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it pollutant load

검색결과 86건 처리시간 0.023초

부하지속곡선과 유량-부하량 상관곡선을 이용한 낙동강 유역의 오염총량평가 (TMDL Evaluation of Nakdong River Basin Using Load Duration Curve and Streamflow-Load Rating Curve)

  • 손태석;주재승;박재범;신현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1권5B호
    • /
    • pp.475-481
    • /
    • 2011
  • 유역관리제도로써 시행 중인 현재의 수질오염총량관리제도의 기준유량은 과거 10년 평균저수량을 적용하고 있으며, 오염총량관리 이행평가는 단위유역별 목표수질을 만족할 수 있는 부하량에 대한 관리를 통해 시행되고 있다. 현재의 단순화되고 평균화된 개념의 기준유량을 이용한 단위유역별 부하량 할당과 관리는 목표수질 달성이라는 규제 기준을 달성하기 위한 관리측면에서의 편리성은 있으나 유역관리를 통한 유역 혹은 수체의 건전한 회복과 평가를 통해 문제점을 도출하고 해결하고자 하는 근본적인 유역관리의 역할은 미흡하다. 동일한 수질 농도를 유지, 관리하기 위해서는 매시간, 매일 변동하는 유량, 즉 전체유량을 고려한 부하량 관리를 통해서만 하천 생태계의 건강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전체 유량 규모를 고려해야 한다. 전체 유량 규모를 고려한다는 의미는 자연 현상인 강우-유출에 의해 다양하게 변동되는 유량과 인위적인 조절 유량 등을 고려한 오염총량관리 기준 설정과 이러한 양상을 반영한 과학적, 합리적인 평가가 가능하다는 의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체 유량 규모가 고려되는 유량-부하량 상관곡선을 이용한 오염총량평가 기법을 개발하고 이를 낙동강 수질오염총량관리 단위유역에의 실적용을 통해 문제점과 개선방향을 도출하고 본 기법의 국내 오염총량관리의 부하량 할당 및 이행평가에의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침투도랑 유지관리를 통한 도시 강우유출수 처리 성능 평가 (Performance assessment of an urban stormwater infiltration trench considering facility maintenance)

  • 나쉬 제트 레예스;프란츠 케빈 헤로니모;최혜선;김이형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24-431
    • /
    • 2018
  • 강우유출수 내 포함된 입자상 물질, 유기물, 영양물질, 중금속 등의 오염물질은 수계에 악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강우유출수 내 포함된 오염물질 감소와 처리를 위해 최적관리기법(BMP)을 도입하고 있으며, 비용효율적인 방법으로 평가되고 있다. 하지만, 잘못된 설계와 유지관리 부족은 시설의 성능을 저하시켜 원활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속적인 유지관리가 진행된 침투도랑(IT)의 시설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였다. 2009년부터 2016년까지 총 41회의 모니터링을 수행하였으며 침투도랑(IT)의 오염물질 저감효율 평가를 수행하였다. 수질 및 수문학적 분석결과, 시설에 유입되는 유입수는 단위 오염 부하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계절의 변화는 오염물질 저감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여름철 강수량 및 강우강도의 증가로 인해 Overflow 및 유량의 증가가 발생되었으며, 이로 인해 저감효율이 감소하였다. 또한, 겨울철 낮은 온도로 인해 여재 및 화학적 메카니즘의 효과 감소로 오염물질 저감 효율이 감소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침투도랑(IT)의 유지관리는 시설의 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시설 설치 이후 2년 동안 유지관리 부족으로 오염물질 저감효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부 모니터링에서 지오텍스타일 내 제거 되지 않은 퇴적물로 인해 오염물질 저감효율의 감소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시설의 유지관리는 오염물질 저감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BMP 시설의 최적 유지관리 기간 및 방법 등은 향후 유용한 자료로 사용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강우시 산업단지에서의 유출오염부하량 원단위 산정 (Pollutants Unit Loadings of the Stormwater Runoff in Industrial Complex)

  • 이준호;방기웅;최종수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355-362
    • /
    • 2000
  • 본 연구의 목적은 산업단지의 개별공장 및 유사한 공장이 밀집된 유역을 대상으로 유출수를 분석하여 유량가중평균농도를 산정하고, 이를 기초로 하여 업종별 유출오염부하 원단위를 산정하는데 있다. 1997년 6월부터 1998년 8월까지 청주산업단지를 대상으로 유량 및 수질을 조사하였다. 분석결과를 기초로 산정된 조사지점별 EMC 범위는 $BOD_5$, COD, SS, TKN, TP, HEM, $NO_3-N$, $PO_4-P$, Cr, Pb, Cu, Fe에 대해 각각 11~176mg/L, 40~502mg/L, 23~633mg/L, 1.04~20.9mg/L, 0.22~7.51mg/L, 12.7~548.7mg/L, 0.06~2.66mg/L, 0.12~3.39mg/L, 0.01~0.50mg/L, 0.02~0.42mg/L, 0.01~0.15mg/L, 1.29~11.51mg/L로 산정되었다. 또한, 강우시 산업단지에서 유출하는 년평균 오염부하 원단위는 $BOD_5$, COD, SS, TKN, $NO_3-N$, $PO_4-P$, TP, HEM, Cr, Pb, Cu, Fe에 대해 각각 374.4 kg/ha/yr, 924.1kg/ha/yr, 983.6kg/ha/yr, 48.8kg/ha/yr, 8.1kg/ha/yr, 9.7kg/ha/yr, 17.8kg/ha/yr, 943.0kg/ha/yr, 0.7kg/ha/yr, 0.9kg/ha/yr, 0.3kg/ha/yr, 28.9kg/ha/yr로 산정되었다.

  • PDF

유량-부하량관계식을 이용한 주암호 외남천 유역의 유황별 유달율 산정 (Estimation of Pollutant Load Delivery Ratio for Flow Duration Using L-Q Equation from the Oenam-cheon watershed in Juam Lake)

  • 최동호;정재운;이경숙;최유진;윤광식;조소현;박하나;임병진;장남익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31-39
    • /
    • 2012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pollutant loads delivery ratio for flow duration in Oenam-cheon watershed, which is upstream watershed of Juam Lake. To calculate the delivery ratio by flow duration, rating curves and discharge-loads curves using measured data were established, then Flow Duration Curve(FDC) and pollutant loads delivery ratio curves were constructed. The results show that the delivery ratios for $BOD_5$ for abundant flow($Q_{95}$), ordinary flow($Q_{185}$), low flow($Q_{275}$), and drought flow($Q_{355}$) were 23.9, 12.7, 7.1, and 2.9%, respectively. The delivery ratios of same flow regime for T-N were 58.4, 31.2, 17.2 and 7.1%, respectively. While, the delivery ratios T-P were 17.3, 7.5, 3.4, and 1.1% respectively. In general, delivery ratio of high flow condition showed higher value due to the influence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Based on the study results, generalized equations were developed for delivery ratio and discharge per unit area, which could be used for ungaged watershed with similar pollution sources.

유역모형을 이용한 유량조건별 배출계수 산정 및 활용방안 연구 (Study on Estimation and Application of Discharge Coefficient about Nonpoint Source Pollutants using Watershed Model)

  • 황하선;이한필;박지형;김용석;이성준;안기홍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653-664
    • /
    • 2015
  • TPLMS (Total water pollutant load management system) that is the most powerful water-quality protection program have been implemented since 2004. In the implementation of TPLMS, target water-quality and permissible discharged load from each unit watershed can be decided by water-quality modeling. And NPS (Non-point sources) discharge coefficients associated with certain (standard) flow are used on estimation of input data for model.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IER) recommend NPS discharge coefficients as 0.15 (Q275) and 0.50 (Q185) in common for whole watershed in Korea. But, uniform coefficient is difficult to reflect various NPS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watershed. Monthly NPS discharge coefficients were predicted and estimated using surface flow and water-quality from HSPF watershed model in this study. Those coefficients were plotted in flow duration curve of study area (Palger stream and Geumho C watershed) with monthly average flow.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about NPS discharge coefficients of BOD, T-N and T-P associated with flow, and R2 of regression were distributed in 0.893~0.930 (Palger stream) and 0.939~0.959 (Geumho C). NPS Discharge coefficient through regression can be estimated flexibly according to flow, and be considered characteristics of watershed with watershed model.

횡성호 유역의 비강우시 및 강우시 오염물질 유출특성 (Characteristics of Pollutants Discharge from Hoengseong Watershed during the Dry and Rainy Seasons)

  • 노성덕;김장현;이대근;김선주;손병용;전양근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695-705
    • /
    • 2006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make a basic information for establishment of countermeasures against water pollution of Hoengseong watershed, accordingly w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pollutants discharge and estimated the unit loads from Hoengseong watershed. Seven sites (S1~S7) were selected for sampling and samples were taken 4 times during the dry and rainy seasons, respectively. During rainfall events, measured site mean concentration (SMC) ranges of $BOD_5$, $COD_{Mn}$, TOC, SS, Turbidity, T-N and T-P were 0.8~1.3 mg/L, 2.3~6.3 mg/L, 1.284~2.110 mg/L, 3.4~69.3 mg/L, 2.36~52.68 NTU, 1.243~1.669 mg/L and 0.025~0.070 mg/L, respectively. And the calculated annual unit loads of $BOD_{5}$, $COD_{Mn}$, SS, T-N and T-P in Hoengseong watershed were 1.327 kg/ha/yr, 7.349 kg/ha/yr, 87.075 kg/ha/yr, 1.848 kg/ha/yr and 0.103 kg/ha/yr, respectively. It was difficult to directly compare the unit loads proposed in this study with the estimated existing those. Because the unit loads in this paper were estimated not by land use types, but by complex land use of non-urban area. From the survey results, they showed that the unit loads in Hoengseong watershed were similar to those exisiting in the forest area, and showed lower than those existing in the paddy/dry field.

안성천 유역의 토지이용별 비점오염원 원단위 산정 (Estimating Unit Load of Non-Point Source Pollutants for Landuse Types in Anseongchun Watershed)

  • 황병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1026-1033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안성천 유역을 대상으로 토지지용별로 산지, 농경지, 도시지역을 표본지역으로 선정하여 비점오염원 원단위를 산정하였다. 그리고 강우시 유출수의 유출특성을 가장 잘 반영하는 유량가중평균농도를 산정하고, 유출오염부하량을 산정하였다. 유출계수가 높게 나타났던 1차 강우시가 2차 강우시보다 오염물질의 유량가중평균농도가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으며, 토지이용별 산정결과, 농지와 산지 같은 비도시지역보다 도시 지역에서 강우 유출시 높은 농도의 오염물질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BOD 유출부하량은 산지, 농지, 도시 지역에서 1차 강우 시 각각 1,395kg/d, 1,623kg/d, 2,268kg/d로, 2차 강우시 각각 503kg/d, 512kg/d, 898kg/d로 산정되었다. 강우량 및 강우강도에 따라 토지이용별로 유출부하가 크게 다르게 나타났다. 토지이용별 원단위는 BOD 기준으로 도시지역이 72.7kg/ha/yr로 농경지(6.5kg/ha/yr)보다 12배 이상, 산지(9.5kg/ha/yr)보다 8배 이상 높게 나타나 도시지역이 비도시지역보다 단위면적당 비점오염부하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질오염총량관리제 실효성 제고를 위한 제도개선 및 추진 방향 (Improvement and Implementation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the Total Pollution Load Control System)

  • 김석규;오승영;박수영;나은혜;김용석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343-355
    • /
    • 2023
  •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total pollution load control system, the effect of improving river water quality by expanding investments in basic environmental facilities, inducing operational efficiency, and reducing the load of various pollutants was clear. However, since the implementation of the system, the management of non-point pollutants has been neglected; management focused on specific substances (biochemical oxygen demand (BOD) and total phosphorus (T-P)) and lacked specific cause analysis and action plans, failed to establish a relationship between water quality and pollution load, failed to reflect stakeholder demands for river water quality management, and failed to apply technical conditions. Therefore, to overcome the limitations raised and achieve a practical and efficient advanced total pollution system, the current system was partially improved and will continue to be improved. This study analyzed the performance and limitations of the total pollution system and introduced recent improvements and the contents that are being improved. The main contents included reducing emissions and reduction monitoring, using water quality tele-monitoring system (TMS) data and self-measurement data, adding population-inducing facilities, and adjusting regional development projects from 20 to 30 multi-family housing units, currentizing each pollutant source according to the roadmap. If the system is improved in a developmental direction and responds to various changes, it will be a more practical and effective policy.

수질오염총량관리 단위유역 유량그룹별 수체 손상 분석 (Research on the Evaluation of Impaired Waterbody using the Flowrate Group at TMDL Unit Watershed in Nakdong River Basin)

  • 황하선;김상수;김진이;박배경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933-942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degree of waterbody impairment according to the flow conditions and present to the appropriate water quality improvement alternatives using observed water quality and flow for Total Maximum Daily Load (TMDL) implementation at 39 unit watersheds the nakdong river basin. Observed water quality data for 7 years are divided into five cumulative flow frequency group and comparing the each observed water quality data and TMDL Target water quality (TWQ) the last evaluate the water quality is impaired group. We found that the cumulative flow frequency group-specific the average excess rate of V group was the highest (32.86%), followed by the IV group (26.04%), group III (23.36%), II group (22.67%), I group (20.70%), the degree of impaired waterbody tended to be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flow rate. Resulted from cumulative flow frequency group of impaired water quality assessment, 13 unit watersheds are impaired from a group IV and group V affected by point sources. Therefore, improvement of sewage discharge and the initial composition of the riparian buffer zone are needed. Nakbon F, Namkang D and Namkang E within 13 unit watersheds are impaired from group II and III affected by non-point sources. Therefore, application of Best Management Practices (BMPs) is needed for these watersheds. Evaluation of impaired waterbody using Cumulative flow frequency group is able to determine the extent of the judgment to TWQ exceeded by the flow conditions and helps proper setting Standard flow and planning pollutant reduction for TMDL.

산업단지 비점오염원의 유출특성(II): C산업단지의 강우사상별 유출특성을 중심으로 (The Runoff Characteristics of Non-point Pollution Sources in Industrial Complex(II): Focusing on the Outflow Characteristics of the C Industrial Complex by Rainfall Event)

  • 우제석;신현곤
    • 유기물자원화
    • /
    • 제30권1호
    • /
    • pp.41-47
    • /
    • 2022
  • 본 연구는 강우시 산업단지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원 유출 특성을 평가하여 비점오염원 부하량 및 원단위 산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C 산업단지에 대하여 강우유출수 수질모니터링을 수행하였다. 강우 사상별 유출량에 따른 EMC 산정 결과, 1차 강우시 BOD, CODMn, SS, T-N, T-P의 EMCs 범위는 각각 1.32~48.76, 3.32~43.75, 2.89~199.43, 2.76~8.93, 0.08~068 mg/L로 나타났으며, 2차 강우시는 각각 0.5~2.9, 2.71~7.13, 2.82~174.94, 1.33~4.03, 0.01~1.28 mg/L로 나타났다. 누적 유출량과 누적 오염부하량 비율 산정 결과, 강우 초기 유출량이 적은 시간에는 대부분 오염부하량이 강우 유출량보다 적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강우 누적 유출량과 누적 오염부하량의 비가 1보다 커지면서 초기세척 현상이 일어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