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will

검색결과 118건 처리시간 0.022초

해방이후 한복용 단직물의 변천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changes of the Dan (緞) Fabrics for Hanbok Since 1945)

  • 신혜성;홍나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715-724
    • /
    • 2003
  • The Korean clothing culture has shown rapid changes along with influences of western cultures, with social changes due to the liberation from Japan, the Korean War, and the economic growth concentrated on export since the westernization of Korea had begun. Also clothing materials, as a phase of such culture, have been changed. Among silk fabrics, "Dan (단: damask of satin texture with Korean traditional patterns are inwoven)", which has been concerned one of the most beautiful and precious fabrics due to its complexity and difficulty of processing. Since the beginning of the Era of Enlightenment(Kae-hwa-gi), Dan fabric materials and weaving methods have changed. It seems that the figured texture using the Jacquard loom began in 1936. when the Jacquard machine began to be imported from Japan into Korea. From that time on, new fabric materials, such as yangdan (양단), and popdan (법단), hobakdan (호박단), silk and rayon mixed Dan(교직양단) began to be produced. Before 1950's there were some restrictions about the Number of wefts, so the production of the one colored dan(단색단) was more common than that of the multi colored dan(다색단). But with the spread of 4$\times$4 shuttle box loom (양사정직기), various kinds of the multi colored dan have been produced after 1960's. Around the end of 1980's, automatic shuttle change loom have been generalized and 7 color dan(칠색단), 9 color gumsadan (구색금사단) have been current in multi colored dan. In terms of materials, synthetic and chemical textiles had been used widely and alter 1980's most fabrics, of which the ground weave is not being woven with satin-weave but being woven with plain or twill-weave, are named Dan in general.

직물의 구조와 감각특성에 따른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의 주관적 태평가 비교 (The Comparison of Subjective Evaluation of Band between On-line and Off-line by Structure and Sensibilities of Fabric)

  • 김희숙;조신현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10
    • /
    • 2007
  • This research was designed to compare the subjective evaluation of Hand between on- and off-line by structure and sensible characteristics of fabric. 113 subjects who have a fashion design major evaluated the subjective evaluation of Hand of various 16 kinds of specimens on- and off-line. T-test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by SPSS WIN 11.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of the evaluation score indicated that Crash and Satin show high correlation between two kinds of evaluation score. But, fabrics which have distinct characteristics such as Plush, Dobby, Seersucker represented low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ults of t-test fer the difference of the evaluation score showed that thin fabrics like Organdy represent a large difference between on- and off-line evaluation. On the other hand, twill weaved fabrics like Drill, Tweed, Saxony did not show many differences. Analysing each item in terms of correlation of evaluation of hand between on- and off-line gave results that the shininess was most deliverable through on-line and density and the dryness was not so deliverable through on-line. Comparison of evaluation score between on- and off-line items showed that the estimation to real fabric is more negative than that of on-line. The results of most preferable hand between on-and off-line showed exact opposite preference between shinny, smooth and soft Satin and rough, woolen Tweed. Organdy showed the most different subjective evaluation of hand in real ones compared with that of on-line.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목조불상 복장직물의 종류와 특성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Fabrics of Bokjang Objects Enshrined within Wooden Buddha Statues 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 황진영;박승원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18권
    • /
    • pp.35-50
    • /
    • 2017
  • 국립중앙박물관 목조불상 조사사업 중 복장물에 직물이 포함된 4건 53점의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첫째, 복장직물의 직조 방식을 구분하면 고려시대의 라직물 2점과 능직물 5점이 확인되었으며, 조선시대 특징이 나타나는 단직물과 사직물로 분류되었다. 특히 금동관음보살좌상(덕수801) 복장직물에서는 조선 전기와 후기 특징을 지닌 직물로 분류된 것으로 보아 15세기와 17세기에 2차례에 걸쳐 납입이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높다. 둘째, 직물 무늬의 종류는 꽃무늬와 보배무늬, 과실무늬, 동물이 함께 나타난 식물무늬와 구름무늬로 구성된 자연산수무늬로 구별되었다. 셋째, 복장직물의 수량은 적지만 구성에 따라 모든 방위에 해당될 것으로 추정할 수 있는 직물 편이 발견되었다.

폴리에스터/폴리우레탄 및 나일론/폴리우레탄에 은 문양을 입힌 편직물의 신장-변형 시 전기 전도도 비교 (Comparisons of Electrical Conductivity between Polyester/Polyurethane and Nylon/Polyurethane Woven or Knitted Fabrics with Silver Paste Patterns in Elongation-Strain test)

  • 김혜진;윤창상;김종준
    • 패션비즈니스
    • /
    • 제23권2호
    • /
    • pp.1-17
    • /
    • 2019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lectrical conductivity of fabrics from polyester (PET) and Nylon (N) containing polyurethane (PU), with silver paste patterns screen-stenciled in three directions. The PET/PU and N/PU fabrics knitted or woven were uniaxially strain-recovered up to 22.5% in three times when each change in electrical resistance was simultaneously measured. This study established four variables that complexly affected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se specimens; fabric structures, components, cover factors, and the percolation of silver particles. The woven or knitted fabric structures did not distinctively cause the changes in electrical resistance, however, the woven fabrics with the diagonal patterns showed their relatively high electrical resistance. The PET/PU fabrics with increasing the PET proportion generally presented the opposite propensity to its electrical conductivity. The changes in electric resistance of the PET/PU 85/15 2/1 twill and double plain fabrics instantaneously responded to the rate of elongation. The PET/PU group exhibited a reverse correlation between its cover factor and electrical resistivity. The highest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PET/PU 95/5 interlock fabric, with very few fluctuations, was attributed to the deep percolation of the silver particles that bridged the gaps between one loop and another. On the other hand, the occurrence of the silver cracks along with the elongated direction led to the immeasurably high change in electrical resistance as the strain increased.

제직기술과 문양을 통해 본 금직물(錦織物)의 동서교류에 관한 연구 - 고대부터 당시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ultural Exchange of the Weaving Skills and Patterns Witnessed in Geum-textiles between the East and West - from Ancient Times to the Tang Dynasty -)

  • 신혜성
    • 복식
    • /
    • 제62권4호
    • /
    • pp.107-122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nges and developments that occurred as a result of the exchanges of gyeong-geum(經錦), a warp-faced compound weave of East Asia, and wie-geum(緯錦), a weft-faced compound weave of West Asia. In order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this research, topics were narrowed down to the weaving skills and patterns, and the period was limited to the Tang dynasty. The systematic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of gyeong-geum and wie-geum were compared and contrasted through different works of literature. Then the excavated remains of geum-textiles were analyz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geum-textiles were defined in chronological order. The origin of wie-geum is traced back to the time when West Asia started to imitate the weaving style of the East Asian gyeong-geum. When combined with the weaving skills of the West Asian, gyeong-geum, which broke through the West and developed into the weft-faced compound twill silk, or samite. The exchange of geum-textiles took place as the techniques of gastric filament woven geum-textiles returned to the East. Along with the pearl roundel motifs of Sassanian Persia, mythical animals and western motifs of hunter patterns were used for the patterns of wie-geumin during the early Tang dynasty. This tendency is related to pa-sa-geum(波斯錦), ho-geum(胡錦), beon-geum(番錦) according to the recorded literature. The 8th and 9th century are periods when the West Asian Persian style was abandoned and the East Asian style, samite, was established. Not only did S twist silk threads replace Z twists, but also the repetition of patterns unfolded along with the weft and the warp. As this tendency was strengthened after the 9th century, the expression of patterns became more vividly colorful and showed both elements of naturalism and realism. The characteristics of the Bosangwha(寶相花) pattern in the Tang period were established with the rampantly repeated rosettes with birds often holding auspicious branches, that fly amid floral compositions.

강원도 지역 산불발생인자의 지역별 유형화 (Regional Analysis of Forest Eire Occurrence Factors in Kangwon Province)

  • 이시영;한상열;안상현;오정수;조명희;김명수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135-142
    • /
    • 2001
  • 이 연구는 강원도 지역의 시계열 기상자료와 산불발생현황자료를 이용하여 시ㆍ군별 산불발생유형을 구분하고자 지역간 기상요인과 발생원인 그리고 산불발생 일을 근거로 한 지역별 유형화 구분을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기상요인에 의한 산불발생 유형화에서는 최근 6년간의 강원도 소재 기상대의 기상자료를 적용하였으며, 지역과 산불발생원인과의 관련성 규명과 산불발생일의 불일치계수를 이용한 수량화된 다차원척도법 유형화에서는 최근 10년간의 산불발생현황자료를 적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강원도 동해안산불과 같은 대형산불에 관련되는 기상요인으로는 평균온도, 최저온도, 최저초상온도, 평균풍속, 최대풍속 등으로 규명되었다. 둘째, 산불발생원인과 지역간의 관계를 도식화한 대응일치분석 결과에서는 지역과 산불발생원인과의 관계에서 가장 확연히 구분되는 지역으로는 '강릉'의 경우로 '방화'와 깊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삼척'은 '입산자실화'와 '철원', '화천', '양구'지역은 군사훈련과 관계하는 것으로 보여지며, '속초'와 '춘천'의 경우에는 '쓰레기 소각'과 '담뱃불'이 타지역보다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산화발생일을 근거로 각 시ㆍ군의 산불발생 유사성 정도 및 유형화 구분을 위한 다차원척도법 적용결과에서는 강원도 18개 시ㆍ군 지역이 5개의 유형으로 분류되었는데, 유형 I로 구분된 지역으로는 삼척, 강릉, 춘천, 원주, 홍천, 횡성으로 나타났으며, 유형 Ⅱ는 동해, 태백, 양양, 평창지역, 유형 Ⅲ은 정선, 철원, 화천지역, 유형 Ⅵ는 고성, 인제, 양구지역이, 그리고 마지막으로 유형 V는 속초와 영월지역으로 구분되었다. 지금까지의 도출된 연구결과들은 산불현황자료와 기상자료를 기초로 하여 도출된 결과를 근거로 제시하였고, 지역별 산불발생 특성을 보다 체계적으로 구분하기 위하여는 이외에도 지역별 임상요인과 지형 및 사회적 요인에 대한 검토들이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의 경쟁이 생장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지형, 토양, 미기후 조건, 그리고 임목 간의 경쟁관계가 종합적으로 고려된 환경요인에 의한 생장특성을 파악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와 같이 지형기후학적 방법에 의하여 추정된 미기후를 통하여 보다 정확한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무인자동기상관측 망의 설치를 통하여 이를 검증하는 작업이 필요하다.deling of self-similar traffic.ti colored dan have been produced after 1960's. Around the end of 1980's, automatic shuttle change loom have been generalized and 7 color dan(칠색단), 9 color gumsadan (구색금사단) have been current in multi colored dan. In terms of materials, synthetic and chemical textiles had been used widely and alter 1980's most fabrics, of which the ground weave is not being woven with satin-weave but being woven with plain or twill-weave, are named Dan in general.Standards for Livestock Products of Korea". The measured mean concentrations of Ca, Fe, Zn were generally higher than lower limit of labeled value(above 80% of labeled value). The mean concentration of sodium was lower than upper limit of labeled value(below 120% of labeled value).

  • PDF

견사 Lousiness에 대한 연구 (I) (Study of silk lousiness (I))

  • 최병희;김낙정;박광의;남중희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권
    • /
    • pp.1-11
    • /
    • 1963
  • 본 실험은 견직물 Lousiness의 가시조건을 세우고 잠견 Lousiness 검사를 초제련에 의하여 새로운 검사기준을 규정하는 동시에 견사선해부관찰로서 Lousiness 근절가능성과 잠견 Lousiness의 개선여부를 검사하는 데 목적이 있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직물섬유방향이 광선방향과 평면도입장에서 일치할 때 가장 잘 보인다. 그러나 광선방향과 섬유방향의 평면 각도가 커질수록 Lousiness 출현이 감소하고 어느 한계각(30도)을 초과하면 Lousiness가 보이지 않는다. 이 각도를 Lousiness 수평임계각(Lousiness Horizontal Critical Angle)이라고 명명하였다. 2. 광선의 대직물입사각도가 6도일 때 가장 잘 보이고 입사각도가 커짐에 따라 Lousiness 출현정도가 감소하고 역시 어느 한계각도(45도)를 초과하면 Lousiness가 보이지 않는다. 이 때의 한계각도를 Lousiness 수직임계각(Lousiness Vertical Critical Angle)이라고 명명하였다. 3. 직물조직으로서는 평직이 Lousiness 출현도가 가장 적고, 능직, 및 교직은그의 출현도가 크다. 4. Lousiness를 3가지로 대별하고 일반세섬유형을 Lousiness A, 집단형을 Lousiness B, glucose 형을 Lousiness C로 명명하였으며, 평점에 필요한 표준사진을 작성하였다. 5. 초정련방법으로서 8시간이 적당하였다. 6. 주섬유와 세섬유의 직경차가 클수록 Lousiness 발생이 심하며 일반 Lousiness는 주견단계의 1/4∼1/5의 직경이었다. 7. 견부위별로는 견양단부견층부위별로는 중층에 Lousiness가 많았는데 이것은 토계영견중의 견사긴완차에 기인한다. 8. 자웅간에는 자견이 웅견보다 Lousiness가 많았다. 9. 견사선해부로서 정상견사선에도 세섬유화할 가능성이 있음을 구명하였고, 여러 가지 이상견사선으로 Lousiness가 발생하게 되는 소인이 있음을 알았다. 또 Lousiness의 품종도태로 인한 개선은 이상견사선제거로 어느 정도 가능할 뿐이다. 10. 도태후 차대견계는 초정련법으로 도태한 바 많은 효과를 얻었다.

  • PDF

17세기 전식(全湜, 1563~1642)의 조복 유물 고찰 (A Study on Jeon Sik(1563~1642)'s Jobok Relics from the 17th Century of the Joseon Dynasty)

  • 이은주;김미경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5권2호
    • /
    • pp.146-165
    • /
    • 2022
  • 이 연구는 2021년 경북 유형문화재 <상주 전식 조복 및 공예품 일괄>로 지정된 유물 중 전식(全湜, 1563~1642)의 조복 구성물인 3점(의·상·대대)의 유물을 17~18세기 5건(신경유, 권우, 화산군 이연, 밀창군 이직, 이익정)의 출토 조복 구성물과 문헌자료를 비교하면서 유물의 조형적 특징과 제도와의 차이점을 밝히고자 함에 목적을 두었다. 전식의 조복 구성물 3점은 색상을 확인할 수 있는 최고(最古)의 조복 유물이라는 점에서 사료적 가치가 크다. 붉은 색 능직물로 제작한 상의(上衣)는 아쉽게도 가선이 소실된 상태이지만 흔적이 남아 있는 부분에 대해 기록이나 초상화 등의 자료에 근거하여 흑색 가선[黑緣]을 추측할 수 있었다. 그리고 흑선과 바탕 옷감 사이에 끼우는 흰 장식선은 아직 사용되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하상(下裳)은 전3폭 후4폭 중 전3폭과 후1폭만 남은 상태이다. 그러나 후4폭의 형태를 유추할 수는 있었다. 주름 흔적으로 볼 때 허리 부분에만 주름을 잡았음을 알 수 있었다. 18세기의 밀창군, 이익정 묘 조복 상은 허리말기에 간격을 두고 연결되어 있으나 신경유, 권우, 화산군 이연 묘 조복 상 등 17세기 조복 상은 전상 아래로 후상이 겹쳐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볼 때 전식의 조복 상 역시 전상 아래에 5cm 전후로 후상을 겹쳐 연결하였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화산군 이연(李渷, 1647~1702) 이후 흑선과 바탕과의 사이에 백색 장식선을 끼운 뒤 허리부분에서 밑단까지 주름을 잡은 형태였다. 대대는(大帶)는 '경(冂)' 모양인데 소색(素色)의 주(紬)에 녹색 문사(紋紗) 선을 둘러 긴 띠를 만든 후 모서리를 접어 요(腰)와 신(紳)을 만들었다. 18세기 밀창군과 이익정, 정휘량의 조복본 초상화에서 볼 수 있는 대대의 색상과 일치하였다. 18세기 초 화산군 이연 묘 대대 이후는 요와 신 부분을 따로 재단하여 이은 형태였으나 전식의 대대를 포함한 17세기 신경유 묘, 권우 묘의 대대는 긴 띠를 접어 요와 신을 만들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허리에 매기 위해 양 끝에 가는 끈을 달았다. 전식의 조복 유물은 색상이나 형태면에서 17세기 조복제도를 구체적으로 반영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으며 『국조오례의 서례』·『경국대전』조복제도의간략하거나부정확한기록을보완해주는사료로서의중요한가치를지니고있다고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