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iversity entrepreneurship

검색결과 1,949건 처리시간 0.024초

기업가정신과 창업교육 성과간의 연구 - 해커톤 교육을 중심으로 한 변혁적리더십 효과성 분석 - (A Study between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ship education Outcomes : Focusing on Hackathon Education by transformational leadership effectiveness analysis)

  • 남정민
    • 벤처창업연구
    • /
    • 제10권1호
    • /
    • pp.45-53
    • /
    • 2015
  • 최근 들어 창업교육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분야에서 창업교육이 이뤄지고 있다. 아울러 창업교육의 양적인 증가와 더불어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창업교육 방법의 전문성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최근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창업교육방식인 해커톤교육의 효과성을 검증하고, 기업가정신이 실제 창업의지 및 창업팀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고자 한다. 아울러 기업가정신과 성과간의 관계에서 변혁적리더십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실증분석결과, 기업가정신은 교육이후 개인의 창업의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기업가정신과 창업의지간의 관계에서 변혁적리더십의 조절효과가 검증됨으로써, 개인의 기업가정신은 리더의 변혁적리더십과 상호보완적 관계를 통해 개인의 창업의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아울러 개인의 기업가정신은 교육이후 개인의 창업팀몰입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통계적 유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으나 변혁적리더십은 개인의 기업가정신과 상호작용효과를 통해 창업팀몰입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예측할 수 있게 한다(추가적인 실증연구 필요). 끝으로 해커톤교육 종료이후 13개 팀 중, 팀 해체를 선언한 1개 팀을 제외한 12개 팀이 지속적으로 사업화를 진행 중에 있으며, 2개 팀은 사업자등록을 마쳤으며 4개 팀은 사업자등록을 예정 중에 있다고 답변하는 등 해커톤 창업교육을 통한 실제 창업사업화의 효과성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 PDF

창업교육의 대학교과과정 설계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urriculum Design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Undergraduate School)

  • 목영두;최명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320-334
    • /
    • 2010
  • 글로벌 경제위기와 고용 없는 성장으로 일자리 문제가 중요한 사회적 현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체계적인 교육을 통한 잠재적인 창업가 육성은 고용 없는 성장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체계적인 창업 교육을 위한 교과과정 설계를 위해 필요한 창업 교과목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설문지를 개발하고, 대학에서 창업학 관련 과목을 강의하는 연구자 그룹과 현업에서 창업교육 및 컨설팅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실무 전문가 그룹을 두 개의 포커스 그룹으로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의 창업교과과정을 공통기초과목, 전공필수과목, 전공선택과목에 적합한 창업 교과목을 제시하고, 대학교의 창업 교육 과정설계 방안을 제시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각 대학의 창업학 도입단계, 학과가 설치될 학부, 특성화 방향 등 각 대학의 상황에 따라 교과과정을 설계하고 운영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참여동기와 창업멘토링이 창업교육만족도 및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학생 창업유망팀 300(U-300)'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 of Motivation and Satisfaction on Experiential Entrepreneurship Education)

  • 김용태
    • 벤처창업연구
    • /
    • 제15권2호
    • /
    • pp.267-277
    • /
    • 2020
  • 최근 대학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창업친화적 학사제도를 활성화하기 위해 정규 창업교과 및 비교과 활동을 적극적으로 개발하고 적용시켜 나가고 있다. 아울러 정부에서도'학생 창업유망팀 300(U-300)'과 같은 다양한 체험형 창업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전국 대학의 창업 동아리를 대상으로 창업멘토링 등 전문적인 창업교육을 지원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창업멘토링 등을 중심으로 한 체험형 창업프로그램 참가자를 대상으로 참여동기, 창업멘토링 기능, 멘토 역량이 창업교육만족도 및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창업교육프로그램에 대한 교육 참여동기와 멘토역량은 창업교육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참여동기와 멘토링 기능은 창업의지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현재 양적으로 확대되어지고 있는 대학 내 창업교육을 보다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 체험적 교수방법의 확대와 창업멘토링 등 창업교육의 질적 효과 창출에 대한 다양한 제고가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으며, 향후 창업멘토링을 수행하는 창업멘토의 전문역량 강화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역할모델이 한·중 대학생들의 기업가정신 및 사회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사회적 역량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Role Models on Entrepreneurship and Social Competence of Korean and Chinese University Students - Focused on Mediating Effect of Social Competence)

  • 첨희;양준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436-447
    • /
    • 2019
  • 기업가정신은 지역 및 국가경제 활성화 측면에서 전 세계적으로 많은 관심을 받아오고 있다. 본 연구는 아시아지역 대학생들의 기업가정신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요인들을 살펴보기 위해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과 중국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역할모델이 대학생들의 사회적 역량 증진 및 기업가정신 함양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 하였다. 또한 창업과정에 있어 사회적 역량의 중요성에 비추어 사회적 역량의 매개효과를 함께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는 한국과 중국 각각 3곳 대학교의 대학생들이 참가, 한국 224부, 중국 216부의 표본을 최종 확보하여 4개의 가설 검증에 이용하였다. 가설검증은 위계적 다중회귀분석방법(PASW Statistic 18)을 이용하였다. 검증결과 역할모델은 한국과 중국대학생 모두 기업가정신과 사회적 역량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역량도 양국 대학생들의 기업가정신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역량은 역할모델과 기업가정신 사이에 부분매개효과를 갖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의 이론적 기여 및 교육당국과 정책입안자들을 위한 실무적 시사점과 제안사항을 제시해 두었다.

앙트러프러너십은 경영학과 다른 학문인가? (Is Entrepreneurship Different from Management ?)

  • 김도현;김도형;박계현;이수용;임은천;정동관;정수성;최민혜;최윤수;황병호
    • 벤처창업연구
    • /
    • 제12권3호
    • /
    • pp.1-36
    • /
    • 2017
  • 창업학으로 흔히 불리는 앙트러프러너십이 연구와 교육측면에서 경영학과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가를 살펴보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Shane 등의 학자는 앙트러프러너십이 경영학, 특히 전략경영과 구분되는 독자적 영역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하였지만, 해외 대부분의 대학에서 앙트러프러너십은 경영대학의 일부로 포괄되어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최근 몇 년간 창업교육에 대한 지원이 활발하게 이루어진 결과 창업학과 경영학의 분리가 자주 발견되고 있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현상을 살펴본 다음, 2000년 이후 국내에서 발행된 관련 논문들을 전수조사하여 앙트러프러너십 연구가 연구의 대상, 사용되는 이론과 방법론, 실증연구에서 활용된 변수들 차원에서 경영학연구와 구분될 수 있는지 확인하였다. 그 결과 국내 앙트러프러너십 연구는 창업의도라는 협소한 주제에 관해서는 경영학과의 차별화를 이루어내고 있으나, 그 이외는 경영학과 명확하게 구분되기 어려운 상황에 있으며 특히 창업과정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는 매우 부족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향후 창업과정에 대한 연구의 양적, 질적 축적 여부가 앙트러프러너십과 경영학의 차별화 여부를 가늠하는 가장 중요한 가늠자가 될 것으로 판단하였다.

  • PDF

Orientation of Youth towards Social Entrepreneurship: An Empirical Study from Pakistan

  • ZUBAIR, Syed Sohaib;AYOOB, Ifrah;ALI, Kashif;KHAN, Mukaram Ali;AZAD, Muhammad;ZEESHAN, Muhammad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8권9호
    • /
    • pp.67-77
    • /
    • 2021
  • The importance of Entrepreneurship has been widely acknowledged by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worldwide, however, the idea of Social Entrepreneurship is still considered to be an emerging area. Entrepreneurship is vital not only because of its economic impacts but also because it helps to address issues of poverty and welfare, where it can act as a catalyst for change. The importance of social entrepreneurship is that it serves to turn a profit and find success while helping others throughout the world. They know the power of social enterprise and are eager to serve the societal and economic benefit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level of orientation of youth towards social entrepreneurship in Pakistan. The study identifies the role of various factors that affect Social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is conducted following a quantitative research strategy and survey research design where data is collected from 302 individuals.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and to test the hypotheses. The main finding of this research is that there is an increasing trend in the orientation towards social entrepreneurship. The exogenous variables namely Perceived Educational Support, Perceived Structural Support, and Perceived Relational Support were found to have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s on the endogenous construct of Social Entrepreneurial Orientation.

Exploring Social Entrepreneurship of the First Social Enterprise in South Korea: The Case of the Founder of Dong Wha Pharm

  • Ji Hee Song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24권4호
    • /
    • pp.152-160
    • /
    • 2023
  • A great deal of attention has been paid to entrepreneurship and social enterprises that help improve societies' ability to solve social problems and develop new ways of thinking (Drucker 1995). Dong Wha Pharm, founded in 1897, was the first social enterprise in South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meaningful insights into the theoretical development of social entrepreneurship and how to achieve social innovation by fostering social entrepreneurship. Drawing on the five critical elements of social entrepreneurship developed by Dees (1998), we explore social entrepreneurship by investigating the first Korean social entrepreneur, Kang Min, the founder of Dong Wha, a 125-year-old company in South Korea. The findings offer meaningful and valuable insights to the literature on social entrepreneurship and to current and potential social entrepreneurs wanting to find new ways to achieve social improvement and move society forward.

기업가 정신 교육과 창업 의도: 창업 실패에 대한 두려움, 창업 동아리를 중심으로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Fear to Start-up and Start-up Communities in Class)

  • 김태경
    • 벤처창업연구
    • /
    • 제14권2호
    • /
    • pp.95-104
    • /
    • 2019
  • 창업 실패에 대한 두려움은 창업 의지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대학생이 창업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하고 실질적인 도움을 받도록 지원하는 정책이 필요한 이유다. 혁신적이고 진취적인 창업가를 육성하려는 교육 목표를 세우고 대학들은 기업가 정신 교육을 실시해 왔으나 현재까지 건설적인 결과가 나왔다고 보기는 어렵다. 선택적으로 기업가 정신 교육을 수강하는 관행을 채택하기보다는 전체 대학 신입생의 필수 교양으로 과목을 수강하게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본 연구는 기업가 정신 교육의 대상을 적극적으로 넓혀 4년제 대학 입학생 전체를 대상으로 실시할 경우 교육 실시가 창업 의도와 창업 실패에 대한 두려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또한 기업가 정신교육의 수강생들이 느끼는 셀프-리더십과 자기 효능감과 기업가 정신 사이의 관련성에 대해서도 알아본다. 기업가 정신 교육의 중요한 수단 가운데 하나인 창업 동아리 참여의 조절 효과에 대한 분석도 포함한다. 약 2,500명의 신입생이 수강하는 기업가 정신 교육 과목을 대상으로 실증 연구를 수행한 결과 기업가 정신 교육을 수강한 학생들이 느끼는 창업 실패에 대한 두려움은 유의미한 수준으로 높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업가 정신 교육의 성과는 창업 의지를 높이는 일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업 동아리 활동이 유의미한 조절 효과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기업가 정신 교육과 관련하여 대학 신입생을 대상으로 실시된 실증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창업 동아리의 조절 효과를 규명하여 기존 연구의 이해를 넓혔다는 점도 중요하다.

South Korea's phenomenal growth and development through Entrepreneurship: A cue for Sub-Saharan Africa (SSA)

  • Charmant, Sengabira Ndereyimana;Mahuni, Kenneth
    • Asia Pacific Journal of Business Review
    • /
    • 제2권1호
    • /
    • pp.1-20
    • /
    • 2017
  • The model of success in South Korea from a pariah state coming from the ruins of the Korean War into a member of the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with a trillion dollar economy is encouraging. The Korean economic experience in terms of entrepreneurship and poverty reduction is an intriguing jig saw puzzle to researchers. This paper looks at Korean entrepreneurship history from the 1960s and how it shaped the contemporary sustainable economic development success of the Korean economy. Using a qualitative approach, the study used the Korean case study in comparison with Sub Saharan Africa to explore five powerful lessons on how the region can replicate the Korean entrepreneurship experience. The study shows that entrepreneurship was key to the radical transformation of its economy and government was instrumental in latent nurturing of Korean entrepreneurial spirit.

Japanese Policy and Programs for the Fostering of Global Entrepreneurs

  • Kim, Eunyoung
    • STI Policy Review
    • /
    • 제7권1호
    • /
    • pp.40-65
    • /
    • 2016
  • Knowledge plays a more important role in promoting entrepreneurship in the current information-led society than it did during the age of industrialization. Many recent studies found that entrepreneurship stimulates and generates innovation and economic growth. In response to the issues of long-term low growth, the Japanese government implemented several policies to encourage universities initiate entrepreneurial activities. This paper examines Japanese policies since 2014 that support universities in providing various programs for developing global entrepreneurs. Thirteen academic institutes were beneficiaries of three-year funding since the fiscal year of 2014. Each university designed its own educational programs according to their own contexts, built various forms of innovation ecosystems with domestic as well as international partner organizations, and offered entrepreneurship training courses or innovation workshops for companies to sustain its programs through broadening their funding bases. Due to the interdisciplinary nature and short history in operating the programs so far, it is difficult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s. However, each participating university accumulated knowledge and experience while carrying out their various programs, suggesting important new directions for policymakers and education program designers in facilitating entrepreneurship and innov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