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ue leaf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24초

Effect of pretreatment conditions on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in pak choi (Brassica rapa L. ssp. chinensis)

  • Jin-Hee Choi;Hyun-do Ahn;Hae-Yeon Choi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969-982
    • /
    • 2023
  • This study evaluated the impact of blanching pak choi stems and leaves in various solutions (distilled water, 2% NaCl, and 2% citric acid) at 100℃ on their quality characteristics. The highest stem heating loss was observed in the sodium chloride solution (S-NB) at 15.10% (p<0.001), and the highest leaf heating loss was in L-NB at 11.44% (p<0.001). No significant variation was found in the moisture content of both stems and leaves. Relative to the control, the L value (lightness) of the stem decreased while the b value (yellowness) increased (p<0.05). In the leaves, the a value (redness/greenness) and b value increased in L-CB, whereas they decreased in other groups (p<0.05). S-NB exhibited the highest true retention (TR) of total polyphenol content (TPC) in stems (p<0.01) and the highest TR of total flavonoid content (TFC) as well (p<0.001). For leaves, the highest TR of TPC and TFC was in L-WB (p<0.001). In terms of antioxidant activity, S-NB in stems and L-WB in leaves showed the highest scavenging activity measured by DPPH and ABTS+ assays (p<0.001). Microorganisms were absent in all pretreatment groups but present in the control. The results suggest that blanching pak choi stems in 2% NaCl solution and leaves in water optimally preserves biologically active compounds and nutrients.

인삼 뿌리썩음병 발병에 미치는 토양전염성병원균과 토양환경요인 (Soil Environment and Soil-borne Plant Pathogen Causing Root Rot Disease of Ginseng)

  • 신지훈;윤병대;김혜진;김시주;정덕영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370-376
    • /
    • 2012
  • Disease is the major problem in ginseng cultivation from seed stratification, soil preparation prior to planting, right through to drying of the roots. There are many soil-borne disease pathogen in rhizosphere soil environment, furthermore occurrence of diseases by a diverse group of fungi and related organisms are closely related to various soil condition. Observable symptoms for soil-borne diseases include wilting, leaf death and leaf fall, death of branches and limbs and in severe cases death of the whole plant. The fungus Cylindrocarpon destructans is the cause of root rot characterized by a decay of the true root system in many ginseng production areas in Korea. Some pathogens are generally confined to the juvenile roots whilst others are capable of attacking older parts of the root system. However, the relation between the soil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ginseng root rot by soil-borne disease pathogen is not clearly identified in ginseng field. In this paper, we reviewed soil-borne plant pathogen causing root rot disease of ginseng with respect to soil environment.

원수의 중탄산 농도가 근권 화학성 변화 및 상추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Bicarbonate Concentrations in Irrigation Solution on Growth of Lettuce and Changes in Chemical Properties of Root Media)

  • 신보경;손정익;최종명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65-72
    • /
    • 2013
  • 관개수의 중탄산 농도가 상추의 생장 및 근권 환경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펄라이트를 직경 10cm의 플라스틱 화분에 충전하고 청축면 및 적축면 상추를 정식하였다. 중성비료를 이용하여 질소기준 $100mg{\cdot}L^{-1}$로 농도를 조절하여 시비하였고, 관비용액에 중탄산($HCO_3^-$) 농도를 30, 70, 110, 150, 및 $180mg{\cdot}L^{-1}$로 조절한 처리를 만들어 실험하였다. 청축면 상추를 재배하면서 중탄산 농도가 30과 $70mg{\cdot}L^{-1}$ 로 조절한 처리는 관비 시작 후 10주차에 pH가 7.04 및 7.10로 높아졌고, 110, 150 및 $180mg{\cdot}L^{-1}$ 처리의 경우 처리 3주차 이후로 꾸준히 상승하여 10주에는 각각 pH 7.39, 7.48 과 7.56으로 측정되었다. 적축면 상추는 근권부 pH 및 EC가 완만하게 상승하였다. 중탄산을 30과 $70mg{\cdot}L^{-1}$로 조절한 처리의 경우 4주차에서 8주차까지 pH가 평균 6.65로 유지하다가 8주차 이후 상승하여 각각 6.92 및 7.01로 측정되었다. 중탄산 110, 150 및 $180mg{\cdot}L^{-1}$ 처리는 6주차 이후에 pH가 꾸준히 상승하여 10주차에는 각각 7.49, 7.53 및 7.58로 측정되었다. EC의 경우 모든 처리에서 2주차 이후 완만하게 상승하였다. 청축면과 적축면 상추를 재배하면서 근권부 무기 이온 농도변화를 분석한 결과 모든 처리에서 각 이온의 농도가 유사한 경향을 보이며 변하는 특징을 나타내었다. 재배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초기보다 $PO_{4-}P$, $Ca^{2+}$$Mg^{2+}$ 농도가 상승하였고, ${SO_4}^{-2}$ 농도가 낮아졌다. 근권부 무기 원소 농도 변화는 중탄산에 의한 pH 상승이 주요 원인이라고 판단하였다.

Sodium nitroprusside mediates seedling development and attenuation of oxidative stresses in Chinese cabbage

  • Sung, Chang-Hyun;Hong, Jeum-Kyu
    • Plant Biotechnology Reports
    • /
    • 제4권4호
    • /
    • pp.243-251
    • /
    • 2010
  • Nitric oxide (NO) has been shown to be involved in diverse physiological processes in microbes, animals and plants. In this study, the involvement of NO in the development and possible roles in oxidative stress protection of Chinese cabbage (Brassica rapa subsp. pekinensis cv. Samrack-ulgari) seedlings were investigated. Exogenous application of sodium nitroprusside (SNP) retarded root elongation, while increasing lateral root formation of Chinese cabbage. Plants showed no signs of external stress due to SNP application in true leaves. Cotyledons of 3-week-old Chinese cabbage plants were found to be highly sensitive to SNP application. Treated cotyledons displayed rapid tissue collapse and associated cell death. Although SNP application reduced root growth under normal growth conditions, it also enhanced methyl viologen (MV)-mediated oxidative stress tolerance. Analysis of SNP application to Chinese cabbage leaf disks, revealed SNP-induced tolerance against oxidative stresses by MV and $H_2O_2$, and evidence includes prevention of chlorophyll loss, superoxide anion (${O_2}^-$) accumulation and lipid peroxidation. This report supports a role for nitric oxide in modulating early seedling development, programmed cell death and stress tolerance in Chinese cabbage.

In Vitro Regeneration of Lycium chinense Miller and Detection of Silent Somaclones with RAPD Polymorphisms

  • Ahn, In-Suk;Park, Young-Goo;Shin, Dong-Ill;Sul, Ill-Whan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6권3호
    • /
    • pp.157-163
    • /
    • 2004
  • An efficient system for the regeneration of adventitious shoots from in vitro cultured leaf sections of Lycium chinense Miller was developed and silent somaclones from the regenerants detected with RAPD method. Among the eight media tested (B5, SH, N&N, 1/2MS, MS, 3/2MS, GD and WPM), and four cytokinins (BA, kinetin, 2ip and zeatin)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1, 5, 10, 20, 30 and 40 $\mu{M}$), 1/2 MS medium supplemented with 20 and 30 $\mu{M}$ zeatin showed the best regeneration frequency (100% and 93.7%) and higher average number of shoots (9.0 and 9.4). All regenerants easily elongated after subculturing on 1/4MS without growth stimulants and produced spontaneous adventitious roots from their basal parts. With phenotypically normal 40 regenerants, RAPD analysis with 15 different random primers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cryptic somaclonal variants. No substantial differences in banding patterns were found in the amplified polymorphic DNAs implying no DNA changes during dedifferentiation into adventitious shoots. However, one (OPF-4) of the 15 primers detected silent somaclonal variation in one regenerant in which two different polymorphic bands did not appear when compared with the rest regenerants. The results indicate that regenerantion via intervening callus phase can be used to establish true-to-type planting stocks for homogeneous population.

밀식재배(密植栽培)한 제일대(第一代) 잡종(雜種)포플러, Populus alba × Populus glandulosa F1 우량(優良)클론의 형태학적(形態學的) 형질(形質)에 관한 연구(硏究) (Morphological Characters of Superior Populus alba × Populus glandulosa F1 Clones under Intensive Culture)

  • 이경학;이돈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64권1호
    • /
    • pp.1-10
    • /
    • 1984
  • 본(本) 연구(硏究)는 biomass 생산(生産)을 위(爲)한 밀식재배(密植栽培)에 적합(適合)한 수종(樹種)으로 우리 나라에서 개발(開發)된 제일대(第一代) 잡종(雜種) 포플러, Populus alba ${\times}$ Populus glandulosa $F_1$ 클론들 중(中) 우수(優秀)한 생장(生長)을 보이는 2개(個)의 클론과 그렇지 못한 2개(個)의 클론, 1, 2년생(年生)을 대상(對象)으로 어떠한 형태적(形態的) 특성(特性)이 빠른 생장(生長)에 관련(關聯)되는가를 알아보기 위(爲)하여 실시(實施)되었다. 본(本) 실험(實驗)은 수원에 있는 서울대학교(大學校) 묘포장(苗圃場)에 ha당(富) 20,000 본(本)을 식재(植栽)한 후 시험구(試驗區)를 설치(設置)하여 생장(生長), 엽특성(葉特性), 가지 특성(持性) 등(等)을 시기별(時期別)로 조사(調査), 비교(比較)하였다. 개체당(個體當) 건물질(乾物質) 생산량(生産量)에 있어서 2년생(年生) 클론간에는 유의차(有意差)가 인정(認定)되었으나, 1년생(年生)은 인정(認定)되지 않았다. 2년생(年)生에 있어서 개체당(個體當) 엽면적(葉面積)과 건물질(乾物質) 생산량(生産量), 그리고 개체당(個體當) 총(總) 가지의 길이와 건물질(乾物質) 생산량간(生産量間)에 고도(高度)의 상관(相關)이 나타났으며, 특(特)히 주목(注目)할 만한 것은 이러한 상관(相關)이 생장기(生長期) 후반기(後半期)인 8월(月)과 9월(月)에 더욱 뚜렷하였다. 높은 물질(物質) 생산량(生産量)을 보이는 클론의 형태학적(形態學的) 특성(特性)은 다음과 같았다. 즉, 높은 shoot-root ratio를 보이며, 엽생장(葉生長)에 있어서는 광합성기관(光合成器官)의 크기를 대표(代表)할 수 있는 개체당(個體當) 엽면적(葉面積)이 많았고, 엽보유기간(葉保有期間)이 길어 생장(生長)을 더 오래할 수 있었다. 또한 수관(樹冠) 상부(上部)에 작은 엽(葉)이 많아서 광합성(光合成)에 필요(必要)한 빛을 효율적(效率的)으로 이용(利用)할 수 있었고 가지의 특성(特性)으로는 길이가 길고 가지수(數)는 많아서 조밀(粗密)한 수관형태(樹冠形態)를 보이는 것 들이었다.

  • PDF

주요 오이 품종의 노균병에 대한 저항성 검정 (Screening for Resistance to Downy Mildew among Major Commercial Cucumber Varieties)

  • 이중섭;한경숙;이성찬;소재우
    • 식물병연구
    • /
    • 제19권3호
    • /
    • pp.188-195
    • /
    • 2013
  • 본 연구는 국내 수집 및 아시아채소개발센터 보유 품종인 오이 22종을 이용하여 노균병에 대한 품종별 저항성 정도를 구명하고 우수 품종을 선발하고자 대만 타이난소재 아시아 채소연구 개발 센터에서 수행하였다. 수집 품종에 대한 노균병 병원균 접종은 모든 수집 품종의 생장 단계 중 유엽이 5-6엽 전개되는 유묘 초기에 병원균을 접종하여 검정하였다. 이때 노균병 발병에 최적 발병조건 유지를 위해 온도 조절이 가능한 항온기 내에서 처리 후 일정기간 유지하였다. 노균병균의 접종농도는 $1{\times}10^5$ spores/ml의 포자 현탁액을 오이 잎에 1회 분무 접종 후 잎에 발생한 병반수를 6, 9, 12, 15일 총 4회에 걸쳐 조사하였다. 그 결과 $15^{\circ}C$$25^{\circ}C$ 챔버에서는 병반 형성이 매우 낮았으나 $20^{\circ}C$ 처리에서는 처리 품종당 평균 병반수 20-30개(5엽 기준)를 나타내어 병반 형성이 비교적 높았다. 처리 품종별 병반수는 'C-19' 품종에서 0.90(10-20% 미만)로 다른 품종에 비하여 비교적 병반수가 낮아 노균병에 대한 가장 높은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기타 품종에서는 병반수가 다량 형성되어 노균병에 대한 저항성이 낮았으며 처리 후 경과일수가 길어질수록 더욱 증가되어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중국 Acer wilsonii 와 근연분류군의 분류학적 재검토 (A reappraisal of the Acer wilsonii complex and Related Species in China)

  • 엄현주;;장진성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329-337
    • /
    • 2011
  • 중국 남부에 분포하는 Acer wilsonii 분류군은(A. wilsonii, A. tutcheri, and A. confertifoilum) 10개의 형태형질을 분석을 통해 종의 실체에 대해 검토하였다. 중국과 외국 표본관에 소장된 표본을 근간으로 단변량과 2개의 변량을 조사한 결과 A. tutcheri는 A. wilsonii와 화서가 짧으면서 잎맥에 발달한 거치와 좁은 잎의 너비에 의해 구분이 되었다. E. H. Wilson이 호북(湖北)에서 채집하여 기재된 A. wilsonii는 2개의 복제표본이 존재하나 이중 한 개는 전혀 다른 분류군으로 인식되며, 또한, A. Rehder가 기재 당시 명확하게 배제한 표본을 Fnag, W. P. 는 포함하여 지금까지 이 종에 대한 실체에 오류가 있었다. 한편, 잎이 소형이고 화서가 단축된 A. confertifolium은 A. tutcheri의 소형 표본으로 이명으로 처리하였다. Sinensia열은 화서 형태의 다양한 분화가 있었던 반면, 잎이 갈라지는 맥수는 비교적 3-5개로 고정된 반면, Palamta 열은 잎의 맥수가 많아지면서(7-11개), 화서가 단축된 산방화서의 별다른 변화를 보여주지 않아, 서로 상반된 진화양상을 보였다. A. wilsonii은 Sinensia 열중 잎과 화서가 모두 단축된 진화된 계열로 판단되지만 꽃잎이 5장으로 4장인 A. tutcheri와는 서로 유연관계는 먼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결과A. wilsonii의 선정기준표본, 분포도,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인공광형 폐쇄형 육묘시스템 내 광량 및 플러그 트레이 규격에 따른 오이 접수 및 호박대목의 생육특성 (Growth Characteristics of Cucumber Scion and Pumpkin Rootstock under Different Levels of Light Intensity and Plug Cell Size under an Artificial Lighting Condition)

  • 장윤아;이혜진;최장선;엄영철;이상규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83-390
    • /
    • 2014
  • 균일한 고품질의 접수 및 대목 생산을 목적으로, 인공광형 폐쇄형 육묘시스템 내에서의 접수 및 대목 육묘기술을 개발하고자, 폐쇄형 육묘시스템 내에서의 광량 및 플러그 트레이 규격에 따른 오이 접수 및 호박 대목의 생육을 조사하였다. 광량 3수준 (photosynthetic photon flux, PPF 165, 248, $313{\mu}mol{\cdot}m^{-2}{\cdot}s^{-1}$) 및 플러그 트레이 셀 규격 5가지(50, 72, 105, 128, 200공)를 조합한 15처리로 9일간 육묘하였다. 오이 접수와 호박 대목의 지상부 건물중은 광량과 플러그 트레이의 셀 크기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 상대생장률은 광량과 플러그 트레이의 셀 크기에 따라 두 배 가까운 차이를 보였다. 그와 함께 광량의 증가에 따라 건물률이 증가하고 비엽면적 및 배축장이 감소하여, 묘의 품질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1본엽의 전개는 200공 플러그 트레이에 육묘한 경우를 제외하고 오이 접수의 경우 파종 8일, 호박 대목의 경우 파종 7일경부터 이루어졌다. 200공 플러그 트레이에 육묘한 경우, 다른 플러그 트레이 규격을 이용한 경우에 비해 생육 및 본엽 전개가 하루 정도 늦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생육 및 공간이용효율을 고려하였을 때, 단근합접을 위한 오이 접수 및 호박 대목 생산을 위해서는 오이 접수의 경우 105공~128공 플러그 트레이를 이용하여 8일 내외, 호박 대목의 경우 72공~105공 플러그 트레이를 이용하여 7일 내외로 육묘하는 것이 추천된다. 아울러 광량 증가에 따라 묘의 생육 및 품질이 향상되므로, 검토된 범위 내에서 가능한 광량을 높여주는 관리가 추천된다.

Podosphaera xanthii Race 1에 대한 박과 작물의 저항성 (Resistance of Cucurbits to Podosphaera xanthii Race 1)

  • 이지현;장경수;이원정;최용호;최경자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2권5호
    • /
    • pp.673-683
    • /
    • 2014
  • 2010년 대전에서 채집한 흰가루병이 발생한 오이 잎의 단일 병반에서 흰가루병균을 분리하였고, 이 흰가루병균은 광학현미경 하에서의 형태학적 특성과 멜론 판별품종에서의 저항성 반응에 따라 Podosphaera xanthii race 1으로 동정되었다. 박과 작물 흰가루병에 대한 저항성 검정에 효율적인 생육시기를 결정하기 위하여, P. xanthii race 1에 대한 오이품종들의 생육시기에 따른 저항성 차이를 조사하였다. 시판중인 오이 34개 품종의 이 흰가루병균에 대한 저항성을 온실에서 3종류의 생육시기에서 실험한 결과, 떡잎에서의 저항성 반응은 본엽에서와 일치하지 않았으며, 본엽 1엽에서의 흰가루병 발생 정도는 식물 전체의 흰가루병 발생량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본엽 1엽에 흰가루병이 충분히 발생하는 시기에 1엽만을 대상으로 저항성을 검정하는 것이 효율적이라 생각되었다. 또한, 박과 작물의 재배 시기에 따른 저항성 차이를 조사하기 위하여 오이 12개 품종을 4개의 재배 시기에 그리고 멜론 26개 품종을 3개의 재배시기에 흰가루병 발생을 조사하였다. 오이 품종들 중 6개 품종은 재배 시기에 따라 흰가루병 저항성에 차이를 보였으며, 온도가 올라가면 저항성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이와 달리 멜론 품종들은 실험한 품종 중 5개가 고도의 저항성을 보였으며, 이들의 흰가루병 저항성은 재배 시기에 따라 거의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한편, 대전에서 분리한 P. xanthii race 1 균주는 수박 7개 품종에 대하여 병원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하지만 모든 P. xanthii race 1 균주가 수박에 비병원성인지는 race 1 균주를 더 많이 확보하여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