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fairness

검색결과 143건 처리시간 0.025초

무선 랜에서의 상.하향 TCP 플로우 공평성 제고를 위한 AP의 스케쥴링 알고리즘 연구 (A Scheduling Algorithm of AP for Alleviating Unfairness Property of Upstream-Downstream TCP Flows in Wireless LAN)

  • 임도현;석승준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1521-1529
    • /
    • 2009
  • 표준 IEEE 802,11 무선 랜 환경에서는 AP를 중심으로 상향 플로우와 하향 플로우가 데이터 처리량에 있어서 상호 불공평성이 발생한다. 이 불공평성의 원인은 무선 랜에서 사용하는 DCF(Distributed Coordination Function) MAC(Medium Access Control) 프로토콜이 AP(Access Point) 노드에 게 다른 무선 단말과 같은 우선순위를 부여하기 때문에다. 또한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프로토콜에서 데이터 세그먼트가 확인(Acknowledgement) 세그먼트보다 손실 시 처리량 저하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불공평성이 더욱 증가된다. 본 논문에서는 우선 발생하는 불공평성의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여러 가지 네트워크 환경을 구성하여 시뮬레이션을 실시한다. 또한 불공평성 문제를 일으키는 원인들의 정도를 실험을 통해서 확인한다. 이러한 불공평성 현상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논문에서는 AP의 스케쥴링 구조 및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방한은 ns2 시뮬레이션을 통해서 성능을 확인한다.

  • PDF

인터넷 콘텐츠서비스 이용약관의 불공정성 검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nfairness of Adhesion Contracts for Internet Contents Service)

  • 박미혜;강이주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2권12호
    • /
    • pp.123-140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unfairness of adhesion contracts for internet contents service. The internet contents were classified into six types of avatar, learning, download, e-book and movie internet sites. The adhesion contracts of internet contents service were collected in 60 internet sites. The unfairness of the adhesion contract was reviewed under the adhesion contract regulation act. The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obligation of clear statement, explanation, and delivery was not observed completely. Second, many articles of adhesion contract were unfair and they especially violated articles 7 and 9. Therefore, the standard adhesion contract system for internet content service should be enforced and self-regulation of information service providers is needed.

수출업체와 한국 유통업체의 장기적 지향성 연구: SOR 모델을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Exporters and the long-term orientation of Intermediaries in Korea: Using the SOR Model)

  • 신준호
    • 무역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151-176
    • /
    • 2023
  • 본 연구는 지역 유통업자의 역할 성과를 자극-유기체-반응(SOR) 모델을 활용하여 비판적으로 검토하며, 시장 경쟁이 유기체(O) 및 반응(R) 요소에 미치는 조절적 영향을 고려한다. 종합적인 접근을 채택한 SOR 모델은 분배, 절차 및 상호 작용 불공정성을 포함한 외부 자극이 지각된 불공정성과 같은 내부 심리적 과정과 상호작용하여 수입업체의 장기 지향성을 형성하는 방식을 분석하는 포괄적인 프레임워크를 제시한다. 연구 수행을 위해 선행연구 검토를 바탕으로 설문지를 구성하였으며 한국 수출입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을 배포해 총 121부의 유효 표본을 획득하였다. 획득된 표본은 smart pls 3.0을 사용하여 가설을 검정하였다. 분석 결과, 경쟁적인 시장 역동성이 불공정성 인식과 유통업자의 장기 지향성 사이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이 나타남으로써 시장 경쟁의 중추적인 역할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SOR 모형을 적용함으로써 수출입과 연계된 유통물류 분야의 이론적 지평을 넓혔으며, 외부 자극, 내부 심리적 과정 및 시장 경쟁 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ATM 상의 다중점 연결을 위한 폭주 제어 기법의 불공정성 (Unfairness of Congestion Control for Point-to-Multipoint Connections on ATM)

  • 최원정;이미정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5권5호
    • /
    • pp.1311-1319
    • /
    • 1998
  • 망의 활용율을 높이고 서비스의 질을 최대한 만족시키기 위하여 피드백을 사용하여 적응적으로 가용한 대역폭을 제공하여 주는 방법과 그 효과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이러한 연구는 점 대 점 연결에 적용하기 위한 것으로 시작하여 최근에는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요구하는 트래픽 전송이 증가함에 따라 점 대 다중점에 적용하는 연구로 확장되고 있다. 피드백에 의해 트래픽을 제어하는 경우 전파 지연이 클수록 제어의 효율성이 떨어지게 되는데 특히 역량 및 폭주 정도가 각각인 다수의 경로 및 수신원이 존재하는 점 대 다중점 연결의 경우는 송신원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수신원들이 송신원에 미칠 수 있는 영향력이 달라질 수 있어 폭주에 반응하는 제어 방법에 따라 공정성의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전파 지연 차이에 의하여 각 수신자가 겪는 서비스 불공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제어 방법 요인에 대하여서는 연구된 바가 미진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과 같은 고속망의 점 대 다중점 연결에서 폭주가 일어났을 경우 피드백 발생 간격과 스위치에서의 피드백 통합 시기 및 송신원의 출력율 감소폭 조정 정도가 송신원으로부터의 전파 지연차가 큰 경로상에 놓은 수신원간의 불공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시뮬레이션 결과, 피드백 통합 시기에 따라 불공정성 정도가 달라지고 특히 피드백 간격의 크기가 적을 때 피드백 통합 시기에 따른 불공정성 정도 차가 큼을 볼 수 있었다. 또한 폭주시 송신원의 출력율 감소폭에 따라서도 불공정성 정도가 달라지는데 감소폭을 크게 해 주었을 경우 송신원의 평균 ACR(Allowed Cell Rate) 값은 낮아지고 불공정성은 더욱 심화되었다.

  • PDF

그린 컴퓨팅을 위한 무선 네트워크 전송 파워 조절에서 고출력 전송의 성능 불공평성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Throughput Unfairness of High-power transmission in The Transmission Power Controlled Wireless Networks Considering Green Computing)

  • 이희진;김종권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7권10호
    • /
    • pp.27-35
    • /
    • 2010
  • 무선 패킷 망에서 무선 자원과 무선 단말의 전력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가 하는 것은 무선 패킷 망 보급을 위한 기본 해결 과제이다. 이에 단말의 전력 소모를 줄이면서 무선 망 용량 (capacity)을 증가시키는 기법으로 전송 파워 조절 기법이 주목받고 있다. 무선 패킷 망에 전송 파워 조절 기법을 적용할 때 전송 파워의 세기에 따라 공평한 전송성능을 보장하지 못하고 기아상태에 이르는 전송 불공평성 문제가 지금까지 깊이 연구되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송 파워의 세기에 따른 성능 불공평성을 경쟁자 수의 차이에 의한 불공평한 매체 접근 기회에 있음을 분석을 통해 보이고 불공평성을 해결하기 위한 간단한 물리-맥 (PHY-MAC) 계층 간 접근법을 제안한다.

The Influence of Consumers' Emotions on Brand Disappointment Caused by the Nepo-Baby Issue in Fashion Brands -Focusing on Powerlessness, Unfairness, Relative Deprivation, and Loneliness-

  • Ha Youn Kim;Woojin Choi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157-171
    • /
    • 2024
  • The term 'Nepo-baby' refers to someone whose career benefits from family connections. Criticism of the so-called Nepo-baby issue is growing, especially among the MZ generation, who highly value fairness. In this study, we explored how fashion consumers perceive the Nepo-baby issue and its impact on fashion brands. Consumers are more likely to compare themselves to Nepo babies and may experience feelings of powerlessness, unfairness, relative deprivation, and loneliness. These perceptions can lead to negative feelings toward the brand, resulting in disappointment. Our research hypotheses were tested using SPSS 26.0 and AMOS 23.0. Fashion brands promoting Nepo babies affect consumers' self-perceptions of powerlessness, unfairness, relative deprivation, loneliness, and negative feelings. Brand disappointment was tested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Using a multi-group path analysis, we investigated consumers' perceptions of the Nepo-baby issue and general brand stories. Our research results reveal the significant impact of controversial Nepo babies on negative feelings toward fashion brands and brand disappointment.

부부갈등이 청소년의 불안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 부모화의 매개적 역할 (Effect of Marital Conflict on Adolescent Anxiety: The Mediating Role of Parentification)

  • 양한나;최미경
    • 아동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49-63
    • /
    • 2017
  • Objective: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conflict, parentification, and adolescent anxiety. Methods: The participants comprised 301 high school students from the Seoul province. They were asked to complete questionnaires that consisted of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the Children's Perception of Interparental Conflict Scale, and the Filial Responsibility Scale-Youth. Th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Cronbach's ${\alpha}$,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SPSS 18.0 was used. Results: First, the content and resolution of marital conflict had an effect on both adolescent state anxiety and trait anxiety. Second, unfairness parentification had an effect on both adolescent state anxiety and trait anxiety. Third, the frequency of marital conflict had an effect on emotional parentification. Further, the intensity, content, and resolution of marital conflict had effect on unfairness parentification. Fourth, unfairness parentification played a partial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tent of marital conflict and adolescent anxiety (state anxiety/trait anxiety). In addition, unfairness parentification played a complete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olution of marital conflict and adolescent trait anxiety.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arentific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marital conflict and adolescent anxiety. In addition, this study also shows that marital conflict has an important effect on adolescent anxiety directly. Therefore, this study will be useful for developing both parental education and counseling programs for adolescents.

서비스 실패요인이 보복행위에 미치는 영향과 관계품질의 조절효과 (The Effect of Service Failure on the Desire for Betrayal and Retaliatory Behavior - Based on the Moderating Role of the Customer-Service Firm Relationship Quality)

  • 김모란;안광호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14권1호
    • /
    • pp.99-130
    • /
    • 2012
  • 과거 기업은 고객만족을 통해 고객의 충성도를 구축해 지속적인 이윤을 창출하는데 주로 초점을 맞추었다. 그러나 고객들은 기업에게 긍정적 영향만을 주지 않으며 때로는 기업을 위험에 빠뜨리기도 하고 곤란에 처하게 하기도 한다. 서비스 실패를 경험한 고객에게 기업이 적절한 서비스 회복조치를 취하지 못했을 때 그들은 배신감과 분노 같은 강한 부정적 정서를 느끼며 이러한 부정적 정서는 기업의 성과에 상당한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공격적 행동이나 보복행동을 유발 할 수 있다. 고객이 느끼는 이러한 부정적 정서는 기업과 오랜 거래관계를 유지하고 그 기업에 대해 애착을 가진 충성고객에게 더 강하게 발생될 수 있다. 강한 배신감을 느낀 충성고객은 단순히 경쟁기업으로 브랜드 전환을 하는데 머무는 것이 아니라 온라인 부정적 구전, 불매운동, 언론매체를 통한 호소 등의 강력한 보복행동을 수행한다. 본 연구는 서비스 실패요인으로 발생되는 배신감이라는 감정이 보복욕구를 통해 보복행위까지 가는 인과관계에 대해 알아보고, 기업 간의 충성도가 각기 다른 고객들을 분류하여 그 차이를 살펴보았다. 실증분석 결과 각각의 공정성 훼손은 모두 지각된 배신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고객들은 분배 공정성 훼손으로 인한 서비스 실패를 경험하였을 경우 가장 높게 배신감을 지각했으며 절차공정성 훼손으로 인한 서비스 실패를 경험하였을 경우 배신감을 가장 낮게 느끼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각된 배신감은 보복욕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이후 부정구전과 보복적인 불평행동, 제3단체를 통한 불만 홍보와 같은 보복행위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공정성 훼손은 지각된 배신감과 보복욕구와 같은 매개변수를 통하여 보복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공정성 훼손과 지각된 배신감과의 관계에서 과거 해당기업과 고객 간의 관계의 친밀도를 나타내는 관계품질의 조절변수 역할을 검증한 결과 관계품질은 조절변수로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서비스 실패 요인이 보복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단순 인과관계로 보지 않고 기업과 고객 간의 관계품질의 조절효과를 고려하여 연구를 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 PDF

코로나 19 상황에서 고객의 셀프서비스기술에 대한 귀인 경향이 패스트푸드점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그림자노동의 관점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Customer's Attribution Tendency Toward Self-Service Technology on the Intention to Revisit Fast-Food Restaurants in the COVID-19 Situation: Focused on Shadow Work Perspective)

  • 김현규;정남호;부백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31권3호
    • /
    • pp.109-129
    • /
    • 202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customers' shadow work and risk perception have an impact on revisit intention to the fast-food restaurant, with mediating role of different types of attribution tendencies. We also added perceived unfairness in the research model, in order to verify its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ribution tendencies and revisit intention. Design/methodology/approach Applying the shadow work perspective and attribution theory, we designed a research model to confirm the hypotheses. After collecting the data from 331 customers who have used self-service technology in a fast-food restaurant, we conducted an analysis of measurement model and structural model by using Smart-PLS 3.0. Findings This study confirmed that Forced Use of self-service technology can enhance the tendency of dispositional attribution which would negatively affect perceived unfairness and revisit intention. On the other hand, affective risk perception was proven to affect situational attribution, which positively affects revisit intention.

여대생이 경험한 여성의 의미 (College Women′s Meaning of Women: Phenomenological Method)

  • 여정희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34-41
    • /
    • 200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college women's views of women for forming an upright sex role identity and sex values. Method: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of 10 college women on Jeju Island from February 2002 to March 2002. The interviews were conducted by the writer of this thesis. Each interview lasted for about 45 minutes.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Giorgi method. Result: Five main meanings were identified: 1) unfairness 2) majesty 3) mothering 4) womenishness 5) backward in capacity. In other words, women's roles are to look after their family and to take care of household affairs. Women should be beautiful and have womenish traits. Women are less intelligent than men. Women are dependent on men though they suffer from unfairness. This study presents an evidence that the traditional sex-role attitudes still prevail. Conclusion: In order to form an upright sex role identity and sex values, institutional programs in the society and individual efforts are nee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