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yrosine-475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3초

The Importance of Tyr-475 and Glu-506 in $\beta$-Galactosidase from L. lactis ssp.lactis 7962

  • Yang, Eun-Ju;Lee, Jung-Min;Lee, Hyong-Joo;Kim, Jeong-Hwan;Chung, Dae-Kyun;Lee, Jong-Hoon;Chang, Hae-Choo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3권1호
    • /
    • pp.134-138
    • /
    • 2003
  • The secondary and tertiary structures of ${\beta}$-galactosidase from L. lactis ssp. lactis 7962 were designed using Nnpredict and Sybyl version 6.3. By using site-directed mutagenesis, the mutated enzymes, Tyr-475-phe and Glu-506-Asp, were generated based on the structural modeling of L. lactis ssp. lactis 7962. The enzymes Tyr.-475-Phe and Glu-506-Asp had <$1\%$ of the activity of the native enzyme with ONPG as substrate. The $V_{max}$ values of the mutated enzymes were greatly reduced (1,800~40,000-1314) compared with the value for the native ${\beta}$-galactosidase. However, the $K_m$ values of Tyr-475-Phe and Glu-506-Asp with ONPG, PNPG, PNPF, and PNPA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of the native enzyme. The results obtained support the suggestion that Tyr-475 and Glu-506 constitute very important parts of the catalytic machinery of the ${\beta}$-galactosidase.

Functional Analysis of the Heptasequence SPTSPTY in the Transcriptional Activation Domain of Rat Nuclear Factor 1-A

  • Hwang, Jung-Su;Son, Kyung-No;Rho, Hyune-Mo;Kim, Ji-Young
    • BMB Reports
    • /
    • 제32권5호
    • /
    • pp.468-473
    • /
    • 1999
  • Nuclear Factor 1 (NF1) proteins are a family of transcriptional factors consisting of four different types: NF1-A, -B, -C, and -X. Some NF1 transcription factors contain a heptasequence motif, SPTSPSY, which is found as a repeat sequence in the carboxy terminal domain (CTD) of the largest subunit of RNA polymerase II. A similar heptasequence, SPTSPTY, is contained in rat liver NF1-A at a position between residues 469 and 475.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oles of the individual amino acids of the heptasequence of rat liver NF1-A in transcriptional activation, we systematically substituted single and multiple amino acid residues with alanine residue(s) and evaluated the transcriptional activities of the mutated NF1-A. Substitution of a single amino acid reduced transcriptional activity by 10 to 30%, except for the proline residue at position 473, whose substitution with alanine did not affect transcriptional activity. However, changes of all four serine and threonine residues to alanine or of the tyrosine residue along with the serine residue at position 469 to alanine reduced the activity to almost background levels. Our results indicate that multiple serine and threonine residues, rather than a single residue, may be involved in the modulation of the transcriptional activities of the factor. Involvement of the tyrosine residue is also implicated.

  • PDF

대구피 젤라틴의 효소적 가수분해물을 이용한 조미간장의 제조 (Preparation of Imitation Sauce from Enzymatic Hydrolysate of Cod Skin Gelatin)

  • 김세권;안창범;강옥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70-475
    • /
    • 1993
  • 대구피 젤라틴을 효소적으로 가수분해하여 얻어진 가수분해물의 분자량 분포 및 아미노산 조성을 살펴보고 이 가수분해물을 이용해 조미간장을 제조하였고 그 품질을 시판 간장과 관능적으로 비교, 검토하였다. 가수분해물의 분자량은 5,800Da영역이 주종이었으며 분자량 1,100Da, 1,500Da및 2,700Da정도의 펩티드성 분자도 존재하였다. 아미노산은 단맛을 내는 아미노산(glycine, proline, serine, alanine 및 hydroxypro-line)과 감칠맛, 신맛을 내는 아미노산(glutamic acid, aspartic acid)이 전체의 65.9%를 차지하고 있었다. 반면 쓴맛을 내는 아미노산(arginine, tyrosine, phenylala-nine, valine, leucine, methionine 및 histidine)은 전체의 26.65%에 불과하였다. 가수분해물 10.0g,식염 10.0g, 설탕 3.0g, MSG 0.5g, 카라멜분말 0.1g, 양조식초 3.0$m\ell$, 마늘분말 0.05g, 검은 후추분말 0.1g 및 감초분말 0.2g을 물 100.0$m\ell$에 용해하여 열처리한 다음 여과하여 얻어진 원액과 시판 양조간장을 8 : 2(v:v)의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한 조미간장은 시판 3종류의 화학간장과 비교해 관능적으로 손색이 없었다.

  • PDF

황산화 단백질의 알칼리 가수분해에 의한 쥐 뇌의 단백질 황산기전달효소의 추가특성 연구 (Further Characterization of Protein Sulfotransferase(s) of Rat Brain by Alkaline Hydrolysis of Sulfated Proteins)

  • 유재욱;최명언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468-475
    • /
    • 1990
  • 개선된 방법인 알칼리 가수분해와 얇은 층 cellulose전기 영동 (TLE)으로 in vitro 조건에서 쥐 뇌의 용해부분에서의 단백질 황산화의 특성을 추가로 조사하였다. 단백질 황산화는 방사능을 띤 [35 S] 3'-phosphoadenosine-5'-phosphosulfate (PAPS),Tris-maleate buffer (pH 8), MgCI$_2$, 그리고 쥐 뇌의 용해 단백질이 포함된 반응체 내에서 실행되었다. 황산화된 단백질들은 acetone에 의해 침전된 후 황산화된 아미노산을 얻기위해 알칼리 가수분해를 하였다. 더나아가 그 가수분해물을 TLE로 분리하고 황산화된 잔기들을 fluorography를 통해 확인하였다. 일차원 TLE의 fluorography에서는 tryosine-O-sulfate를 포함한 적어도 9개의 황산된 잔기들이 나타났다. tryosine-O-sulfate를 제외한 다른 잔기들은 아직 분명하게 밝혀지지 않고 있다. 이런 방법으로 단백질 황산기전달효소(PST)의 일반적 성질들 즉, PAPS농도, pH,반응온도,그리고 $Mg^2$+등의 효과를 재조사하였다. 이런 결고들은 쥐 뇌에서 각황산화된 잔기들에 해당하는 여러개의 PST의 존재가 가능하며 단백질 황산화가 tryosine뿐만 아니라 다른 잔기들에서도 일어날 수 있음을 암시한다.

  • PDF

붉은 지렁이(Lumbricus rubellus) 체내로부터 정제한 Phenoloxidase (Endogenous Phenoloxidase Purified from an Earthworm, Lumbricus rubellus)

  • 백승렬;조은정;유경희;김유삼;서정진;장정순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36-46
    • /
    • 1996
  • 붉은 지렁이(Lumbricus rubellus)로부터 체내에 존재하는 phenoloxidase (EPO)를 ammonium sulfate. Blue-2, Phenyl-, Q-sepharose chromatography등을 이용하여 정제하였다. 이 효소는 SDS-PAGE상에서 59 kDa의 분자량을 갖는 단일 단백질로 나타났으며 nondenatudng-PAGE를 이용하여 DL-dopa를 기질로 in situ 염색 결과, 210 kDa 보다 다소 큰 단일 band가 dopachrome 침착에 의해 형성되었다. 이는 곧 이 효소가 자연상태에서 복합체의 형태로 존재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이 효소는 monophenolase 활성도, 즉 tyrosine을 dopa로 전환시키는 활성도도 갖고 있음을 470nm에서 dopachrome축적을 관찰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었다. Phenyithiourea(PUT), 1, 10-phenanthroline, EDTA, EGTA등을 사용한 효소억제 실험 결과, PTU만이 65 $\mu$M의 IC 0.5로 효소 활성도를 효과적으로 억제시켰다. 이는 EPO의 촉매기작에서 구리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 효소는 L-dopa를 기질로 사용하였을 때 35$^{\circ}C$와 pH8.0에서 최적의 활성도를 나타내었다. EPO의 L-dopa에 대한 Km은 pH6.5와 8.0에서 각각 1.86 mM과 13.8 mM로 나타났다. 또한, pH 8.0에서 Vmax는 pH 6.5에서 보다 약 6.6배 높은 반면, 각 조건에서 촉매 효율성은 거의 차이가 없음 [(kat/Km)pH8.0/(kcat/Km)pH6.5 = O.92]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 사실은 EPO 촉매기작에 미치는 pH의 효과가 효소 자체에보다는 기질 또는 효소-기질 복합체 형성과정에 영향을 줌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사실을 종합해 보면, L. rubellus에 존재하는 phenoloxidase는 oligomeric form을 가지며 활성화 되기 위한 제한적 단백질 가수분해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prophenoloxidase activating system의 존재 가능성을 완전히 배재할 수는 없으나 지렁이 체내의 PO는 최소한 부분적으로나마 latent from으로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외부 침입시 host를 보호하기 위한 방법으로 EPO를 latent from으로 유지 시킬 수 있는 또는 활성화 시킬 수 있는 조절기작의 존재를 예측하게 한다.

  • PDF

흰점박이꽃무지 사료첨가제로서 새싹보리의 곤충병원성 세균에 대한 항균 효과에 관한 연구 (Evaluation of Sprouted Barley as a Nutritive Feed Additive for Protaetia brevitarsis and Its Antibacterial Action against Serratia marcescens)

  • 송명하;김낭희;박관호;김은선;김용순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475-480
    • /
    • 2021
  • 국내에서 2016년 흰점박이꽃무지 등 일부 곤충이 식품원료로 등록되면서 곤충사육 농가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곤충사육 농가가 보유하고 있는 사육기술, 병해충 관리기술이 농가별로 차이가 있고, 대량으로 곤충을 사육하면서 높은 사육밀도, 병충해 감염 등으로 인해 곤충이 대량 폐사하게 됨으로써 곤충사육 농가에 심각한 경제적 손실을 입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영양성분을 함유할 뿐만 아니라 항균, 항염증 등의 효과를 가진 새싹보리를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주 먹이원인 발효톱밥에 첨가하여 주 먹이원 첨가제로써 적용 가능성 및 곤충병원성 세균에 대한 항균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주 먹이원에 5%와 10% 새싹보리를 첨가했을 때 유충의 증체율이 19.2%와 23.1%로 높았고, 사육 기간이 대조군 대비 단축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새싹보리는 곤충병원성 세균 Serratia marcescens의 성장을 저해하고, 세균에 감염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생존율과 증체율이 건강한 유충의 수준으로 회복되는 경향을 보였다. 뿐만 아니라 새싹보리를 첨가한 먹이원으로 사육한 유충의 영양성분 분석 결과, 조단백질, 조지방, 구리, 아연, 칼륨 등 미네랄 및 아미노산 함량이 대조군보다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주 먹이원에 새싹보리를 첨가한다면 단기간에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곤충병원성 세균 감염에 의한 폐사를 효율적으로 예방할 수 있어 안정적인 곤충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