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ltrasound imaging.

검색결과 675건 처리시간 0.031초

회전근 개 파열의 수술적 치료시 초음파 연속 검사의 유용성 (Usefulness of Serial Ultrasonography of the Rotator Cuff Repair)

  • 박재현;최원기;최창혁
    •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78-85
    • /
    • 2008
  • 목적: 회전근 개 파열 환자에서 수술 전의 자기 공명 영상 검사와 초음파 검사에 따른 관절경 소견을 비교하고, 수술 후 2주, 6주 및 3개월의 회전근 개의 건재 상태를 초음파로 확인하는데 있다. 대상 및 방법: 2008년 2월부터 5월까지 본원 정형외과에 내원하여 회전근 개 파열로 관절경적 치료를 시행한 환자 29명을 대상으로 초음파 검사와 자기 공명 영상 검사를 시행한 후 관절경적 시술을 이용하여 비교하였으며, 수술 후 2주, 6주 및 3 개월에 회전근 개의 건재 상태를 초음파를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결과: 회전근 개 파열을 확인할 수 있는 초음파 검사와 자기 공명 영상 검사의 예민도는 각각 100%였다. 전층 회전근 개 파열에서 초음파 검사와 자기 공명 영상 검사의 예민도는 각각 95%, 82%였으며, 부분층 회전근 개 파열에서 초음파 검사는 50%, 자기 공명 영상 검사는 33%의 예민도를 나타내었다. 전체 환자에 대한 초음파 검사의 정확도는 86%, 자기 공명 영상 검사의 정확도는 69%이었다. 전층 회전근 개 파열로 복원술을 시행한 22예 중 수술 후 2주에 시행한 추시 관찰 초음파 검사상 11예(50%, 소 및 중 파열 2예, 대 및 광범위 파열 9예)에서 회전근 개의 봉합 부위에서 수술 소견과 일치하는 틈새로 진단되는 저에코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수동적 신장 운동을 시행한 후 수술 6주의 추시 관찰 초음파 검사상 5예(23%, 소 및 중 파열 1예, 대 및 광범위 파열 4예)에서 재파열 소견을, 능동적 운동을 시행한 후 수술 3개월의 추시 관찰 초음파 검사상 7예(32%, 소 및 중파열 2예, 대 및 광범위 파열 5예)에서 재파열 소견을 보였다. 결론: 회전근 개 파열에 대한 관절경적 치료 후 초음파 연속 검사는 술 후 틈새와 술 후 재파열을 구분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었으며, 수술 후 6주에 23%, 3개월에 32%의 재파열 소견을 보인 바 재활 치료시 추가 치료의 방침을 세우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전립선암쥐모형의 신생혈관생성의 평가를 위해 시행된 역동적 조영 증강 초음파에서 얻은 변수간의 상관성연구 (The Correlations of Parameters Using Contrast Enhanced Ultrasonography in the Evaluation of Prostate Cancer Angiogenesis)

  • 황성일;이학종;김길중;정진행;정현숙;전종준
    • Ultrasonography
    • /
    • 제32권2호
    • /
    • pp.132-142
    • /
    • 2013
  • 목적: 전립선암 (PC-3, LNCaP)의 이종이식쥐 모델에서 초음파 조영제를 이용하여 측정한 시간-신호강도 곡선을 통해 얻은 역학적 변수를 조직병리적 변수와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마리의 누드마우스에 인간전립선암세포(15 PC-3, 5 LNCaP)를 다리에 주입하여 이종이식쥐 모델을 제작하였다. 이후 $500{\mu}L$의 2세대 초음파 조영제인 Sonovue를 후안와정맥을 통해 주입하였다. 관심영역은 종양의 전체를 포함할 수 있게 그린 후, 시간-신호강도 곡선을 얻고 이를 감마변량함수에 적합시켰다. 최고신호강도(A), 최고도달시간 (Tp), 최고유입률 (washin), 최고 유출률 (washout), 50초까지의 곡선하면적 ($AUC_{50}$), 유입기면적 ($AUC_{in}$), 유출기면적 ($AUC_{out}$) 등을 감마변량함수에서 도출하였다. VEGF와 CD31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염색법을 시행하였고, 종양부피, 시야당 VEGF 면적백분율, CD31 양성 미세혈관수 (MVD) 등을 계산한 후 이를 시간신호강도에서 얻은 역학적 변수와 상관성을 조사하였다. 결과: PC-3 와 LNCaP간 동적 및 조직병리학적 변수의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 MVD는 A (r=0.625, p=0.003), washin (r=0.462, p=0.040), AUC (r=0.604, p=0.005), $AUC_{out}$ (r=0.587, p=0.007) 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종양부피와 $AUC_{50}$ (r=0.481, p=0.032), washin(r=0.662, p=0.001), $AUC_{out}$ (r=0.547, p=0.012) 도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washout은 MVD (r=-0.454, p=0.044) 및 종양부피 (r=-0.464, p=0.039)에 모두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러나 시야당 VEGF 면적백분율은 역학적 변수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MVD는 다수의 역학적 변수와 상관관계를 보였다. 초음파 조영제를 이용한 초음파는 전립선암 동물모델에서 종양의 혈관성을 예측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였다.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Gastric Cancer in Korea: An Evidence-Based Approach

  • Lee, Jun Haeng;Kim, Jae G.;Jung, Hye-Kyung;Kim, Jung Hoon;Jeong, Woo Kyoung;Jeon, Tae Joo;Kim, Joon Mee;Kim, Young Il;Ryu, Keun Won;Kong, Seong-Ho;Kim, Hyoung-Il;Jung, Hwoon-Yong;Kim, Yong Sik;Zang, Dae Young;Cho, Jae Yong;Park, Joon Oh;Lim, Do Hoon;Jung, Eun Sun;Ahn, Hyeong Sik;Kim, Hyun Jung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14권2호
    • /
    • pp.87-104
    • /
    • 2014
  • Although gastric cancer is quite common in Korea, the treatment outcome is relatively favorable compared to those in western countries. However, there are currently no Korean multidisciplinary guidelines for gastric cancer. Experts from related societies developed guidelines de novo to meet Korean circumstances and requirements, including 23 recommendation statements for diagnosis (n=9) and treatment (n=14) based on relevant key questions. The quality of the evidence was rated according to the GRADE evidence evaluation framework: the evidence levels were based on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the recommendation grades were classified as either strong or weak. The applicability of the guidelines was considered to meet patients' view and preferences in the context of Korea. The topics of the guidelines cover diagnostic modalities (endoscopy, endoscopic ultrasound, and radiologic diagnosis), treatment modalities (surgery, therapeutic endoscopy, chemotherapy, and radiotherapy), and pathologic evaluation. An external review of the guidelines was conducted during the finalization phase.

Changes of abdominal muscle thickness during stable and unstable surface bridging exercise in young people

  • Kim, Tae Hoon;Hahn, Joohee;Jeong, Ju-Ri;Lee, Changjoo;Kim, You Jin;Choi, Sung Min;Jeon, Da Young;Lee, Jin Hwa;Lim, In-Hyuk;Lee, Wan-Hee
    • Physical Therapy Rehabilitation Science
    • /
    • 제5권4호
    • /
    • pp.210-214
    • /
    • 2016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muscle architectural parameters of abdominal muscles in healthy individuals by rehabilitative ultrasound imaging (RUSI) and to investigate their changes after bridging exercise in various environments. Design: Cross-sectional study. Methods: The study included 40 healthy participants (19 men, 21 women). Subjects were randomly allocated to a stable surface group (SG, n=20) or an unstable surface group (UG, n=20). The participants assumed three positions in rest, bridging exercise with knee flexion $60^{\circ}$, and bridging exercise with knee flexion $90^{\circ}$ for the measurement of abdominal muscle thickness by RUSI. For the resting position, the participants held the head neutral in a hook-lying position and the dominant side was measured. For contraction, the participants performed the bridging exercise with the knee joint in $60^{\circ}$ and $90^{\circ}$ of flexion for 10 seconds each. Results: For transversus abdominis, external oblique muscle thickness, within the stable surface group and the unstable surface group, no significant contraction difference was observed in both the $60^{\circ}$ and $90^{\circ}$ bridge exercise conditions. Contraction difference of internal oblique muscle was significantly larger at $90^{\circ}$ than at $60^{\circ}$ within the SG (p<0.05). But within the UG, no significant contraction difference was shown. There was no significant contraction difference between the surface group and the unstable SG at $60^{\circ}$ condition and at $90^{\circ}$ condition in all measured muscles. Conclusions: The contraction difference is different for each muscle during bridge exercise with knee flexion $60^{\circ}$ and bridging exercise with knee flexion $90^{\circ}$. Muscle contraction difference is generally large when exercised on an unstable surface than a stable surface, but these a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n bridging exercise is performed using dynamic air cushion for unstable surface.

갑상선 우연암종의 임상병리적 특성 (Clinicopathologic Characteristics of Incidentally Discovered Thyroid Carcinomas)

  • 정웅윤;정재호;장항석;박정수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64-68
    • /
    • 2000
  • Objectives: With the recent advances and increasing use of imaging techniques in examination of the neck, the incidence of incidentally discovered thyroid carcinoma has been increasing.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clinicopathologic characteristics of incidental thyroid carcinomas and to find optimal therapeutic strategies for these lesions. Materials & Methods: From Jan. 1988 to Aug. 1998, 1,053 patients were operated on for thyroid cancer, of whom 127(12.1%) had incidentally discovered thyroid cancers which were identified during routine health checkups(n=40), diagnostic procedures for unrelated medical conditions(n=39) and mass screening for thyroid cancer(n=48). The preoperative diagnosis was obtained by ultrasound-guided FNAB and the extent of surgery was determined based on frozen section examinations, as well as prognostic factors and gross findings at the time of surgery. Results: There were 6 men and 121 women with a mean age of 45.9 years. Histopathological diagnosis included papillary carcinomas(n=1l9), follicular carcinomas(n=6), poorly differentiated carcinoma(n=l) and medullary carcinoma(n=1). Thirty patients(23.6%) had multifocallesions. The mean diameter of the tumors was 1.1 cm(0.2-3.4 cm). Capsular invasions were found in 53 patients(41.7%) and nodal metastases in 41(32.3%). The surgical procedures used were: 90 less-than total thyroidectomies and 37 total thyroidectomies with central neck node dissection. Lateral neck dissection was added in 5 patients. According to TNM staging, 79 patients(63.2%) were at stage I, 15(12.0%) at stage II, 31(24.8%) at stage III and 0(0.0%) at stage IV. By AMES scoring system, 102 patients(81.6%) were in the low-risk group and 23(18.4%) in the high-risk group. And by MACIS scoring system, 103(86.6%) of 119 papillary thyroid cancer patients were less than 6. Conclusions: The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of incidentally discovered thyroid carcinomas are similar to ordinary thyroid carcinomas. The treatment of choice should be individualized based on the particular clinical situation encountered, as in ordinary thyroid carcinomas.

  • PDF

소아 Kikuchi 병의 임상 양상 (Clinical characteristics of Kikuchi disease in children)

  • 정성훈;박성신;이규하;송준혁;한미영;최용묵;차성호;박용구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4권2호
    • /
    • pp.129-135
    • /
    • 2007
  • 목 적 : Kikuchi 병은 고열을 동반한 양성 림프절 비대를 특징으로 하는 아급성 괴사성 림프절염이다. 주로 젊은 여성에게 발생하며 소아에 있어 드물게 보고되고 있다. 병인으로는 바이러스와 연관성, 자가 면역기전 등이 제시되고 있으나 정확히 밝혀지지 않은 상태이다. 최근 저자들은 소아에서 발생한 괴사성 림프절염 5례를 경험하였기에 소아에 있어 Kikuchi 병의 임상적 고찰을 하였다. 방 법 : 2001년 1월부터 2006년 6월까지 경희대학교 소아과에 Kikuchi 병으로 진단 받은 환아 5명을 의무기록을 통해 발생 연령, 성별비, 계절별 발생빈도, 임상증상, 과거력, 검사 소견, 림프절의 발생 부위 및 크기, 방사선학적 소견 등을 조사하였다. 결 과 : 남아가 2명, 여아가 3명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9년 9개월(8년 2개월-12년 6개월)이었다. 주된 증상은 지속되는 발열과 림프선 비대로 병원을 방문하였다. 모든 환자는 항생제 치료를 받았으며, 2명의 환자에게서 발진이 발생하였다. 1례에서 초음파 검사상 Kikuchi 병이 의심되는 괴사성 변화가 관찰되었다. 3례에서 추가적으로 컴퓨터 단층촬영을 실시하였다. 입원 후 절제 생검할 때까지 소요된 시간은 10.2일(7-15일)이었다. 5례 모두 림프절 절제 생검 후 조직 검사상 괴사성 림프절염으로 확진하였다. 결 론 : Kikuchi 병은 진단 전에 불필요한 검사와 항생제 치료를 하며 이로 인해 입원 기간도 길어진다. 이에 저자들은 소아에 있어 Kikuchi 병의 임상 양상을 고찰하였다.

  • PDF

토끼의 횡격막 파열 진단에 있어서 자기공명영상, 나선형전산화단층촬영 및 초음파의 가치 비교 (Comparative Evaluations of Magnetic Resonance Image, Spiral Computed Tomography and Ultrasound in the Diasnosis of Experimental Diaphragmatic Rupture in the Rabbit)

  • 김학희;정승은;이배영;최병길;신경섭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1권1호
    • /
    • pp.154-161
    • /
    • 1997
  • 목적: 횡격막 파열은 그 진단이 어렵고 지연되는 경우가 많으며, 진단이 늦어지면 유병율과 사망율이 높아지므로 조기진다는 매우 중요하다. 저자들은 최근 많이 이용되는 영상진단법인 나선형 CT와 자기공명영상, 그리고 초음파건사중 어떤 방법이 가장 예민하고 정확한 진단방법인지 동물실험 모델을 통하여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토끼에서 인위적으로 횡격막파열을 대, 중, 소로 만든 후 1일, 3일, 7일째 나선형 CT와 자기공명영상, 그리고 초음파검사를 동시에 시행하였다. 결과: 횡격막파열의 진단 민감도와 특이도는 초음파검사가 94.4%와 92.9%, 자기 공명영상이 54.0%와 85.75, 나선형 CT가 46.0%와 78.6%이었다. 횡격막 파열의 진단은 초음파검사, 자기공명영상, 나선형 CT순으로 정확하였으며 초음파 검사가 자기공명영상이나 나선형 CT보다 유의하게 우월하였고(P<0.05), 자기공명영상과 나선형 CT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초음파검사는 파열의 크기와 상관없이 횡격막파열의 구별이 용이하였고 자기공명영상과 나선형 CT는 파열의 크기가 클수록 횡격막파열의 구별이 용이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수술후 1일에는 전예에서 늑막삼출액이나 혈흉을 동반하였다. 이때에는 초음파나 자기공명영상이 나선형 CT에 비해 우월하였다. 시간경과에 따랄 초음파검사와 자기공명영상은 진단율이 상대적으로 저하되었으나 통게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탈장을 동반한 경우에는 진단의 민감도가 자기공명영상, 나선형 CT, 초음파검사순으로 높았으며 초음파검사가 상대적으로 낮았다. 그러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결론: 초음파검사가 횡격막파열의 진단에 가장 유용한 것으로 밝혀졌으며, 이러한 결과는 앞으로 임상에 적용하여 검증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 PDF

동적 초음파를 이용하여 진단한 견관절 상완 이두건 장두의 아탈구 (Subluxation of the Long Head Biceps Tendon Diagnosed by Dynamic Ultrasound)

  • 박상은;정재중;이연수;김영율;김명진;지종훈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4권2호
    • /
    • pp.236-241
    • /
    • 2011
  • 목적: 이학적 검사나 단순 방사선, 정적 초음파, 자기공명영상 등의 검사를 통해 진단하기 어려운 상완 이두건 장두 아탈구의 진단 시 동적 초음파의 유용성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동적 초음파를 이용해 상완 이두건 장두 아탈구로 진단된 2명의 남자환자에 대해 관절경을 이용한 연부조직 상완 이두건 장두 고정술을 시행하고 증상 및 기능적 회복 정도를 평가 하였다. 결과: 동적 초음파를 이용해 상완 이두건 아탈구를 쉽게 진단할 수 있었으며 수술 후 증상 및 기능적 평가에서도 향상을 나타내었다. 수술 후 특이한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다. 결론: 진단이 어려운 상완 이두건 장두 아탈구의 진단 시 동적 초음파의 이용은 유용한 방법으로 판단된다.

CT 유도하 국소적 폐질환의 경피적 흡입생검의 장점과 결과 분석 (Analysis of the Result and Merit of Computed Tomography Guided Percutaneous Needle Aspiration Biopsy of Focal Lung Lesion)

  • 장유송;조길호;변우목;황미수;박복환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0권1호
    • /
    • pp.127-134
    • /
    • 1993
  • PTNB는 최근 CT 기술의 발전과 20 gauge 또는 22 gauge의 세침의 개발로 합병증을 줄이는 한편, 성공율이 높아 점차 임상적으로 널리 이용되는 추세에 있다. 이에 저자는 최근 44례의 PTNB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환자의 분포는 50대 남자가 17례로 가장 많았고 종괴의 크기와 위치는 4cm 전후가 36례(84%)로 가장 많았다. 종괴의 국소적 위치는 변연부에 위치한것이 33례(75%)의 주로 폐의 변연부에 위치하였다. 조직 채취는 42례(95%)에서 가능했으며, PTNB의 민감도는 61%(27/44)였고 악성종괴와 양성종괴에 대한 민감도는 각각 79%(19/24), 44%(8/18)였다. 민감도가 비교적 낮은 이유는 단 1회 시술로 결과를 얻었고 민감도를 높이기 위한 반복 PTNB는 시행하지 않았기 때문으로 생각한다. 합병중인 기흉이나 각혈은 각각 1례에서 얻었고 모두 특별한 치료없이 호전되었다. 이상에서 PTNB는 다른 검사 방법 보다 간편하고 안전하며 기관지경을 통한 생검이 불가능하거나 생검후에도 병리소견을 못얻을 경우 PTNB를 통해 양성질환과 악성질환을 구분하므로서 환자의 치료 방침 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국소적 폐 질환의 진단에 있어서 PTNB의 유용성은 더욱 증가하리라고 전망된다.

  • PDF

강아지에서 컨벡스스캐너를 이용한 정상적인 심장구조물의 초음파상 (Ultrasound Imaging of Normal Cardiac Structures with Convex Scanner in Puppies)

  • 정순욱;박희명;한숙희;윤정희;한홍율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529-537
    • /
    • 1994
  • Sector scanner which has a conical end is used to image through the intercostal space because heart is protected by the ribs. Cardiac data published all around the world were also obtained by sector scanner. Although scanners being used in every small animal practice and animal hospital at college in Korea include convex ape and linear type, linear type is not appropriate f3r cardiac scan because of a wide contact surfa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ultrasonographic images of normal cardiac structures by measuring shape, size of reflectable cardiac structure according to restraint position in scanning normal heart of the puppies with 6.5 MHz convex scanner(SonoAce 4500, Medison, Korea) used in our veterinary teaching hospital, Seoul national university. Seventeen male and female puppies considered having healthy hear by X-ray and clinical examination are used feom April to July 1994. Scanning point selection of probe head and the distinction of imaged cardiac structures were accomplished by necropsy and cardiac scanning performed through thoracotomy under general anesthesia. At 10 o'clock position of transducer(at an angle of 30$^{\circ}$ between imaginary line from elbow joint to 3rd sternum and probe head, 60$^{\circ}$ from body surface, 4th intercostal space of right thorax) with the marker of scanner toward the head of dogs right atrium, left atrium and left ventricle were observed in 2, 3, 4, 5 intercostal space(2cm from the sternum) of experimental dog positioned ventrodorsally under general anesthesia. Under these conditions, the numerical values of imaged diastolic hear are as follows : the distance from skin to apex(mean$\pm$S.D) 47.53$\pm$6.94mm, thickness of left ventricular wall 6.00$\pm$1.60mm, length of left ventricle 16.27$\pm$5.31mm, width of left ventricle 15,33$\pm$4.25mm, length of left atrium 12.33$\pm$3.82mm, width of left atrium 11. 33$\pm$3.94mm, length of right atrium 1.00$\pm$2.41mm, width of right atrium 11.21$\pm$2.76mm and the area of left ventricle 270.92$\pm$109.81mm$^2$, area of left atrium 98.00$\pm$41.08mm$^2$, area of right atrium 62.75$\pm$21.04mm$^2$.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