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p-zoning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18초

용도지역 세분화의 기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Guideline of Zoning Classification)

  • 이원근;문석;어인준
    •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논문집
    • /
    • 제4권1호
    • /
    • pp.26-35
    • /
    • 2004
  • The study is to provide the guidelines for the classification of residential zoning System in Seoul which reflect district characteristics. To this end, we first identify the problems the residential areas of Seoul are facing, and set up the policy goals and guidelines for refinding the zoning system for residential areas. Also, this study reviewed density control in he classification of residential zoning system, based on the guidelines of density, which included height, ratio of total floor to ground area, and land distribution.

  • PDF

일본 장야현 송천촌(長野縣 松川村)의 농촌토지이용조정제도 (A Case Study on the Rural Zoning System of Local Government in Japan)

  • 윤원근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13권2호
    • /
    • pp.341-355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case of advancement of rural zoning system in a local government of Japan. The Matzgawa county, one of the local governments in Japan, sets up a new zoning system which advanced in using rural resources. In order to develop and revitalize rural region, it is necessary to use all kinds of rural resources, including agricultural as well as non-agricultural resources comprehensively. Also, the classification of agricultural land use should be reformed. The zoning on rural land should be changed to include not only agricultural use but also non-agricultural use, so as to manage comprehensively agricultural land use and its conversions. Furthermore, the land use regulation should be applied to each zone of the agricultural land.

  • PDF

기반시설부담구역 추출을 위한 용도지역지구 공간정보 적용방안 연구 (A Method to Use the Land-Use Zoning Information to Extract the DIF Zones)

  • 이용직;최내영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89-99
    • /
    • 2014
  • 현행 국토계획법 상의 기반시설부담구역제도는 그 주요 구역지정 기준으로서 법 제 개정으로 인하여 용도지역 등이 변경되거나 해제되어 행위제한이 완화되는 지역(법 제67조)을 기반시설부담구역으로 지정할 수 있도록 정하고 있으나 현실적으로 방대한 국토계획 관련 법령 모두의 제 개정 상황을 문헌조사를 통해 전수 확인하고 그에 따른 행위제한 완화지역을 공간적으로 지정하는 방법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였기 때문에 지금까지 이러한 원론적 법령기준에 준거한 기반시설부담구역 지정사례는 사실상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토지정보체계(KLIS)의 시계열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해 토지이용 상 용도상향(업조닝) 지역의 시차적 변화를 추적하고 이를 법령 제 개정에 따른 행위제한 완화의 결과와 동일하게 간주하여 기반시설부담구역을 추출할 수 있는 현실적 정책 툴을 발굴하고자 실험적 분석을 시도해 보았다. 대상지로는 동 제도에서 명시하는 인구증가율 및 건축허가건수 증가율 등의 주요 기준지표를 중심으로 수도권 내 개발압력이 가장 높은 지자체를 선별하여 용도지역지구 변화상황을 추적함으로써 실제 적용가능성을 타진하였고, 분석결과 이전에 불가능하였던 방대한 면적과 다수 개소의 기반시설부담구역 지정이 가능하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의 방법론은 제도시행 가능성 제고를 통해 궁극적으로 본 제도가 추구하는 국토의 난개발 방지 및 계획적 국토개발 정책실현의 잠재력을 크게 높일 수 있는 정책적 기대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명제논리 기반 서울시 역세권 2030청년주택 운영기준의 개정효과 분석 (A Spatial Analysis Based on the Amendments in Seoul's 2030 Youth Housing Policy Using Propositional Logic)

  • 김성훈;조현준;최내영;한대정;박민호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9권1호
    • /
    • pp.157-179
    • /
    • 2019
  • 역세권 2030청년주택 정책은 역세권 개발이 서울시 내 임대주택 택지를 확보하기 위한 유일한 대안이라는 인식 가운데 기대를 받으며 출범했다. 그러나 임대주택 공급실적은 당초 계획에 미치지 못했고 용도지역체계에 혼란을 줄 수 있다는 비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었다. 결국, 역세권 2030청년주택은 시행 후 3년 사이에 운영기준이 6차례 개정되었다. 특히 2018년 10월 이후에는 1년 이내에 큰 폭의 운영기준 개정이 두 차례 이어졌다. 이에 본 연구는 사업가능구역과 용도지역 변경 가능구역의 변화 양상을 분석하여, 지난 운영기준 개정의 방향성 평가와 정책적 시사성을 도출하고자 했다. 공간적 범위 및 구역의 도출에는 명제논리를 활용했다. 이를 위해, 가구(街區) 등 기초자료 정제 및 전처리, 명제별 진리 값 입력, 논리연산 과정을 수행하여 사업가능구역 및 용도지역 변경 가능구역 소속여부를 판별했다. 분석 결과, 1) 사업가능구역은 서울시 외곽의 역세권으로 고르게 분산되면서도 준주거지역과 상업지역으로 집중되는 경향이 있고, 2) 용도지역 변경 가능구역은 준주거지역 변경 가능구역을 중심으로 전반적인 증가추세가 두드러졌다.

Extreme wind prediction and zoning

  • Holmes, J.D.;Kasperski, M.;Miller, C.A.;Zuranski, J.A.;Choi, E.C.C.
    • Wind and Structures
    • /
    • 제8권4호
    • /
    • pp.269-281
    • /
    • 2005
  • The paper describes the work of the IAWE Working Group WGF - Extreme Wind Prediction and Zoning, one of the international codification working groups set up in 2000. The topics covered are: the international database of extreme winds, quality assurance and data quality, averaging times, return periods, probability distributions and fitting methods, mixed wind climates, directionality effects, the influence of orography, rare events and simulation methods, long-term climate change, and zoning and mapping. Recommendations are given to promote the future alignment of international codes and standards for wind loading.

Axial BP Zoning for the Soluble Boron Free Operation in Medium-Sized PWR

  • Kim, Jong-Chae;Kim, Myung-Hyun
    • 한국원자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원자력학회 1996년도 추계학술발표회논문집(1)
    • /
    • pp.59-64
    • /
    • 1996
  • Feasibility of soluble boron free operation for the medium-sized commercial reactors was investigated. Westinghouse advanced reactor, AP-600 was chosen as a design prototype. Design modification was applied for the assembly design with gadolinia burnable poison-high Gd enrichment and axial poison zoning. CASMO and NECTA-C code system checked axial offset and peaking factors as fuels burned up. A core with complex axial burnable poison zoning satisfied design goals - small excess reactivity for 18 month cycle. Therefore, critical bank positioning for three control rod banks was sought with ease. A.O. value and Fq value were kept within the safety limit.

  • PDF

釜山市 小規模工業의 立地와 意思決定에 關한 硏究 (A Study on the Locational Factors of Small Industry in Pusan, Korea)

  • 이희열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6-39
    • /
    • 1993
  • 본 연구는 우리나라 都市內 小規模 工業의 立地決定要因을 규명하기 위한 行態的 硏究의 일환으로, 부산시의 소규모 工業經營者들이 都市內部에 공장임지를 결정함에 있어서 실제로 고려하눈 立地要因이 무엇이며, 또한 그 요인은 기업특성, 경영자특성, 입지장소의 용도지역상 성격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부산시내 소규모 공업경영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지에 의한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소규모 공업의 입지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기업의 특성은 물론 경영자 및 용도지역의 특성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도시내부의 비공업지역에 소규모 공장이 입지함에 있어서 토지를 비롯한 경제적 요인과 더불어 비경제적 요인이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은 입지정책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볼 수 있다.

  • PDF

소음 측정망 자료를 이용한 용도지역별 소음변화 분석 (Analysis of the Noise Variation on Land Use Using Data of Noise Monitoring Network)

  • 어재훈;유환희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91-96
    • /
    • 2010
  • 도시는 유기체와 같이 외형적 확산과 내부공간구조가 끊임없이 변화하며, 교통 정보 통신기술의 발달에 따라 변화의 속도와 형태를 달리해 왔다. 특히 교통의 발달은 도시 외형적 성장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원인이 되었으며 이러한 교통체계는 토지이용의 변화에서 비롯되었고 소음 등 각종 환경문제를 야기하였다. 본 논문은 국가소음정보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소음측정망 자료를 이용하여 용도지역별 소음변화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시공간상의 용도지역별 소음분포를 파악할 수 있었으며 이를 이용하여 용도지역별 소음지도를 제작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 할 수 있었다.

Studies on the Ore Mineralogy and Litho-geochemistry of the Sheba Deposit, Barberton Greenstone Belt, South Africa

  • Altigani, Mohammed Alnagashi Hassan
    • 자원환경지질
    • /
    • 제54권2호
    • /
    • pp.213-232
    • /
    • 2021
  • Ore criteria at the Sheba Deposit indicate orogenic mineralization type. Rocks and mineral assemblages suggest low formation-temperature of green-schist facies. Pyrite found in two generations; Type1 is irregular grains, contains higher arsenic and gold contents, compared to the relatively younger phase Type2 pyrite, which is composed of euhedral grains, found adjacent to late quartz-carbonate veins or at rims of type1 pyrite. Two gold generations were identified; type1 found included in sulphides (mainly pyrite). The second gold type was remobilized (secondary) into free-lodes within silicates (mainly quartz). Gold fineness is high, as gold contains up to 95 wt. % Au, Ag up to 3.5 wt. %, and traces of Cu, Ni, and Fe. Pyrite type2 contains tiny mineral domains (rich in Al, Mn, Hg, Se, Ti, V, and Cr). Zoning, and replacement textures are common, suggesting multiple mineralization stages. The distribution and relationships of trace elements in pyrite type2 indicate three formation patterns: (1) Al, Mn, Hg, Se, Ti, V, Cr, and Sn are homogeneously distributed in pyrite, reflecting a synchronous formation. (2) As, Ni, Co, Zn, and Sb display heterogeneous distribution pattern in pyrite, which may indicate post-formation existence due to other activities. (3) Au and Ag show both distribution patterns within pyrite, suggesting that gold is found both in microscopic phases and as chemically bounded phase.

공간구문론을 활용한 서울시 역세권 청년주택 대상지 용도상향 기준 계량화 방안 (The Quantification of the Up-zoning Criteria for Seoul's Youth-Housing Sites via the Space Syntax Method)

  • 김성훈;송민호;전석훈;최내영;박민호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8권1호
    • /
    • pp.215-228
    • /
    • 2018
  • 역세권 2030청년주택은 청년주거문제가 조명되면서 서울시가 추진해 온 관련정책 가운데 가장 효과적으로 청년층을 위한 임대주택을 공급해 오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는 그 공급량이 서울시가 당초 계획했던 목표량에 크게 미치지 못하여 충분한 정책효과를 달성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역세권 2030청년주택의 공급부진 문제 해소를 위한 하나의 유효한 방안으로서 용도지역 상향(업조닝) 가능여부 판정을 위한 용도지역 간 인접성 판단기준이 명료하게 제시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용도지역 간 인접성 판단의 준거가 되는 역세권 청년주택 운영지침 상의 인접성 판별 모식도와 함께, 인접성 판단이 이미 이루어진 청년주택사업결정 공고, 고시 사례들을 중심으로 공간구문론을 활용한 공간구조 분석을 수행해보았다. 공간구조도 검토결과, 축공간도는 구성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명되어 볼록공간도를 활용하였고, 볼록공간도를 활용한 결과 모든 분석 사례에 있어 깊이(Depth)가 2 이하 일 때 두 공간은 서로 인접하게 되어 용도지역 상향을 위한 용도지역 간 인접성 조건을 충족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