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trunk muscular endurance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2초

보바스 접근방법이 정신지체 아동의 균형 및 운동능력에 미치는 영향: 단일사례연구 (The Effect of the Bobath Approach on Balance and Motor Ability in Mentally Retarded Child)

  • 노효련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79-86
    • /
    • 2008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a practical method of medical treatment to improve the balance and motor ability of the mentally retarded child with a single mentally retarded child-subject. Methods: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a 39-month-old mentally retarded female. This study included a 2-week basic period and a 13-week treatment period. The treatment method was based on the Bobath Approach. Gross motor function measurement (GMFM) was used to examine changes in motor ability, and the Pediatric Balance Scale (PBS) was used to measure changes in balance ability. The curative program was composed of normalization of muscle tone, strengthening of leg endurance and muscular strength, the improvement of trunk alignment, and the increase of balance. Visual rate of change was used to examine the results. Results: As a result of this study, balance ability increased on the Pediatric Balance Scale (PBS) by 24 points, and motor function increased in terms of Gross Motor Function Measurement (GMFM) by 6.9% (18 points). Standing increased by 41% (16 points), and walking, running, and jumping increased by 31.9% (23 points) compared to thebasic period. Therefore, the Bobath Approach appears to be an appropriate method to improve balance and motor ability in mentally retarded children. Conclusion: It is surmised that aggressive intervention by physical therapists and occupational therapists, and a follow-up study, are required for the growth of motor ability in mentally retarded children.

  • PDF

경호전공대학생의 체력요인 분석 (An Analysis on the Physical Strength Factor of the Collegians Majoring in Security Services)

  • 전만중
    • 시큐리티연구
    • /
    • 제14호
    • /
    • pp.431-447
    • /
    • 2007
  • 경호전공 대학생들의 체력요인은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경호업무수행에 있어서 경호학과 전공학생의 체력요인과 전공무도별 체력요인의 실태를 분석하고, 체력요인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규명하여 전공학생들의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 자료로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으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충청남도에 소재한 J대학교 재학생 남자 80명을 대상으로 10개 항목의 체력검사를 실시하여 체력요인의 구조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경호학 전공학생에 영향을 미치는 체력요인은 순발력, 평형성, 근력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호학 전공학생 중 태권도 전공에게 영향을 미치는 체력요인은 평형성, 순발력, 근력, 심폐지구력요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호학 전공학생 중 유도 전공에게 영향을 미치는 체력요인은 순발력, 유연성, 근력요인으로 나타났다. 넷째, 경호학 전공학생 중 합기도 전공에게 영향을 미치는 체력요인은 근지구력, 근력, 심폐지구력, 유연성요인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경호학 전공학생 중 검도 전공에게 영향을 미치는 체력요인은 심폐지구력, 순발력요인으로 나타났다.

  • PDF

엘리트 육상선수와 태권도 선수의 등속성 운동능력에 관한 비교 연구 (Isokinetic Strength Capacity Between Elite Athletes and Taekwondo Player)

  • 김현미;이소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2691-2697
    • /
    • 2011
  • 본 논문은 대학교 육상단거리 선수와 태권도 선수의 근력, 근 파워를 비교하기 위하여 등속성 근력검사기기를 이용하여 기초체력, 슬관절의 근력($60^{\circ}$/sec), 근 파워($180^{\circ}$/sec)를 분석하여 육상 단거리 선수와 태권도 선수의 근기능 특성을 밝히고자 하는데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기초체력은 육상 단거리 선수가 태권도 선수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기초체력 중 좌악력과 순발력에서 통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슬관절의 근력은 육상 단거리 선수가 태권도 선수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나, 근 파워에서는 태권도 선수가 육상 단거리 선수에 비해 통계적으로 차이가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론을 종합해 볼 때, 육상 단거리 선수와 태권도 선수는 근력뿐만이 아니라 순발력을 필요로 하고 있으며, 등속성 근 기능의 측정에서는 태권도 선수는 체중조절을 요구하는 경기의 특성 때문인지 평균파워와 체중당 평균파워에서만 통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차후 연구에서는 각각의 운동 종목별 근 기능을 분석을 하는 것이 필요한 실정이며, 태권도 선수와 유사한 특성을 가진 투기종목에서도 근 기능을 분석하는 연구가 필요 할 것으로 사료된다.

규칙적인 운동이 간호대학생의 체력수준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Regular Physical Exercise on Physical Fitness Level in Nursing Students)

  • 조영희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267-282
    • /
    • 1997
  • This study was to test the relationship between regular physical exercise and physical fitness in nursing students. These subjects were 54 volunteers who agreed with intention of this study and were composed of 24 active group and 30 non-active group. The selected physical fitness tests were grip strength and back strength for measuring muscular strength, sargent jump and standing broad jump for measuring power, push-up, sit-up, and heart rate for measuring total endurance, reaction time and side step test for measuring agility, stick test and stork stand for measuring balance, and trunk flexion and trunk extension for measuring flexibility. The conclusion acquired was as follows : 1) Grip strength ha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ctive group of $29.5{\pm}5.9kg$ and non-active group $25.4{\pm}7.2kg$(t=2.283, p=.027), and back strength between active group of $54.1{\pm}13.7kg$ and non-active group of $44.7{\pm}15.7kg$(t=2.310, p=.025), 2) Sargent jump was lower with non-active group($44.9{\pm}8.6cm$) than with active group($45.3{\pm}8.8cm$), however, was not significant(t=.182, p=.856). Standing broad jump was significantly lower with non-active group of $161.3{\pm}28.7cm$ than with active group of $191.4{\pm}27.0cm$(t=3.939, p=.000). 3) Push-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ctive group of $25.3{\pm}12.3times$ and non-active group of $11.5{\pm}5.1times$(t=5.572, p=.000), and sit-up between active group of $21.8{\pm}7.4times$ and non-active group of $17.1{\pm}5.8times$(t=2.631, p=.011), and heart rate between actvie group of $110.5{\pm}12.8$beats/min and non-active group of $121.5{\pm}9.5$beats/min(t=-3.648, p=.001). 4) Reaction time was significantly higher with non-active group of $.300{\pm}.051sec$ than with active group of $.341{\pm}.041sec$(t=-3.285, p=.002). Side step test was lower with non-active group($8.8{\pm}1.1times$) than with active group($9.2{\pm}1.2times$), however, was not significant (t=1.309, p=.196). 5) Stick test showed not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ctive group of $25.8{\pm}14.8sec$ and non-active group of $30.7{\pm}17.9sec$(t=-1.058, p=.295), and stork stand between active group of $4.5{\pm}3.2sec$ and non-active group of $3.7{\pm}3.5sec$(t=.918, p=.363). 6) Trunk flexion came out not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ctive group of $14.2{\pm}5.0cm$ and non-active group of $15.8{\pm}7.3cm$(t=-.927, p=.358), and trunk extension between active group of $67.1{\pm}6.5cm$ and non-active group of $67.3{\pm}6.6cm$(t=-.140, p=.889). 7) Power was shown to be significantly related to total endurance(r=.717, p=.000 ; r-.739, p=.000). 8) Total endurance was shown to be significantly related to agility(r=-.752, p=.000 ; r=.684, p=.000 ; r=-.664, p=.000 ; r=.598, p=.002 ; r=.864, p=.000 ; r=-.536, p=.007). These results suggest that regular physical exercise is effective in promoting and maintaining physical fitness. As the further study, it is necessary to reinvestigate the effect with more refined design.

  • PDF

보온력이 상이한 의복의 착용습관이 운동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lothing Habits Wearing Cool or Warm on Motor Ability)

  • 이종민;이순원;전태원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86-291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clothing habits wearing cool or warm in daily life on motor ability. A group of ten healthy young females were divided into a cold (C) group and a warm (W) group. From autumn to winter, C group was advised to wear cool clothing, and W group, warm Clothing. The subject's physical fitness were tested in October, initial stage of the clothing training and March of the following year, final stage of the training. The measurements were taken after the subjects rested in a thermoneutral room conditioned at 23$\pm$2$^{\circ}C$ over 1 hour. The test items were weight, skinfold thickness, grip strength (right, left), back-lift strength, vertical jump, sit-ups, Irosmax, side step test, single-foot standing test with eyes closed, and standing trunk flexion. Changes in motor ability of each group between initial stage and final stage of the training were compared. 1. Muscle strength, part of the motor revelation capacity, showed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both ,Troops. On the other hand, strength and power showed a decrease in the both groups and C group showed a sharp decrease. 2. Muscular endurance and cardio-pulmonary fitness, part of the motor continuation capacity, were increased after the training and the degree of increase was great in C group. 3. C group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motor coordination capacity including agility, balance, and flexibility after the training, while Wgroup showed significant increases only in balance. 4. Weight and skinfold thickness as a part of the physique showed no significant change.

  • PDF

8주간의 복합운동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신장, 체성분, 체력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8 Weeks Complex Exercise Program on The Height, Body Composition, Physical Fitness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 권세진;김슬희;김원주;어지예;이미애;유병규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29-37
    • /
    • 2013
  • 목적 : 본 연구는 8주간 복합운동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신장, 체성분, 체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 경기도에 소재한 성남종합사회복지관의 복합운동프로그램에 지원한 남녀 초등 3 ~ 6학년 학생 11명(남자=6명, 여자=5명)을 대상자로 선정하여 8주 동안 주 2회 50분씩 복합운동프로그램(국민체조, 특허스트레칭, 음악 줄넘기, 탄력밴드운동, 마무리운동)을 적용하였다. 운동 전 후의 신장, 체성분을 알아보기 위하여 Inbody 520, 체력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Primus RS, Commander Power Track II, 윗몸일으키기, 체전굴을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8주 후 재측정을 실시하였다. 결과 : 8주간 복합운동프로그램 적용 후 대상자는 실험 전보다 실험 후 신장, 체성분, 하지근력, 근지구력의 측정값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상지근력과 유연성은 향상되었지만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초등학생의 키성장, 체성분과 체력 향상에 복합운동프로그램이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연구에서 대조군과 다양한 환경적 요인들을 고려한다면 보다 나은 객관적인 결과를 얻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요가와 필라테스 트레이닝이 비만 남자대학생의 비만도, 신체 부위별 근육량 및 체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Yoga and Pilates Training on Obesity Indexes, muscle mass in each body part and Physical Fitness in Male College Students)

  • 김지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9호
    • /
    • pp.5888-5896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요가와 필라테스 트레이닝이 비만 남자대학생의 비만도, 신체 부위별 근육량 및 체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운동처방의 임상적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피험자는 비만 남자대학생 총 20명을 각각 10명씩 요가와 필라테스 두 집단으로 무선할당하여 12주간 주 5회 1회당 90분씩 트레이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요가와 필라테스는 모두 비만도(골격근량 증가, BMI 감소, 체지방률 감소, WHR 감소), 신체 부위별 근육량(오른팔, 왼팔, 몸통, 오른다리, 왼다리 근육량 증가), 체력(하지근력, 근지구력, 유연성, 좌측평형성, 우측평형성 향상)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둘째, 필라테스는 요가보다 골격근량 증가, 신체 부위별(오른팔, 왼팔, 몸통, 오른다리, 왼다리)근육량 증가, 평형성 (좌, 우) 향상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셋째, 요가는 필라테스 보다 BMI, 체지방률, WHR 감소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 요가와 필라테스 트레이닝은 비만 남자대학생들의 비만도 개선과 건강증진에 유용한 운동프로그램으로 적용 가능하다고 사료되어진다.

중·고교 엘리트 역도선수들의 성장기 기초 및 전문체력 특성 변화 (Analysis of Physical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 Weightlifters)

  • 황동주;김형준;박인아;이승현;조준용;정주하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813-824
    • /
    • 2024
  • 본 연구는 중·고교 엘리트 역도 선수들을 대상으로 훈련에 의한 성장기 체력 및 운동기능 발달수준을 평가하여 종합적인 이해를 토대로 경기력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훈련 및 관리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충청남도 소재의 중, 고등학교 소속 역도선수[중등부 남자(n=5), 중등부 여자(n=5), 고등부 남자(n=12), 고등부 여자(n=8)]들을 대상으로 약 10개월 간의 역도기반 훈련에 따른 신체조성, 기초체력(근력, 근지구력, 순발력, 유연성, 동적평형성, 협응성) 및 등속성 근 기능(하지 및 요부)의 변화를 추적 관찰하였다. 그 결과, 중·고교 역도선수들은 제지방량의 증가를 중심으로 신체발달이 이루어졌으며, 척추 안정화와 함께 상체와 하체 간의 빠르고 효율적인 힘 전달에 기여하는 배근력과 순발력, 바벨을 안정된 그립으로 통제하기 위해 필요한 높은 악력은 역도 경기력의 중요한 체력요인으로서 고등부 수준에서 진행되는 전문적인 훈련과 경기 경험을 통해 유의하게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역도종목의 경기력에 기여하는 주요 체력요인 이외의 변화는 제한적이었으며, 이는 구체적인 훈련 프로그램의 구성 혹은 선수들의 경력 및 숙련도에 따른 효율성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으로 추론된다. 종합해보면, 성장기 역도선수들의 체력과 운동능력은 엘리트 운동선수의 발전가능성을 평가하는 중요한 요소로서 이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역도 선수들의 향상된 경기 성과를 이루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