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weets

검색결과 176건 처리시간 0.041초

Sentiment Analysis for COVID-19 Vaccine Popularity

  • Muhammad Saeed;Naeem Ahmed;Abid Mehmood;Muhammad Aftab;Rashid Amin;Shahid Kamal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7권5호
    • /
    • pp.1377-1393
    • /
    • 2023
  • Social media is used for various purposes including entertainment, communication, information search, and voicing their thoughts and concerns about a service, product, or issue. The social media data can be used for information mining and getting insights from it.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has listed COVID-19 as a global epidemic since 2020. People from every aspect of life as well as the entire health system have been severely impacted by this pandemic. Even now, after almost three years of the pandemic declaration, the fear caused by the COVID-19 virus leading to higher depression, stress, and anxiety levels has not been fully overcome. This has also triggered numerous kinds of discussions covering various aspects of the pandemic on the social media platforms. Among these aspects is the part focused on vaccines developed by different countries, their features and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associated with each vaccine. Social media users often share their thoughts about vaccinations and vaccines. This data can be used to determine the popularity levels of vaccines, which can provide the producers with some insight for future decision making about their product. In this article, we used Twitter data for the vaccine popularity detection. We gathered data by scraping tweets about various vaccines from different countries. After that, various machine learning and deep learning models, i.e., naive bayes, decision tree, support vector machines, k-nearest neighbor, and deep neural network are used for sentiment analysis to determine the popularity of each vaccine. The results of experiments show that the proposed deep neural network model outperforms the other models by achieving 97.87% accuracy.

가상화폐 시장의 인물 영향력에 대한 탐색적 연구: 일론 머스크의 발언을 중심으로 (An Exploratory Study of Influencer's Impacts for Cryptocurrency Markets: Focused on the Elon Musk's Twitter Activity)

  • 홍가연;이상근;양창규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25권3호
    • /
    • pp.83-97
    • /
    • 2023
  • 본 연구는 가상화폐시장에서 인물 영향력을 확인하고자 한다. 즉, 영향력 있는 인물의 발언에 따른 가상화폐의 시장가격변화를 확인하여 인물 영향력의 존재유무와 영향력을 주는 발언을 확인하고 이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가상화폐시장에서 전 세계적으로 유명한 일론 머스크의 가상화폐에 대한 발언시기에 따라 비트코인과 도지코인의 가격변화에 대한 분석을 실시한 후 비정상수익이 발행한 시점을 확인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1) 부분별한 인물 영향력은 사라지고 있지만, (2) 가상화폐시장에서는 여전히 추측을 통한 투자가 이뤄지고 있으며, (3) 인물 영향력의 지속기간은 매우 짧고 직접적인 언급이 있는 경우 더 큰 영향력을 준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결과는 가상화폐시장이 건강하게 성장하기 위해서는 가상화폐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체계 마련과 불량 가상화폐에 대한 구조조정이 필요하고, 정부주도의 디지털 화폐정책 입안 시 가상화폐를 참여시켜 합법적인 투명한 투자환경조성에 대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크루얼티 프리 패션 브랜드의 커뮤니케이션 성과 분석 - 브랜드 주도적 이미지와 소비자 지각 이미지에 대한 비교 - (Evaluation of communication effectiveness of cruelty-free fashion brands - A comparative study of brand-led and consumer-perceived images -)

  • 최영현;이상영
    • 복식문화연구
    • /
    • 제32권2호
    • /
    • pp.247-259
    • /
    • 2024
  • This study assessed the effectiveness of brand image communication on consumer perceptions of cruelty-free fashion brands. Brand messaging data were gathered from postings on the official Instagram accounts of three cruelty-free fashion brands and consumer perception data were gathered from Tweets containing keywords related to each brand. Web crawling and natural language processing were performed using Python and sentiment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BERT model. By analyzing Instagram content from Stella McCartney, Patagonia, and Freitag from their inception until 2021, this study found these brands all emphasize environmental aspects but with differing focuses: Stella McCartney on ecological conservation, Patagonia on an active outdoor image, and Freitag on upcycled products. Keyword analysis further indicated consumers perceive these brands in line with their brand messaging: Stella McCartney as high-end and eco-friendly, Patagonia as active and environmentally conscious, and Freitag as centered on recycling. Results based on the assessment of the alignment between brand-driven images and consumer-perceived images and the sentiment evaluation of the brand confirmed the outcomes of brand communication performance. The study revealed a correlation between brand image and positive consumer evaluations, indicating that higher alignment of ethical values leads to more positive consumer assessments. Given that consumers tend to prioritize search keywords over brand concepts, it's important for brands to focus on using visual imagery and promotions to effectively convey brand communication information.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brand communication by emphasizing the connection between ethical brand images and consumer perceptions.

모바일러닝에서 학생들의 질문패턴 분석: 트위터활용 중심 (Analysis of the Questioning Pattern of Students in Mobile Learning: with focus on Twitter Application)

  • 하일규;하성룡;김종근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1224-1230
    • /
    • 2014
  • 트위터(Twitter)는 상대방의 트윗(tweet)에 대해 리트윗(retweet) 또는 응답(reply)하는 방법이 용이하여 손쉬운 의사 전달과 정보 획득의 도구로 활용되고 있다. 최근 들어 이러한 트위터를 다양한 분야에 이용하려는 시도가 있어 왔고, 특히 교육분야에 이용하고자 하는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트위터는 교육현장에서 교수자와 학습자간의 의사소통 도구로 활용되거나,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학습자들의 협동학습에 활용되어 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트위터가 다양한 활용 가능성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인 적용 및 고찰을 통해 그 교육적 효과를 입증하는 연구는 많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트위터를 대학의 한 학기동안 학생들의 질의 응답도구로 활용하도록 하고 그 활동을 조사, 분석한다. 분석 결과, 트위터 활용을 강제하지 않은 경우 학생들의 트위터 활용도는 낮게 나타난다. 따라서 트위터는 교육적 활용 가능성을 가지고 있지만, 그러한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교수자와 학습자간에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함을 보인다.

지리적 공간과 장치 정보를 사용한 개선된 트윗 봇 검출 (Improved Tweet Bot Detection Using Geo-Location and Device Information)

  • 이알찬;서고은;신원용;김동건;조재희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2878-2884
    • /
    • 2015
  • 온라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중 하나인 트위터는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마이크로 블로그인데, 트위터의 개방적 구조로 인해 자동화 프로그램인 트윗 봇이 많이 생성되고 있다. 이 트윗 봇은 적법한 봇과 악성 봇으로 분류되는데, 이 중 악성 봇은 일반 사용자들에게 많은 양의 스팸 정보나 유해한 컨텐츠를 배포하기 때문에 트윗 봇을 검출하는 작업은 반드시 필요하다. 기존 연구에서는 시간적 정보를 활용하여 사람과 트윗 봇을 분류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사용자들의 고 정밀 위치 정보를 알려주는 공간 태그된 트윗 정보를 활용하여 트위터 사용자들의 정확한 위치를 알아낸다. 그리고, 각 사용자의 공간 변수에 대한 엔트로피 값 및 사용자의 장치 정보를 사용하여 새로운 봇 검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주요 결과로써, 시간 정보만을 이용한 기존 연구결과보다 각 신뢰도별 봇 검출 확률 및 거짓 경보 확률이 모두 우수하게 나타난다.

Public Opinion on Lockdown (PSBB) Policy in Overcoming COVID-19 Pandemic in Indonesia: Analysis Based on Big Data Twitter

  • Suratnoaji, Catur;Nurhadi, Nurhadi;Arianto, Irwan Dwi
    • Asian Journal for Public Opinion Research
    • /
    • 제8권3호
    • /
    • pp.393-406
    • /
    • 2020
  • The discourse on the lockdown in Indonesia is getting stronger due to the increasing number of positive cases of the coronavirus and the death rate. As of August 12, 2020, the confirmed number of COVID-19 cases in Indonesia reached 130,718. There were 85,798 victims who have recovered and 5,903 who have died. Data show a significant increase in cases of COVID-19 every day. For this reason, there needs to be an evaluation of the government policy of the Republic of Indonesia in dealing with the COVID-19 pandemic in Indonesia. An evaluation of policies for handling the pandemic must include public opinion to determine any weaknesses of this policy. The development of public opinion about the lockdown policy can be understood through social media. During the COVID-19 pandemic, measuring public opinion through traditional methods (surveys) was difficult. For this reason, we utilized big data on social media as research data.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public opinion on the lockdown policy in overcoming the COVID-19 pandemic in Indonesia. The things observed included: volume of Twitter users, top influencers, top tweets, and communication networks between Twitter users. For the methodological development of future public opinion research, the researchers outline the obstacles faced in researching public opinion based on big data from Twitter.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the lockdown policy is an interesting issue, as evidenced by the number of active users (79,502) forming 133,209 networks. Posts about the lockdown on Twitter continued to increase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lockdown policy on April 10, 2020. The lockdown policy has caused various reactions, seen from the word analysis showing 14.8% positive sentiment, 17.5% negative, and 67.67% non-categorized words. Sources of information who have played the roles of top influencers regarding the lockdown policy include: Jokowi (the president of the Republic of Indonesia), online media, television media, government departments, and governor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network structure, it shows that Jokowi has a central role in controlling the lockdown policy. Several challenges were found in this study: 1) choosing keywords for downloading data, 2) categorizing words containing public opinion sentiment, and 3) determining the sample size.

트위터 메세지 특성에 따른 온라인 구전효과에 대한 분석 (The Impact of Message Characteristics on Online Viral Diffusion in Online Social Media Services : The Case of Twitter)

  • 남영우;손인수;이동원
    • 지능정보연구
    • /
    • 제17권4호
    • /
    • pp.75-94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최근 온라인 소셜미디어 서비스로 각광받고 있는 트위터 상에 게재되는 메세지의 특성이 메세지의 재전달에 미치는 영향을 전달 빈도와 전달 속도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소셜네트워트 환경하에서의 정보확산 체계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최근 소셜미디어 상에서 많이 언급되고 있는 정치, 연예, 스포츠, 유명인, 최신 디지털 제품과 같은 사회적 관심사를 나타내는 여덟 가지 주요 키워드(예: 무상급식, 반값등록금, 나가수, 평창, 김연아, 박태환, 아이폰, 갤럭시)을 선정하였다. 또한 트위터 메세지의 특성을 정의하기 위한 기준은 기존 문헌연구를 통해 개인의견, 하이퍼링크 포함 메세지, 하이퍼링크 및 개인의견 포함 메세지, 단순 재인용 등의 네가지 유형을 적용하였으며 이들 주요 키워드와 메세지 유형별로 트위터 트위터 메세지의 재전달 빈도와 재전달 속도를 측정하였다. 2011년 6월부터 2011년 7월까지 수집된 81,472개의 1회 이상 재전달된 트위터 메세지에 대한 분석을 통해, 재전달 트위터 메시지의 50퍼센트 이상이 특정 키워드에 대한 개인의견을 표현한 메시지임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표본 트위터 메세지 중 하이퍼 링크를 포함한 메세지가 가장 빠른 메세지 재전달 시간을 보이는 것을 알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메시지의 고유 특성이 온라인 소셜 미디어 상의 정보확산 패턴에 중요한 영향요소로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트위터와 같은 온라인 소셜 미디어는 더 이상 단순한 의사소통 도구가 아닌 다양한 사회현상에 대한 사용자의 개인적 의견을 피력하고 상호간의 심도있는 논의가 가능한 현대사회의 중요한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정보기술이 이러한 의사소통 혁신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이해 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온라인 소셜 미디어상의 정보확산에 대한 기존의 학문적 지식을 증대키고 실무적으로 기업이 고객과 소통하는 데 있어 온라인 소셜 미디어를 어떻게 전략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가에 대한 실질적인 방향을 제시할 것이라 기대된다.

B2C 마이크로블로깅을 통한 고객참여 메커니즘의 이해 (Understanding Customer Participation Behavior via B2C Microblogging)

  • 박종필;손재열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22권4호
    • /
    • pp.51-73
    • /
    • 2012
  • Social network services based on openness, connectedness, and mass participation are reshaping many aspects of how companies conduct business and create value for their customers. For instance, Facebook and Twitter are expected to play a pivotal role as a new communication channel through which companies-forge close relationships with their customers for co-creation of value for mutual benefits. Given the potential of social network services, it is not surprising that many companies have strategically invested in social network services to reach out to customers. Despite the growing interest in social network services as a platform to connect companies and their customers, few guidelines exist about how managers can effectively utilize social network services in forging relationships with their customers. As such, scholars should pay greater attention to how firms can successfully develop relationships with their customers on social network services. In particular, this study employs the S-O-R (stimulus-organism-response) framework as a theoretical lens to develop a research model that explains customers' participation in the value co-creation platform that companies opened on Twitter. According to the S-O-R framework, certain types of individuals' behaviors can be best understood based on a causal link from environmental stimulus to organism, and response. We apply the S-O-R framework to understand how ubiquitous connectivity (stimuli) can influence customers' experience (organism) with companies on Twitter, which in turn influence their participation behavior (response). Two steps have been undertaken to empirically test the research model. First, we conducted a content analysis of tweets written by customers who follow companies on Twitter. As a result, we found event/promotion participation, company support, and giving feedback as three specific types of customer participation behavior. Second, we conducted a web-based survey to test research hypotheses in the research model. Participations in the survey were solicited to customers who followed companies on Twitter. As a result, a total of 115 respondents have completed the survey.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partial least square (PLS) technique. The results of data analysis suggest that ubiquitous connectivity (stimuli) had strong positive effects on perceive usefulness, perceived enjoyment, and perceived intimacy (organism). Perceived intimacy showed positive effects on customer participation behavior (response), such as event participation, company support, and giving feedback. Perceived enjoyment was found to have strong positive effects on company support and giving feedback. On the other hand, perceived usefulness did not have significant impacts on the three types of customer participation behavior.

  • PDF

국내 핀테크 동향 및 모바일 결제 서비스 분석: 텍스트 마이닝 기법 활용 (Fintech Trends and Mobile Payment Service Anlaysis in Korea: Application of Text Mining Techniques)

  • 안정국;이소현;안은희;김희웅
    • 정보화정책
    • /
    • 제23권3호
    • /
    • pp.26-42
    • /
    • 2016
  • 최근 O2O 시장의 급성장과 더불어 금융과 ICT 기술이 융합된 핀테크가 "금융의 O2O"화를 이끌 혁신으로 주목 받고 있으며, 핀테크 기반의 결제, 인증, 보안 기술 및 관련 서비스가 주목 받고 있다. 핀테크와 같은 신기술 산업에는 기술적인 원천과 더불어 관련 제도 및 규제가 중요한데, 아직은 국내 핀테크 산업의 제도와 기술동향에 관한 심층적인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핀테크 동향을 분석하고, 더 나아가 국내 대표적 모바일 결제서비스인 카카오페이와 삼성페이를 비교하여, 향후 국내 핀테크 산업의 기술과 제도의 방향성에 대한 시사점을 찾고자 한다. 본 연구는 핀테크가 언급된 트윗들을 2014년 8월부터 2016년 6월까지 전수 조사하여, 토픽 추출, 감성 분석,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들을 시각화 하였다. 분석한 결과, 2014년에서 2016년 사이에 기술과 제도에서 다양한 주제들이 생성되어 왔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카카오톡과 같은 "서비스" 기반의 카카오페이와 갤럭시와 같은 "기기" 기반의 삼성페이의 토픽들 간에도 서로 다른 키워드들과 반응들이 추출되었다.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 마이닝을 이용하여 소셜미디어의 비정형 데이터를 기간 별로 분석하고, 감성분석을 통해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들의 기대와 반응을 정량화한 것에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하여 핀테크 관련 실무자들에게 전략적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핀테크 산업발전의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텍스트 마이닝을 이용한 SNS와 언론의 이슈에 대한 반응 비교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 종료"를 중심으로- (Comparison of responses to issues in SNS and Traditional Media using Text Mining -Focusing on the Termination of Korea-Japan General Security of Military Information Agreement(GSOMIA)-)

  • 이수련;최은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2호
    • /
    • pp.277-284
    • /
    • 2020
  • 텍스트마이닝은 비정형, 대용량의 텍스트 자료로부터 유의미한 정보를 추출하는 빅데이터 분석의 대표적인 방법이다. 트위터와 같은 SNS는 1초에서 수십만건의 데이터를 생성해내며 대중들의 의견이나 생각 등을 즉각적이며 직접적으로 보여주는 1인 미디어로의 역할을 하고 있다. 기성 미디어인 언론은 정보전달, 사회비판, 여론형성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미디어로의 SNS와 언론을 비교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19년 하반기 국내의 이슈 중의 하나인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 종료"에 대한 SNS의 반응과 언론의 반응을 비교 분석한다. 수집된 데이터는 총 201,728개의 트윗과 20,698개의 신문 기사를 대상으로 감성분석, 연관분석, 군집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로 SNS의 경우 이슈에 대해 긍정적 반응이 높았고 언론의 경우는 부정적 반응이 높았다. 연관검색의 경우는 SNS의 경우 "파기, 결정, 우리" 등 국내적 이슈에 대한 지지가 높았고 언론의 경우 "실망, 유감, 우려" 등으로 대외적 이슈에 대한 부정적 견해를 보여주는 차이를 보여주었다. SNS는 정보전달의 기능보다는 사회 비판 및 여론의 추이를 살피거나 형성하는데 언론보다 빠르고 강하게 나타내고 있어 언론이 대중의 인식을 반영해주는 역할을 보완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