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urfgrass cultivars

검색결과 128건 처리시간 0.032초

Oxyfluorfen에 내성(耐性) 및 감수성(感受性) 수도품종(水稻品種)에 대한 해부학적(解剖學的) 차이(差異) (Anatomical Difference Between Two Rice Cultivars Selected to Oxyfluorfen)

  • 천상욱;구자옥;이영만;이도진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87-198
    • /
    • 1988
  • Oxyfluorfen[(2-chloro-1-3-ethoxy-4-nitrophenoxy)-4-(trifluoromethyl) benzene]에 대하여 내성(耐性) 및 감수성(感受性)으로 선발(選拔)되었던 수도품종(水稻品種) Chokoto와 Weld pally의 30 일묘(日苗) 제(第) 2엽(葉)을 oxyfluorfen $10^{-6}$, $10^{-5}$, $10^{-4}$$10^{-3}M$ 농도(濃度)에 처리(處理)하고 정시적(10, 15, 22시간(時間))으로 해부특성(解剖特性)의 변화차이(變化差異)를 검경(檢鏡)하였다. 약액처리(藥液處理)는 약(藥)을 절단(切斷)하여 침지(浸漬)시킨 경우 절단(切斷)하지 않고 침지(浸漬)시킨 경우로 구분하였다. 광학현미경(光學顯微鏡)으로는 표피조직(表皮組織), 유관속초세포(維管束鞘細胞), 엽육세포(葉肉細胞), 우두상세포(牛頭狀細胞)를 검경(檢鏡)하였다. 결과적(結果的)으로 두 품종(品種) 모두에서 엽신(葉身) 두께의 감소(減少)가 일어났는데 내성(耐性)인 Chokoto 보다 감수성(感受性)인 Weld pally에서 민감(敏感)하게 나타났다. 표피세포(表皮細胞)의 붕괴(崩壞) 소실(消失), 유관속초세포(維管束鞘細胞)의 파손(破損), 엽육세포(葉肉細胞)의 위축(萎縮), 우두상세포(牛頭狀細胞)의 소멸(消滅)에 이르는 제반(諸般) 반응(反應)이 전반적으로 나타났으나 Weld pally는 $10^{-5}M$의 10시간(時間) 처리(處理)부터 시작되었고 Chokoto는 $10^{-3}M$의 10시간(時間)부터 시작하므로써 품종간(品種間) 및 농도증가(濃度增加)에 따른 차이(差異)를 인정(認定)할 수 있었다. 또한 비절단엽(非切斷葉)보다 절단엽(切斷葉)에서 전반적으로 약해반응(藥害反應)이 크고 민감(敏感)하였다. 같은 방법(方法)으로 20시간(時間) 처리(處理)한 시료(試料)의 epicuticular wax층(層)을 SEM으로 검경(檢鏡)한 결과(結果), Weld pally는 $10^{-5}M$부터 엽맥부위(葉脈部位)의 wax층(層)이 파손되기 시작하였으나 Chokoto는 $10^{-3}M$에서 다소의 표면손상반응(表面損傷反應)이 시작되었다.

  • PDF

자생 왕포아풀(Poa pratensis L.)의 배발생 캘러스 유도 및 식물체 재분화 (Embryogenic Callus Induction and Plant Regeneration in Kentucky bluegrass (Poa pratensis L.) Native to Korea)

  • 이재신;심상렬;안병준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277-281
    • /
    • 2001
  • 자생 왕포아풀 (Poa pratensis L.)의 배발생 캘러스 유도 및 식물체 재분화 조건을 규명하였다. 도입된 다섯 품종과 국내에서 수집한 네 가지 생태형의 미성숙 화서와 완숙종자를 sucrose 30 g/L, Phytagel 3 g/L와 2,4-D 1 mg/L가 함유된 MS배지에 치상하여 24$^{\circ}C$로 조절된 항온실에서 배양하면서 캘러스를 유도하였다. 대부분의 배양에서 캘러스가 형성되었으나 배발생 캘러스는 완숙종자를 절편체로 썼을 때보다 미숙화서에서, 온실에서 재배되어 형성된 화서보다는 자연 재배조건에서 형성된 화서에서 배발생 캘러스의 유도율이 높았다. 배발생 캘러스는 85~98%의 효율로 높게 유도되었으며 계대배양 및 액체 진탕배양을 통해 6개월 이상 장기 증식되었으며, 생장조절제가 함유되지 않은 MS 재분화 배지에 이식하면 다수의 식물체로 재분화되었다. 재분화 식물들은 온실재배에서도 정상적으로 생장을 하였다.

  • PDF

신규 수도용 제초제 Metazosulfuron입제의 생물특성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New Paddy Field Herbicide Metazosulfuron Granule for Paddy Weeds)

  • 이인용;김창석;이정란;문병철;이창규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08-312
    • /
    • 2011
  • 메타조설퓨론(metazosulfuron)은 기계이앙벼 일년생 및 다년생잡초 방제약제로서 이앙 후 15일에 ha당 30kg 사용토록 농약품목등록 예정이다. 예비시험 결과, 방제가능 일년생잡초로는 피, 가막사리, 여뀌바늘, 물달개비 등 7초종, 다년생잡초로는 너도방동사니, 벗풀, 올방개, 올챙이고랭이 등 4초종이다.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 저항성잡초인 물달개비, 알방동사니 및 올 챙이고랭이도 동시에 방제할 수 있다. 또한 처리적기 폭이 넓어 제초제 살포시기를 살포자 임의로 조절할 수 있으며, 벼 품종에 대한 약해도 없었다. 그리고 환경에 미치는 영향은 적었다.

Butachlor 의 약해정도차이(藥害程度差異)가 벼의 수량구성요소(收量構成要素) 및 수량(收量)에 미친 영향(影響) (Effect of Butachlor Injury to Yield Component and Yield of Rice Cultivar)

  • 이영만;신동영;김창석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03-107
    • /
    • 1989
  • 논 제초제(除草劑) butachlor에 대한 유묘(幼苗)의 약해반응정도(藥害反應程度)가 다른 벼 5개 품종(品種)에 3가지 다른 약량(藥量)을 이앙시(移秧時)에 처리(處理)하여 이후(以後)의 생육상태(生育狀態) 및 수량구성요소(收量構成要素)와 수량(收量)을 조사(調査)하였다. 1. 약해정도(藥害程度)는 Zhy-Lian-Ai-Yun-Nam이 가장 경미하였고 다음으로 한강찰벼, 원풍벼, 청청벼, 삼성벼의 순으로 심하였다. 2. 약해(藥害)는 토장(草長)보다 분얼수(分蘖數)에 더 크게 영향하였다. 전품종(全品種)에서 주당수수(株當穗數)의 감소가 컸으나 그 정도는 품종간(品種間)에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3. 수량(收量)은 약해(藥害)가 낮은 Zhy-Lian-Ai-Yun-Nam이 수량감소가 가장 컸고 약해가 심하였던 삼성벼와 청청벼는 약해에 비하여 수량감소가 적었는데 이는 주당수수(株當穗數)의 감소에 상응(相應)하여 주당영화수(株當潁花數)가 증가(增加)하였기 때문이다. 4. 약해(藥害)가 중간정도(中間程度)였던 한강찰벼와 원풍벼는 주당수수감소(株當穗數減少)에 따라 주당영화수(株當潁花數)가 증가하지 않았고 또 원풍벼는 1,000립중(粒重) 감소하여 수량감수가 컸다.

  • PDF

스포츠용 다단구조, USGA구조 및 약식구조 지반에서 한국잔디 및 한지형 잔디의 녹색기간 비교 (Comparison of Green Color Retention of Zoysiagrass and Cool-season Grass under Multilayer System, USGA System, and Mono-layer System of Sports Field)

  • 김경남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4권2호
    • /
    • pp.342-353
    • /
    • 2016
  • 본 연구는 스포츠용 다단구조, USGA구조 및 약식구조에서 난지형 및 한지형 주요 초종의 연중 녹색 유지 기간을 비교하고자 수행하였다. 공시 초종은 전체 9종류로 들잔디 세 품종과 한지형 잔디 조합종 및 혼합구가 각각 세 종류이었다. 잔디지반 및 초종 별로 연중 색상 품질 및 녹색 유지 기간에 대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지반 간 차이는 약식구조에 비해 다단 및 USGA 구조에서 잔디의 색상이 우수하였으며, 녹색 기간도 더 길게 나타났다. 초종 간 색상 차이는 계절적으로 12월 하순부터 녹화가 시작되는 이른 봄까지 크게 나타났다. 녹색 유지 기간은 한지형 잔디가 난지형 들잔디에 비해 더 길게 나타났다. 들잔디의 평균 녹색유지 기간은 약 6개월 정도였고, 이른 봄 녹화 시점은 5월 1일-5월 14일 사이, 가을에 휴면에 들어가는 시점은 10월 28일-11월 8일 사이로 나타났다. 한지형 잔디는 3월 초순-4월 초순 사이 녹화가 완료되어 동절기인 12월 중순-2월 초순까지 색상이 유지되어 초종에 따라 전체 지반 평균의 푸른 기간이 약 8.5-11개월 사이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잔디지반 유형에 따라 한지형 잔디의 녹색기간은 퍼레니얼 라이그래스의 경우 10-11개월 정도로 가장 길었고, 반면 톨 훼스큐가 8.5-9개월 정도로 가장 짧았다. 켄터키 블루그래스는 9-10개월 정도로 퍼레니얼 라이그래스와 톨 훼스큐의 중간 정도의 녹색 기간을 나타냈으며, 한지형 혼합구의 푸른 기간은 퍼레니얼 라이그래스가 많이 혼합 될수록 길어지고, 톨 훼스큐가 많이 섞일수록 짧아지는 경향이었다. 지반에 따른 초종별 녹색기간 차이는 난지형인 들잔디의 '야지', '중지' 및 '제니스'간의 차이는 2-6일로 짧은 반면, 한지형 잔디는 최소 7일-최대 36일 까지 상당히 크게 나타났다. 즉 초종 및 지반에 따라 녹색 유지 기간 차이가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정원, 공원, 경기장 및 골프장 등 잔디밭 조성 시 컨셉에 의한 초종 및 지반 선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다양한 결과는 경기장 및 골프장 등 스포츠 잔디밭 설계 시 기대하는 녹화기간에 따라 지반선정 및 초종 선택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수집(蒐集) 잡초성(雜草性)벼(Oryza sativa)의 분류(分類), 생장(生長) 및 제초제(除草劑) 내성차이(耐性差異) (Difference of Classification, Growth and Herbicidal Tolerance in Collected Weedy Rice(Oryza sativa))

  • 국용인;구자옥;천상욱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31-43
    • /
    • 1997
  • 본 연구는 전남 13계통, 전북 1계통 및 경기 2계통의 수집 잡초성벼와 재배벼에 대하여 동위효소 esterase와 peroxidase에 의한 잡초성벼분류, 건답 및 당수조건하에서 장초성벼와 재배벼의 생장차이 및 수종의 제초제에 대한 잡초성벼의 방제 및 잡초성벼내의 제초제 내성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1. Polyacrylamide gel 전기영동법에 의해 동위효소 esterase와 peroxidase를 분석한 결과 이 동위효소에 의해 수집 잡초성벼는 3 개군으로 분류되었으나, 그 두효소의 분류군은 서로 일치하지 않았다. 2. 건답 및 담수조건에서 파종후 18일에 초장은 수집 잡초성벼가 재배벼보다 휠씬 컸으나, 그밖의 엽수, 지상부중, 지하부중 및 근장은 잡초성벼와 재배벼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수집 잡초성벼의 생장은 단수조건보다는 건답조건에서 훨씬 빨랐다. 3. 파종 6일전에 Thiobencarb, Molinate 및 Oxadiazon을 처리후 잡초성벼의 방제는 2.1kg Thiobencarb와 0.24kg Oxadiazon 처리에서 100% 방제되었다. 그러나 6.5kg Molinate 처리에서는 단지 26-67%가 방제되었다. 벼의 약해는 Molinate를 제외하고 2.1kg Thiobencarb와 0.48kg Oxadiazon 처리후 담수상태에서 벼를 파종할 때에는 약해가 아주 심했다(25-100%). 그러나 제초제 처리후 담수상태의 물을 배수하고 처리했을 경우에는 약해가 아주 경미하였다(4-13%). 공시 제초제에 대한 수집 잡초성벼간의 종내 내성은 49% 정도의 차이를 보였고 약제별 제초제의 종내 내성차이는 Thiobencarb>Molinate>Oxadiazon 순이었다.

  • PDF

수종(數種)의 結合齊l型(結合齊l型)으로부터 Oxyfluorfen의 방출제어연구(放出制御硏究) III. 사용량(使用量)에 따른 선발제형(選拔劑型) Oxyfluorfen의 약해(藥害)·약효평가(藥效評價) (Controlled Release of Oxyfluorfen from the Variously Complexed Formulations III. Phytotoxicity and Efficacy of Selected Formulations as Affected by Application Rates)

  • 구자옥;임완혁;천상욱;권삼열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1-18
    • /
    • 1991
  • 필자(筆者)들의 전보(前報)(6, 7)에서 선발(選拔)하였던 Oxyfluo$_F$fen의 6제형(劑型)을 온실조건하(溫室條件下)에서 2 수준(水準)으로 공시(供試)하여 묘령(苗令)이 다른 직파(直播) 및 이앙(移秧)벼의 주요(主要) 잡초종(雜草種)에 대한 약해(藥害) 및 약효(藥效)를 검토하였다. 공시제형(供試劑型) 가운데 대조제형(對照劑型)인 sand coated oxyfluorfen보다 약해(藥害)가 적어 일시(一時) 과다(過多) 용출(溶出)의 문제(問題)가 해소(解消)된 제형(劑型)으로는 Elvan, Bentonite B, Chitosan 빛 Coal Slag 제형(劑型)을 들 수 있였고, 당시 이들 가운데 제초효과(除草效果)가 일년생(一年生)(피, 물달개비, 알방동사니, 올챙고랭이) 전반과 일부 다년생(多年生)(올미 및 너도망동사니) 에서 인정(認定)되었던 것으로는 Elvan, Chitosan, Bentonite B 제형(劑型)을 들 수 있었다. 각 제형에 대한 SEM 연구 결과, 약효 지속 및 약해 감소의 영향은 각 제형이 갖는 표면구조상의 차이, 즉 표면 균열이나 다공성 및 공극 깊이 등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보였다.

  • PDF

조직배양(組織培養)을 통한 수도내성(水稻耐性) 카루스 선발(選拔) (Selection of Herbicide - Tolerant Rice(Oryza sativa L.) Callus by Tissue Culture)

  • 신동현;키이쓰 무디;프란시스코 제이 쟈파타;김길웅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85-293
    • /
    • 1990
  • 제초제(除草劑)에 내성(耐性) 또는 저항성(抵抗性)을 지닌 수도(水稻) 카루스를 선발(選拔)하기 위하여 유묘기(幼苗期)에 제초제(除草劑)에 반응(反應)을 달리하는 품종(品種)을 대상으로 카루스의 생장(生長) 반응(反應)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카루스 유도시(誘導時)에 thiobencarb에 감수성(感受性)을 보였던 IR28의 카루스 생장(生長)은 thiobencarb $10^{-5}$ M 및 $10^{-6}$ M에서도 억제(抑制) 되지 않아 특정(特定) 제초제(除草劑)에 대한 수도(水稻) 품종(品種)의 반응(反應)은 카루스의 유도기(誘導期) 및 생장기(生長期), 성식물체(成植物體)에 따라 차이(差異)가 있음을 나타내었다. Butachlor에 대한 IR31917-45-3-2-2의 반응(反應)도 IR28과 유사(類似)한 결과(結果)를 보였다. Thiobencarb에 내성(耐性)을 지닌 카루스를 선발(選拔)키 위하여 IR28의 카루스를 thiobencarb $10^{-6}$ M에 30일간(日間) 처리(處理)한 후(後) 고농도(高濃度)인 $10^{-5}$ M에 옮겨 치상(置床)시킨 결과(結果) 카루스의 생체중(生體重)은 전혀 억제(抑制) 되지 않아서 제초제(除草劑) 내성세포(耐性細胞)를 선발(選拔)키 위해서는 제초제(除草劑)의 농도(濃度)를 점진적(漸進的)으로 높이는 것이 유용(有用)한 선발방법(選拔方法)이 될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 PDF

무우 유묘(幼苗)를 이용(利用)한 식물생리활성물질(植物生理活性物質)의 생물검정법(生物檢定法) (A Bioassay Method with Radish Seedlings for Bioactive Substances)

  • 홍경식;임희경;조광연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244-249
    • /
    • 1988
  • 오옥신활성물질(活性物質) 또는 호르몬형제초활성물질(型除草活性物質)의 생물검정법(生物檢定法)으로 죽송(竹松)의 Raphanus test를 도입(導入)하고자 품종(品種) 및 검정방법(檢定方法)을 검토(檢討)하고 효과(效果)를 확인(確認)하였다. 1. 공시품종(供試品種)중에서 장백미농조생무우가 반응성(反應性), 재료(材料)의 균일성(均一性), 반응(反應)의 정량성(定量性), 재료(材料)의 육성(育成) 및 취급상의 여러 면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무우유묘(幼苗)의 자엽병각도(子葉柄角度)는 일당(日當) $6^{\circ}$의 비율로 증가되었으며 곡선희귀식으로 추정(推定)한 약제처리적정시기(藥劑處理適正時期)는 파종후(播種後) 7~9일(日)로 판단되었고 약제처리후(藥劑處理後) 자엽병굴곡각도(子葉柄屈曲角度)는 급격히 증가하여 24시간후에는 최고에 달하였다. 3. 엽제처리후(葉劑處理後) 광(光)의 유무(有無)에 따른 반응성(反應性)은 암조건(暗條件)에서 자연광조건(自然光條件)보다 컸으며 더욱 농도(濃度)에 따라 정량적(定量的)이었고 온도조건(溫度條件)은 $20^{\circ}C$에서 25, 30, $35^{\circ}C$보다 반응성(反應性)이 높았다. 4. 본 생물검정법(生物檢定法)은 $GA_3$, BA, ABA에는 전혀 반응하지 않았으며 homobrassinolide 보다는 ${\alpha}$-NAA에 더욱 특이적으로 반응하였고 오옥신활성물질 또는 호르몬형제초활성물질로 알려진 phenoxy 및 indole 화합물에 정량적(定量的)으로 반응하였다.

  • PDF

농약(제초제)(農藥(除草劑)) Paraquat에 대한 저항성(抵抗性) 식물체(植物體) 선발육성(選拔育成)- 제1보(第1報) Paraquat에 대한 식물(植物)의 내성기작(耐性機作) (Development of Herbicide(Paraquat) Tolerant Plant Through Tissue Culture- 1. Mechanism of Plant Tolerance to Paraquat)

  • 김길웅;김원웅;권순태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91-200
    • /
    • 1986
  • 1. Paraquat에 대(對)한 식물체(植物體)의 반응(反應)은 상이(相異)하며 감수성(感受性) 정도(程度)에 큰 차(差)가 인정(認定)되었다. injury, discooration, leaf area 및 leaf dry weight 등(等)으로 보아 Kwanggyo, Milyang 등의 콩 품종(品種)은 Hood나 $D_4$에 비(比)하여 내성(耐性)을 보였다. Paraquat에 대(對)한 옥수수품종간(品種間)의 반응폭(反應幅)은 아주 좁았다. 2. 밭에 우점잡초(優占雜草)인 바랭이, 쇠비름, 강아지풀은 paraquat에 감수성(感受性)인데 비(比)하여 마디풀, 명아주, 반하 등(等)은 저항성(抵抗性)을 나타내어 저항성원(抵抗性源)을 제공(提供)하였다. 3. Paraquat의 무독화(無毒化)에 관련하는 peroxidase의 활성(活性)은 Kwanggyo에서 높았으나 무처리(無處理)와 차이(差異)가 작았다. Peroxidase의 동위효소(同位酵素)는 Kwanggyo에 6개(個), Hood에 4개(個)였으며 paraquat을 처리(處理)해도 Kwanggyo의 pattern의 거의 변화(變化)가 없으니 Hood에는 다소(多少) 변화(變化)가 인정(認定)되었다. 4. paraquat에 대(對)한 식물체(植物體) 저항성(抵抗性) mechanism인 superoxide dismutase의 활성(活性)은 paraquat 100ppm 처리후(處理後) 48시간(時間)째 Kwanggyo는 48.6 units/$m\ell$, Hood는 34.2 units/$m\ell$이고 무처리(無處理)는 Kwanggyork 33.0 units/$m\ell$, Hoodsms 34.5 units/$m\ell$로서 SOD의 활성차(活性差)가 감수성(感受性)의 차(差)를 발현(發現)시켰다고 사료(思料)된다. 5. paraquat의 농도(濃度)가 증가(增加)할수록 카루스의 증식(增殖)이 크게 억제(抑制)되었으며 100ppm 처리(處理)에서 Kwanggyo 69.4%, Hood는 92.4%의 억제(抑制)를 보여 Hood가 Kwanggyo보다 약(約) 1.5(培) 감수성(感受性)을 나타내어 superoxide dismutase와 더불어 콩 품종간차(品種間差)를 잘 설명(說明)해 주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