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iglyceride composition

검색결과 539건 처리시간 0.028초

걷기운동이 비만여중생의 대사증후군 위험인자와 신체구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Walking Exercise on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and Body Composition in Obese Middle School Girls)

  • 김영혜;양역옥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858-867
    • /
    • 2005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determine the effects of walking exercise training(WET) on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and body composition in obese middle school girls. Method: A non-equivalent pretest-posttest experimental design was used. Twenty seven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from one women's middle school in Busan. The participants were purposely allocated to an experimental group (n=14) and a control group (n=13).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30-60 minutes of WET with 55 to $75\%$ of a maximal heart rate six days a week for 12 weeks. Results: The prevalence of individual risk factors on metabolic syndrome were improv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fter the intervention. The high waist circumference(WC), high triglyceride(TG), low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HDL-C), high blood pressure(BP) and high fasting glucose(FG) were 21.4, 21.4, 14.3, 28.6 and $7.2\%$, respective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WC (F=22.24, p<.001), TG (F=5.34, p=0.30), body weight(F=21.99, p<.001), fat mass(F=19.17, p<.001), and $\%$ body fat(F=17.93, p<.001)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after the intervention.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HDL-C, FG and BP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after the intervention.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WET is effective in decreasing risk factors of the metabolic syndrome and body composition components in obese middle school girl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WET can be useful as a nursing intervention in the prevention of obesity-related disorders in obese adolescents.

우리나라 콩의 지방산 조성 및 단백질의 전기영동 패턴 (Fatty Acid Composition and Electrophoretic Patterns of Proteins of Korean Soybeans)

  • 김종군;김성곤;이준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63-271
    • /
    • 1988
  • 우리나라 콩중 장려품종 1품종(봉의) 및 재래종 3품종(KW-12, KLS-77005-1 및 102-B)을 대상으로 일반성분, 지방질의 지방산조성 및 단백질의 전기영동 패턴을 비교하였다. 콩의 단백질 함량은 102-B가 33.7%로서 가장 낮았고, KLS-77005-1이 38.5로서 가장 높았으나 지방질함량은 반대로 전자가 24.2%로서 가장 높았고, 후자가 21.3로서 가장 낮았다. 콩의 지방질은 중성지방질, 당지방질 및 인지방질의 순서로 함량이 낮았으며, 102-B는 다른 콩에 비하여 중성지방질의 함량이 높았고 당지질의 함량이 낮았다. 중성지방질은 트리글리세리드가 주성분이었고 다음이 스테롤이었다. 총지방질의 지방산은 레놀레산이 가장 많았고, 다음이 올레산 및 팔미트산으로서 이들 세 지방산이 85%이상을 차지하였다. 중성지방질, 당지방질 및 인지방질의 지방산조성은 모두 리놀레산의 함량이 가장 높았다. 콩단백질은 전기영동상 7개의 분리대를 보였으며 KW-12는 IIS글로부린의 함량이 낮았고 102-B는 이의 함량이 높았다. 콩단백질을 구성하는 subunit의 조성은 시료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PDF

흰쥐에서 식이 단백질 수준이 유즙 성분과 새끼의 영양상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Protein Level on Milk Composition and Postnatal Growth in Rats)

  • 김화영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2권8호
    • /
    • pp.855-863
    • /
    • 1999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etary protein level throughout gestation and lactation on milk composition and on postnatal growth in infants, using rats as an animal model. Female Sprague-Dawley rats were provided with either high(25% ISP(Isolated Soy Protein)diet) or low protein diet(10% ISP diet) throughout gestation and lactation. Milk samples were taken for analysis from the lactating rats at days of 7, 14, 21, of lactation. Dams and some pups were killed after 4 weeks from parturtion (Experiment 1). Pups from dams of each diet groups were randomly selected and reared with 25% or 10% ISP diet for 4 more weeks (Experiment 2). In experiment 1, maternal protein intake and body weight gain throughout gestation and lactation was higher in 25% ISP group. Serum protein, Ca, Fe, Zn, K concentration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25% ISP group. There was no difference in birth weight between two groups, however the mean body weight at 4 weeks postpartum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25% ISP group. Serum profiles of pups at weaning were similar to that of dams. Milk compositions were changed during lactation processes and were affected by dietary protein level. Lactose and Ca, Cu, Fe concentrations in milk were higher in 25% ISP group, whereas, lipid, triglyceride were higher in 10% ISP group. In experiment 2, food intake was higher in milk were higher in 25% ISP group but was unaffected by pup's dietary protein level after weaning. The weights of liver and kidney were affected by maternal protein intake. The weight of intestine was affected by pup's dietary protein level after weaning. The weight of femur and scapula were affected by maternal protein intake.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four groups in serum profiles. Therefore, as mentioned above, it seemed that the effect of maternal protein malnutrition to fetus was able to be overcome to some extent by high protein diet intake after weaning. In conclusion, 1) Dietary protein level throughout gestation and lactation affected both nutritional status of dams and pups and milk composition: 25% ISP groups supported better nutritional status than 10% ISP group 2) It seemed that effect of dietary protein level after weaning on pups was able to be overcome the influence of maternal diet in fetus to some extent.

  • PDF

Association between LEPR Genotype and Gut Microbiome in Healthy Non-Obese Korean Adults

  • Yoon Jung Cha;In Ae Chang;Eun-Heui Jin;Ji Hye Song;Jang Hee Hong;Jin-Gyu Jung;Jung Sunwoo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32권1호
    • /
    • pp.146-153
    • /
    • 2024
  • The LEPR (leptin receptor) genotype is associated with obesity. Gut microbiome composition differs between obese and non-obese adults. However, the impact of LEPR genotype on gut microbiome composition in humans has not yet been studied. In this study, the association between LEPR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rs1173100, rs1137101, and rs790419) and the gut microbiome composition in 65 non-obese Korean adults was investigated. Leptin, triglyceride,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and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evels were also measured in all participants. Mean ± SD (standard deviation) of age, body mass index, and leptin hormone levels of participants was 35.2 ± 8.1 years, 21.4 ± 1.8 kg/m2, and 7989.1 ± 6687.4 pg/mL, respectively. Gut microbiome analysis was performed at the phylum level by 16S rRNA sequencing. Among the 11 phyla detected, only one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t relative abundances between LEPR genotypes. The relative abundance of Candidatus Saccharibacteria was higher in the G/A genotype group than in the G/G genotype group for the rs1137101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p=0.0322). Participant characteristics, including body mass index, leptin levels, and other lipid levels, were similar between the rs1137101 G/G and G/A genotypes. In addition, the relative abundances of Fusobacteria and Tenericute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plasma leptin concentrations (p=0.0036 and p=0.0000, respectively). In conclusion, LEPR genotype and gut microbiome may be associated even in normal-weight Korean adults. However, further studies with a greater number of obese adults are needed to confirm whether LEPR genotype is related to gut microbiome composition.

한국장류식품(韓國醬類食品)의 지질성분(脂質成分)에 관한 연구(硏究) -2. 된장 발효숙성중(醱酵熟成中)의 지질성분변화(脂質成分變化)- (Studies on the Lipids in Korean Soybean Fermented Foods -II. Changes of Lipid Composition during Daenjang Fermentation (Ripening)-)

  • 이숙희;최홍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67-71
    • /
    • 1985
  • 삶은 콩에 Aspergillus oryzae를 접종하여 3일간 제국(製麴)한 다음 식염을 첨가하여 45일간 숙성(熟成)시켰을때, 된장 숙성과정(熟成過程)중 된장 함유지질(含有脂質)의 변화에 관한 일련의 실험을 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숙성(熟成)중 수분(水分)은 54% 내외, 식염함량(食鹽含量)은 12% 내외 (건물(乾物)기준), 총질소(總窒素)는 5.6% 내외 (아미노태 질소 $1,532{\sim}2,011mg%$), pH 는 5.82내외, 온도 $27^{\circ}C$ 내외를 보였고 추출지질 (chloroform-methanol extractables 22%내외)의 요오드가(價)(숙성최종일(熟成最終日) : 98.2)는 저하되는 경향이었으며 산가(酸價)는 숙성중 현저하게 증가 (숙성최종일(熟成最終日) : 27.1) 하였다. 된장숙성중 총지질(總脂質)중의 중성지질(中性脂質)함량은 계속 증가하였으나(숙성최종일(熟成最終日) : 94.3%), 인(燐) 및 당지질(糖脂質)의 함량은 미소(微少)하지만 상대적으로 감소하였다. 그리고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비극성지질(非極性脂質) 획분에서 free fatty acid 및 esterified sterol 등이 증가하였으나, 극성지질(極性脂質) 획분에서의 각 성분은 현저한 변화는 없었다. 한편, 숙성초일(初日) 및 최종일(最終日)의 총지질(總脂質), triglyceride 및 free fatty acid 획분들의 지방산조성(脂肪酸組成)을 살펴본 결과, linoleic, oleic, palmitic acids 들이 주요성분이고 숙성기간중 이들 조성비(組成比)의 경미(輕微)한 변화가 있었다.

  • PDF

잣지질 성분의 분획정량 및 각 획분의 지방산 조성 (Lipid Contents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Three Lipid Classes in Korean Pinenut)

  • 김명;이숙희;최홍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406-412
    • /
    • 1984
  • 잣(Pinus koraiensis S & Z)에서 얻은 총지질 성분을 silicic acid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해 중성지질, 당지질, 인지질로 분획 정량하고, 다시 이 분획된 성분을 thin layer chromatography 로써 재분리시켜 구성성분들을 분별하고 scanner에서 정량하였으며, 각 획분별 지방산 조성을 gas chromatography로써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잣지질의 구성은 중성지질이 총지질의 $95.9{\sim}96.7%$, 당지질이 $2.5{\sim}3.2%$, 인지질이 $0.8{\sim}0.9%$였으며, 중성지질에서는 triglyceride(80.8%), diglyceride(6.3%), free fatty acid(5.2%), sterol(4.6%) ,sterol ester 및 hydrocarbon 등이 분별 정량되었으며, 이 중 triglyceride가 주된 물질이었다. 당지질에서는 monogalactosyl diglyceride 및 esterified sterylglycoside(23.5%), cerebroside 및 steryl glycoside(7.8%), digalactosyl diglyceride(2.3%) 등이 분별정량되였고, 인지질의 획분에서는 phosphatidyl cho-line(40.2%), phosphatidyl ethanolamine(19.4%), phosphatidyl inositol(7.3%), lysophosphatidyl choline(5.8%), phosphatidyl serine(2.6%) 등이 분별 정량되었다. 2) 각 분획된 지질의 지방산 조성은 중성지질의 경우 linoleic acid(48.7%), oleic acid(28.8%), arachidic acid(14.4%), palmitic acid(5.7%), stearicacid(1.84%), linolenic acid(0.7%), myristic acid(0.1% 이하), lauric acid(0.1% 이하) 등이 분리 정량되었으며, 당지질과 인지질에서도 linoleic acid, oleic acid등이 주성분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그러나 인지질의 경우 palmitic acid(17.7%)와 stearic acid(6.0%)의 함량이 다른 지질획분에 비해 다소 많았다.

  • PDF

해수사육 틸라피아 근육의 식품성분 연구 2. 담수 및 해수사육한 틸라피아 근육의 지질성분 (Studies on the Food Components of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Cultured in Seawater 2. Comparison of Lipid Components of Tilapia with Freshwater Cultured Tilapia)

  • 전중균;김진수;박철원;한명수;허형택;이응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39-344
    • /
    • 1990
  • 해수사육한 틸라피아와 담수사육한 것의 근육지질의 구성 및 그 지방산조성을 분석$\cdot$비교하였다. 해수사육군은 담수사육군에 비해 총지질함량이 미미하지만 약간 많았고, 중성지질이 구성지질의 대부분을 이루고 있으며, 다음으로 인지질, 당지질의 순이었다. 중성지질 중에는 triglyceride(TG)의 조성이 가장 많았으며, 총지질 함량의 증가는 TG획분의 증가 때문으로 생각되었다. 한편 인지질에서는 phosphatidyl chloine, phosphatidyl ethanolamine, sphingomyelin이 동정되었으나, phosphatidyl choline이 가장 높은 조성비를 보였다. 각 구성지질을 이루는 주요지방산은 14 : 0, 16 : 0, 18:0 등의 포화산을 비롯하여 16. 1, 18 : 1, 18 : 2, 22:6 등의 불포화산이었으며, 특히 16 : 0과 18 : 1의 구성비가 총지질, 중성지질, 당지질에서 높았으나, 인지질에서는 18 : 1, 18 : 2의 조성비가 적고 20 : 4, 20 : 5, 22 : 6등의 고도불포화지방산이 많았다. 그러나 이러한 특징은 해수시료군에서나 담수시료군에서나 마찬가지였으며, 두 시료군간에 차이는 확인할 수 없었다.

  • PDF

밤의 저장중 지방질 조성의 변화 (Changes of Lipids in Chestnut during Storage)

  • 나영아;양차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437-445
    • /
    • 1997
  • 밤을 $20^{\circ}C$에서 9주동안, $1^{\circ}C$에서 15주동안 저장하면서 저장중 지방질의 변화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밤의 총지질중에는 중성지질이 43.4%, 당지질이 26.5%, 인지질이 30.1% 함유되었으며 밤의 저장 동안에 이들의 함량이 증가되었다. 중성지질의 구성지질성분으로는 triglyceride (TG), 1,2-diglyceride (1,2-DG), 1,3diglyceride (1,3-DG), sterolester (SE), sterol (S) 및 free fatty acid(FFA) 등 6종이었으며, 당지질의 구성지질성분으로는 digalactosyldiglyceride (DGDG), monogalactosyl diglyceride (MGDG), sterylglycoside (SG) 및 acylsterylglycoside (ASG) 등 4종이었고 인지질의 주요 구성지질로는 phosphatidylcholine (PC), phosphatidylethanolamine (PE), phosphatidylinositol (PI) 등이었다. 저장중의 지질의 변화를 보면 중성지질의 함량은 저장 5주후에 감소되었고, 당지질은 7주까지는 증가되다가 그 이후 감소되었으며 인지질은 $20^{\circ}C$$1^{\circ}C$ 양온도구에서 저장기간동안 가장 많이 증가되었다. 그리고 TG, SE, S, DGDG, MGDG의 함량은 $20^{\circ}C$$1^{\circ}C$ 양온도구에서 저장기간에 따라 증가되었다. 총지질, 중성지질, 당지질 및 인지질, 그리고 TG, DG, ASG, PC 및 PE의 주요 지방산으로는 linoleic acid, oleic acid, palmitic acid 및 linolenic acid 등이었으며 저장기간에 따라서는 $20^{\circ}C$$1^{\circ}C$ 양온도에서 linoleic acid는 증가하는 반면에, oleic acid 는 감소하였다.

  • PDF

한국 재래산양 골수의 지질 및 지방산 조성 (Lipids and Fatty Acids Composition of Korean Native Goat's Bone Marrow)

  • 이영애;하정기;안병홍;강동학;기우경;김종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1권2호
    • /
    • pp.177-181
    • /
    • 1988
  • 한국 재래산양 골수의 지질조성은 중성지질의 함량이 많고, 인지질과 당지질의 함량이 적 었다. 또한, 지방산조성에서는 $C_{18:1}$의 함량이 높고, $C_{18:0}$의 함량이 적었으며 불포화지방산 함량$(57.0{\sim}71.6%)$이 포화지방산$(28.4{\sim}43.0%)$보다도 매우 높았다. 중성지질에서는 triglyceride와 steryl ester의 함량이 높았으며, 당지질에서는 esterified glycoside와 cerebroside 1의 함량이 높았다. 인지질에서는 diphosphatidylglycerol과 phosphatidyl glycerol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Triglyceride중 지방산분포는 상박골과 요골, 대퇴골의 관골 및 요추는 동일하게 $C_1$ 위치에서는 $C_{16:0}(27.6{\sim}29.8%)$, $C_{18:0}(18.7{\sim}25.4%)$$C_{18:1}(26.3{\sim}30.0%)$이 많았으며, $C_2$ 위치에서는 $C_{14:0}(12.3{\sim}15.6%)$, $C_{18:2}(26.0{\sim}31.4%)$$C_{18:3}(30.2{\sim}35.6%)$이 많았다.

  • PDF

아쿠아로빅 운동이 비만노인여성의 신체조성과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quarobic Exercise Program on Body Composition and Blood Lipid Concentrations in Obese Elderly Females)

  • 황연희;김동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226-232
    • /
    • 2016
  • 본 연구는 비만 노인여성을 대상으로 아쿠아로빅 운동을 적용한 후 신체조성 및 혈중지질의 개선효과를 알아보고 노인운동프로그램에 관한 다각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실험참가자들 (n=31)은 12주 동안 주 3회 60분의 아쿠아로빅 운동을 Borg의 운동자각도 12-13의 강도로 실시하였다. 신체조성은 inbody의 생체전기저항분석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채혈된 혈액에서 혈중지질 (고밀도지단백(HDL), 저밀도지단백(LDL), 중성지방(TG)와 총콜레스터롤(TC))을 분석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대응 t-test를 이용하였고 유의수준은 0.05로 설정하였다. 아쿠아로빅 운동 후 체지방량과 허리둘레는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p < 0.05) 혈중지질 중 LDL (p < 0.05), TG (p < 0.001), 그리고 TC (p < 0.05)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볼 때 아쿠아로빅 운동은 신체조성과 혈중지질에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시켰으며, 지방대사의 활용을 높여 지질분해의 향상과 신체조성을 증진시키고 고지혈증의 위험성을 낮출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아쿠아로빅 운동이 지상에서의 유산소 운동 및 저항 운동을 대체할 수 있는 유용한 운동이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