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pdated list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25초

건축물 유지관리를 위한 COBie기반 건축정보교환체계 프레임웍 연구 (COBie-based Building Information Exchange System Framework for Building Facility Management)

  • 강태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8호
    • /
    • pp.370-378
    • /
    • 2020
  • COBie(Construction Operations Building Information Exchange)는 시설물 관리 프로젝트에 필요한 정보를 여러 경로에서 수집하고 문서화하는 표준정보포맷이다. 문서화된 COBie 정보는 엔지니어가 사용하는 시설관리시스템과 데이터를 교환하는 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 시설물 관리 데이터 교환 프로세스는 COBie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목록과 정보를 정형화한 후 정보를 입력한다. COBie는 설계 및 시공 단계에서 운영, 유지 보수, 자산 관리 등을 지원하기 위해 정보를 획득하고 업데이트하는 방식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하지만, COBie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이기종 데이터 모델과 정보연계, 품질검수 등에 많은 수작업이 필요하다. 이런 이슈들은 COBie 기반 시설물 관리시스템 개발 시 장애요인이 된다. 이 연구는 시설물 관리를 위한 데이터 교환체계를 분석하여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에 포함된 유지보수정보를 보다 쉽게 운영하기 위한 프레임 워크를 제안한다. 이 연구는 시설관리 정보제출 규칙, 품질점검, 프레임웍 컴포넌트 역할 정의, COBie 호환성 보장 및 정보연계 방안을 도출하였다. 프로토타입 개발을 통해 제시된 프레임웍을 기반으로 한 COBie DB 스키마 생성 시 효과적인 데이터 연계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설계정보 참조를 위한 시방정보의 자료구조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ata Organization of Specification Information for reference of Design Information)

  • 김재현;송영규;김억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권3호
    • /
    • pp.92-100
    • /
    • 2001
  • 건설공사의 계약문서에는 설계도면, 공사시방서 등이 포함된다. 그러나 공사시방서의 경우 분서의 중요성만큼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그 이유는 시발정보가 설계도면과 재료마감표등 다른 건축정보들과 관련되어 찾을 수 있게 되어있지 않아 활용도가 떨어진다. 따라서 다른 정보와 연관되어 질 수 있는 통합모델이 필요하고 이러한 통합모델을 바탕으로한 DB가 구축되어 져야 설계 및 시공, 유지관리시에 그 활용성이 증대된다. 이러한 통합모델의 구현은 부위를 사용함으로서, 설계도를 작성하고 그리고 부위 정보에 자재정보, 법규정보, 시방정보의 속성이 들어가 있다면 견적을 낼 수 있고 많은 정보를 참조할 수 있어 설계의 질이 향상될 것이다. 또한 유지관리시에도 설계정보에 법규, 자재정보, 시방정보가 들어가 있기 때문에 수선유지 및 하자보수등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설계단계에서부터 만들어진 시방정보 DB는 설계의 수정과 공사의 수정에 맞게 update 되어 져야 한다. 또한 시공현장이나 감리시에도 참고를 하기 위해서는 시방서가 web을 이용한 문서화가 되어 어디서든지 참조할 수 있는 환경이 되어 져야만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방정보 구조화를 위한 부위분류 체계글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건축시방정보를 DB화하며, DB를 상호 참조할 수 있는 인터넷 환경에서의 시방정보의 검색 빛 작성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 시스템을 활용하여 공사시방서출 작성, 참조함으로써 공사시방서의 활용의 향상이 기대되려 이를 통해 건설공사의 클레임 방지와 설계, 시공, 유지관리의 품질 향상이 기대된다. 또 발주기관, 설계용역업체, 공사현장 등의 실무에서 더욱 편리하게 정보를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데이터베이스 파일의 삭제를 위한 미처리 연산의 효율적 수행 기법 (An Efficient Scheme of Performing Pending Actions for the Removal of Datavase Files)

  • 박준현;박영철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데이타베이스
    • /
    • 제28권3호
    • /
    • pp.494-511
    • /
    • 2001
  • 본 논문은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이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할 디스크 공간을 직접 관리하는 환경에서 데이터베이스 파일들의 삭제를 위해 미처리 연산을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기법을 제시한다. 미처리 연산의 수행과 관련하여 회복시에 회복 프로세스는 완료가 결정되었으나 아직 종료하지 않은 미종료 트랜잭션들의 아직 수행되지 않은 미처리 연산들을 식별하고 이들을 완전히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논문의 기본아이디어는 로그 파일에 기록된 로그레코드들을 분석함으로써 회복 프로세스가 그 연산들을 식별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 기법은 ARIES의 트랜잭션, 퍼지 검사점, 그리고 회복의 수행을 확장한 것으로서 다음의 방법을 사용한다. 첫째, 회복시에 미종료 트랜잭션들을 식별하기 위하여, 각 트랜잭션은 트랜잭션의 완료와 미처리 연산 수행의 시작을 함께 나타내는 미처리연산수행시작('pa-start') 로그레코드를 기록한 후에 미처리 연산을 수행하며, 그리고 나서 트랜잭션 종료 로그레코드를 기록한다. 둘째. 회복시에 미종료 트랜잭션들의 미처리 연산 리스트를 복구하기 위하여, 각 트랜잭션은 미처리 연산수행시작 로그레코드에 그 트랜잭션의 미처리 연산 리스트를 수록하며 퍼지 검사점은 검사점종료 로그레코드에 완료가 결정된 트랜잭션의 미처리 연산 리스트를 수록한다. 셋째, 회복시에 다음에 수행할 미처리 연산을 식별하기 위하여, 각 트랜잭션은 미처리 연산을 수행하면서 변경하는 각 페이지에 대하여 그 페이지에 대한 재수행 정보를 기록하는 로그레코드에 다음에 수행할 미처리 연산의 식별 정보를 함께 수록한다.

  • PDF

온라인 생물정보 플랫폼에 기반한 가산의 관속식물목록 (A checklist of Gasan Mt.: an online platform for virtual specimens)

  • 양선규;남보미;장주은;최미정;최고야;정경숙;최혁재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453-474
    • /
    • 2020
  • 경상북도 칠곡군에 위치한 가산(902 m)의 관속식물상을 밝히고 주요 식물들의 분포를 파악하기 위하여 2014년부터 2015년까지 10회의 현지조사를 수행하였다. 현지조사 결과 가산의 관속식물 81과 212속 289종 8아종 20변종 5품종으로 총 322분류군의 분포를 확인하였다. 조사된 분류군 중 한반도 특산식물은 14분류군, 희귀식물은 6분류군이 확인되었고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48분류군이었으며 귀화식물은 14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조사지역은 세잎승마와 노랑무늬붓꽃의 분포한계 지역이었으며 가산산성 일대에서 금붓꽃과 노랑무늬붓꽃의 잡종개체군을 확인하였다. 조사지역에서 수집된 관속식물 증거표본 325점은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약표준표본관에 보관하였고 디지털 이미지로 만들어 https://oasis.kiom.re.kr/herblib/ 에 공유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식물상 연구분야에서 증거표본의 디지털 이미지를 공유한 최초의 연구로서 큰 의미를 갖는다.

Unrecorded species of Korean invertebrates discovered through the project of 'Discovery of Korean Indigenous Species' II

  • Su-Jung Ji;Chuleui Jung;Hyun Woo Bang;Min Ok Song;Jongwoo Jung;Seong Myeong Yoon;Seunghwan Lee;Seoyoung Keum;Hee-Min Yang;Dongmin Lee;Geon Hyeok Lee;Jaeseok Oh;Kichoon Kim;Hansol Park;Heejin Moon;Omid Joharchi;Yeseul Kang;Keeseon S. Eom;Kyung Jin Lee;Ye Eun;Taeho Kim;Ivana Karanovic;Jeounghee Lee;Seongjun Choe;Gi-Sik Min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12권1호
    • /
    • pp.68-89
    • /
    • 2023
  • This is the second catalog listing unrecorded invertebrates discovered during the research project 'Discovery of Korean Indigenous Species'. The data to compile the catalog were primarily gathered from the final reports of the project, between 2013 and 2021. We present 38 previously undocumented species, belonging to four phyla (Platyhelminthes, Annelida, Rotifera and Arthropoda). Samples were collected from intertidal coastal waters, soil, freshwater ponds, reservoirs and hosts in South Korea. In this study, we provide brief taxonomic information, including collection site (GPS), diagnosis, specimen vouchers, figures of representative individuals and the Korean name newly assigned, for each species. All data were reviewed and updated by experts working on the respective taxonomic group.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o publish species that have been previously reported through the project. Upon publication, these species will be added to the 'National Species List of Korea', curat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NIBR).

U-City계획 고도화를 위한 조달청 물품정보 활용 방안 : CCTV 사례를 중심으로 (Application Plan of Goods Information in the Public Procurement Service for Enhancing U-City Plans)

  • 박준호;박정우;남광우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1-34
    • /
    • 2015
  • 본 연구는 U-City 공간의 고도화된 설계 및 계획 활동 지원을 위해 필수정보인 지능화시설에 관한 충분한 정보를 계획가나 설계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레퍼런스 모델 구축을 목적으로 한다. 레퍼런스 모델의 핵심은 유비쿼터스 서비스 계획내용을 수행할 수 있는 지능화시설에 대한 정보의 포괄성 (Comprehensiveness)과 끊임없이 변화하는 관련정보의 최신성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방대한 지능화 시설의 정보를 다루고 있는 조달청 물품정보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조달청 물품정보 활용을 위한 현황 및 문제점을 분석하여 적용사례로서 CCTV의 적정 배치를 위한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여 개선방안을 진단하였다. 현재로서 U-City계획 패러다임은 IT 기술중심에서 스마트 공간중심으로 변화함에 따라 U-서비스를 제공하는 지능화시설의 설치 및 배치 등에 관한 기준이나 정보의 부족과 같은 한계가 발생하고 있다. 하지만, 관련법제도 및 지침의 부재로 인해 지능화시설의 적정 배치 선정과 같은 계획활동은 효율적인 서비스 제공 측면에서 볼 때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U-City 계획 및 설계자에게 제공 가능한 IT기술 및 지능화 시설에 대한 정보의 부족으로 서비스 수준과 예산 등을 고려한 최적 계획 수립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는 조달청 물품정보를 연계하여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조달청은 약 26만 건의 산업관련 DB를 기 구축하였으며, 지속적으로 갱신되어지고 있어 끊임없이 변화하는 U-City 산업의 핵심인 지능화시설과 관련 기술에 대한 정보수집처로서 매우 유익한 정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현재 제공하고 있는 정보가 활용측면에서 내용적으로 다소 부족하고 정보 공개 측면의 제한성으로 인해 활용상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조달청 물품정보의 연계 및 활용을 위한 개선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U-City계획의 고도화 및 조달청 물품정보의 다부처 공동 활용을 위한 기초적 틀을 제공하였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적응형 사용자 프로파일기법과 검색 결과에 대한 실시간 필터링을 이용한 개인화 정보검색 시스템 (PIRS : Personalized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using Adaptive User Profiling and Real-time Filtering for Search Results)

  • 전호철;최중민
    • 지능정보연구
    • /
    • 제16권4호
    • /
    • pp.21-41
    • /
    • 2010
  • 본 논문은 다양한 사용자의 개인적 검색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기존 검색시스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의 묵시적 피드백을 이용한 적응형 사용자 기호정보 기반의 개인화 검색을 실현하고, 검색결과에 대한 실시간 필터링을 통해 사용자에게 적합한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기존의 검색 시스템들은 검색의도의 불확실성 때문에 사용자의 검색실패율이 높다. 검색 의도의 불확실성은 동일한 사용자가 "java"와 같은 다의어에 대해 동일한 질의어를 사용하더라도 다른 검색 결과를 원할 수 있다는 것이며, 단어의 수가 적을수록 불확실성은 가중될 것이다. 실시간 필터링은 사용자의 도메인 지정여부에 따라 주어진 도메인에 해당하는 웹문서들만 추출하거나, 적절한 도메인을 추론하고 해당하는 웹문서들만 검색 결과로 보여주는 것으로, 일반적인 디렉토리 검색과 유사하지만 모든 웹문서에 대해 이루어진다는 것과 실시간으로 분류된다는 것이 다르다. 실시간 필터링을 개인화에 활용함으로써 검색 결과의 수를 줄이고 검색만족도를 개선했다. 본 논문에서 생성한 기호정보파일은 계층적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황정보의 반영이 가능하기 때문에 의도의 불확실성을 해결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도메인별 웹문서 검색 동작을 효과적으로 추적(track) 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기호 변화를 적절하게 알아낼 수 있다. 각 사용자 식별을 위해 IP address를 사용했으며, 기호정보파일은 사용자의 검색 행동에 대한 관찰을 기반으로 지속적으로 갱신된다. 또한 사용자의 검색결과에 대한 행동 관찰을 통해, 사용자 기호를 인지하고, 기호정보를 동적으로 반영했으며, 검색결과에 대한 만족도를 측정했다. 기호정보파일과 반영비율은 사용자가 검색을 수행할 때 시스템에 의해 생성되거나 갱신된다. 실험결과 적응형 사용자 기호정보파일과 실시간 필터링을 함께 사용함으로써, 상위 10개의 검색결과 중 평균 4.7개의 결과들에 대해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구글의 결과에 비해 약 23.2% 향상된 만족도를 나타내었다.

Comprehensive and synthetic inventory of Dokdo Island, Republic of Korea

  • Ui Wook Hwang;Hyun Soo Rho;Bia Park;Eun Hwa Choi;Cho Rong Shin;Sa Heung Kim;Jongrak Lee;Hack Cheul Kim;Mann Kyoon Shin;Taeseo Park;Jumin Jun;Heegab Lee;Jong Eun Lee;Yoon Sik Oh;Jung-Goo Myoung;Chang Geun Choi;Jin Hee Park;Seon-joo Park;Jimin Lee;Jaeho Lee;Hyeok Yeong Kwon;Kyu Tae Park;Chun Woo Lim;Seung Wook Jung;Mi Jin Lee;Yucheol Lee;Yeongheon Shin;Hee-Jung Choi;Young Wook Lee;Hyun Jong Kil;Jin-Han Kim;Myung-Suk Kang;Eun-Young Lee;Sang-Hwa Lee;Young Hyo Kim;Jongwoo Jung;Kuem Hee Jang;Young Jin Lim;Shi Hyun Ryu;Won-Gi Min;Joo Myun Park;Hyojin Lee;Minsu Woo;Yun-Bae Kim;Sehun Myoung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12권spc호
    • /
    • pp.1-69
    • /
    • 2023
  •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a comprehensive, synthetic inventory system for the fauna and flora of Dokdo Island, Republic of Korea, which has been conducted by a specialized research group consisting of more than 50 experts. The research was conducted over five years(2015-2019) and support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Ministry of Environment, Republic of Korea. All possible publications on the fauna and flora of Dokdo Island over the last 68 years from 1952 to 2020 were reviewed. As a result, 1,302 species were found on Dokdo Island during the study period. An updated list of 1,963 species was created. This is expected to be of great help for the conservation and national publicity of important indigenous biological resources of Dokdo Isl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