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pland & paddy soil

검색결과 268건 처리시간 0.027초

석탄회(石炭灰) 시용(施用)이 토양중(土壤中) 중금속함량(重金屬含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I. 시용량(施用量)에 따른 함량변화(含量變化) (Influence of Fly Ash Application on Content of Heavy Metal in the Soil I. Content Change by the Application Rate)

  • 김복영;임선욱;박종현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65-71
    • /
    • 1994
  • 석탄회(石炭灰)인 무연탄회(無煙炭灰)와 유연탄회(有煙炭灰)를 논토양(土壤)의 식양토(埴壤土)와 사양토(砂壤土)에 0, 4, 8, 12톤/10a 시용(施用)하였고 밭 토양(土壤)의 식양토(埴壤土)와 사양토(砂壤土)에 0, 3, 6, 9톤/10a를 시용(施用)하여 벼와 콩을 재배(栽培)한 후에 수확기(收穫期)에 표토(表土)와 심토(深土)에서 중금속(重金屬)인 Cd, Cu, Pb, Zn, Ni, Cr, Fe, Mn함량(含量)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무연탄회(無煙炭灰) 가. 논토양(土壤) 식양토(埴壤土)에서 Cu와 Zn은 표토(表土)에서, Cd와 Ni은 심토(深土)에서 석탄회(石炭灰) 시용량(施用量) 증가(增加)에 따라서 증가(增加)되었으나 그외 성분(成分)은 증가(增加)되는 경향이 없었고. 나. 사양토(砂壤土)에서는 Fe 만이 표토(表土), 심토(深土) 모두에서 증가(增加)되었다. 다. 밭토양(土壤) 식양토(埴壤土)에서는 Ni, Cr은 표토(表土)에서, Cd는 심토(深土)에서 증가(增加)되었고. 라. 사양토(砂壤土)에서는 표토(表土)에서 Cr, 심토(深土)에서는 Pb만이 증가(增加)되었다. 2. 유연탄회(有煙炭灰) 가. 논토양(土壤) 식양토(埴壤土)에서는 심토(深土)에서 Cu, Zn만이 석탄회(石炭灰) 시용량(施用量) 증가(增加)에 따라 증가(增加)되는 경향이었고. 나. 사양토(砂壤土)에서는 표토(表土)에서 Pb 및 Ni만이 증가(增加)되는 경향이 있었다. 다. 밭토양(土壤) 식양토(埴壤土)에서는 Ni, Fe는 표토(表土)에서, Pb는 심토(深土)에서 증가(增加)되는 경향이었고. 라. 사양토(砂壤土)에서는 Cr은 표토(表土)에서, Fe는 심토(深土)에서 Cu, Mn는 표토(表土), 심토(深土)에서 증가(增加)되는 경향이었다. 3. 논과 밭 토양(土壤)에서 대부분의 성분(成分)은 일정한 경향이 없었고 일부성분이 석탄회(石炭灰) 시용량(施用量) 증가(增加)에 따라서 증가(增加)되었으나 우리나라 토양(土壤)의 자연함량평균치(自然含量平均値) 또는 자연함량평균치(自然合量平均値)+(표준편차(標準偏差)와 유사(類似)하였다.

  • PDF

호밀생육과 토양에 미치는 궤도형 분뇨살포기의 영향 (The Influence of Combine Crawler Attaching Slurry Spreader on Soil and Growth of Rye)

  • 류종원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65-70
    • /
    • 200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mbine crawler attaching slurry spreader on soil and growth of rye. The performance test at actual field was conducted to test for possibility of practical use. Field test of the slurry spreader was operated in upland and paddy field. Experiments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effects of the soil damage and crop productivity incorporating Pig slurry by two different types of slurry spreader. In this experiment a slurry spreader using crawler of combine have been designed and developed to enhance the operation in small field and reduce e damage of soil structure. but it was not suitable for transference in long distance. Conventional tractor mounted vacuum is not suitable for $71.6\%$ water condition in the small areas of paddy land. But the slurry spreader using crawler could be controlled the working point and moving by crawler in paddy land of small area. The wheels depths of soil in the supplementary application in the rye field was 4.9 m in tractor mounted spreader. but the wheels depth of crawler attaching spreader was 1.6cm. The dry matter yield of rye was reduced by $12\%$ in supplementary application of slurry due to mechanical damage from passage of the tires. This is particularly noticeable at high soil moisture condition in paddy land. It was concluded that the slurry spreader developed in this study could be successfully used for basal and supplementary application of slurry in rye paddy field.

건답직파 벼 논에서 Rhizopus sp.에 의한 모마름병 발생과 감염정도가 벼 후기생육에 미치는 영향 (Occurrence of Rice Seedling Blight Caused by Rhizopus sp. in Direct-Seedling Dry Paddy Field and Its Effects on the Later Growth of Rice)

  • 강수웅;권진혁;정부근;박창석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94-97
    • /
    • 1995
  • In 1994, an abnormal rice growth was observed in a 0.5-ha scale farmer's field located at Chogye-Myeon, Hapcheon-Gun, Gyeongnam Province where rice cv. Hwayeongbyeo was seeded directly in dry paddy field conditions. The major symptoms were less stands per acreage, short leaf length, and hypertrophy of root tip portion. The disorder was identified as rice seeding bight caused by Rhizopus sp. The average plant stand per m2 in the infested field was 108, while it was 375 in the normal field, and leaf growth was retarded to less than one-third of healthy plant. The average leaf lengths of infected and healthy seedlings were 12.8cm and 38.9cm, respectively. When the infected seedlings were transplanted to pots, flooded-soil conditions developed no new root growth but upland conditions allowed 11.2 new roots emerging. The length of newly emerged root in infested soil was 5.3cm in upland and 7.1cm in intermediate flooding conditions. However, it was 10.9cm in non-infested soil with intermediate flooding conditions. When the plants were matured, the stem length of infected plants was reduced slightly as compared to normal plants, whereas the length of panicl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infected and healthy plants. The number of panicle per plant, however, greatly different with variation of infection degree. Grain quality such as the number of complete and incomplete grains per panicle, the complete grain weight per panicle, and the weight of 1000 grain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 PDF

USLE 및 GIS, RS를 이용한 서낙동강 유역 농경지 토양침식 위험도 평가 (Assessment of Arable Soil Erosion Risk in Seonakdong River Watershed using GIS, RS and USLE)

  • 고지연;이재생;정기열;윤을수;최영대;김춘식;김복진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73-183
    • /
    • 2006
  • 서낙동강 유역에서 USLE모형을 이용하여 농경지의 작물생산량 및 농업용수 수질과 관련 있는 농경지의 토양침식량을 평가하였다. 모형인자의 data set은 구축에 드는 노력과 시간의 소모를 최소화하고자 정밀토양도, 인공위성 영상 및 DEM자료로부터 RS와 GIS를 이용하여 구축하였는데, 토양상별 K 인자를 정밀토양도에 적용하여 주제도를 작성하고, 인공위성 영상(Landsat TM)으로부터 토지 피복도를 작성하여 C 및 P 인자의 주제도를 작성하였으며, DEM으로부터 LS 인자 주제도를 작성하였다. R인자는 서낙동강 유역 내에 위치하는 김해농업기술센터의 AWS 자료를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농경지발생 토양침식량은 유역전체 발생량의 31.5%였고, 농경지 토양유실량의 97.5%는 밭토양에서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서낙동강 유역이 삼각주평야지대로 경사가 거의 없으나 밭토양의 30.4%는 severe 및 very severe의 침식정도에 분포하였기 때문이다. 또한 식생의 토지 피복 상태 및 강우량의 정도에 따라 작물재배기(5월~9월)와 비재배기(10월~4월)로 나누어 토양침식량을 평가한 결과, 작물재배기는 연간 토양유실위험도와 유사한 경향이었고, 작물비재배포기는 R 값이 작물재포기의 약 1/5에 불과하였음에도 산과 인접한 경사지 밭토양의 일부는 severe 및 very severe의 토양침식 등급을 나타내어서 토양침식 관리에 주의가 필요하였다.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장기유출모형의 개발(I) -장기유출의 격자 모형화- (Development of a Cell-based Long-term Hydrologic Model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I) -Cell-based Long-term Hydrologic Modeling-)

  • 최진용;정하우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64-74
    • /
    • 1997
  • A CELTHYM(CEll-based Long-term HYdrologic Model), a pre-processor and a post-processor that can be integrated with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GIS) were developed to predict the stream flow from the small agricultural watershed on the daily basis. The CELTHYM calculates the direct runoff from a grid using SCS curve number method and then sum up all of cells with respect to a sub-catchment area belonged to a stream grid and integrated to an outlet. Base flow of a watershed outlet was computed by integrating of the base flow of each stream grid that was averaged the sub-catchment deep-percolation and calculated with the release rate. Two kind of water budget equation were used to compute the water balance in a grid that was classified into not paddy field and paddy field. One of the two equation is a soil water balance equation to account the soil moisture of the upland, forest and excluding paddy field grid. The other is a paddy water balance equation for the paddy field, calculating the ponding depth, the effective rainfall, the deep percolation and the evapotranspiration.

  • PDF

토성 및 지하수위의 차이가 청예사료작물의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1. 논 전환밭에서 토성에 따른 청예사료작물의 생육과 수량 (Effects of Soil Texture and Ground Water Levels on the Growth and Yield of Forage Crops 1. Growth and Yield of Forage Crops Affected by Soil Texture in the Upland Diverted from Paddy Field)

  • 김수형;이호진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1994년도 춘계 학술대회지
    • /
    • pp.124-125
    • /
    • 1994
  • PDF

석탄회(石炭灰) 시용(施用)이 토양중(土壤中) 중금속(重金屬) 함량(含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II. 운용(連用)에 따른 함량변화(含量變化) (Influence of Fly Ash Application on Content of Heavy Metal in the Soil II. Content Change by the Successive Application)

  • 김복영;임선욱;박종현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72-77
    • /
    • 1994
  • 무연탄회(無煙炭灰)와 유연탄회(有煙炭灰)를 논토양(土壤)의 식양토(植壤土)와 사양토(砂壤土)에 각 12톤/10a씩 3('91~'93)연간(年間) 연용(連用)하고, 밭 토양(土壤)도 식양토(植壤土)와 사양토(砂壤土)에 각 9톤/10a씩 3년('91~'93)간 연용하면서 벼와 콩을 각각 재배(栽培)한 후에 토양(土壤)을 I, II, III층으로 구분 채취(採取)하여 중금속(重金屬)인 Cd, Cu, Pb, Zn, Ni, Cr, Fe, Mn함량(含量)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토양(土壤) 깊이별(別) 중금속(重金屬) 함량(含量)은 표층(表層)이 가장 높고 토심이 깊어질수록 낮았으며 석탄회(石炭灰) 시용량(施用量) 증가(增加)에 따라서 논 밭 모두 표층(表層)에서만 일부 성분이 증가(增加) 경향이 있고 심층(深層)은 일정한 경향이 없었으며, 토성(土性)에 따라서도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2. 무연탄회(無煙炭灰)는 논토양(土壤)에서는 Cd, Cu, Zn, Cr함량(含量)이, 밭토양(土壤)에서는 Cd, Cr함량(含量)이 증가(增加)되었고 그 함량(含量)은 우리나라 평균치(平均値) 또는 평균치(平均値)+표준편차(標準偏差) 범위(範圍)이었다. 3. 유연탄회(有煙炭灰)는 논토양(土壤)에서는 Cd, Zn, Cr함량(含量)이 밭토양(土壤)에서는 Cd, Zn, Cr, Ni함량(含量)이 증가(增加)되는 경향이었고. 그 함량(含量)은 우리나라 평균치(平均値) 또는 평균치(平均値)+표준편차(漂準偏差) 범위(範圍)이었다.

  • PDF

축적인산(蓄積燐酸) 유효화(有效化)에 미치는 규산(珪酸)과 퇴비(堆肥)의 시용효과 (Effects of Silica and Compost Application on the Availability of Accumulated Phosphate in Paddy and Upland Soils)

  • 이춘희;전성건;신원교;하호성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81-286
    • /
    • 1990
  • 인산함량(燐酸含量)이 높은 논과 밭토양(土壤)에서 시비인산(施肥燐酸) 대신 규산(珪酸)과 퇴비(堆肥)를 10a당 200kg와 2,000kg을 시용(施用)하고 동진(東津)벼와 백운(白雲)콩을 재배시(栽培時) 인산(燐酸)의 유효도(有效度), 잔존량(殘存量) 및 시비효과는 다음과 같다. 1. 토양(土壤)의 유효인산(有效燐酸) 증가량(增加量)은 규산(珪酸)+퇴비구(堆肥區)가 대조구(對照區)보다 60ppm 정도(程度) 많았고 규산(珪酸)과 퇴비(堆肥)에 의한 증가율(增加率)은 밭보다 논에서 유의성(有意性)이 있게 높았다. 2. 식물분의 인산흡수량(燐酸吸收量)은 규산(珪酸)+퇴비구(堆肥區)가 대조구(對照區)보다 현저히 많았고 그 차이(差異)는 볏짚보다 콩경엽에서 더 컸다. 3. 인산흡수(燐酸吸收)는 토양(土壤)의 철함량과 부(負)의 상관관계(相關關係)였고 토양환원(土壤還元)과 콩 뿌리혹 수와는 정(正)의 상관관계(相關關係)가 있었다. 4. 토양(土壤)의 인산잔존비(燐酸殘存比)는 퇴비시용구(堆肥施用區)가 80%, 인산시용구(燐酸施用區)가 100% 정도(程度)되었고 규산시용(珪酸施用)으로 인산축적(燐酸蓄積)이 감소(減少)되는 경향(傾向)이었다. 5. 벼 수량(收量)은 인산시용(燐酸施用)과 무시용(無施用) 간(間)에 차이(差異)가 없었고 콩 수량(收量)은 인산시용구(燐酸施用區) 무시용(無施用)보다 5% 감수(減收)되었다.

  • PDF

우리나라 경작지 토양중 $^{137}Cs$ 농도 ($^{137}Cs$ Concentrations in Cultivated Soils of Korea)

  • 최용호;임광묵;이명호;박효국;이원윤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4권2호
    • /
    • pp.55-63
    • /
    • 1999
  • 우리 국토의 방사선환경을 이해하고 사고에 대비한 베이스라인 데이타를 축적하기 위하여 전국 33 지역의 논과 밭에서 15 cm 깊이로 토양을 채취하고 $\gamma$-스펙트로메트리법으로 $^{137}Cs$ 농도를 측정하였다. 토양중 $^{137}Cs$의 농도는 논에서는 $0.7{\sim}17.7$ Bq/kg-dry, 밭에서는 $1.2{\sim}27.8$ Bq/kg-dry의 범위로 평균은 각각 6.9 Bq/kg-dry 및 9.9 Bq/kg-dry였다. 토양중 $^{137}Cs$의 농도는 논에서는 유기물 함량과 정의 상관이, 점토 함량과는 부의 상관이 있었고 밭에서는 양이온치환용량과 정의 상관이 있었다. 토양 유기물이 경작지 토양중 $^{137}Cs$의 농도변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