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농업

검색결과 386건 처리시간 0.035초

다양한 채소 추출물의 농업해충 및 저장물해충에 대한 살충활성 (Insecticidal Activities of Various Vegetable Extracts against Five Agricultural Insect Pests and Four Stored-Product Insect Pests)

  • 이상길;박지두;송철;조광연;이상계;김무기;이회선
    • 농약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8-25
    • /
    • 2001
  • 46종 채소류의 에탄을 추출물을 대상으로 5종의 주요 농업해충 및 4종의 저장물 해충에 대한 살충효과를 조사한 효과는 채소류의 종류 및 해충의 종류에 따라 커다란 차이를 보였다. 5종의 농업해충에 대한 살충효과는 5,000 ppm의 농도로 처리할 때 연근 및 파래는 복숭아혹진딧물, 옥수수 및 옥수수 잎은 벼멸구, 수박씨 및 파래는 배추좀나방, 연근, 옥수수 및 옥수수 잎은 담배거세미나방, 수박씨, 당근, 해바라기 잎과 꽃, 상추 및 생강은 점박이응애에 대하여 80% 이상치 살충효과를 나타냈다. 2,500 ppm의 농도로 처리할 때는 연근 및 파래는 복숭아혹진딧물, 옥수수는 벼멸구, 수박씨 및 파래는 배추좀나방, 연근 및 옥수수는 담배거세미나방, 수박씨, 해바라기 꽃 및 상추는 점박이응애에 대하여 80% 이상의 살충효과를 나타냈다. 4종의 저장물해충에 대한 살충효과는 50 ppm의 농도로 처리할 때 수박씨 및 호박씨는 쌀바구미, 수박씨, 해바라기씨 및 생강은 화랑곡나방에 대하여 80% 이상의 살충효과를 나타냈다. 팥바구미와 궐련벌레에 대하여는 사용된 채소류의 추출물이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복숭아혹진딧물, 벼멸구, 배추좀나방, 담배거세미나방 및 점박이응애에 높은 방제효과를 보인 상기 채소류 추출물들은 공업해충 방제제로서 사용 가능성이 예상되었으며, 또한 쌀바구미와 화랑곡나방에 강한 살충효과를 보인 추출물은 저장물해풍방제에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 PDF

자녀양육비의 추정

  • 김원년
    • 한국인구학
    • /
    • 제10권1호
    • /
    • pp.28-38
    • /
    • 1987
  • 이 논문의 목적은 급속한 경제발전과 산업화 초기단계의 한국사회에서 경력내 직업이동구조가 어떻게 구축되었는가를 밝히는 데에 있다. 생애사 자료에 나타난 직업이동의 개인사들을 분석함으로써 이 논문은 산업화 초기단계인 1954년에서 1983년까지 30년 동안의 성인 남녀의 경력내 연간 직업이동들을 모형화하였다. 상위 비육체노동직업, 하위 비육체노동직업, 자영업, 육체노동직업, 농업의 5개 직업범주를 통하여 연원 이동표상에 나타난 이동형태는 비이동성에 의해 일차적으로 특징지워진다. 그러나 이동의 절대량으로 볼 때 비이동성의 정도는 각 직업군에서 달리 나타나, 요약하면 U자형이라고 볼 수 있다. 전체적으로 연간이동의 형태는 직업간의 거리라는 개념으로 가장 잘 설명될 수 있다. 직업이동의 상대적 형태를 연구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대수선형모형의 문제점들을 지적하고 비판하면서 필자는 개념적,이론적 작업과 모형추정의 방법론적 작업을 결합시키는 형태의 대수선형모형을 주장하였다. 이러한 모형은 1) 세대간 이동과 세대내(경력간)이동의 구별을 가능하게 하며, 2) 불평등구조 관점, 노동시장적 관점, 생애사적 관점을 동시에 반영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이동표의 분석에서 출발직업과 도달직업의 상대적 규모 외에 크게 6가지의 개념적으로 구별되는 설명요인들(지속성, 천정, 전통부문, 비육체노동, 대안적 이동경로, 직업간 거리)에 바탕을 둔 모형을 통하여 경력이동의 형태를 분석하였다. 우리사회에서 세대내 직업이동의 상대적 형태는 지속성 요인과 천정효과에 의해 좌우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세대간 이동의 연구결과와는 달리, 우리사회에서 세대내 (경력내) 직업이동에서는 자영업으로의 대안적 이동경로의 요인이 강하게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세대내 직업이동의 상대적 형태는 다음과 같은 몇가지로 특징지울 수 있다. 첫째, 대각선상에서 일어나는 지속성 요인의 효과가 절대적이다. 지속성 요인의 효과는 서구 선진산업사회에서의 U자형과는 달리 역-J자형으로 나타나고 있다. 둘째, 비육체노동직업과 육체노동직업 및 농업간의 직업간 거리에 의한 부의 이동효과가 명백히 발견된다. 셋째 농업으로부터의 이동은 상대적으로 도달직업의 종류와 상관없이 일어나고 있다. 넷째, 비육체노동직업간의 이동은 상대적으로 매우 높고 쌍방향적이며, 다른 직업군에 대해 배타적이다. 다섯째, 유출과 유입의 양 측면에 있어 자영업은 매우 독특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여섯째, 우리사회에서 경력내 직업이동의 상대적 형태는 대각선을 중심으로 비대칭적이다.

  • PDF

캠벨얼리 포도원에서 잡초관리 방법이 갈색무늬병 및 과실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eed Control on Pseudocercospora vitis and Fruit Characteristics in Campbell Early Vineyard)

  • 김선국;최원호;이석호;이윤상;윤창만;홍성택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897-909
    • /
    • 2015
  • 우리나라 포도원에서 고품질 포도생산에 이용되고 있는 잡초관리 방법들이 병발생 및 수체생육과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여 포도재배 농가에 실제적인 잡초관리 방법을 제공하고자 연구를 실시하였다. '캠벨얼리' 품종을 재배하는 비가림 포도원에서 잡초관리방법으로 포도가지 파쇄(C.B.), 흑색부직포(W.F.), 흑색차광망(S.N.), 흑색비닐(P.F.), 왕겨(R.H.), 기계제초 2회(M.W.2), 기계제초 3회(M.W.3)를 무처리와 비교하였다. 비가림 포도원의 피복처리구(C.B., W.F., S.N., P.F., R.H.)와 무피복처리구(M.W.2, M.W.3, U.T.)간 평균온도는 각각 $26.2^{\circ}C$$25.8^{\circ}C$로 비슷하였으나, 피복처리구의 지상부 습도는 피복처리구에서 7월에 90%로 유지되다가 7월 하순 이후 40% 이하로 급격히 낮아져 무피복처리구와 확연한 차이를 보였다. 토양수분은 무피복처리구에 비해 피복처리구에서 모두 높았으나 지온은 대체적으로 피복처리구가 낮았다. 피복처리별 갈색무늬병 발병은 흑색비닐피복에서 무처리 대비 7월에는 85%, 병발생이 높아지는 8월에는 69%의 감소효과를 보였고, 결과모지에서 병반 발생이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생육특성 중 절간장, 절간경은 무처리에 비해 흑색비닐 피복에서 생육이 좋았고 SPAD값은 흑색비닐 피복에서 가장 높았다. 과실품질 중 당도는 $14{\sim}15^{\circ}Brix$로 큰 차이는 없었으나 흑색비닐 피복에서 약간 높게 나타났다.

부들 화분 혈전 용해효소의 정제와 특성 (Purification and Some Properties of Fibrinolytic Enzyme from Typha angustata Pollen)

  • 박혜민;구자형;오만진
    • 농업과학연구
    • /
    • 제36권1호
    • /
    • pp.111-122
    • /
    • 2009
  • 부들 화분(포항(蒲黃))의 혈전 용해능을 검토하기 위하여 부들 화분을 물 추출하여 혈전 분해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부들 화분의 혈전용해효소를 DEAE-cellulose, Sephadex G-150을 이용한 gel filteration, HPLC로 정제하여 acrylamide gel electrophoresi로 정제를 하였다. 정제효소는 HPLC와 전기영동에 의하여 순수하게 정제되었음을 확인하였고 비활성은 38U/mg로서 정제도는 86.4배이었고 분자량은 75kDa이었다. 정제효소의 최적 pH는 4.0이었고 pH 4.0-6.0에서 안정하였으며 정제효소의 최적온도는 $55^{\circ}C$이었고 $30-60^{\circ}C$에서는 안정하였으나 $70^{\circ}C$ 부터 활성이 현저히 저하하여 $80^{\circ}C$ 이상에서는 완전히 실활하였다. 기질특이성은 fibrin을 가장 잘 분해하였고 fibrin, whole casein, ${\kappa}$-casein, ${\alpha}$-casein, ${\beta}$-casein, BSA순으로 나타났다. Casein을 기질로 하였을 때 Km value는 0.44 mM 이었으며 casein에 대한 친화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효소활성에 미치는 금속이온의 영향은 $K^+$, $Na^+$, $Mg^{2+}$ 등은 효소반응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Zn^{2+}$, $Fe^{2+}$는 심하게 저해작용을 나타내었고 정제효소는 PMSF, iodoacetic acid 및 SDS에 의하여 심하게 저해되는 것으로 보아 serine protease로 추정되었다.

  • PDF

우리 나라 농장 사육 타조 알의 난질 조사 (Investigation on the Egg Quality of the Ostrich Farming in Korea)

  • 송광택;오홍록
    • 농업과학연구
    • /
    • 제29권1호
    • /
    • pp.44-54
    • /
    • 2002
  • 이 실험은 우리나라 농가에서 사육되고 있는 타조(African ostrich) 신선란의 내 외부적인 품질 특성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타조의 난형은 장경 15.1~16.1cm, 단경 12.1~13.6cm로, 난형지수는 평균 81.0의 값을 나타내었고, 난각색은 계란보다 광택이 좋은 백색을 나타내었다. 계산식에 의한 난각강도와 난표면적 은 각각 $41.155kg/cm^3$$804.7cm^2$이었다. 타조 난의 난각두께는 난각막을 포함하여 1.89mm로, 각 부위별 난각두께는 거의 비슷한 값을 나타내었으며, 난각막 두께는 0.10mm로, 적도부가 두껍고 둔단부가 상대적으로 얇은 것으로 나타났다. 난각 기공수는 19.77개/$cm^2$으로, 첨단부의 기공수가 대체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1개 알의 총기공수는 약 15241개 정도로 측정되었다. 타조 알의 각 부위의 난중에 대한 비율은 난황 25.1%, 난백 58.2% 그리고 난각은 16.7%이었고, 난백에 대한 난황의 비율(Y/W)은 0.43을 나타내었다. 타조의 알에 대한 난백과 난황의 품질을 조사한 결과 난액에 있어 직경과 높이는 각각 19.7cm 와 13.2mm로 난백지수는 0.07 이며, H.U는 -69.7, pH는 8.3이었으며, 난황에 있어서는 직경이 14.4 cm, 높이 29.4 mm로 난황지수는 0.20으로 나타났고, pH는 6.6 이었다. 또한 난황색은 두터운 난황막으로 인하여 계란보다는 엽은 황색을 보였다.

  • PDF

AFLPs에 의한 Aegilops의 계통발생학적 재평가 (Application of AFLPs to Phylogenetic Analysis of Aegilops)

  • 박용진;심재욱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790-799
    • /
    • 1997
  • 각 게놈형간의 근연관계 및 배수체종의 게놈분석에 관한 새로운 접근을 시도하고자, Aegilops 19종 및 재배밀(T. aestivum)을 공시하여 AFLP 분석을 실시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AFLPs를 이용한 Aegilops종들간 근연관계를 분석한 결과, 7개의 primer 조합에서 총 207개의 다형 band를 조사하였으며 조합당 평균 다형 band수는 29.8개 이었다. 2. 각 게놈간 유연관계로 보아 Ae. heldreichii ($M^h$) 는 Ae. comosa (M)와 Ae. uniaristate(N)의 중간위치의 게놈으로 나타났고, UM게놈을 가진 4배체종의 M게놈 공여종으로 판단되었다. 그리고 Ae. squarrosa는 재배밀의 D게놈 공여종임을 확인하였다. 3. 6배체성 Ae. triaristate(UMN)는 4배체성 Ae. triaristate(UM)보다는 Ae. columnaris(UM)와 더 근연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Ae. ventricosa(DN)은 U게놈이 N게놈보다 더 근연인 것으로 나타났다. 4. AFLPs에 의한 군집형성은 5개의 군집으로 구분되었고 이는 기본적으로 Gihara의 Section군과 일치하였고, 다양성분석, 게놈분석 등에 보다 효율적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메밀(Fagopyrum species)의 생장에 따른 플라보노이드 함량의 품종별 차이 (A time-course study of flavonoids in buckwheats (Fagopyrum species))

  • 이민기;박석훈;김선주
    • 농업과학연구
    • /
    • 제38권1호
    • /
    • pp.87-94
    • /
    • 2011
  • Flavonoid contents of common buckwheat (cv. Kitawase) and tartary buckwheat (cv. Hokkai T 8, Hokkai T 9 and Hokkai T 10) were determined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Moreover, they were measured at different plant developments such as 10, 18, 20, 22 and 30 days after sowing (DAS) and with plant parts including leaf, stem and flower harvested at 30 DAS. Total flavonoids including chlorogenic acid, four kinds of C-glycosylflavones (orientin, isoorientin, vitexin, isovitexin) and rutin of tartary buckwheats (range of 44.2-54.7, mean 44.2) were found 35% higher than those of common buckwheat (28.9 mg/g dry wt.). Among them, rutin was measured above 80% of total flavonoid contents. The other flavonoids (chlorogenic acid and four kinds of C-glycosylflavones) presented the highest level at 10 DAS and decreased according to plant developments. On the other hand, rutin content of Kitawase presented the highest level (33.6 mg/g dry wt.) at 22 DAS and decreased up to 30 DAS. Rutin content in tartary buckwheat temporarily decreased from 10 to 18 DAS and then reversely increased up to 30 DAS presented the highest level as 'U' curve. In Hokkai T 10, rutin content was found the highest level (53.8 mg/g dry wt.) at 30 DAS. In different plant parts harvested at 30 DAS, rutin content of leaf (range of 42.8-68.0, mean 57.0) was 5.3-fold higher than that of stem (range of 8.0-15.9, 10.8 mg/g dry wt.), regardless of cultivar. Significantly, rutin content (78.7) in the flower of Kitawase was 1.8 times higher than in the leaf and 9.8 times in the stem. Especially, chlorogenic acid content (14.6 mg/g dry wt.) in the flower of Kitawase was 63-fold higher than in the leaf, and 20-fold in the stem.

세척인삼 유통 현황과 포장전 2-phenylethyl Alcohol 훈증이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Marketing of cleaned fresh ginseng and pre-packaging fumigation of 2-phenylethyl alcohol on ginseng storability)

  • 김선익;성봉재;김현호;황용수
    • 농업과학연구
    • /
    • 제38권2호
    • /
    • pp.205-212
    • /
    • 2011
  • The potential factors for quality loss of cleaned fresh ginseng and technology to be associated with the improvement of marketability through pre-packaging fumigation were examined. Major microorganisms isolated from fresh ginseng included Botrytis cinerea, and Erwinia sp. Others such as Cylindrocarpon sp., Fusarium spp., Pennicilium spp., Bacillus spp. were also found at relatively low frequency. The bacterial density of vacuum packaged fresh ginseng rapidly increased during simulated marketing. Little correlation between bacterial growth and package swelling was found. In order to improve packaging method of fresh ginseng, pre-packaging treatment of 2-phenylethyl alcohol (PE, 100 uL/L, 4 hr) was examined. The fumigation treatment effectively inhibited the growth of bacteria density and also effective on keeping firmness of ginseng root, especially in cortical portion. The internal gas compositions of plastic container packaged for ginseng were approximately ranged between 6 to 8% $O_2$and 3 to 4% $CO_2$. The $O_2$ level of fumigation treatment was lower than control whereas $CO_2$ level was higher. The upsurge of ethylene evolution I day after simulated marketing was found only in fumigation treatment but it returned to ordinary level at day 2. The sucrose content of 2-PE treatment was significantly reduced at 5 days after simulated marketing but reducing sugars like glucose and fructose remained at higher level. The difference in sugar levels was reduced after 10 days of simulated marketing. The decay of fresh ginseng began at the lateral or fine root, which is weak to physical damage, in general. The epidermis was more damaged. Plastic container packaging with PE fumigation could be an alternative to vacuum packaging, which allows an aerobic environment and prevents anaerobic respiration. Further study of pre-package fumigation is required to improve technology of fresh ginseng marketing.

Development of an efficient genotyping-by-sequencing (GBS) library construction method for genomic analysis of grapevine

  • Jang, Hyun A;Oh, Sang-Keun
    • 농업과학연구
    • /
    • 제44권4호
    • /
    • pp.495-503
    • /
    • 2017
  • Genotyping-by-sequencing (GBS) is an outstanding technology for genotyping and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discovery compared to next generation sequencing (NGS) because it can save time when analyzing large-scale samples and carries a low cost per sample. Recently, studies using GBS have been conducted on major crops and, to a greater extent, on fruit crops. However, many researchers have some problems due to low GBS efficiency resulting from low quality GBS libraries. To overcome this limitation, we developed an efficient GBS library construction method that regulates important conditions such as restriction enzymes (RE) digestion and a PCR procedure for grapevine. For RE digestion, DNA samples are digested with ApeKI (3.6U) at $75^{\circ}C$ for 5 hours and adapters are ligated to the ends of gDNA products. To produce suitable PCR fragments for sequencing, we modified the PCR amplification conditions; temperature cycling consisted of $72^{\circ}C$ (5 min), $98^{\circ}C$ (30 s), followed by 16 cycles of $98^{\circ}C$ (30 s), $65^{\circ}C$ (30 s), $72^{\circ}C$ (20 s) with a final extension step. As a result, we had obtained optimal library construct sizes (200 to 400 bp) for GBS analysis. Furthermore, it not only increased the mapping efficiency by approximately 10.17% compared to the previous method, but also produced mapped reads which were distributed equally on the19 chromosomes in the grape genome. Therefore, we suggest that this system can be used for various fruit crops and is expecte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various genomic analysis performed.

농업용 트랙터의 승차 진동 수준 평가 (Evaluation of Ride Vibrations of Agricultural Tractors)

  • 김호중;김경욱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33권3호
    • /
    • pp.151-156
    • /
    • 200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ride vibrations experienced by tractor operators during plowing, rotovating, and transporting operations in Korea. Field data of ride vibrations were taken at the operator-seat interface from 49 tractors and analyzed on the basis of ISO 2631-1 and EU Directive 2002/44. Of the measured ride vibrations 15.4% in the plowing and 12.5% in farm road transport exceeded the 8-hour fatigue decreased proficiency boundary in the fore and aft directions at frequencies from 1 to 5 Hz. 93.9% exceeded the 8-hour potential health risk of ISO 2631-1. The ride vibrations exceeding the 8-hour exposure limit were 38.5% in plowing, 31.6% in rotovating, 100% in farm road transport and 88.9% in concrete road transport. Although most tractor operators were not exposed to ride vibrations greater than the 8-hour exposure limit value (ELV) of EU Directive 2002/44, 7.7% of the operators in the plowing experienced greater vibrations than the ELV in the fore-aft direction. Farm road transport produced greater vibrations than any other operations. Concrete road transport, plowing and rotovating operations followed next. Limit criteria for ride vibration exposure differ depending upon the guidelines. Exposure limit of the health guidance caution zone of ISO 2631-1 is lowest among its kin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