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uma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3초

특발성 동안신경마비로 인한 안검하수와 안구운동장애 환자의 치험1례 (Clinical Study on a Case of Idiopathic Oculomotor Nerve Palsy Patient)

  • 이정섭;신선호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699-702
    • /
    • 2008
  • Oculomotor nerve palsy is a disorder which causes eyeball movement trouble, dipleopia, dizziness and eyelid ptosis. It is caused by aneurysm, mass, truma, intracranial hypertension, diabetes mellitus, infection and so on. But sometimes we can't establish the cause. We report a case of oculomotor nerve palsy associated with spleen energy(脾氣). We treated a patient with herb medicine and acupuncture. This study suggests that oriental medicine theraphy has a good effect on the oculomotor nerve palsy.

『빌러비드』: 재기억을 통한 정체성 회복 (Beloved: Identity Recovery through Rememory)

  • 김혜진
    • 영미문화
    • /
    • 제16권2호
    • /
    • pp.29-45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how the writer describes characters of the text who overcome traumatic experiences and restore their identity through rememory in Toni Morrison's Beloved. The writer, Morrison gives the female characters their voices to recover their ethnic identities. By breaking silence, they establish their identities and become Americans from "unspeakable thoughts" to "speaking subjects." The ex-slave Sethe and her daughter, Denver have experienced trauma which works from traces of memory and history after slavery was abolished. Sethe and Denver are isolated from the community at the 124 Bluestone Road. When Beloved, ghost who was killed by Sethe, appears, Sethe and Denver are wondering who she is. Rememorying in Beloved is the important form of narrative that Morrison uses to recover their trauma. Morrison emphasizes the need to reconcile with the community and the aid of community for Sethe and Denver to heal their truma. Thanks to Beloved who leads Sethe and Denver to the community, they can be finally one of the community members in America.

재난피해자의 외상 후 위기와 외상 후 성장,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계 -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소득의 조절효과 - (Disaster Victims' Post-trauma Risk, Posttraumatic Growth and Subjective Well-being - Social Support as a Mediator and Income as a Moderator -)

  • 심서영;손영우;박상현;윤지원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105-112
    • /
    • 2016
  •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disaster victims' post-trauma risk and posttraumatic growth, and the mediational role of social support for this relationships. In addition, we tested the hypothesis that income status would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trauma risk and subjective well-being. Two hundred disaster victims completed Post-trauma Risk Checklist (PRC), Posttraumatic growth scale, Social support scale and Concise Measure of Subjective Well-Being (COMOSWB) as well as questions about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Results showed that those with high post-trauma risk demonstrat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posttraumatic growth as compared to those with low post-trauma risk and social support partially mediated this relationship. Also, high levels of post-trauma risk predicted low levels of recent subjective well-being. Participants with high income obtained higher subjective well-being than did those with low income among high post-trauma risk groups. Implications for post-trauma risk and posttraumatic growth are discussed.

식이단백질 함량이 개복수술을 받은 흰쥐의 Catecholamine 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Protein Level on Catecholamine Concentration of Laparotomized Rats)

  • 김현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5권3호
    • /
    • pp.248-255
    • /
    • 1992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protein content on recovery of laparotomized rats in terms of urinary epinephrine and norepinephrine plasma epinephrine and norepinephrine, . Fortyeigh male Sprague Dawley rats average-weighing 160g were divided into two diet groups ; LPD(10% low protein diet) group HPD(25% high protein diet) group After 3 days of adaptation period rats were given experimental diet for 14 days. Experimental period consists of 7-days pre-trauma and 7-days post-trauma period. Rats were laparotomized by 4cm abdominal incision under sodium pentobarbital anesthesia. During 7-days before and after the surgery urine and plasma were collected for the analysis of epinephrine and norepine-phrine.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After laparotomy urinary epinephrine level was not increased in two diet groups. Urinary epinephrine concentration of rats in LPD group was considerably increased in post-trauma day 3 and thereafter gradually reduced. By post-trauma day 4 however urinary epinephrine concentration of rats in HPD groups was recovered to pre-trauma level 2) Urinary norepinephrine concentration of rats in LPD grou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rauma(p<0.01) and the difference between LPD and HPD in post-trauma average norepinephrine concentration was not significant. 3) Post-traum average plasma epinephrine concentration was higher but not significant than that of pre-truma average in both groups [LPD(19.88ng/ml vs 20.93ng/ml) HPD(17.20ng/ml vs 19.37ng/ml)] 4) Plasma norepinephrine concentration of rats in LPD grou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post-trauma period(p<0.01) In HPD group however post-trauma average plasma norepi-nephrine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pre-trauma average. Thus the results suggest that norepinehrine concentration was affected by trauma and rats in HPD group excreted less amount of norepinephrine than rats in LPD group.

  • PDF

유리골 이식을 통한 하악골 결손부의 기능적 재건술 (FUNCTIONAL RECONSTRUCTION OF MANDIBULAR DEFECTS WITH FREE BONE GRAFT)

  • 김종원;남일우;김명진;정필훈;서병무;유준영;남기원;송민석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5권4호
    • /
    • pp.338-345
    • /
    • 1993
  • 양성 종양, 악성 종양, 감염, 외상 등에 의한 하악골 결손은 중대한 심미적, 생물학적 결과를 일으킨다. 재건술의 일차적 목적은 완전한 기능 회복이며 이는 이차적으로 심미적 변형의 정상화를 유도한다. 저자들은 1981년에서 1990년까지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구강 악안면외과에 내원하여 하악골 재건술을 시행받고 6개월 이상 추적조사가 가능한 61증례의 임상적 자료 및 방사선 검사를 통해 부위별 임상적 성공률을 조사하였다. 본 임상 논문의 목적은 하악골 결손부위와 부위에 따른 유리골 이식의 성공률을 연구하는데 그 의의를 두겠다. 유리골 이식의 임상적 연구를 요약해 보면 유리 자가골 이식의 대부분은 장골이었고 망상피질골이었다. 6개월 이상 추적조사가 가능한 61명의 환자에 있어 전체적 성공률은 80.3% 였다. 강선고정과 구외접근법이 다른 방법보다 그 예후에 있어 훨씬 더 좋은 결과를 나타냈고 다른 부위보다 하악 정중부위가 그 예후에 있어 훨씬 나쁜 결과를 보였다.

  • PDF

구술생애사 기록을 통해 본 사회운동참여의 맥락 밀양765kV송전탑건설반대운동에 참여한 여성주민들의 구술생애사 분석을 중심으로 (Biographical Context of Participation in Social Movement : A biography-reconstructive analysis on experiences in Miryang struggle against 765kV transmission tower)

  • 김영;설문원
    • 기록학연구
    • /
    • 제44호
    • /
    • pp.101-151
    • /
    • 2015
  • 이 연구는 밀양송전탑반대투쟁에 참여한 여성주민들의 구술생애사를 분석해, 분단으로 인한 이념 대립 속에서 일어난 국가폭력의 체험이 환경운동 참여의 생애사적 맥락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밝혔다. 이 연구의 사례자들은 사회운동 참여를 통해 가족이 경험한 국가폭력과 그것으로 인한 자신의 트라우마를 드러냄으로써 가족의 삶의 정당성을 주장하고 자신의 상처를 치유해 새로운 삶으로 나아간다. 강요된 침묵을 깨고 상처를 드러내 치유하는 힘은 사회운동 속에서 발견한 연대의 힘이다. 이 연구에서의 이러한 발견은 한국의 다양한 사회운동의 형성과 전개에 국가폭력의 체험이 깊이 자리 잡고 있으며, 여전히 많은 사회성원들의 기억속에 은폐되고 억압되어 있을, 국가폭력으로 인한 트라우마를 치유하기 위해 더 많은 민주주의와 연대의 힘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이 연구는 구술생애사 기록의 중요성을 드러낸다. 구술생애사 기록은 공식 역사에서 배제된 사람들과 문자문화에 편입될 수 없었던 사람들의 행위와 역사를 기록함으로써 그 사회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고자 하였다. 공적 기록만으로 역사적 사건의 전모를 파악할 수 없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며 다양한 주체들의 기록을 모으는 것은 그러한 의미에서 중요하다. 공적 기록은 사건의 진실을 보여주는 증거가 되기도 하지만 대립이 있었던 사건의 경우 남겨진 기록만으로는 균형 잡힌 이해에 도달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연구를 통해 생산한 밀양 송전탑 반대투쟁참여 여성들의 구술생애사는 지역의 역사와 사회적 행위에 대해 풍부하고 균형 있는 맥락을 제공한다는 의의를 갖는다.

외상성 횡격막 손상 (Traumatic Injuries of the Diaphragm)

  • 김덕실;허동명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4호
    • /
    • pp.433-439
    • /
    • 1996
  • 경북대 학교병원에서는 1980년 1월부터 1995년 7월까지 들상에 의한 횡격 막 손상 환자 32례와 관통상 에 의한 12례를수술 치료하였다. 평균연령은둔상의 경우)7.6세,관통상의 경우29.2세로,들상의 경우 가 평 균 8.4세가 높았다(p<0.05). 진단은 단순 흉부 X-선 사진으로 횡격막 손상을 진단한 경우가 둔상에서는 24례 (75%), 관통상에서는 4fl (33%)였다. 관통상에서는 횡격막 손상의 의심 없이 다른 장기손상으로 수술하여 횡격막 파열이 발견 된 경우가 7례 (58%)였다. 탈장은 둔상시 24례 (75%), 관통상시 5례 (42%)에서 발생 하였다. 탈장이 발생 한 29례의 횡격막 손상의 크기는 10.9 $\pm$ 4.3cm, 발생하지 않은 15례는 3.5 $\pm$ 2.9cm로 양군간의 크기 의 차 이가 있어 (p<0.05) 횡격막 손상의 크기와 탈장과는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수출은 진단 즉시 시 행하였으며, 수술시 절개방법은 들상의 경우 20례 (6)%)에서 개흥술, 9례 에서 개 복술, 2례 에서 개흥복술, 1례 에서 개흥술 및 개복술을 분리 시행하였으며, 관통상시에는 6례 (50%)에서 개복술, 4례에서 개흥술, 2례에서 개흥술 및 개복술을 분리 시행하였다. 수술 후 합병증은 둔상시 6례 (19%), 관통 澯\ulcorner3례 (25%)에서 발생하여 비교적 높았다. 수술 후 사망률은 들상의 경우 2례 에서 사망하 였고(6.3%), 관통상의 경우는 사망례가 없어 전체 사망률은 4.5%였다. 결론적으로흥복부 외상시 횡격막 손상의 가능성을 염두에 두어야하며, 둔상의 경우횡격막손상의 크기는 관통상에 의한 경우보다 더 크며, 탈장도 횡격막 손상의 길이 에 비례하여 더 많이 발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