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triangular side weir

Search Result 2, Processing Time 0.019 seconds

An Estimation of Discharge Coefficients with the Variations of Side Weir Shape (횡월류위어의 형상에 따른 유량자수 추정)

  • Song, Jai-Woo;Park, Sung-Sik;Kim, Ji-Ho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0 no.1 s.174
    • /
    • pp.51-62
    • /
    • 2007
  • To estimate more accurately the outflow over a sharp crested side weir,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flow characteristics over side weir and to estimate the discharge coefficient in the weir equ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discharge coefficients of sharp crested rectangular and triangular side weirs by means of hydraulic model experiments with the variations of upstream Froude number in the main channel and length and apex angl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discharge coefficients depend on the shape and geometric conditions of side weir as well as the upstream Froude number in the main channel. Through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mulas of discharge coefficient for rectangular and triangular types are proposed and its applicability is confirmed by comparing estimated and measured discharges over side weirs.

Discharge Coefficient of Triangular Side Weir (삼각형 횡월류위어의 유량계수)

  • Park Sung Sik;Seo Geun Soon;Kim Young Ho;Song Jai 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1016-1020
    • /
    • 2005
  • 횡월류위어(side weir 또는 lateral weir)는 인공수로 또는 자연하천에서 흐름방향에 평행하게 수로측면에 설치되어 에너지 소산, 수위의 안정, 일정 유량의 취수 및 분배, 초과 홍수량 전환 등의 목적으로 이용되는 수공구조물로서 댐의 여수로, off-line 저류지, 관개배수를 위한 수로. 하수도 설비 등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지금까지의 국내외 연구는 대부분 직사각형 횡월류위어에 제한되어 수행되었으며, 삼각형 횡월류위어의 흐름특성 및 유량계수 산정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리실험을 통하여 본류의 흐름조건과 삼각형 횡월류위어각 등을 변화시켜 유량계수를 산정$\cdot$분석하였다. 수리실험은 길이 20m, 폭 0.8m, 높이 0.9m이고 벽면이 아크릴로 된 직사각형 가변 경사 개수로 실험장치를 이용하였다. 삼각형 횡월류위어는 예연이고 위어각은 90, 120, $150^{\circ}$였으며, 본류 Froude 수는 0.45-0.56였다. 삼각형 횡월류위어의 월류량에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인 Froude 수와 위어각 등을 고려한 유량계수 산정식을 제시하였으며, Kumar와 Pathak(1987)의 공식과 비교 분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