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wo-spotted spider mite

검색결과 81건 처리시간 0.027초

점박이응애의 사과 품종(후지, 쓰가루, 홍로)에 대한 선호성과 생명표 분석 (Preference of Apple Leaves of Three Cultivars, Fuji, Tsugaru and Hongro by Tetranychus urticae Koch and Its Life Table Analysis)

  • 김영일;정철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0권1호
    • /
    • pp.63-70
    • /
    • 2021
  • 점박이응애는 광식성 초식자로서, 사과의 주요 해충 중 하나이다. 사과 품종에 따라 점박이응애의 밀도 형성이나 피해 규모가 다르게 나타난다. 세 가지 품종, 쓰가루, 홍로, 후지의 잎에 대한 점박이응애의 이동 선호성, 발육속도, 그리고 산란능력이 다른지를 시험하였다. 잎 절편을 이용한 실험 결과, 이동 선호성은 쓰가루나 홍로보다 후지 잎에서 높았다. 알에서 성충까지 발육기간은 후지 잎에서 가장 짧았고 홍로에서 가장 길었다. 암컷 성충 수명은 후지에서 가장 짧았다. 암컷의 총산란수는 사과 품종에 따라 다르지 않았지만, 일 평균 산란수는 후지에서 높았다. 생명표 분석 결과 홍로 잎에서 점박이응애의 적합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사과원에서 품종에 따른 점박이응애 발생 양상의 차이를 설명해 주고 있으며, 향후 다양한 사과 품종에 대한 평가를 통해, 품종별 응애류 관리 전략 개발에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점박이응애의 약제저항성(藥劑抵抗性) 수준결정방법(水準決定方法) 비교(比較)와 Benzomate, Cyhexatin 및 Dicofol 저항성(抵抗性) 조사(調査) 연구(硏究) (Method Comparison of Chemical-Resistance Level Determination and Field Resistance of Two-Spotted Spider Mite, Tetranychus urticae Koch to Benzomate, Cyhexatin, and Dicofol)

  • 이승찬;김운영;김상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33-138
    • /
    • 1986
  • 점박이응애(Tetranychus urticae Koch)에 대(對)한 약제저항성(藥劑抵抗性) 수준(水準)의 결정방법(決定方法) 개선(改善)을 위한 시험(試驗)과 benzomate, dicofol 및 cyhexatin 에 대(對)한 과수원(果樹園) 계통별(系統別) 응애에 대(對)한 관용약제(慣用藥劑)의 저항성(抵抗性) 수준(水準)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 1. 점박이응애계통(系統)을 $LC_{50}$치(植)로 비교(比較)할 때 benzomate 에 대(對)하여 금천계통(系統)이 광주감수성계통(光州感受性系統)에 비(比)하여 slide dip법(法)으로는 75배(倍)이고 leaf dip법(法)으로는 69배(倍)이며, 학교계통(系統)은 slide dip법(法)으로는 38배(倍)이고 leaf dip법(法)으로는 35배(倍)의 저항성(抵抗性) 수준(水準)을 나타냈으며, 이 두 방법간(方法間)에는 t-test (P>0.05) 에서 유의(有意)하지 않았다. 2. Dicofol에 대(對)하여는 금천계통(系統)이 slide dip법(法)으로 71배(倍)이고 leaf dip법(法)으로는 74배(倍)이며, 학교계통(系統)은 slide dip법(法)으로 24배(倍)이고 leaf dip법(法)으로 는 23배(倍)의 저항성(抵抗性) 수준(水準)을 보여 두 방법간(方法間) 역시 t-test (P>0.05) 에서 유의(有意)하지 않았다. 두 방법(方法) 중 slide dip법(法)이 더 정확(正確)하고 시험오차(試驗誤差)가 더 적으므로 응애류(類)의 약제저항성(藥劑抵抗性) 수준결정(水準快定)에는 이 방법(方法)의 이용(利用)이 바람직스럽다. 3. Cyhexatin에 대(對)한 비아, 금천 및 학교계통(系統)은 slide dip법(法)에 의하여 각각(各各) 19, 18 및 9배(倍)의 저항성(抵抗性) 수준(水準)을 나타냈다.

  • PDF

단감수출단지 과원과 수출단감 병해충 조사 (A Survey on Diseases and Insect Pests in Sweet Persimmon Export Complexes and Fruit for Export in Korea)

  • 정영학;유은주;손대영;권진혁;이동운;이상명;추호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157-169
    • /
    • 2014
  • 단감 병해충의 관리와 원활한 수출 정보를 위하여 2010년부터 2012년까지 3년 동안 전남 순천, 경남 진주, 창원(동읍과 북면), 김해, 그리고 울산 울주지역의 수출과원과 비수출과원과 수확과에서 병해충을 조사하였다. 수출 단감과원에서 확인된 병은 모무늬낙엽병, 탄저병, 둥근무늬낙엽병, 흰가루병, 잿빛곰팡이병이었고, 그 중 둥근무늬낙엽병의 피해가 높은 편이었다. 과일에서는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와 Colletotrichum acutatum 탄저병의 피해가 문제였다. 발견된 해충은 5목 20과 32속 33종이었고 점박이응애도 발생하였다. 그 중 애무늬고리장님 노린재와 식나무깍지벌레, 애모무늬잎말이나방이 비교적 넓은 지역에서 발생하고 있었고, 담배거세미나방, 차잎말이나방 등도 발생하고 있었다. 해충에 의한 피해는 매우 낮았다. 검역대상 해충인 복숭아명나방과 감꼭지나방은 거의 발생하지 않았거나 문제가 되지 않았고, 감나무애응애, 온실가루깍지벌레는 전혀 발견되지 않았다. 선과장과 수출과에서는 이들 검역대상 해충인 복숭아명나방, 감꼭지나방, 감나무애응애, 온실가루깍지벌레는 전혀 발견되지 않았고, 깍지벌레와 점박이응애가 낮은 비율로 발견되었다. 병으로는 진주와 김해의 저장고 수확과에서 C. acutatum탄저병 이병과가 1개 과에서만 발견되었다.

전남지역 유기 딸기재배지에서 제충국과 멀구슬 추출물을 이용한 점박이응애 방제 및 천적에 대한 독성 (Management of Two Spotted Spider Mite, Tetranychus Urticae, on Organic Strawberry Field in Jeonnam Area and Toxicity of Natural Enemies Against Crude Extract of Chrysanthimum cinerariefolium and Melia azedarach)

  • 김도익;김선곤;강범용;고숙주;김진섭;김상수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11-226
    • /
    • 2009
  • 유기재배 딸기 해충 방제를 위해 제충국과 멀구슬 추출물의 천적에 대한 독성과 함께 점박이응애 방제체계를 확립하기 위해 포장에서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칠레이리응애에 대한 제충국과 멀구슬의 살비율은 높았으나, 유럽애꽃노린재에 대해서는 낮았다. 제충국의 칠레이리응애에 대한 잔효독성은 아주 낮았으나 멀구슬은 최소한 1일 정도는 지나야 천적에 안전하였다. 기생성 천적의 우화율은 7일째에 대부분 40%내외로 나타내 천적에 약간의 피해를 주었다. 황온좀벌의 방사시에는 반드시 멀구슬 살포 이후에 하여야 한다. 제충국을 먼저 살포하여 점박이응애를 방제하기 위해 포장에서 2회 또는 3회 교호로 살포한 경우, 제충국+멀구슬처리와 제충국+제충국+멀구슬을 1주 간격으로 살포하면 15일째에 밀도가 억제 되었으나 이후 밀도가 다시 증가하였다. 제층국+멀구슬+제충국 처리시 8일째에 31.7%로 낮아졌으나, 15일 이후 30일째까지 밀도가 억제되지 못하고 증가하였다. 멀구슬을 먼저 살포한 경우, 멀구슬+제충국, 멀구슬+멀구슬+제충국, 멀구슬+제충국+멀구슬 살포시 초기에 점박이응애의 밀도가 급격히 떨어져 30일째까지 낮은 밀도가 유지되어, 멀구슬을 먼저 살포하고 제충국이나 멀구슬을 교호로 1회 더 살포하는 처리가 효과적이었다. 제충국을 살포 전 후에 천적을 방사하면 칠레이리응애의 밀도는 거의 변동 없이 유지하였으나, 점박이응애의 밀도가 증가하는 8일 이후에 밀도를 충분히 억제하지 못하였다. 멀구슬은 살포전이나 후 모두 초기부터 점박이응애의 밀도가 떨어지면서 칠레이리응애 역시 같이 밀도가 떨어져 8일 이후부터는 더 이상의 발생이 없었다.

  • PDF

난황유의 점박이응애(Tetranychus urticae) 방제효과 (Effect of COY(Cooking Oil and Yolk Mixture) on Control of Tetranychus urticae)

  • 박종호;류경열;이병모;지형진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249-254
    • /
    • 2008
  • 점박이응애의 친환경적인 방제방법을 개발하기위해 식용유와 계란 노른자를 재료로 한 난황유(COY)를 이용하여 점박이응애 성충에 대한 살비효과를 실험실과 유리온실에서 검정하였다. 해바라기유, 콩기름, 카놀라유, 올리브유를 재료로 한 난황유를 사용하여 살비력을 비교 검정하였으나 식용유의 종류에 따른 살비효과에서는 차이가 나지 않았다. 난황유를 점박이응애에 살포하였을 때 식용유의 농도가 0.1%에서 1%까지 증가할수록 살비율은 17.6%에서 94.1%로 높아졌으며 난황유의 처리 방법도 처리량이 많을 경우 살비력이 더 높았다. 점박이응애의 알을 난황유에 침지 처리했을 경우 살란율은 95%였다. 점박이응애가 발생한 장미재배 온실에 0.3%의 해바라기유로 제조한 난황유를 3회 살포 후 69.0%에서 93.9%의 높은 방제효과를 확인하였다.

시설농업지에서의 해충과 천적의 발생상 (Insect Pests and Their Natural Enemies in the Controlled Agricultural Farms)

  • 서미자;안수정;박덕기;윤영남
    • 농업과학연구
    • /
    • 제24권1호
    • /
    • pp.21-28
    • /
    • 1997
  • 전국 일원의 시설 재배 농가 중 353 농가를 방문하여 해충 및 천적의 분포를 조사한 결과 전체 조사 농가의 73%에서 총 52종의 해충이 발생되고 있었으며 이 중 꽃노랑총채벌레, 점박이응애, 온실가루이, 목화진딧물, 복숭아혹진딧물 등이 주요 해충으로 조사되었다. 천적의 발생은 아주 미미하였으나 방문 농가의 11%인 40개소의 시설재배 농사에서 확인하였으며 이는 해충이 발생한 농가의 약 17%에서 볼 수 있었다. 주요 천적으로는 전체 조사 천적 중 진디벌류가 63%, 무당벌레류가 20%, 애꽃노린재류가 8%를 차지하였으며 이들 이외에도 꽃등에류, 포식응애류, 풀잠자리류, 좀벌류, 혹파리류가 채집되었다. 또한 주요 작물별 해충과 천적의 발생정도를 살펴본 결과 토마토에서는 온실가루이, 오이에서는 꽃노랑총채벌레, 목화진딧물, 참외 및 수박에서는 꽃노랑총채벌레와 응애류, 고추에서는 복숭아혹진딧물과 꽃노랑총채벌레, 딸기에서는 응애류와 진딧물류 등이 주요해충으로 조사되었다.

  • PDF

딸기 시설재배지에서 점박이응애의 발생과 분포 (Occurrence and distribution of Tetranychus urticae Koch (Acarina: Tetranychidae) in strawberry greenhouse)

  • 최용석;황인수;김규상;조효려;서정학;박덕기;이영수;유용만
    • 농업과학연구
    • /
    • 제41권4호
    • /
    • pp.315-319
    • /
    • 2014
  • Mean densities of two-spotted spider mite (TSM), Tetranichus urticae Koch adults from January to April in 2014 to investigate the occurrence and dispersion pattern of T. urticae on purpose of developing a monitoring method in the strawberry PVC house. Difference of density of T. urticae adult on middle and both side of leaf wasn't significantly. Density of T. urticae in investigation at different furrows and investigating points was the highest at the right and left sides of a furrow in strawberry PVC house. In results of comparing the dispersion incides of Taylor's power law (TPL) with Iwao's patchiness regression (IPR), TPL described better mean-relationship for the dispersion indieces compared to IPR. Slopes and intercepts of TPL from leaf samples did not differ among surveyed regions. Also, Distribution of T. urticae in a strawberry PVC house was the gravitation of the distribution because b and ${\beta}$ values of TPL and IPR was bigger than 1.

경북지방 사과원의 동계 절지동물(Arthropoda)상 (Observation on the Fauna of Arthropods form Apple Orchards in Winter in Kyongbuk Province)

  • 이영인;권기면;이순원;류하경;류언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31-236
    • /
    • 1997
  • 경북지역 동계 사과원의 절지동물상을 조사한 결과 사과나무 유인밴드 내에서는 3강 19목 58과가 채집, 분류.동정되었고, 그중 점박이응애(Tetranychus urticae Koch) 53%, 사과면충(Eriosoma lanigerum Hausmann) 16.7%, 은기문목(날개응애류) 13.3%, 톡토기목(Collembola) 9.3%순으로 나타나 초식자가 가장 많았고, 다음이 부식자였으며 천적은 드물게 조사되었다. 사과나무 낙엽에서는 2강 12목 17과가 조사되었는데, 그중 점박이응애가 63.1%로 우점이었고, 톡토기목이 13.7%였으며, 기타 절지동물은 몇 개체씩만 조사되었다. 사과나무 아래 토양에서는 2강 9목 18과가 조사되었는데, 톡토기목이 37.9%, 날개응애류가 34.4%, 점박이응애가 16.1% 순으로 나타나 부식자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이 초식자였고 천적류는 몇 개체씩만이 조사되었다.

  • PDF

아프리카산 식물체 추출물의 벼멸구 및 점박이응애에 대한 살충 및 살비활성 (Insecticidal and Acaricidal Activities of African Plant Extracts against the Brown Planthopper and Two-Spotted Spider Mite)

  • I. G. Hiremath;Young Joon Ahn;Soon Il Kim;Byung Ryul Choi;Jum Rae Cho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00-205
    • /
    • 1995
  • 아프리카 나이제르산 13관 21종 식물체의 부위별로 채집된 31 시료 메탄올 추출물의 벼멸구에 대한 살충활성 및 점박이이응애에 대한 살비활성을를 가각 미량국소처리법과 잎침지법으로 조사한 결고, 시료의 부위 및 종에 따라 살충 및 살비활성에 커다란 차이를 보였다. Caesalpinacras과의 Cassia occidentalis와 Cassia tora 전부위 및 Mimosaceas 과의 Prosopis chinensts줄기의 메탄올 추출물은 벼멸구에 대해서 강한 살충활성을 보인 반면, 비름과의 Celosia trigyna 전부위, Combretaceae과의 Combretum glutinotum 잎과 Combretum micronthum 전부위 및 Prosopis chinensis 잎과 열매의 메탄올 추출물은 점박이응애에 대해 강한 살비활성을 나타내었다.

  • PDF

새로운 pyrazole oxime ether 유도체의 살충활성 연구 (Preliminary studies on Insecticidal activities of 5-substituted pyrazole oxime ether derivatives)

  • 박노중;박현자;박민섭;이기인
    • 농약과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258-264
    • /
    • 2004
  • 효과적인 살충제로 pyrazole 계통의 화합물이 널리 알려졌으며, 이중에 fenpyroximate와 tebufenpyrad는 시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fenpyroximate의 새로운 유도체로써 5-번 위치가 치환된 pyrazole oxime ether를 합성하였다. 본 연구의 핵심 중간체인 4-formyl-5-chloro-pyrazole 2는 ethyl acetoacetate와 methylhyazine의 축합반응으로 얻은 pyrazolone 1을 Vilsmeier-Haack chloroformylation을 통하여 합성하였다. 2에 nucleophilic aromatic substitution 반응을 하여 질소고리화합물이 5-번 위치에 도입된 pyrazole aldehyde 3a-i를 만든 후, 차레로 oxime 화합물 4a-i 그리고 oxime ether 화합물 6a-i를 각각 합성하였다. 합성된 화합물 중에서 6d는 벼멸구 (Brown Planthopper, BPH), 배추좀나방 (Diamondback Moth, DBM), 점박이응애 (Two Spotted Spider Mite, TSSM)에서 높은 활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는 fenpyroximate의 살충활성과 비슷하였다. 본 결과는 6d가 다양한 곤충 및 응애에 대하여 효과가 우월하여 살충, 살비제로써 개발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