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ematoda

검색결과 75건 처리시간 0.021초

한국산 민물도요(Calidris alpina sakhalina)의 장에서 발견된 흡층류 1미기록종(Himasthla kusasigi) (Himasthla kusasigi(Tremtoda, Echinostomatidae) recovered from the Intestine of the Dunlin, Calidris alpina sakhalina, in Korea)

  • 주종필;조유정;유정칠;박성균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6권1호
    • /
    • pp.125-131
    • /
    • 2000
  • 민물도요(Calidris alpina sakhalina)의 장에서 echinostome에 속하는 Himasthla(Dietz,1909) 속의 국내 미기록종을 발견하고 형태 및 분류학적 연구를 시도하였다. 새들은 경기도 강화군 여차리 일대에서 새 그물을 사용하여 포획하였다. 잡은 새들의 장에서 기생충을 분리하여 생리 식염수로 씻고 고정한 후, acetocarmine으로 연색한 후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발견된 Himasthla kusasigi(Yamaguti, 1939)는 작고, 길쭉한 형태로 전장 5.27mm 정도 였으며 31개의 가시가 달린 두관(0.27 mm) 을 갖고 있었다. 구홉반($0.057{\times}0.0684mm$)은 복홉반 보다 작았다. 복홉반($0.35{\times}0.29mm$)은 몸쪽 앞부분에 가깝게 위치하였다. 충체는 타원형의 전고환($0.47{\times}0.30mm$), 후고환($0.59{\times}0.27mm$) 두개의 고환을 갖고 있었다. 고환들은 충체 뒤쪽에 가깝게 위치하였다. 자궁은 길고 구불구불하였으며 충체 길이의 2/3 정도를 차지하였다. 난소($0.13{\times}0.14mm$)는 작고 둥글었다. 난소 아래에는 작고 둥근 수정낭이 보였다.

  • PDF

간석지산 이매패에서의 흡충류 유충에 관한 연구 (Trematodes larva in 3 species of bivalves )Corbicula japonica, Sinonovaculla constrica and Ruditaps philippnarum))

  • 김영길;윤권식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03-213
    • /
    • 2003
  • 해산 이매패류에서의 흡충류의 기생종과 병해를 조사 할 목적으로 2001년 4월부터 2002년 10월 사이에 우리나라 서해안 내륙지와 인접한 전북 고창의 부창만내 주진천의 일본재첩과 부안군 계화도의 가리맛조개, 그리고 육지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어청도와 말도 및 개야도에서 채집한 바지락을 조사하였다. 일본재첩에서는 조개내의 생식소에서 한국산 미 기록종인 Cercaria corbiculae가 검출되었는데, 그 크기는 $278{\times}98{\mu}$, sporocyst는 $890{\times}275${\mu}$이었고, 0.83%의 낮은 기생율을 나타냈다. 계화도산 가리맛조개의 외투막에서 크기가 0.351×0.182mm의 Parvatrema duboisi의 피낭 유충을 검출 하였다. 가리맛조개는 이 종의 새로운 중간 숙주가 되며, 조개에서의 기생율은 48.3%이었고, 조개 1개당 1-9마리가 기생되었으며, 수온과 조개의 크기에 따른 기생율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다. 어청도와 말도 및 개야도산 바지락에서 꼬리 긴 cercaria의 일종인 Cercaria tapidis가 조개의 생식소와 외투막에서 검출되었으며, 어청도산 바지락의 연평균 기생율은 7.7%, 기생율이 가장 높은 달은 수온 $11^{\circ}C$인 12월에 16.7%, 가장 낮은 달은 수온 $19^{\circ}C$인 7월에 4.8%로 육지와 접한 금강하구의 솔리산 바지락에서의 연평균 기생율(5.75%)이나 월별 기생율이 오히려 내륙과 연결된 간석지산 바지락 보다 약간 높았다. 바지락의 크기별 기생율은 각장 3.6-4.0cm가 48.3%로 가장 높은 기생율을 나타낸 반면, 각장 4-5cm의 큰 조개에서는 0.8%의 낮은 기생율을 나타냈다.

멸종위기종 수리부엉이의 형태학적 및 혈액학적 분석 (Morphological and hematological analysis of and angered Eurasian eagle owl (Bubo bubo kiautschensis))

  • 정배동;박인철;김정남;김현철;정기수;김종택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91-397
    • /
    • 2009
  • Eurasian eagle owl (Bubo bubo kiautschensis) is a natural monument (No. 324) and is also classified as an endangered wildlife grade II the Ministry of Environment of Korea. Eurasian eagle owl is threatened by the human being. But the efficient rescue and treatment for Eurasian eagle owl are still problematic, due to lack of basic data. In this study, to obtain basic resources for establishing more efficient rescue system, we held a physical examination and measured size physical part. In addition, we analyzed blood sample and feces samples and autopsy. We conduct the physical examination with measuring tapes and scales for 16 live features and 11 dead features. After inhalation anesthesia take the blood samples from wing vein. Blood samples are analyzed in hematologic and chemistric methods. We collected the feces through individual floor of cages from 12 live features and conducted the feces analysis. Autopsy was conducted for 11 dead samples. In physical examination, the mean body weight and total length of live features was 2.26${\pm}$0.35kg, 61${\pm}$2.38cm, the mean body weight and total length of dead features was 1.57${\pm}$0.51kg, 59.31${\pm}$3.51cm. Mean PCV was 46.57${\pm}$4.97%, while mean TPP was 3.49${\pm}$0.57g/dL. In feces sample analysis, 9 of 12 owls(75%) were infested by gastrointestinal helminths. The infection rates were: Trematoda (41.7%), Capilaria sp.(66.7%), acanthocephalans (25%). In autopsy, we confirmed 11 features were infested by duplicated infection of more than 2 helminths. Result of this study will be used for establishing reference range for physical features, blood analysis in Eurasian eagle owl. Therefore, to obtain basic resources for establishing more efficient rescue system, we have to make long-term conservation plans for Eurasian eagle owl.

한국의 간흡충에 관한 연구 XIV. 미꾸리의 이전고환극구흡충(Echinostoma cinertorchis) 피낭유충 감염상황 흰쥐내에서의 성장발육 (Studies on Intestinal Trematodes in Kores XIV. Infection Status of Loaches with Metacercariae of Echinostoma cinetoychis and Their Development in Albino Rats)

  • 서병설;박양의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2권2호
    • /
    • pp.181-189
    • /
    • 1984
  • 우리나라산(전남 강진 및 경남 금해시)미꾸리에서 이전고무극구흡충(Echinostoma cinetorchis)의 피낭유충을 처음으로 검출하고 횐쥐에 감염시킨 후 성충을 얻어 종을 확인하였다. 또, 미꾸리의 피낭유충 감염상황과 횐쥐에서의 간단한 발육과정을 관찰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미꾸리 46마리중 5마리 (10.9%)에서 담낭유충이 검출되었고 감염된 미꾸리당 감염대은 평균 34.4개이었다. 피낭유충은 미꾸리의 후복벽에서만 발견되었다. 2. 실험감염 횐쥐에서 감염 6∼28일까지 총 충체회수률은 24.6%이었으며 감염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회수률은 감소되었다. 3. 충체는 두증과 두련(37∼38개)이 뚜렷하고 고환이 이전하거나 소실되는 점으로 보아 E. sinetorchis Ando et Ozaki, 1923로 동정되었다. 4. 충체의 발육은 감염6일부터 10일 사이에 가장현저하였으며 이 기간중 특히 생식기관의 발육이 비생식기관에 비해 빠르고 현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우리나라에서 미꾸리가 이전고구극구흡충의 제이중간숙주 역할을 하고 있음이 입증되었고 실험적으로 얻은 성충의 형태에서 고구의 이전 또는 소실이 종의 특성임이 재확인되었다.

  • PDF

한국에서의 오리극구흡충 (Echinoparyphium recurvatum)의 생활사 (Life history of Echinopowphium recurvatum (Trematoda: Echinostomatidae) in Korea)

  • 손운목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6권2호
    • /
    • pp.91-98
    • /
    • 1998
  • 이 연구는 자연계 및 실험실 내 조건 하에서 오리극구흡충의 생활사를 관찰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1992년 8월과 9월에 부산시 강서구에 소재하는 선암천에서 다랑의 물달팽이 (Rndix owe,cdwiacoreona)를 채집하였다. 채집한 물달팽이 중 106개를 파쇄법으로 조사하였던 바, 52개 (89.0%)에서 오리극구흡충의 유충 (레디아, 유미유충, 피낭유충)이 한 종류 이상씩 검출되었다. 물달팽이로부터 자연 유출되는 유미유충을 접촉감염시킨 물달팽이, 논우렁 및 미꾸리 중 물달팽이와 미꾸리에서 피낭유충이 검출되었다. 물달팽이로부터 검출한 피낭유충을 경구감염시킨 병아리, 오리, 흰쥐, 마우스 중 병아리와 오리에서 성충이 검출되었다. 물달팽이로부터 검출한 피낭유 충을 경구감염시킨 병아리에서의 충체 회수율은 평균 13. 1%이었다. 레디아는 주머니 모양으로 평균 $2.437{\;}{\times}{\;}0.317{\;}mm$ 크기이었으며 근육성의 인두와 체장의 약 112 부위까지 내려와 있는 맹장을 하나씩 갖고 있었다. 유미유충의 체부위는 방추형으로 평균 $0.262{\;}{\times}{\;}0.129{\;}mm$ 크기이었고, 꼬리부위는 긴 막대모양으로 평균 $0.528{\;}{\times}{\;}0.056{\;}mm$ $\times$ 크기이었다. 유미유충의 체부위에서는 45개의 두극이 배열되어 있는 두관과 미세한 과립을 다수 보유하고 있는 배설관이 특징적으로 관찰되었다. 피낭유충뜬 구형으로 평균 $0.144{\;}{\times}{\;}0.142{\;}mm$ 크기이었으며 2중의 낭벽을 가지고 있었다. 성충은 비교적 길쭉하였고 평균 $0.2760{\;}{\times}{\;}0.550{\;}mm$ 크기이었으며 두관에는 특징적인 45개의 두극이 배열되어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우리 나라에서 물달팽이가 오리극구흡충의 제1 및 제2중간숙주로서 생활사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Fibricolu seoulensis의 생활사 및 유충의 발육 (The Life Cycle and Larval Development of Fibricoza seoulensis (Trematoda: Diplostomatidae))

  • 서병설;이순형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6권3호
    • /
    • pp.179-188
    • /
    • 1988
  • 실험실내에서 충란 및 제 1중간숙주와 제 2중간숙주내에서 F. seoulensis 유충의 발육과정을 관찰하고 자연 상태에서의 생활사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충란을 $^{\circ}C$ 물에서 배양한 제 9일에 miracidium이 난개를 열고 나왔다. Miracidium은 원통 세장형으로 2쌍의 Blame cell과 측방돌기가 있었고 epidermal plate의 배열식은 6,9,4및 3이었다. Hippeutis (Helicorbis) cantori 패류에서는 실험감염 후 제13일에 furcocercous cercaria가 유출되었으나 Physa acute에서는 cercaria가 유출되지 않았다. 논에서 채집한 H. cantori에서는 같은 형태의 furcocercous cercaria가 유출되었다. Cercaria에는 2쌍의 침입선과 5쌍의 화염세포가 있었다. 참개구리의 을챙이(Rana nigromaculnta)는 cercaria 실험감염에 대하여 감수성이 있었으며 채집된 참개구리의 올챙이들은 F. seoulensis의 피낭유충에 자연감염되어 있었다. 실험감염 후 올챙이에서 피낭유충은 21일 이내에 종숙주에 대하여 감염능력을 갖게 되었다. 대부분의 피낭유충은 올챙이의 체강내에서 피낭을 형성하지 않고 있었으며 쥐의 소장에서 7일만에 성충이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F. seoulensis의 모든 생활사가 밝혀지게 되었으며 또 실험실내에서 전 생활사를 완료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 PDF

Morphological and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Apharyngostrigea pipientis Faust, 1918 (Trematoda: Diplostomidea) from Ardeacinerea jouyi, Egretta intermedia and Nycticorax nycticorax in Korea

  • Kim, Hyeon-Cheol;Hong, Eui-Ju;Ryu, Si-Yun;Choi, Kyoung-Seong;Yu, Do-Hyeon;Cho, Jeong-Gon;Park, Jinho;Chae, Joon-Seok;Park, Bae-Keun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242-248
    • /
    • 2020
  • An intestinal strigeiid trematode, Apharyngostrigea pipientis, was detected from Ardea cinerea jouyi, Egretta intermedia and Nycticorax nycticorax between July, 2006 and June, 2020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and Kangwon-do, Republic of Korea. It was observed with a light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and molecularly analyzed with 18S rRNA genes. The infection rate of the strigeiid trematode was 25.9% (7/27). The body is cylindrical in whole mount, greatly elongated in outline and shows a strong dorsal curvature. The overall measurements are: length 4.1-4.8 mm; fore-body 1.00-1.20 mm by 0.8-0.9 mm; hind-body 3.2-3.6 mm by 0.43-0.46 mm. The body is covered by a relatively thick cuticle, devoid of spines. The oral sucker leads into a short esophagus that is devoid of a muscular pharynx. The holdfast organ is enormously developed. The vitelline follicles distributed dorsal wall of fore-body and hind-body. This strigeiid trematode especially differs from other species of genus Apharyngostrigea in morphology. Although these A. pipientis are several morphological distinctions from Apharyngostrigea cornu, the partial sequence of 18S rRNA showed the sequence homology of A. pipientis (99.9%) and A. cornu (99.8%), and this result revealed their conspecific relationship between A. cornu and A. pipientis. This is the first report of A. pipientis in the Republic of Korea.

조개류에 기생하는 흡충유에 관한 연구 III. 바지락 Tapes philipinarum에 기생한 Gymnophallid cercaria의 1 신종, Cercaria tapes n. sp.에 대하여 (Studies on a Trematode Parasitic in Bivalves III. On a New Gymnophallid cercaria, Cercaria tapes n. sp., (Trematoda) from a short-necked clam, Tapes philippinarum)

  • 김영길;전세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54-159
    • /
    • 1983
  • 1980년 9월 2일부터 1981년 8월 2일까지 금강 하구역인 충남 서천군 서면 솔리산 바지락의 생식소를 조사한 바. Gymnophallidae에 속하는 신종의 cercaria를 발견하여 Cercaria tapes n. sp.로 기재하였다. sporocyst의 크기는 $380-650{\times}130-160{\mu}m$이고, 전단에 분출구와 인두가 있으며, 안쪽에는 30여개의 cercara 및 배세포가 들어 있다. cercaria는 긴 타원형으로 각부의 크기는 충체 $160-187{\times}62-77{\mu}m$, 꼬리 $47-52{\times}17{\mu}m$, 갈라진 꼬리부분 $67-72{\times}12-15{\mu}m$이다. 배설낭은 Y형이고, flame cell식 은 2[(1)+(1)]=4이다. 바지락 2,086개중 42개가 기생되어 연평균 $2.01\%$의 기생률을 나타냈고, 기생률이 가장 높은 시기는 3월의 $5.74\%$, 가장 낮은 시기는 1월의 $0.4\%$이었고, 5,6월에는 기생패가 검출되지 않았다. 각장 2.1-3.0 cm가 $0.38\%$, 3.1-4.0cm가 $1.53\%$, 4.1-5.0cm가 $0.09\%$의 기생률을 나타냈고 2.0cm이하의 치패에는 기생되지 않았다.

  • PDF

Fibricola seouenis 표피의 투과전자현미경적 미세구조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ic ultastructure of the tegument of Fibricola seoulenis)

  • 손운목;이순형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1권4호
    • /
    • pp.301-314
    • /
    • 1993
  • Fibricola seodenis(Trematoda: Diplostomidae)의 표피 미세구조를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표피는 3중막(trilaminated)의 원형질막으로 둘러싸여 있었으며 전자밀도가 높은 원형질층의 기질에는 공포(vacuole)와 사립체(mitochondria) 및 과립성 물질들이 많이 내포되어 있었다. 전자밀도가 낮은 기저층은 폭이 약 330 nm이었으며 원형질층내로 무수히 많은 돌기들을 내고 있었다. 감각기는 주머니 형태로 원형질층내에 매몰되어 있었으며 원형질층의 바깥으로 $12{\;}{\times}{\;}0.19{\;}\mu\textrm{m}$ 크기의 섬모를 내고 있었다. 인두는 내강을 중심으로 양쪽에 $0.5{\;}\mu\textrm{m}$ 내외의 상피층과 보다 발달된 기저층 및 근육층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도우넛 모양인 흡반은 내강을 둘러싸는 폭 $0.4-0.5{\;}\mu\textrm{m}$인 원형질층, 기저층 및 잘 발달된 근육층 등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구흡반 근처의 원형질 및 실질내에서 4종류의 분비과립이 관찰되었다. Tribocytic organ에는 폭이 5 nm 내외이며 7중막(heptalaminated)의 층상 구조인 미세응모가 작은 방의 형태로 분포하였고 내부에서 미세응모 쪽으로 나와 있는 관에는 크고 작은 2가지형의 분비과립들이 들어 있었으며 그 주위에는 길쭉한 사립체들이 다수 분포하였다. 실질내의 세포들은 비정형이었으며 핵들의 형태도 다양하였다.

  • PDF

흰쥐의 실험적 호르틴스극구흡충 감염에 있어서 장 병변에 대한 경시적 관찰 (Chronological observation of intestinal lesions of rots experimentally infected with Echinostoma hortense)

  • 이순형;노태영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8권1호
    • /
    • pp.45-52
    • /
    • 1990
  • 인체 기생 장흡충류의 하나인 호르텐스극구흠충(Echinostoma hortense)의 병원성을 알아 보기 위하여 흰쥐에 퍼낭유충을 실험 감염시킨 후 경시적으로 숙주의 장병변을 관찰하였다. 피낭유충은 실험적으로 감염시킨 올챙이에서 분리한 것을 사용하였고 Sprague-Dawley계 흰쥐 18마리에 각각 200개씩 감염시킨 후 1일, 3일, 7일, 11일, 22일 및 44일에 3마리씩 희생시키고 위 유문으로부터 1cm, 3cm, 5cm, 8cm 및 30cm 부위에서 각각 장 절편을 채취하여 병리 조직학적 관찰을 시 행하였다. 관찰 결과 충체는 감염 1∼3일에는 융모 사이 (infervillous space)에서, 감염 7일부터 44일까지는 주로 내강(lumen)에서 발견되었고 구흡반 및 복흡반으로 융모를 흡입(sucking, 파괴하고 있는 것이 관찰되었다. 장 조직의 병변은 융모 위축(villous atrophy)과 선와 증식 (crypt hyperplasia)이 특징적 소견이었다. 융모의 변화는 끝(tip)의 둔화, 유착, 소실 등이었고 융모1선와 높이의 비율 이 3 : 1에서 1 : 1까지 감소되었다. 기질의 변화로는 염증 세포의 침윤, 충혈, 부종, 섬유화 등이 관 찰되었다. 배세포는 감염 11일 경부터 점차 증가하는 소견을 보였다. 전체적으로 장 병변은 소장 상 부에서 카장 심하였고 감염 1∼3일부터 관찰되기 시작하였으며 감염기간의 경과에 따라 점차 심화 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호르텐스극구흡충에 감염된 횐쥐의 장 병변은 점막층에 국한되어 있으나 융모의 위축 및 파괴가 매우 심하며 감염 44일까지도 병변이 지속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Key worths: Echinostoma hortense, rat intestinal pathology, villous atrophy, crypt hyperplasia로 출아묘는 이앙기간이 단축되므로 중묘보다는 다소 늦게 파종하고 이앙기는 중묘 적기에 하는 냉해의 우려도 없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6. 간장은 중묘보다 어린모 이앙재배에서 3∼4cm 기었는데 이는 천식이 되어 초기생육이 왕성하므로 과번무 되었기 때문으로 생각되며 지나친 천식은 태풍 등으로 도복의 위험성이 있다. 7. 수량성은 조식재배의 경우 어린모는 중묘와 비슷한 경향이며 직파재배 보다 다소 증수되었다.질소함량은 경장, 건물중, 근류수 및 근류중들과, 그리고 줄기중의 allantoin 질소함량은 근류수 및 근류중들과 각각 유의적인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희미해졌으며 담배는 500 $\mu$ E m$^{-2}$ sec$^{-1}$에서 인삼은 1000 $\mu$ E m$^{-2}$ sec$^{-1}$에서 47KD이었다.50일영이상)에서 35.3% 및 유추(30 일영미만)에서 17.3%의 순이었다. 이중 세균성 및 기생충성 질병은 육성계에서의 검색률이 가장 높았으나, 바이러스성 질병은 육성계 및 성계에서 거의 같은 비율로 높았으며 곰팡이성 질병은 유추에서 가장 높은 검색률을 나타내었다.17) 사료비절감은 생산비의 60∼70%를 차지하고 있으므로 공동구인 자가배합을 하여 자기실정에 맞는 경영체질로 운영하고 있었다. (18) 인건비가 생산비의 15∼20%의 비율이며 또한 사람 구득난이라 가족노동을 최대한 활용, 관리를 하고 있으며 생력화를 위해 기계화, 자동화되어 가고 있었다. 애정과 정성심있는 관리로 닭을 스트레스를 주지 않게 하기 위해 가족관이, 기계자동화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었다. (19) 시설기구와 육성상각비를 줄이기 위해 관리자의 변동이 없고, 종신직장으로서 긍지와 자부심을 가지고 늑무하고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