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lmus species

검색결과 135건 처리시간 0.024초

Distribution of the Genetic Resource and the Biomass of Root Bark of Ulmaceae Species

  • Park, Dong Jin;Yong, Seong Hyeon;Yang, Woo Hyeong;Seol, Yuwon;Choi, Eunji;Kim, Hyeong Ho;Ahn, Mi-Jeong;Choi, Myung Suk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53권2호
    • /
    • pp.65-75
    • /
    • 2019
  • Stem and root of elm trees have used as traditional medical materials, but there is little information on the distribution and resources of habitats. Korean native growing Ulmus spp. (U. davidiana var. Japonica, U. parvifolia, U. davidiana, and U. macrocarpa) genetic resources studied through The National Forest Inventory of Korea data and field survey. The distributions of U. davidiana var. japonica according to elevation distributed evenly. Both U. parvifolia and U. davidiana were inhabited mostly at less than 200 m of altitude. Each Ulmaceae species widely were distributed nationwide, but a dominant species was different depending on locals. It observed that Ulmaceae inhabits mainly in steep slopes of 31-45 degrees. Most of the habitats regenerated by natural seeding and the most abundant species were a codominant tree. Distribution of trees in U davidiana var. japonica was 7 m-13 m, and in young U. parvifolia and U. macrocarpa, more than 25% of young trees less than 7 m observed. The distribution of the diameter of breast height of the U. davidiana var. japonica was 46.4% for 11-20 cm, 52.6% for 11-20 cm in U. parvifolia. The average T/R ratio was 0.83, and the mean weight ratio of root bark was 62%.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domestic Ulmaceae biomassare very small. It is difficult to harvest in that the habitat on the slope. Thus, it is too hard to develop functional materials using biomass at pres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technology for the selection and propagation of elite trees of Ulmaceae.

응복산 사면 일대 산림식생의 종 조성 및 군집 특성 (Characteristics of Species Composition and Community Structure for the Forest Vegetation of Aspect Area in Mt. Eungbok)

  • 이하영;이중효;윤충원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791-802
    • /
    • 2015
  • 백두대간 조침령-신배령 구간의 응복산을 대상으로 2012년 4월부터 2013년 8월까지 영구조사구를 설치하여 조사하였다. 총 25개소($20{\times}20cm$)의 산림식생조사 자료를 토대로 Z-M식물사회학적 방법에 의해 식생유형 분류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최상위 수준에서 신갈나무군락군이 분류되었으며, 군락단위에서는 난티나무군락과 물개암나무군락으로 세분화 되었다. 난티나무군락은 철쭉군과 산딸기군으로 나누어지며, 산딸기군은 다시 태백제비꽃소군과 줄딸기소군으로 분류되어 총 4개의 식생단위로 분류되었다. 사면의 해발고에 따른 중요치는 교목층에서 신갈나무의 중요치가 높게 나타났으며, 아교목층에서는 당단풍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교목층에서 신갈나무가 아교목층에서는 당단풍나무로 유지될 것이다. 종 다양성 분석결과 식생 단위 3에서 0.97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식생단위1에서 0.725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종간연관 분석 결과 크게 4개의 유형으로 구분되었고, 이는 식생단위의 식별종 및 표징종과 일치하는 경향이었다. 특히 그룹 I은 철쭉의 식별종과 일치하는 경향이었으며, 그룹 III은 물개암나무군락에서 주로 출현하는 식물종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 나뉘어졌다.

Species of Korean Furniture in the Late Choseon Dynasty (I)

  • Song, Ji-Ae;Park, Won-Kyu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486-498
    • /
    • 2010
  • 서울역사박물관 소장 후기 조선시대 (주로 19세기) 목가구 82점에 사용된 수종을 목재해부학적으로 식별한 결과, 총 22종의 수종이 나왔다. 침엽수는 소나무류, 잣나무류, 전나무속, 은행나무, 가문비나무속, 비자나무, 편백나무속, 외래산소나무로 8종이 분석되었으며, 활엽수는 느티나무, 피나무속, 오동나무속, 오리나무속, 참죽나무, 가래나무속, 감나무속, 배나무속, 자작나무속, 밤나무속, 사시나무속, 느릅나무속, 음나무 등 13종이, 그리고 외떡잎식물로 대나무 1종이 확인되었다. 수종의 점유율로 보면 소나무류(43%), 느티나무(9%), 오동나무속(7%), 피나무속(7%) 순이었다. 한 수종만 쓰인 가구가 37점(45%)으로 가장 많았으며 최대 6수종까지 한 가구를 제작하는데 사용되었다. 지역별 반닫이에 사용된 수종의 특징을 조사한 결과, 북부지방에서 제작된 반닫이는 피나무속과 소나무류가, 중남부지역에서 제작된 반닫이는 모두 공통적으로 소나무류와 느티나무가 사용되었다. 부재 용도에 따라 골재와 판재에는 소나무류, 느티나무, 참죽나무 등 대체로 단단하고 강도가 강한 목재가, 그리고 화장재로는 아름다운 무늬를 가지거나 독특한 재색을 가지거나, 가공하기 용이한 산공재 등 다양한 수종이 사용되었다. 서랍재의 재료는 가볍고, 변형이 적어야 하므로 비중이 낮고, 변형률이 적은 오동나무속 또는 피나무속이 사용되었다. 황해도 반닫이와 박천 반닫이에는 추운 지역에서 자라는 피나무속이 사용되어 산지가 북한임이 제시되었다.

  • PDF

천연활엽수림(天然闊葉樹林) 주요(主要) 상층(上層) 임관(林冠) 수종(樹種)의 임목(林木) 형질(形質) 지수(指數) 추정(推定) (The Estimation of Tree Form Index for Major Canopy Species in the Natural Deciduous Forest)

  • 김지홍;양희문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15권1호
    • /
    • pp.1-9
    • /
    • 1999
  • 천연활엽수림에서 자생하는 활엽수종 고유의 생장 특성을 감안하여, 18개 주요 상층 임관 구성 수종을 대상으로 임목 형질을 평가하는 한 방편으로서 임목(林木) 형질(形質) 지수(指數)(tree form index: TFI)를 추정하였다. 선정된 6개의 형질 속성을 4개의 급수로 나누고, 임목 개체의 전반적인 형질에 미치는 영향력을 고려하여 합당한 점수를 부여하였다. 18개 수종에 대하여 속성 별로 점수를 부여하고 백분률(百分率)로 환산한 후, 각 점수를 합하여 임목 형질 지수를 산출하였다. 각 쌍의 수종별 점수 차이와 $18{\times}6$ 행렬(行列)을 바탕으로 집락분석(集落分析)(cluster analysis) 을 시도하여 수종별로 어떠한 속성들이 공통적인가를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임목 형질이 가장 좋은 수종은 TFI 수치 80.8을 기록한 사시나무로 파악되었고, TFI 수치 46.3을 기록한 까치박달나무는 임목 형질이 가장 좋지 않은 수종으로 분석되었다. 70점 이상의 비교적 높은 지수를 획득한 상층 임관 수종들은 사시나무, 거제수나무, 들메나무, 느릅나무 등으로서, 통직하고 완만한 수간, 높은 지하고(枝下高), 좁은 수관(樹冠), 가는 가지 등의 특성을 갖는 장점을 지니고 있었다. 반면에, 60점 미만의 낮은 지수를 얻은 수종들은 팔배나무, 산벚나무, 복장나무, 가래나무, 까치박달나무 등으로서, 굽었거나 기울어진 수간, 낮은 지하고(枝下高), 넓은 수관, 굵은 가지 등의 성격을 갖는 경향이 있었다. 집락분석 결과에 의한 분류도(分類圖)에서 Euclidean 거리계수(距離係數) 임의의 값 10은 연구 대상 수종들을 4개의 뚜렷한 수종군(樹種群)으로 분류하였고, 각 수종군에 대한 임목 형질 특성을 검토하였다.

  • PDF

Community Structure, Phytomass, and Primary Productivity in Thuja orientalis Stands on Limestone Area

  • Kwak, Young-Se;Lee, Choong-Il
    • Environmental Sciences Bulletin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 /
    • 제3권3호
    • /
    • pp.189-196
    • /
    • 1999
  • The community structure, phytomass, and primary productivity in Thuja orientalis stands on a limestone area located in Maepo-up, Chungbuk province in Korea were estimated quantitatively. Seven species including a small proportion of Quercus dentata were identified in the tree layer, 26 species including Ulmus macrocarpa in the shrub layer, and 79 species including Carex lnceolata in the herb layer of the Thuja stands.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the fine root phytomass exhibited a power functional decrease relative to the soil depth. The seasonal changes in the fine root phytomass at a soil depth of 5 cm were closely related to the pecipitation in the study area. The productivity of the stand of stems, branches, leaves, and roots were 10.72, 0.82, 0.45 and 6.46 ton DM. $ha^{-1}$ .$yr^{-1}$, respectively. The Thuja stand had a high foliage(25%) and low rate of production per unit of foliage. The annual turnover rate of the fine roots int he Thuja stand was 6.71 $yr^{-1}$. The net primary production of the overstory including the understory was estimated at 19.48 ton DM.$ha^{-1}$.$yr^{-1}$ including an underground section of 6.46 ton DM.$ha^{-1}$.$yr^{-1}$(33%). The allocation ratio of net production to root was lower in the limestone Thuja communities than at the nearby non-limestone ones, whereas the production efficiency to leaf weight was higher in the limestone communities. These results would seem to indicate that the limited production capacity is due to the calcium toxicity and low availability of iron and phosphorus in a limestone soil with a high pH, calcium, and bicarbonate content with a strategy for survival in a hostile habitat.

  • PDF

오대산 국립공원 상원사, 비로봉, 호령봉 지역의 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t Sangwonsa, Pirobong, Horyongbong area in Odaesan National Park)

  • 김갑태;추갑철;엄태원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51-159
    • /
    • 1996
  • 오대산 국립공원의 상원사-비로봉-호령봉-상원사에 이르는 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천연림의 생육현황과 구조를 파악하고자, 이 지역에 23개의 방형구(20*20m)를 설치하여 식생을 조사하였다. Cluster 분석한 결과 신갈나무-젓나무, 복장나무-분비나무, 젓나무-난티나무군집으로 분리되었다. 수종간의 상관관계에서는 피나무와 백당나무, 분비나무와 정향나무, 정향나무와 호랑버들, 소나무와 젓나무 등의 수종들간에는 비교적 높은 정의 상관관계, 신갈나무와 가래나무, 조릿대와 나래회나무, 고로쇠나무와 고광나무, 젓나무와 나래회나무, 사스래나무, 정향나무 및 호랑버들 등의 수종들간에는 높은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조사지의 종다양도는 1.2973~1.4633으로 높게 나타났다.

  • PDF

전라북도 임실군 병아리꽃나무 자생지의 생태적 특성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Rhodotypos scandens Habitat in Imsil-gun, Jeollabuk-do, Korea)

  • 박경욱;변무섭;오현경;유주한
    • 환경영향평가
    • /
    • 제24권4호
    • /
    • pp.352-366
    • /
    • 2015
  • 본 연구는 병아리꽃나무 자생지의 식물상, 식생구조 및 토양과 같은 생태적 특성을 조사 및 분석하여 자생지 보전과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식물상은 57과 99속 107종 1아종 17변종 6품종 등 총 131분류군이며, 생활형은 교목(MM) 21분류군, 아교목(M) 24분류군, 관목(N) 30분류군, 지표식물(Ch) 6분류군, 반지중식물(H) 20분류군, 지중식물(G) 17분류군, 일년생식물(Th) 12분류군, 수생식물(HH) 1분류군이었다. 군락유형은 느티나무군락, 갈참나무군락, 참느릅나무군락, 까마귀베개군락, 밤나무군락, 자귀나무군락, 팽나무군락, 아까시나무군락 등 8개이다. 층위별 우점종의 경우 교목층은 느티나무, 갈참나무, 참느릅나무, 밤나무, 자귀나무, 팽나무, 아까시나무, 아교목층은 까마귀베개, 갈참나무, 느티나무, 자귀나무, 참느릅나무, 닥나무, 관목층은 병아리꽃나무로 나타났다. 종다양도 분석 결과, 종다양성지수는 1.691~2.610, 최대종다양성지수는 2.197~3.466, 균재도는 0.646~0.903, 우점도는 0.097~0.354로 나타났다. 토양 분석 결과, 평균 산도는 5.6, 평균 전기전도도 0.5ds/m, 평균 유효인산 59.1mg/kg, 평균 유기물함량 49.7%, 평균 치환성칼륨 $0.4cmol^+/kg$, 평균 치환성칼슘 $13.5cmol^+/kg$, 평균 치환성마그네슘 $3.3cmol^+/kg$으로 분석되었다.

오대산국립공원 공원문화유산지구 식생비오톱 특성 분석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Biotope in Cultural Heritage Site of Odaesan National Park)

  • 김지석;이영경;이병인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70-82
    • /
    • 2016
  • 국립공원 공원문화유산지구의 식생비오톱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오대산국립공원을 대상으로 52개의 방형구를 토지이용유형별로 설치하여 식생구조를 조사하였다. 군락분류결과, 6개 군락으로 분류되었으며, 2개 군락의 식별종은 서양민들레, 개망초, 왕포아풀로 도시화지역, 본 조사에서는 사찰지 내에 분포하는 식물이었다. 1개 군락의 식별종은 양지꽃으로 숲 가장자리에 주로 분포하는 종이었으며, 3개 군락의 식별종은 조릿대와 신갈나무로 산림지역 분포식물이었다. TWINSPAN에 의한 군락분류와 DCA 기법을 활용한 서열분석을 통하여 공원문화유산지구는 사찰비오톱, 사면벌채지비오톱, 산림비오톱으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유형별 종수, 귀화식물, 상대우점치, 유사성에서 차이를 확인하였다. 사찰비오톱 우점종은 왕포아풀과 쑥이었으며, 사면벌채지비오톱은 미역줄나무, 산림비오톱은 신갈나무, 전나무, 느릅나무였다. 사면벌채지비오톱은 다른 비오톱에 비하여 출현 종수가 많았으며, 사찰비오톱은 귀화식물 출현 종수가 많았다.

향판용(響板用) 관행수종(慣行樹種)과 대체가능수종(代替可能樹種)의 자유진동적(自由振動的) 성질(性質)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Free Vibrational Properties of Traditional and Replaceable Species for Sounding Board)

  • 강욱;정희석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6권3호
    • /
    • pp.48-64
    • /
    • 198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ree vibrational properties of traditional and replaceable species for sounding board, using piezoelectrical accelerometer and signal analyzer. In the study, the frequency equations of free-free beam carrying a concentrated mass in the transverse vibration and of free-mass beam in the longitudinal vibration were used.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Average values of dynamic modulus of rigidity of Korean commercial species measured were as follows. Paulownia tomatosa (Thunb.) Steudel: $5.590\times10^9\;dyne/cm^2$ Tilia amurensis Rupr.: $5.414\times10^9\;dyne/cm^2$ Macckia amurensis Rupr.: $10.044\times10^9\;dyne/cm^2$ Fraxinus mandshurica Rupr.: $8.876\times10^9\;dyne/cm^2$ Ulmus davidiana var.japonica Nakai: $8.677\times10^9\;dyne/cm^2$ Pinus rigida Miller: $6.33\times10^9\;dyne/cm^2$ Fraxinus rhynchophylla Hance: $4.666\times10^9\;dyne/cm^2$ 2. The ratio of dynamic transverse Young's modulus to dynamic modulus of rigidity, $E_T/G_{LT}$, was 24.922 for Fraxinus rhynchophylla Hance, which was the highest, 7.317 for Paulownia tomentosa (Thunb.) Steudel, which was the lowest among Korean commercial species measured. 3. The value of longitudinal dynamic Young's modulus was about 3.7% and 19.8%, respectively, higher than those of transverse dynamic and static Young's modulus. The value of transverse dynamic Young's modulus was about 15.5% higher than that of static Young's modulus. 4. Predicted value of MOR in terms of correlation coefficient by transverse dynamic Young's modulus was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static Young's modulus, but no significance was found out. 5. Transverse dynamic Youne's modulus was $(2.002\pm0.288)\times10^{11}\;dyne/cm^2$ for Fraxinus mandshurlca Rupr., which was the highest, $(0.601\pm0.100)\times10^{11}\;dyne/cm^2$ for Paulownia tomentosa (Thunb.) Steudel, which was the lowest among Korean commercial species measured. The sound velocity of sitka spruce was 5,685 m/sec, which was the highest. 6. Internal friction of Paulownia tomentosa (Thunb.) Steudel was shown the lowest value among Korean commercial species, $(8.795\pm1.795)\times10^{-3}$, but was higher than that of sitka spruce, $(7.331\pm0.991)\times10^{-3}$. Internal friction was shown negative correlation with density and dynamic Young's modulus, respectively. 7. K value was affected largely by internal friction and was the highest, $2.225\times10^8$ for Paulownia tomentosa (Thunb.) Steudel and was the lowest, $0.550\times10^8$ for Fraxinus rhynchophylla Hance. K value of Paulownia tomentosa (Thunb.) Steudel was higher than that of sitka spruce and K values of melapi and cottonwood, which have been considered to be replaceable species with sitka spruce in the piano industry, were lower than those of Paulownia tomentosa (Thunb.) Steudel and mill amurensis Rupr.

  • PDF

수목(樹木)의 수분특성(水分特性)에 관(關)한 생리(生理)·생태학적(生態學的) 해석(解析)(XII) - 낙엽(落葉) 활엽수(闊葉樹) 21종(種)의 수체(樹體) 부위별(部位別) Leaf Specific Conductivity의 특성(特性) - (Ecophysiological Interpretations on the Water Relations Parameters of Trees(XII) - The Characteristics of Leaf Specific Conductivity in Various Portions of the Twenty-one Deciduous Broad-Leaved Species)

  • 한상섭;김선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8권1호
    • /
    • pp.18-30
    • /
    • 1999
  • 이 연구는 우리 나라 주요(主要) 낙엽(落葉) 활엽수(闊葉樹) 21종(種)에 대하여 줄기, 가지, 분지부(分技部)와 정단부(頂端部) 1년생 주간(主幹)과 측지(側枝) 등의 leaf specific conductivity(LSC)를 측정하여 수분통도성(水分通導性)의 배치구조(hydraulic architecture)를 수종별로 비교하였다. 고로쇠나무, 복자기, 박달나무, 물푸레나무와 느티나무를 제외한 활엽수종의 LSC 값은 줄기가 가지보다 컸으며, 분지부(分技部)는 가장 작은 값을 나타냈다. 특히 분지부(分技部)에 있어서 LSC값의 급격한 감소는 모든 수종에서 나타난 공통적인 특징이다. 산공재 수종에서는 자작나무, 피나무, 층층나무, 박달나무가 다른 수종에 비하여 높은 LSC를 나타냈으며, 복자기는 가장 낮은 LSC를 나타내는 수종이었다. 환공재 수종에서는 다릅나무, 참오동나무, 갈참나무, 졸참나무의 LSC가 높았으며, 느릅나무가 가장 낮은 LSC를 나타냈다. 복자기, 층층나무, 들메나무, 신갈나무와 느티나무에 있어서 정단부(頂端部) 1년생 주간(主幹) 및 측지(側枝)의 LSC값은 주간이 최소 $22{\mu}{\ell}/g$, 최대 $139{\mu}{\ell}/g$ 이고, 측지가 최소 $11{\mu}{\ell}/g$, 최대 $73{\mu}{\ell}/g$의 범위를 보였으며, 정단주간(頂端主幹)(leaders)이 정단측지(頂端側技)(adjacent laterals)보다 평균 2배 이상, 최대 5배 정도로 크게 나타나, 정단주간은 정단측지보다 수력적(水力的) 우세(優勢)(hydraulic dominance)를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