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ophic position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초

Variation in trophic pathways and food web characteristics revealed by stable isotopes in an intermittent stream system of the Inukami River, Japan

  • Shin, Hyun-Seon;Amahashi, Nozomi;Ao, Lan;Mitamura, Osamu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15권3호
    • /
    • pp.235-241
    • /
    • 2011
  • To examine variation in trophic pathways and the characteristics of food webs from organic matters to aquatic insects, we used stable isotopes to study an intermittent stream system of the Inukami River, Japan. The aquatic insects, including Glossosoma spp., Chironominae spp., Stenelmis spp., Rhyacophilla nigrocephala, and Hexatoma spp., were characterized by different feeding strategies. The ${\delta}^{13}C$ values for these species indicated that Glossosoma spp. graze upon periphyton; Chironominae and Stenelmis spp. mainly feed on benthic particulate organic matter, and R. nigrocephala and Hexatoma spp., which were identified as predators, feed upon Glossosoma, Stenelmis, and/or Chironominae spp. This suggests that the trophic position of consumers at each station may be determined by the trophic position of basal food sources in situ. For trophic pathways, the ${\delta}^{13}C$ values for both organic matter and aquatic insects tended to gradually decrease, whilst the ${\delta}^{15}N$ values increased from the upper reach to the lower reaches, relative to the physicochemical and geographical conditions. These parameters indirectly influence the flow of energy from organic matter to consumers within food web in an intermittent stream system.

Trophic position and diet shift based on the body size of Coreoperca kawamebari (Temminck & Schlegel, 1843)

  • Choi, Jong-Yun;Kim, Seong-Ki;Kim, Jeong-Cheol;Yoon, Jung-Do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4권1호
    • /
    • pp.1-7
    • /
    • 2020
  • Background: Fish body size is a major determinant of freshwater trophic interactions, yet only a few studies have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sh body size and trophic interactions in river upstream.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ody size and trophic position (TP) of Coreoperca kawamebari (Temminck & Schlegel, 1843) in an upstream of the Geum River. Results: A stable isotope analysis (based on δ15N) was used to determine the TP based on the body size of C. kawamebari. The regression analysis (n = 33, f = 63.840, r2 = 0.68) clearly show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ody length and TP of C. kawamebari. The TP of C. kawamebari was clearly divided by body size into the following classes: individuals of size < 10 cm that feed on insects and individuals of size > 10 cm feed on juvenile fish. This selective feeding is an evolutionarily selective tendency to maximize energy intake per unit time. Furthermore, the diet shift of C. kawamebari was led by different spatial distributions. The littoral zone was occupied by individuals of size < 10 cm, and those of size > 10 cm were mainly in the central zone. The littoral zone can be assumed to be enriched with food items such as ephemeropterans and dipterans. Conclusion: The TP of C. kawamebari, as a carnivorous predator, will have a strong influence on biotic interactions in the upstream area of the Geum River, which can lead to food web implication.

금강 하구 생태계에서 아미노산의 질소 안정동위원소비를 이용한 섭식생물의 영양단계 파악 (Determination of Trophic Position Using Nitrogen Isotope Ration of Individual Amino Acid in the Geum Estuary)

  • 최현태;최보형;신경훈
    • 생태와환경
    • /
    • 제50권4호
    • /
    • pp.432-440
    • /
    • 2017
  • CSIA-AAs은 섭식 생물의 영양단계 산출 연구에서 SIA를 대체할 수 있는 연구 방법으로 크게 주목 받고 있지만, 최근까지 국내 연구 사례는 매우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금강 하구역에서 채집된 두 종의 다모류(Nephtyidae, Glyceridae)와 두 종의 어류 (Platycephalus indicus, Lophius litulon)에 대한 영양단계를 ${\delta}^{15}N_{AAs}$를 통해 산출하고 이를 ${\delta}^{15}N_{bulk}$를 이용해 산출한 영양단계와 비교하고자 하였다. 두 정점에서 채집된 다모류의 $TP_{bulk}$는 각각 2.6과 3.1로 다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두 산출기법($TP_{base2}$, $TP_{base1}$)에 따른 차이는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본 연구에서 분석된 두 어종에 대한 $TP_{bulk}$는 각각 3.1과 2.3으로 어종 간 차이가 확인되었으나, $TP_{AAs}$는 3.8과 3.7로 어종 간 차이가 매우 작고 상대적으로 높은 영양단계가 확인되었다. 이는 두 어종이 어식성 어류임을 고려할 때 $TP_{AAs}$가 보다 더 신뢰할 수 있는 기법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본 연구는 한국 연안 생태계에서 CSIA-AAs의 활용 필요성과 그 유용성을 보여주고 있다.

화합물안정동위원소 분석법을 활용한 낙동강 이입종 강준치 Chanodichthys erythropterus의 영양단계 해석 (Interpretation of Trophic Positions Using the CSIA Approach: Focusing on the Invasive Fish Lake Skygazer Chanodichthys erythropterus)

  • 원은지;조하은;김도균;최지웅;안광국;신경훈
    • 생태와환경
    • /
    • 제56권3호
    • /
    • pp.218-228
    • /
    • 2023
  • 강준치 C. erythropterus는 육식성 어종으로 이 종이 낙동강 전역에서 극우점하게 됨에 따라 상업성 어종이 감소하는 등 여러 이슈가 있어왔으며 이들의 섭식과 관련된 생태 특성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섭식특성에 대한 연구는 위 내용물에 대한 분석에 국한되어 수행되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이입종인 강준치 C. erythroterus의 생태학적 특성을 이해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낙동강 일대 13개 정점에서 채취한 강준치 표본으로부터 화합물의 안정동위원소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영양학적 지위(trophic position)를 계산하고 섭식특성을 해석하였다. 아미노산의 질소 안정동위원소 분석은 C. erythropterus 단독의 시료로부터 신뢰할 수 있는 TP를 도출할 수 있게 하였으며, 그 결과 개체의 크기에 따라 약 3에서 3.6으로 증가하는 결과를 얻었다. 또한 성체에서 관찰된 TP의 변동성을 통해 상대적으로 유사한 영양단계를 갖는 육식성 어종에 비해 선택적인 섭식 습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하계 한반도 해역(동해, 서해, 남해 및 동중국해)의 하위영양단계 먹이망 구조 : 탄소 및 질소 안정동위원소 활용 (Food-Web Structures in the Lower Trophic Levels of the Korean Seas (East Sea, West Sea, South Sea, and East China Sea) during the Summer Season: Using Carbon and Nitrogen Stable Isotopes)

  • 민준오;이창화;윤석현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493-505
    • /
    • 2020
  • 본 연구는 2019년 8월 한반도 주변해역(동해, 서해, 남해, 동중국해)에서 탄소 및 질소 안정동위원소 기법을 활용하여 하위영양 단계에서의 먹이망 구조를 파악하였다. 입자성 유기물(POM)의 δ13C 범위는 -26.18 ~ 20.61 ‰, δ15N 범위는 5.36 ~ 15.20 ‰의 넓은 범위를 보였다. POM과 각 생물별 개체군 사이의 δ13C 분별작용의 결과는 대부분 micro-POM을 섭식하는 것으로 확인하였으나 해역 간 차이를 보였다. 각 생물별 영양단계는 chaetognaths (3.40±0.61)가 가장 높은 영양단계에 있음을 확인하였다. 동위원소 혼합모델을 적용한 결과에서 chaetognaths의 먹이원으로 copepods (13 ~ 48 %)와 euphausiids (20 ~ 51 %)가 가장 높은 기여도를 나타냈다. 본 연구결과 각 해역별 먹이원의 제한적 공급 및 다양성의 차이가 먹이망 구조 및 각 생물별 동위원소 비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다양한 수생태계에 적용 가능한 유해물질의 영양확대계수 (trophic magnification factor, TMF) 연구 - 생활화학제품에서 기인한 성분과 어류조사를 중심으로 (A Direction of the Monitoring of Household Chemical Products in Aquatic Environments: The Necessities for a Trophic Magnification Factor (TMF) Research on Fish)

  • 원은지;조하은;김도균;홍성진;신경훈
    • 생태와환경
    • /
    • 제55권3호
    • /
    • pp.185-200
    • /
    • 2022
  • 수환경 내 다양한 유해물질의 위해성에 대한 관심은 환경 매체 내 물질의 농도뿐만 아니라 복잡한 먹이단계를 통한 어류 체내의 축적과 어류를 통한 인체 위해성으로 이어진다. 국내의 경우 2016년 이후 생활에서 사용되고 있는 화학제품(생활화학제품) 기인 위해 우려물질의 관리를 위한 등록과 평가 등에 관한 법률 개정과 함께 이들 물질의 환경 배출이 주목받게 됨에 따라 수생태계 내 잔류여부에 대한 조사도 수행되기 시작했다. 최근에는 이러한 물질의 관리를 위한 생태계 내 분포 조사 및 배출 계수 산정을 위한 연구사업이 수행되고 있는데 해당 연구 사업에서는 세정제, 접착제, 염색제, 방향제 등을 비롯한 화장품이나 세제 등에 포함되는 성분과 살균·소독제를 대상으로 영양단계 내 축적과 전달을 이해하기 위한 물질의 축적과 확대를 포함한다. 본 논문은 최근 발표된 생활화학제품기인 유해물질의 수환경 유입 및 분포에 대한 연구 결과를 정리하고 그 과학적 의미를 제시하며 또한 국내외 수행되고 있는 수환경 모니터링 기법에 대한 연구의 예를 바탕으로 현재 유해화학물질의 수환경 내 잔류 농도 및 분포, 생태계 모니터링을 위한 연구의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특히 어류를 대상으로 하는 조사에서 국내 수역에 서식하는 주요 어류조사 및 이를 바탕으로 한 대상 어류 선정의 필요성과 인체 위해성 연구의 필요성 등 시기적으로 요구되는 연구를 위한 영양단계 해석과 생물확대계수 연구의 방향을 소개하며 향후 국내에서 수행되고 있는 생물상 모니터링과 화학물질 연구에 대한 제언을 포함한다.

Biomass and secondary production of the three dominant amphipods (Crustacea) in a temperate sandy shore, southern Korea

  • Hwan, Yu-Ok;Rip, Seo-Hae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1년도 춘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435-436
    • /
    • 2001
  • In sand beaches the benthic macrofauna feeding on primary food sources such as detritus and phytoplankton and being prey in turn for top predators such as fishes occupies a key position in the center of food chains. Amphipods are the most productive bentho-pelagic animals (Barnard, 1963) and are commonly consumed by fishes and larger crustaceans (Vetter, 1995). Consequently, amphipods play an important role in energy flow as a trophic link from primary producers to higher consumers(Chiaravalle et al., 1997).

  • PDF

수생태 환경 연구에 있어 안정동위원소의 활용과 전망 (Applications and Prospects of Stable Isotope in Aquatic Ecology and Environmental Study)

  • 최보형;신경훈
    • 생태와환경
    • /
    • 제51권1호
    • /
    • pp.96-104
    • /
    • 2018
  • 안정동위원소비는 전 세계적으로 수생태 환경 연구에서 매우 활발하게 적용되고 있는 분야로써, 국내에서도 2000년대 이후 담수 및 연안 생태계의 먹이망 구조 연구 등 다양한 연구에서 활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기존의 총 조직내의 안정동위원소 분석기법의 한계점을 인지하고 보완하기 위한 방안으로 아미노산의 질소 안정동위원소 분석 기법이 개발되었으며, 이를 활용한 다양한 연구 사례들이 보고됨에 따라 수생태 연구의 활용범위가 급격히 확대되고 있다. 아미노산의 질소 안정동위원소 분석기법의 기술적인 접근성의 한계에 의해 현재까지 국내에서 수생태계 연구를 위해 아미노산의 질소 안정동위원소비를 활용한 연구는 제한적인 실정이지만, 국내 다양한 하천 및 호수 그리고 연안의 환경 변화 특성을 고려할 때, 향후 수생태 환경연구에 있어 그 유용성과 활용 가치가 대단히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

Identification of Diachea leucopodia on Strawberry from Greenhouse in Korea

  • Lee, Jung-Han;Han, Ki-Soo;Bae, Dong-Won;Kim, Dong-Kil;Kim, Hee-Kyu
    • Mycobiology
    • /
    • 제36권3호
    • /
    • pp.143-147
    • /
    • 2008
  • We have detected the slime mold, Diachea leucopodia (GNU06-10) in a strawberry greenhouse located in Sancheong-gun, Gyeongnam. Typical fruiting bodies had developed gregariously on the strawberry leaves, petioles, and plant debris on ground soil habitat, and also surprisingly on plastic pipes and a vinyl covering. Field samples were examined via stereomicroscopy, light microscopy, and SEM for the determination of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Dark-brown to black spores formed gregariously within the stipitate cylindrical sporangium, and were covered by an iridescent peridium, which may be intact at maturity, or may have disintegrated. The upper portion of the peridium generally breaks up to expose the spores, whereas the lower portion was usually persistent. The results of 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meter (EDS) analysis showed that lime was present in the stalk and columella but absent from the spores, capillitium, and peridium. The above characteristics confirm its taxonomic position in the genus Diachea. However, this genus is intermediate in character between the Physarales and Stemonitales of the Myxogastromycetidae. Hence, this genus had been classified as a member of the Stemonitales until the mid-1970's, on the basis of its iridescent peridium and noncalcareous capillitial system, similar to Comatricha of the Stemonitaceae. By way of contrast, emphasis o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most notably the calcareous stalk and typical columella, places Diachea within the order Physarales. The presence of a phaneroplasmodium during the trophic stage and lime deposition in its sporophores, as was confirmed in this work, supported the inclusion of Diachea in the Physarales, and the noncalcareous capillitial system verified its identification as a member of the Didymiaceae. Further characteristics of the species D. leucopodia include the following: phaneroplasmodium, spore globose 7.5 ${\mu}m$ in diameter, very minutely roughened; sporangia $500{\mu}m\times1mm$, more or less cylindrical, gregarious, stalked 1.2mm; stalk and columella white.

영흥도 조간대 갯벌 저서미세조류의 생태적 중요성; 안정동위원소 분석 활용 (Ecological Importance of Benthic Microalgae in the Intertidal Mud Flat of Yeongheung Island; Application of Stable Isotope Analysis (SIA))

  • 강수진;최보형;한용진;신경훈
    • 생태와환경
    • /
    • 제49권2호
    • /
    • pp.80-88
    • /
    • 2016
  • 영흥도 인근 갯벌의 저서 먹이망 구조를 파악하고, BMA가 저서동물에 대한 먹이원으로써의 중요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저서동물 (이매패류, 갑각류, 복족류, 어류)과 먹이원의 탄소 및 질소 안정동위원소비를 분석하였다. 먹이원의 후보인 POM, BMA, 잘피 (Z. marina)와 해조류의 탄소 안정동위원소비는 -26.5‰에서 -8.4‰로 넓은 범위를 보였으며, 저서동물의 탄소 안정동위원소비는 -17.8‰에서 -12.1‰로 먹이원의 탄소 안정동위원소 범위 내에 존재하였다. 해조류 중 녹조류와 SOM을 제외한 먹이원의 질소 안정동위원소비 ($5.7{\pm}1.0$‰)는 저서동물($11.8{\pm}1.9$‰)에 비하여 가벼운 것으로 나타나, 기존의 연구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탄소와 질소 안정동위원소비 분석을 통하여 저서동물은 세 그룹으로 나누어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각 그룹 내 저서동물의 먹이원 및 생태적 지위가 유사함을 의미한다. 또한 각 그룹에 대한 BMA의 먹이 기여도가 매우 큰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서 영흥도 조간대 갯벌 생태계에 있어 BMA가 가장 기초적인 생물자원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