성희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3권3호
    • /
    • pp.173-178
    • /
    • 1995
  • 톡소포자충(RH strain) tachyzoltes를 감마선에 조사하여 인체 백혈병 세포인 HL-60 세포와 정상 마우스의 복강 대식세포에 감염시킨 다음 충체 증식 능력에 어떠한 변화가 오는지 $^3H-uracil$ 흡수시험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감마선 조사량은 30, 70, 100및 300 Gy로 하였고 tachyzoite감염은 시켰으나 감마선을 조사하지 않은 비조사군(NI군)과 tachyzoites를 넣지 않고 숙주세포만을 배양한 비감염군을 각각 두었다. 3H-uracil 흡수시험 결과 12-24시간 후 대식세포의 NI 군은 2,190-4,787(countperminute. 이하 같음), HL-60세포의 NI 군은 2,967-8,254의 높은 흡수량을 보였으나. 감마선 조사군은 대식세포 감염시 381-703(100 Gy조사군) 및 218-408(300 Gy조사군), HL-60 세포 감염시 1,911-2,618(30 Gy), 1,253-1,384(70 Gy), 1,013-1,090(100 Gy) 및 483-588(300 Gy)의 흡수량을 각각 보였다. 충체 증식에 대한 억제율은 300 Gy 조사시 12-24시간에 대식세포의 경우 90-92%. HL-60 세포의 경우 80-94%이었다. 이상과 같이 톡소포자충 RH tachyzoites가 감마선 조사 후 세포내 분열증식 능력에 치명적인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uracil 흡수 시험법으로 확인하였다.

  • PDF

치근단 실험병소에 대한 골주사 및 방사선학적 연구 (SCINTIGRAPHIC AND RADIOGRAPHIC STUDY OF THE EXPERIMENTAL PERIAPICAL LESIONS)

  • 임윤식;박태원
    • 치과방사선
    • /
    • 제19권1호
    • /
    • pp.55-64
    • /
    • 198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at scintigram was a more effective method than radiogram in the early detection of periapical lesion. Periapical lesions were produced artificially by the opening of the pulp chambers of the lower right 3rd and 4th premolars in 6 dogs. The serial bone scintigrams using 99m-Tc-MDP and periapical radiograms were taken weekly. The uptake counts of the 99-Tc-MDP in the experimental side were compared with those in the control side. The periapical radiograms were interpreted with the joint evaluation by three dental radiologist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radioactivity in the experimental side was increased at the Ist week except one animal in which the radioactivity was increased at the 2nd week. 2. It was observed that increasing amount of radioactivity per week was prominent from the 1st day of experiment to the Ist week, and the 3rd week to the 4th week. 3. The radiographic evidence of the periapical lesions was observed at the 3rd week and became more apparent at the 4th week. 4. Histologically, proliferation of blood vessels and infiltration of chronic inflammatory cells were observed at the 1st week and osteoblasts were found after the 3rd week.

  • PDF

표준계수 측정 시 기하학적 요인이 방사성 요오드 갑상선 섭취율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Geometric Factors When Measuring Standard Count for Radioactive Iodine Thyroid Uptake Rate)

  • 오주영;김정열;오기백;오신현;김재삼;이창호;박훈희
    • 핵의학기술
    • /
    • 제17권1호
    • /
    • pp.53-61
    • /
    • 2013
  • 방사성 요오드 갑상선 섭취율은 거대갑상선 환자의 경우 그 체적에 의한 유효 갑상선 깊이가 깊어짐으로 인한 기하학적 변동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본 연구는 방사성 요오드갑상선 섭취율에 있어 검출기와 선원 간 거리와 유효 갑상선 깊이에 따른 기하학적 요인의 영향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131}I$ 370 kBq 선원을 검출기로부터 거리를 20 cm부터 30cm까지 1 cm 간격으로 변화시키며 Captus 3000 thyroid uptake system(Capintec, NJ, USA)으로 측정하였다. 유효갑상선 깊이를 재현하기 위해 목 팬텀을 이용하여 팬텀 내 선원의 깊이를 1 cm, 2 cm, 5 cm으로 변화시키며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곡선추정 회귀분석 결과 모든 실험군이 거듭제곱곡선에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R2{\geq_-}0.915$$). 그러므로 검출기-선원 간 거리가 20 cm보다 30 cm에서 오차가 크게 감소됨을 예상할 수 있다. 모든 실험군에서 팬텀을 쓰지 않았을 때와 유효 갑상선깊이가 1 cm이 적용되었을 때의 계수율이 서로 유의할 만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선형회귀분석 결과 깊이에 따른 계수율의 변화는 모두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284.3keV{\pm}10%$ 영역에서 깊이에 따른 계수율의 변화는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회귀식을 통해 환자의 예상 갑상선 섭취율을 산출해 보았을 때, $364.4keV{\pm}10%$에서 1 cm 당 -6.42%, $364.4keV{\pm}20%$의 영역에 서 -5.09%의 더 낮은 오차를 보였다. 또한 거리에 따른 계수율의 변동계수는 모든 실험군에서 선형으로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 $364.4keV{\pm}20%$, $364.4keV{\pm}10%$ 영역은 비교적 낮은 변동계수와 증가폭을 보였다. 곧, 유효 갑상선 깊이에 따른 오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364.4keV{\pm}20%$의 영역의 사용이 더 적절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갑상선 깊이에 따른 오차는 갑상선 깊이에 따른 보정계수 적용,$364.4keV{\pm}20%$ 에너지 영역 설정, 디텍터와 선원과의 거리를 연장하였을 때 감소시킬 수 있다고 생각된다.

  • PDF

간담도스캔의 영상수집방법에 따른 담즙배출율의 비교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GBEF According to Image Aquisition Method in Hepatobiliary Scan)

  • 김영선;서명덕;이완규;송재범
    • 핵의학기술
    • /
    • 제18권2호
    • /
    • pp.8-16
    • /
    • 2014
  • 간담도 스캔에서 GBEF의 산출은 정적영상법과 동적영상법으로 가능하다. 이번 연구를 통해 영상수집 방법에 따른 GBEF 차이를 알아보고, 정확한 GBEF를 산출하기 위한 방법을 강구하고자 한다. 본원의 환자 27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99m}Tc$-mebrofenin을 정맥주사한 후 60분 동안은 정적영상법으로 영상을 수집하고 담낭이 잘 관찰되면 지방식(우유 $200m{\ell}$, 삶은 계란 1개)을 섭취하도록 하였다. 지방식 섭취 후 동적 영상법으로 60 sec/frame, 30분간 영상을 수집하고, 종료 후 60분 영상과 같은 조건으로 90분 영상을 수집하였다. 정적 GBEF는 지방식 전 후 정적 영상의 담낭계수를 이용하여 산출하고, 동적 GBEF는 시간-방사능곡선 상에 $T_{max}$$T_{min}$의 담낭계수를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또한 정적영상법의 지방식 전 영상과 동적영상법의 1분째 영상을 이용하여 지방식을 섭취하는 동안의 담즙배출량(초기담즙배출량)을 산출하였다. 결과는 $T_{max}$가 1분 이하인 경우는 20 case였으며, 정적영상법이 평균 $11.4{\pm}6.7%$ 높게 산출되었다(동적 : $40.1{\pm}21.7%$, 정적 : $51.5{\pm}23.6%$). $T_{max}$가 1분을 초과한 경우는 7 case였으며, 동적영상법이 평균 $-9.7{\pm}4.9%$ 높게 산출되었다(동적 : $31.0{\pm}19.7%$, 정적 : $21.3{\pm}19.4%$). 정확한 비교를 위해 영상법에 따른 담즙배출차이와 초기배출량을 지방식 전 담낭계수와의 비율로 부터 산출하였다. $T_{max}$가 1분 이하인 경우, 영상법간 차이는 평균 $16.7{\pm}13.6%$, 초기배출량은 평균 $12.7{\pm}13.8%$로, 오차범위 이내에서 일치하였다. 이는 영상법간 GBEF의 차이가 동적영상법이 시작되기 전에 이미 배출된 담즙때문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T_{max}$가 1분을 초과한 경우, 영상법간 차이는 평균 $-14.3{\pm}7.3%$, 초기배출량은 $-5.9{\pm}3.9%$로, 8.4% 차이가 났다. 이는 지방식 섭취를 시작한 시점부터 동적영상법을 시작한 후 일정 시점($T_{max}$)까지 계속 담즙이 집적되고 있음을 의미하며, 이 때문에 영상법간에 GBEF가 차이가 나는 것으로 판단된다. 정확히 30분 동안의 GBEF 산출하기 위해서, $T_{max}$가 9.5분 이상인 4 case를 추세 분석하여 GBEF를 산출한 결과, 평균 $57.2{\pm}20.4%$로, 정적영상법 (평균 $37.8{\pm}20.9%$) 보다는 20%정도, 동적영상법(평균 $42.0{\pm}16.2%$) 보다는 15% 정도 높게 산출되었다. 정적영상법은 비교적 간단하게 GBEF을 산출할 수 있으며, 환자의 움직임 등 여러 가지 오류로부터 영향을 적게 받는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에 $T_{max}$ 이전에 담낭자극을 시행한 경우이거나 환자의 상태에 따라서 담낭자극에 반응이 느린 경우엔 GBEF가 낮게 산출된다. 동적영상법은 담낭에서 담즙이 배출되는 양상을 분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배출이 지연되는 경우에도 T-A curve를 통해 $T_{max}$ 시점을 알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GBEF를 산출할 수 있다. 하지만 지방식을 섭취한 후에 검사가 시작되기 때문에 지방식을 섭취하는 동안에 배출되는 답즙이 제외되어 GBEF가 낮게 산출된다. 연구 결과 간담도 스캔을 통해 정확한 GBEF를 산출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동적영상법을 시행하여 T-A curve를 통해 담즙배출양상($T_{max}$의 시점)을 확인한 후에 두 영상법 중 적합한 GBEF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 PDF

고감도 범용성 콜리메이터를 이용한 소아 환자 99mTc-DMSA 신장 SPECT의 유용성 (Clinical Usefulness of 99mTc-DMSA Renal SPECT Using High Sensitivity-All Purpose Collimator for Pediatric Patients)

  • 김진의;김정수;한재복;최남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219-231
    • /
    • 2016
  • 신장의 기능을 정량분석 할 수 있는 $^{99m}Tc$-DMSA 평면 영상은 단층영상에 비해 병소의 위치 정보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광자 신호에 민감한 범용성 collimator로 교체하여 SPECT 방식으로 임상실험을 시행한 후, 진단의 정확도와 검사 소요시간을 분석하여 임상적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10명의 실험대상에게 방사성의약품(1.0-1.2 MBq/kg)을 정맥주사하고, 이중 검출기 감마카메라를 이용하여 planar scan (high resolution (HR)-mode, $256{\times}256$, 50 kcts/view, 4 image)과 SPECT (HR / high sensitive (HS)-mode, $128{\times}128$, step and shoot, $180^{\circ}$, variable sec/angle, total 64 frame, OSEM reconstruction)를 시행하였다. 획득한 데이터를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비교한 결과, 실험 방법에 따라서 total counts는 high sensitive-mode SPECT가 대략 1.8-5.6 배 정도 많았고, counts를 이용한 상대신장기능은 모든 실험에서 유의한 수준 범위에서 차이가 없었으며(p=0.96), 검사 소요시간은 39%정도 단축되었다. 그러므로 고감도 범용성 collimator를 이용한 $^{99m}Tc$-DMSA renal SPECT는 planar scan에 비하여 신장의 기능을 정량분석 할 수 있고, 병변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으며, 동시에 검사 소요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므로 임상적으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보은지역 흑색셰일 분포지역에서의 암석-토양-식물계내 잠재적 독성원소들의 분산과 이동 (Dispersion and Migration of Potentially Toxic Elements in the Rock-Soil-Plant System from the Boeun Area Underlain by Black Shales, Korea)

  • 이진수;전효택;김경웅
    • 자원환경지질
    • /
    • 제30권6호
    • /
    • pp.587-601
    • /
    • 1997
  • This study had three purposes: (1) to investigate the enrichment levels and dispersion patterns of potentially toxic elements in the rock-soil-plant system; (2) to evaluate the uptake ratios of heavy metals from soils into plants and (3) to assess the chemical speciation of heavy metals in soils. Rock, surface soil and plant samples were collected in the Boeun area underlain by black shales of the Okchon Zone. These samples were analyzed for multi-elements using INAA, ICP-AES and AAS. The maximum abundance of U in black shales is 16 mg/kg and radioactivity counts up to 300 cpm. In particular, Mo, V, Ba, Cd, Pb and U are enriched in black shales. Most of soils derived from black shales show high concentrations of U, As, Mo, Ba, Cu, Cd, Pb, Zn and mean concentrations of As and Mo in soils (20 mg/kg of As and 6.6 mg/kg of Mo) are higher than the permissible level suggested by Kloke (1979). Enrichment index values of soils are calculated and higher than 1.0 in the black shale area with the highest value of 6.4. Mean concentration of Cd in plants is higher than those of Cu, Pb and Zn. The concentration of Cd in plant species decreases in the order of Chinese cabbage > red pepper > soybean=sesame > rice stalk > com > rice grain. The biological absorption coefficients (BAC) in plants are in the order of Cd > Zn=Cu > Pb, which suggests that Cd is more bioavailable to plants than Cu, Pb and Zn. From the results of sequential extraction analysis of soils, relatively high proportion of Cu, Pb and Zn are present as residual fractions whereas that of Cd as non-residual fractions. Cadmuim occurs predominantly as exchangeable/water-acid soluble phase in soils, and Cd is more mobile and bioavailable than Cu, Pb and Zn.

  • PDF

Protection of palmitic acid treatment in RAW264.7 cells and BALB/c mice during Brucella abortus 544 infection

  • Reyes, Alisha Wehdnesday Bernardo;Huy, Tran Xuan Ngoc;Vu, Son Hai;Kim, Hyun Jin;Lee, Jin Ju;Choi, Jeong Soo;Lee, John Hwa;Kim, Suk
    • Journal of Veterinary Science
    • /
    • 제22권2호
    • /
    • pp.18.1-18.12
    • /
    • 2021
  • Background: We previously elucidated the protective mechanism of Korean red ginseng oil (RGO) against Brucella abortus infection, and our phytochemical analysis revealed that palmitic acid (PA) was an abundant component of RGO. Consequently, we investigated the contribution of PA against B. abortus. Objectives: We aimed to investigate the efficacy of PA against B. abortus infection using a murine cell line and a murine model. Methods: Cell viability, bactericidal, internalization, and intracellular replication, western blot, nitric oxide (NO), and superoxide (O2-) analyses and flow cytometry were perform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PA on the progression of B. abortus infection in macrophages. Flow cytometry for cytokine analysis of serum samples and bacterial counts from the spleens were perform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PA in a mouse model. Results: PA did not affect the growth of B. abortus. PA treatment in macrophages did not change B. abortus uptake but it did attenuate the intracellular survivability of B. abortus. Incubation of cells with PA resulted in a modest increase in sirtuin 1 (SIRT1) expression. Compared to control cells, reduced nitrite accumulation, augmented O2-, and enhanced pro-inflammatory cytokine production were observed in PA-treated B. abortus-infected cells. Mice orally treated with PA displayed a decreased serum interleukin-10 level and enhanced bacterial resistance. Conclusions: Our results suggest that PA participates in the control of B. abortus within murine macrophages, and the in vivo study results confirm its efficacy against the infection. However, further investigations are encouraged to completely characterize the mechanisms involved in the inhibition of B. abortus infection by fatty ac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