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iglyceride composition

검색결과 539건 처리시간 0.026초

개암종실(種實)의 지질성분(脂質成分)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ipid Components of Hazel Nut Oil)

  • 홍형기;신효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361-365
    • /
    • 1978
  • 개암종실의 일반성분과 petroleum ether로 추출한 지방질에 대한 몇가지 물리, 화학적 항수, 지방질의 구성분 및 지방산조성을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개암종실의 일반성분은 수분 4.0%, 조단백질 15.5%, 조지방질 64%, 가용성무질소물 11.7%, 조섬유 2.0%, 조회분 2.5%였다. 그리고 참개암이 물개암보다 조지방질의 함량이 약 3%가량 더 많았다. 2) 개암종실에서 추출한 조지방질의 비중$(15/15^{\circ}C)$은 0.916. 굴절률$(15^{\circ}C)$은 1.468이였고, 비누화값은 184, 요오드값은 94.5, 산값은 0.2였으며 비비누화물량은 0.25%였다. 3) 개암종실유에는 중성지질이 약 97%이고 복합지질은 약 3%에 불과하였다. 4) 개암종실유중의 중성지질은 98 %가 triglyceride이고, free fatty acid와 free sterol은 각각 0.5% 및 1.3%였으며 esterified sterol은 검출되지 않았다. 5) 개암종실유의 지방산조성은 oleic acid가 $76{\sim}80%$로 가장 많고 linoleic acid는 약 15%로 그 다음으로 많으며, palmitic 및 stearic acid는 각각 5.0% 및 1.7%였으며, 그외에 linolenic acid와 palmitoleic acid가 각각 0.4% 및 0.8% 함유되여 있었다. 그리고 p/s ratio는 $1.8{\sim}2.8$이었다.

  • PDF

과체중 및 비만 여성에서 의학영양치료에 의한 체격지수의 변화 양상 및 식사 섭취와 혈액학적 지표의 변화 (Effects of Medical Nutrition Therapy on Changes of Anthropometric Measurements, Dietary Pattern and Blood Parameters in Over Weight or Obese Women)

  • 이정숙;이혜옥;임정은;김영설;조여원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8권6호
    • /
    • pp.432-444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edical nutrition therapy (MNT) on anthropometric measurements, quality of diets, and blood parameters through the weight loss program in over weight or obese women. The subjects (n=76, $age\;31.1{\pm}8.4y,\;weight\;70.3{\pm}7.9kg,\;BMI\;27.2{\pm}2.4kg/m^2$) without medical disease were treated with MNT 5 times for 12 weeks by dietitian. Anthropometric measurements included height, weight, fat mass, lean body mass, triceps and thigh skin-fold thickness, mid-arm, waist, hip and thigh circumference. Dietary assessments were accomplished using 3-days food records, diet quality index (DQI), and dietary pattern. The dietary pattern was assessed by daily energy intakes from breakfast, lunch, dinner, and snacks of calorie density, and numbers of eating. Blood levels of leptin, lipid profiles (total lipids, total cholesterol, LDL-cholesterol, HDL-cholesterol), and insulin were analyzed. Anthropometric measurements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MNT (p<0.001). Waist circumference was reduced most rapidly and tricep skin-fold thickness was reduced most effectively after 12 weeks of MNT. Daily energy intake, calorie density and numbers of eating incidence decreased significantly $0796.4{\pm}395.5\;vs\;1402.9{\pm}217.8\;kcal/day,\;162.3{\pm}56.5\;vs\;113.4{\pm}30.1,\;5.0{\pm}1.4\;vs\;3.8{\pm}0.4$, respectively, p<0.05). The daily energy intake from breakfast and snacks significantly decreased (p<0.001). Calories from snack, calorie density of snack and numbers of snacking also decreased (p<0.05). The mean scores of DQI significantly increased ($7.6{\pm}2.1\;vs\;6.5{\pm}1.6$, p<0.05). The plasma levels of total lipid, triglyceride (TG), total cholesterol, LDL-cholesterol and leptin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MNT ($489.8{\pm}100.4\;vs\;447.0{\pm}87.3mg/dL,\;187.7{\pm}34.0\;vs\;175.9{\pm}31.5mg/dL,\;115.2{\pm}29.2\;vs\;109.2{\pm}26.7mg/dL,\;15.7{\pm}7.6\;vs\;12.4{\pm}5.9ng/mL$, respectively, p<0.05). These results indicate that MNT efficiently reduced the body weight through the changes in dietary intake, dietary patterns and dietary quality. MNT also changed body composition and reduced the levels of plasma lipid, cholesterol and leptin.

발효굴 섭취가 중년 여성의 신체조성, 근력 및 혈중 근성장 인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rmented Oyster Extract Supplementation on Body Composition, Muscular Strengths and Blood Muscle Growth Fact ors in Elderly Women)

  • 박정현;김동석;이배진;허정수;전병환
    •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76-85
    • /
    • 2021
  • Crassostrea gigas were fermented using L. brevis BJ20 to prepare fermented oyster extract (FO).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randomly assigned to FO and placebo (CON) groups. The FO group was given 1.0 g of FO supplementation and the CON group was given sucrose each day for eight weeks. The effects of FO supplementation on body composition, muscula r strength, and blood factors associated with muscle growth were assessed. The FO supplement was enriched with arginine (6,183.3 mg), phenylalanine (217.9 mg), leucine (122.6 mg), isoleucine (59.8 mg), valine (16.4 mg), and γ-amino butyric acid (GABA, 1,053.7 mg). The total fat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FO group compared with the CON group (p < 0.05). 60D/S Ext.T/Wo rk and 60D/S Flex.T/Work concomitantly with 60D/S Flex.PeakTQ/BW were significantly increase d by FO treatment compared to CON group (p < 0.05). However, posture stability was not significa ntly different between the groups. The levels of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within the FO group (p < 0.05). The FO group showed significantly decreased levels of tumor necrosis factor-α and increased levels of human growth hormone compared with the CON group (p < 0.01). The levels of insulin-like growth factor-1 increased (p < 0.01) in the FO group while that of creatine kinase and triglyceride de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with the CON group (p < 0.05).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FO supplementation is effective in preventing sarcopenic obesity and maintaining and strengthening muscular function in elderly wom en. Hence, FO supplements can be used as functional ingredients for these benefits.

YK-209 뽕잎이 Streptozotocin 유발 당뇨쥐 간조직에서의 HMG-Coa Reductase 활성과 지질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YK-209 Mulberry Leaves on HMG-CoA Reductase and Lipid Composition of Liver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홍정희;이순재;박모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826-833
    • /
    • 2002
  • 본 연구는 YK-209뽕잎이 STZ유발 당뇨 간조직 중의 콜레스테롤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실험동물은 100$\pm$10 우의 Sprague-Dawley종 수컷을 정상군(nor-mal group)과 당뇨군으로 나누고 당뇨군은 다시 식이내 YK-209뽕잎 함량에 따라 각각 YK-209뽕잎을 공급하지 않은 당뇨군(DM group), 0.1% YK-209 뽕잎 식이군(DM-0.1Y group),0.2% YK-209 뽕잎 식이군(DM-0.2Y group) 및 0.4% YK-209 뽕잎 식이군(DM-0.4Y group)으로 나누어 자유섭식 시켰다. 3주 후 STZ으로 당뇨를 유발한 후 9일째에 희생하여 혈액 및 간장에서의 콜레스테롤대사 개선능에 대해 관찰하였다 YK-209 뽕잎중의 flavonoid 함량을 조사한 결과 rutin은 4.19 mg/g, iso-quercitrin은 2.01 mg/g, kaempferol-3-O-ru-tinose은 1.64 mg/B, 및 astragalin은 0.36 mg/g이었으며 총 flavonoid 함량은 8.19 mg/g 으로 청일 뽕잎보다 그 함량들이 높았다. 혈청중의 중성지방 함량은 정상군에 비해 DM군이 105% 높았으나 YK-209 뽕잎 공급군은 정상군 수준이었다. 총 콜레스테롤 함량과 LDL-cholesterol함량은 정 상군에 비해 DM군은 증가되었으며, YK-209뽕잎 공급군은 DM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반면 HDL-cholesterol 함량은 정상 군에 비해 DM군에서 감소되었으나 YK-209뽕잎 공급군은 정상군 수준이었다 동맥경화 지수(AI)는 DM군은 정상군에 비해 약 3배 정도 높았으나 UM-0.1Y군과 DM-0.2Y군은 정상군 수준이었다. 간조직 중의 총지질 함량과 중성지방함량은 정상군에 비해 DM군에서 감소되었으며 YK-209 뽕잎을 공급한 군에서 DM군에 비해 증가되었다. 간조직의 콜레스테롤 함량은 DM군에서 정상군에 비해 160%증가되었으나YK-209 뽕잎 공급군은 정상군 수준이었다. 간조직 중의 HMG-CoA reductase 활성은 정 상군에 비 해 DM군이 43% 감소되었으나 DM-0.1Y군과 DM-0.2Y군은 정상군 수준이었다. 결론적으로 YK-209 뽕잎은 STZ유발 당뇨쥐의 간조직의 HMG-CoA reductase활성의 조절 및 혈액과 간조직의 콜레스테롤 농도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음이 규명되었다.

녹차와 실크 펩타이드 및 캡슐 소재 함유 조성물이 여대생들의 복용 기간별 체지방 및 혈청 지질 성상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reen Tea, Cocoon Hydrolysates and Capsulated Components Mixture on Body Fat and Serum Lipid Composition in College Women in Terms of Supplemented Periods)

  • 이성희;조병남;홍이진;이민숙;주상섭;김동명;진동규;노숙령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715-722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산화, 변성되기 쉬운 비타민 C와 유산균을 캡슐화하여 비타민 C의 활성을 유지시킴은 물론 유산균에 보호막을 씌움으로써 불활성화를 방지하고자 하였다. 녹차잎과 캡슐화한 비타민 C, 유산균 및 실크 펩타이드, 다시마, 차전자피, 알로에 등의 섭취가 체지방 감소 및 체중 감량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여대생 34명을 대상으로 2002년 8월부터 2002년 11월까지 3개월 동안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실험군의 평균 연령은 20.3세, 평균신장은 162.5 cm, 평균 체중은 57.9 kg, BMI 평균은 21.9 였다. 총열량 섭취량은 보충 전.후에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당질 섭취량은 보충 전보다 보충 후에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으로 나타났으며 (p<0.05), 단백질과 지방의 섭취는 보충 전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식이 섬유소 섭취의 경우 보충 전에 비해 보충 후에 유의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p<0.001). 각 주별 체중 및 BMI의 변화는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보충 전에 비하여 보충 후에 2.5 kg 정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지방량 변화는 보충 전에 비해 보충 4주군에서 유의적인 감소가 나타나(p<0.05) 보충 전에 비해 보충 4주 후 2.0 kg정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체지방율 변화 역시 보충 전보다 보충 4주 후에 유의적인 감소 경향이 나타나(P<0.05) 보충 전에 비해 보충 후 1.9%의 체지방율 감소가 나타났다. 허리-엉덩이 둘레 비율(WHR)의 변화는 보충 전에 비해 보충 4주군에서 유의한 감소 경향이 나타났다(p<0.05). 보충 전.후의 총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의 변화는 보충 후에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p<0.001), LDL-cholesterol, HDL,-cholesterol 및 LDL/HDL ratio는 보충 전.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보면 본 연구에서 한달 동안 일상식이를 섭취하면서 녹차와 실크 펩타이드와 식이 섬유소의 보충은 체지방을 낮추는 역할을 하였으며, 총 콜레스테롤과 중성 지방 수준의 감소 효과를 알 수 있었다. 또한 산화, 변성되기 쉬운 비타민 C와 유산균을 캡슐화하여 비타민 C의 항산화 기능으로 혈청 지질 개선에 유의적이었으며, 정장 작용을 도움으로써 체중 감소에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신체의 부위 중 복부의 지방을 감소시켜 복부 비만의 관리 및 체지방 관련 위험율을 감소시키는 결과가 나타났다.

도라지 추출액이 Alloxan 유발 당뇨성 흰쥐의 혈당 및 지질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latycodon grandiflorum Extract on Blood Glucose and Lipid Composition in Alloxan Induced Hyperglycemic Rats)

  • 성낙주;이수정;신정혜;이일숙;정영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986-992
    • /
    • 1996
  • Alloxan(alloxan monohydrate 15mg/kg B.W./day, I.P. injection)으로 유발된 당뇨성 Sprague-Dawley계 숫흰쥐에 있어서 6년근 및 22년근 도라지 추출액의 급여가 혈당 및 혈청, 간장의 지질개선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3주간 실험 사육한 결과, 혈당 농도는 대조군(1군, 기본식이)에 비해 alloxan 투여군(2군, 3군, 4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2군(기본식이 +alloxan)에 비해서 3군(기본식이+alloxan+6년근 도라지 추출액), 4군(기본식이 +alloxan+22년근 도라지 추출액)이 낮았으며, 특히 4군이 낮았다. 혈청 총 콜레스테롤 및 LDL-콜레스테롤 농도는 1군이 가장 낮았고, 2군에 비해 3군, 4군이 낮았으나, 4군에서 더욱 낮았다. 혈청 HDL-콜레스테롤 농도는 1군이 가장 높았으나 2군에 비해 도라지 추출액 급여군(3군, 4군)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4군이 더 높았다. 동맥경화지수는 2군에 비해 3군, 4군이 낮았다. 혈청 유리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 에스테르, 중성지질 및 인지질의 농도는 2군에 비해 전 실험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았다. 간장 중 총 콜레스데롤, 중성 지질 및 인지질의 함량은 2군에 비해 전 실험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았다. 혈청 AST, ALT및 LDH활성은 2군이 가장 높았으며 다른 실험군들은 비교적 낮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도라지 추출액이 혈당, 혈청 및 간장의 지질개선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22년근 도라지 추출액이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생약제제(미라클®)첨가가 이유 자돈의 성장률, 영양소 이용율, 분내 미생물균총 및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erbal Product (Miracle®) on the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Fecal Microflora and Immunoresponse in Weanling Pigs)

  • 석종찬;임희석;백인기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5호
    • /
    • pp.767-776
    • /
    • 2003
  • 자돈사료 내 생약제제(Miracle$^{\circledR}$) 첨가가 생산성, 영양소 소화율, 분 내 미생물균총 그리고 혈액 성상에 대해 미치는 영향을 검정하기 위해 총 5주간의 사양실험을 실시하였다. 48두의 3원 교잡종(Y${\times}$L${\times}$D) 이유자돈(평균 개시 체중 7.84kg${\pm}$0.17, 28일령)을 4처리 4반복, 반복 당 3두씩 배치하였고, 처리구들은 대조구(T1), CTC 100ppm(T2), Miracle$^{\circledR}$ 0.15%(T3) 그리고 CTC 100ppm + Miracle$^{\circledR}$ 0.15%(T4)로 하였다. 생약제제 첨가(T3)구에서 증체량, 사료 섭취 및 사료 효율을 개선하는 경향이 있었지만, 처리구간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영양소 소화율은 처리구들 간에 유의적 차이가 있었는데(P〈0.05), T3 급여구에서 건물, 조단백질, NFE, P 그리고 아미노산 소화율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혈청 내 콜레스테롤 수준은 T3 처리구에서 가장 낮았는데 항생제 처리구(T2)보다 유의하게(P〈0.05) 낮았고 타 처리구들에 비해서는 낮았지만 유의차는 없었다. T3 처리구는 Triglyceride와 HDL 수준에서도 다른 처리구들 보다 낮았으나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혈청 IgG의 수준은 T4에서 가장 높았으며(P〈0.05) 다음으로 T1, T2 그리고 T3 순이었다. 혈청 내 AST 수준은 T1에서 가장 낮았다. 혈청 총 단백질, albumin 그리고 ALT의 수준은 처리구간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분 내 Lactobacillus, Cl. perfringens 그리고 E. coli의 수 CFU는 처리구들 간에 차이는 없었으나 3주와 5주에서 T2 (CTC 100ppm) 처리구의 Cl. perfringens가 낮은 경향이 있었다. 결론적으로 생약제제 MiracleⓇ은 이유자돈의 생산성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며 소화율, 혈청 IgG 및 콜레스테롤 수준은 낮추고 AST 수준은 높였다. 항생제(CTC)와 생약제제 Miracle$^{\circledR}$의 혼합 사용은 단일 사용에 비교해서 상승 효과가 없었다.

한국산 들깻잎의 지방질 및 지방산조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Lipid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Korean Perilla Leaves(Penilla frutescens var. japonica HARA))

  • 신광규;양차범;박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610-615
    • /
    • 1992
  • 근래에 와서 널리 식용되고 있는 2종류의 들깻잎 즉 잎 뒷면이 녹색을 띄는 들깻잎(GPL)과 자색을 띄는 들깻잎(VPL)을 시료로 하여 이들의 지방질 및 지방산 조성을 비교 측정하였다. 총지방질 함량은 건중당 GPL에서는 5.24%, VPL에서는 5.02%로 두 시료간에 차이가 거의 없었다. 총지방질중 중성지방질은 $34.67{\sim}36.36%$, 당지방질은 $49.06{\sim}50.94%$, 인지방질은 $14.39{\sim}14.58%$로 함유되어 VPL에서는 중성지방질과 인지방질이 GPL에서는 당지방질이 약간 높게 함유되었다. 중성지방질의 주요성분은 sterol ester-hychocarbons $(58.07{\sim}58.54%)$과 triglyceride(14.9%)였으며 당지방질에서는 monogalactosyl diglyceride$(42.4{\sim}44.9%)$ digalactosyl diglyceride$(13.4{\sim}15.4%)$였고, 그리고 인지방질에서는 phosphatidyl ethanolamine$(40.1{\sim}45.0%)$이었으며 이들 함량은 GPL과 VPL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GPL과 VPL간에 구성분의 유사도는 중성지방질(r=1.00), 당지방질(r=0.997) 그리고 인지방질(r=0.968)의 순으로 감소되었다. 총지방질 지방질획분의 구성 주요지방산은 총지방질 중에는 linolenic acid$(62{\sim}64%)$, palmitic$(10{\sim}12%)$ linoleic acid$(9{\sim}10%)$였고, 중성지방질에는 linolenic acid$(42.2{\sim}43.2%)$, palmitic acid(15.2%), myristic acid$(14.4{\sim}14.9%)$, 당지방질에는 linolenic acid$(74.6{\sim}79.4%)$, oleic acid$(8.0{\sim}10.8%,$, palmitic acid$(5.2{\sim}7.9%)$, 인지방질 중에는 linolenic acid$(36.4{\sim}39.1%)$, linoleic acid$(22.6{\sim}25.4%)$, palmitic acid$(22.4{\sim}22.5%)$였다. 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은 VPL의 당지방질에서 가장 높았다. GPL과 VPL간에 지방산 구성유사도는 인지방질에서 가장 작았고, 인지방질과 다른 지방질 획분간에도 그러하였다.

  • PDF

사료 지질원으로 우지, 대두유 및 오징어 간유 첨가에 따른 조피볼락 Sebastes schlegeli의 성장 및 체성분 변화와 절식시 체내 대사 (Effects of Dietary Beef Tallow, Soybean Oil and Squid Liver Oil on Growth and Body Composition of the Korean Rockfish Sebastes schlegeli, and Biochemical Changes with Starvation)

  • 이상민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63-76
    • /
    • 1994
  • 사료의 n-3HUFA 함량이 $1.6\%$ 이상 함유되도록 조절한 3종의 실험 사료로 43g 전후의 조피볼락을 19주간 사육 실험한 후, 136g전후의 어체를 45일간 절식시켜 사료 지질원에 따른 조피볼락의 성장 및 체성분의 변화와 절식시 체내 대사를 조사하였다. 증중율, 사료 효율, 단백질 축적 효율 및 지질 축적 효율 모두 사료 지질원에 따른 유의차가 없었다$(P\geq0.05)$ 간과 등 근육의 총지질 중의 지방산은 사료 지질원의 조성비에 영향을 받아, monoene산은 우지 첨가구에, n-6계 지방산 (18:2n-6, 22:4n-6)들은 대두유 첨가구에, n-3계 지방산 (20 : 5n-3, 22 : 6n-3)들은 오징어 간유 단독 첨가구에 상대적으로 더 높게 조성되어 있었다. 전 어체 및 등 근육의 일반 성분은 실험구별로 차이가 없었으며, 간 중량비 및 내장 중량비도 차이가 없었다. 간과 내장의 수분 함량은 오징어 간유 구가 타 실험구에 비해 높았으며, 간지질 함량은 우지 첨가구가 가장 높았다. 간 중량비 및 내장 중량비는 모두 절식기간 중에 전체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오징어 간유 구가 타 실험구에 비해 그 감소폭이 컸다. 절식 15일까지는 근육 단백질과 지질이 감소하였고, 그 후부터는 간의 글리코겐 함량이 감소하였으며, 내장 지질은 절식 기간 중 계속 감소하는 현상을 보여 절식 중에 이용되는 에너지원의 형태와 시기가 다르게 나타났다. 혈청 성분은 지질원에 따라 절식 기간별로 이동되는 형태가 약간 다르게 나타나기는 하였으나, 절식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점차 그 차이는 없었다.

  • PDF

3종(種) 패류(貝類)의 지질조성(脂質組成)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Lipid Composition in Three Species of Shellfish)

  • 손양옥;하봉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407-419
    • /
    • 1983
  • 서식환경(棲息環境)이 다른 해산(海産) 참굴, 소라 그리고 담수산(淡水産) 후루미재첩의 3종(種) 패류(貝類)를 시료(試料)로 총지질(總脂質)을 추출(抽出)하여 thin layer chromatography와 TLC-scanner를 이용(利用)하여 총지질(總脂質)을 구성(構成)하는 지질성분(脂質成分)을 정량(定量)하였다. 그리고 gas liquid chromatography로 총지질(總脂質)의 지방산(脂肪酸) 및 sterol 조성(組成)을 정량(定量)하였으며, 총지질(總脂質)을 다시 column chromatography로 중성지질(中性脂質), 당지질(糖脂質) 및 인지질(燐脂質)로 분획(分劃)하여 패류지질(貝類脂質)의 특징(特徵)을 비교(比較) 검토(檢討)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結論)을 얻었다. 1) 시료(試料) 패류(貝類)의 총지질(總脂質) 함량(含量)은 굴이 1.8%, 소라가 0.4% 그리고 후루미재첩이 4.0%였다. 그리고 총지질(總脂質)의 전지방산(全脂肪酸)의 함량(含量)은 굴이 80.7%, 소라가 71.2%, 후루미재첩이 73.2%였고 불감화물은 굴이 15.4%, 소라가 18.1%, 후루미재첩이 23.1%였다. 2) 총지질(總脂質)을 구성(構成)하는 지질성분(脂質成分)으로는 triglyceride, 극성지질일색소(極性脂質一色素) 혼합층(混合層) 그리고 sterol성분(成分)이 가장 많았고 hydrocarbon-esterified sterol 혼합층(混合層)의 순(順)으로 나타났다. 3) 총지질(總脂質)을 구성(構成)하는 지방산(脂肪酸)은 참굴에서는 palmitic(37.0%), eicosapentaenoic(13.5%) 및 linoleic acid(11.2%)가 주성분(主成分)을 이루고 있고 소라에서는 octadecatetraenoic(15.8%), palmitic(11.2%), oleic(8.6%) 및 linoleic acid(8.1%)가 주성분(主成分)을 이루고 있으나, 후루미재첩에서는 palmitic(34.0%), Iinoleic(12.3%) 및 palmitoleic acid(9.8%)가 주성분(主成分)을 이루고 있었다. 특(特)히 참굴과 소라에서는 eicosapentaenoic acid의 함량(含量)이 후루미재첩보다 훨씬 많았다. 4) 3종(種) 패류(貝類)의 sterol성분(成分)은 주(主)로 cholesterol(42.7~64.0%), brassicasterol(15.6~24.7%) 및 24-methylenecholesterol(4.7~21.4%)였다. 그러나 참굴에서는 sitosterol(5.3%)이 소라에는 22-dehydrocholesterol(12.9%)이 검출(檢出)되었다. 5) 총지질(總脂質)에서 분획(分劃)한 비극성지질(非極性脂質)과 극성지질(極性脂質)의 함량(含量)은 시료(試料)에서 공통적(共通的)으로 비극성지질(非極性脂質)이 극성지질(極性脂質)보다 높았다. 그리고 극성지질중(極性脂質中)에서는 당지질(糖脂質)과 인지질(燐脂質)의 함량비(含量比)가 비슷하였다. 6) 중성지질(中性脂質)을 구성(構成)하는 지질성분(脂質成分)은 triglycerides(33.0~36.7%), free sterol(25.7~32.2), esterified sterol(12.4~23.7%) 그리고 free fatty acids(5.1~11.7%)로 구성(構成)되어 있었다. 중성지질(中性脂質)을 구성(構成)하는 지방산(脂肪酸)으로는 참굴과 후루미재첩에서는 palmitic(28.4~26.4%), eicosapentaenoic(18.6~21.9%) 및 linolenic acid(9.0~5.4%)가 주성분(主成分)이었고 소라에서는 octadecatetraenoic(14.5%), eicosapentaenoic(13.5%) 및 palmitic acid(12.3%)가 주성분(主成分)이었다. 7) 당지질(糖脂質)을 구성(構成)하는 지방산(脂肪酸)으로는 참굴에서는 eicosenoic(14.3%), palmitic(12.1%) 및 linolenic acid(10.2%)가 주성분(主成分)이었고, 소라에서는 eicosenoic(26.0%), octadecatetraenoic(14.6%) 및 eicosadienoic acid(12.9%)가 주성분(主成分)이었으며 후루미재첩에서는 eicosadienoic(21.4%), stearic(14.6%), octadecatetraenoic(8.5%) 및 eicosenoic acid(8.5%)가 주성분(主成分)이었다. 8) 인지질(燐脂質)을 구성(構成)하는 지방산(脂肪酸)으로는 참굴에서는 myristic(16.0%), stearic(10.6%), eicosenoic(10.5%) 및 palmitic acid(10.3%)가 주성분(主成分)이었고, 소라에서는 oleic(22.2%), stearic(20.7%) 및 linolenic acid(11.8%)가 주성분(主成分)이었으며, 후루미재첩에서는 eicosapentaenoic(25.1%), myristic(8.7%) 및 arachidonic acid(8.3%)가 주성분(主成分)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