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eated leachate

검색결과 90건 처리시간 0.02초

하수처리 모델링을 이용한 연계처리 시나리오별 운전조건 최적화 (Optimization of Operating Conditions for Each Linked Treatment Scenario using Sewage Treatment Modeling)

  • 김성지;길경익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7-13
    • /
    • 2021
  • 급속한 산업발전과 인구증가, 생활 수준의 향상으로 영양염류를 포함한 하·폐수 발생량이 매년 증가하고 있다. 증가하는 하·폐수 발생량과 더불어 미처리 연계처리수(분뇨, 가축분뇨, 산업폐수, 침출수, 음폐수)또한 발생량이 증가하고 있고, 연계처리수 상당 수가 인근 하수처리장으로 연계하여 연계처리되고 있다. 연계처리수는 기존 유입하수와 비교했을 때 저유량 고농도의 특징을 가지고 있기때문에 하수처리장에서는 방류수 수질 악화, 처리량 증가, 오염부하 증가, 충격부하 또는 중금속 유입 등과 같은 많은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이와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하수처리장에 연계 유입되는 연계처리수의 양 및 수질 등의 조사가 필요하고, 하수처리에 미치는 영향등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연계처리수의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4계절에 따른 수온조건을 고려했을 때 연계처리수의 영향 및 연계처리수 유입 유량 분배 등 영향인자를 고려하여 시나리오를 만들고 최적의 효율을 나타내는 조건을 분석하고자 한다.

사양토성 Lysimeter에서 살균제 $^{14}C-Propiconazole$의 행방 (Behaviour of Fungicide $^{14}C-Propiconazole$ in a Lysimeter of Sandy Loam)

  • 김인선;서용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1권3호
    • /
    • pp.253-257
    • /
    • 1998
  • 사양토성 lysimeter에서 살균제 $^{14}C-propiconazole$의 행방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벼 이앙 15일 후 $^{14}C-propiconazole$을 0.12 kg/10a 수준으로 lysimeter 토양표면에 처리한 후 시기별로 용탈수, 토양 및 휘발성분중 방사능을 조사하였다. 약제처리 후 16주간 lysimeter토양에서 용탈된 방사능은 처리 방사능의 4.4%였으며, 대부분의 방사능은 모화합된 형태이었다. 약제처리 16주 후 토양에 잔류하는 방사능은 처리 방사능의 76.5%였으며 97% 이상이 토양표층 깊이 20 cm 이내에 존재하였다. Lysimeter 토양에서 생성된 $^{14}CO_2$는 처리 방사능의 7.8%였다. 벼 수확 후 볏짚에 잔류하는 방사능은 처리량의 7.2%였으며 지엽, 벼이삭, 왕겨 그리고 현미에서는 각각 0.1% 이하를 나타내었다.

  • PDF

크롬환원제와 인산염으로 처리된 6가 크롬 오염토양의 장기용출 특성 (Long-term teaching Characteristics of Hexavalent Chromium Contaminated Soils Treated with Phosphate and Chromium Reducing Agent)

  • 이의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448-452
    • /
    • 2006
  • 본 연구는 크롬환원제와 액상인산염으로 고정화 처리된 6가 크롬 오염토양이 일반 자연조건에서 얼마나 안정한 상태를 유지하는지 알아보고자하는 장기용출실험을 실시하였다. 크롬환원제와 액상인산염으로 고정화 처리한 토양의 110일간의 장기용출 실험결과, 6가 크롬의 경우 고정화제와 반응하여 불용성 크롬인산염 화합물을 형성한 반응 토양에서 미반응토양과 대조적으로 중금속이 용출되지 않아 수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정화제로 투입된 잔류인이 0.1 mg/L 이하로 측정되어 지하수로의 2차오염을 유발하지 않는 것으로 보여진다. 이와 같은 실험결과를 미루어볼 때 이 고정화기술의 장기적인 안정성을 기대해도 좋은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 Feasibility Study on the Formation of the Permeable Reactive Biobarier treated with Beijerinckia indica

  • Lim, Dong-Hee;Lee, Jai-Young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회
    • /
    • pp.75-78
    • /
    • 2001
  • Authors evaluated the feasibility of a permeable reactive biobarrier (PRB) treated with biofilm formed by Beijerinckia indica (B.indica). This study focused on evaluating two potentials of B.indica for the requirements of PRB: reducing the hydraulic conductivity and degrading the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 The hydraulic conductivity was estimated by rigid wall column test and finally the values were converted to the values of intrinsic permeability. The nutrient solution was passed through the biobarrier column to activate the bacterium and then leachate was in turn carried into the column to evaluate the durability of the biobarrier. Phenanthrene was selected as a representative substance of PAHs. The ability of degrading phenanthrene by B.indica was evaluated by two-phase partitioning bioreactor after estimating the possibility with two pretests: observing the colony formation and the optical density on glucose-free medium containing phenanthrene. With the results, B.indica produced large amount of strongly adhesive exopolysaccharides (EPS) and reduced several orders of magnitude of the hydraulic conductivity after 2 weeks of cultivation. Furthermore, about 1000mg/1 of phenanthrene could be degraded by B.indica in the two-phase partitioning bioreactor. In conclusion, the application of the bacterium, B.indica, was found to have a potential role of a PRB to retain and remove contaminants in porous media.

  • PDF

음식물쓰레기의 산발효 침출액을 처리하는 UASB 반응조의 거동 (Performance of UASB Reactor Treating Leachate from Acidogenic Fermentation of food Waste)

  • 신항식;한선기;김상현;윤종호
    • 유기물자원화
    • /
    • 제8권4호
    • /
    • pp.78-85
    • /
    • 2000
  • 음식물쓰레기의 산발효 침출액은 중온의 UASB 반응조에서 매우 효과적으로 처리되었다. COD 제거율은 부하율 $15.8g\;COD/{\ell}{\cdot}d$까지 96%이상의 효율을 유지하였으며, 메탄생성율은 $5.5{\ell}/{\ell}{\cdot}d$까지 증가하였다. 제거된 COD 중에서는 92%가 메탄으로 전환되었고 나머지는 미생물로 전환된 것으로 보인다. 부하율 $18.7g\;COD/{\ell}{\cdot}d$ 이상에서는 COD 제거율이 크게 감소하였는데, 이는 10.6 h 이하의 짧은 HRT에 의한 슬러지의 부상 및 washout에 기인한다. SMA(specific methanogenic activity) 값은 뷰틸산에 대하여 가장 컸고, 프로피온산에 대하여 가장 작았는데, 이는 유출수 중에서 잔류 프로피온산의 농도가 가장 높았던 사실과 일치한다. 대표적인 미생물은 Methanosaeta였으며, 운전기간 동안 슬러지의 입경이 증가하여 식종균에는 전체 양의 64.3%가 1.4 mm보다 작았지만 운전 후에는 75.1%가 1.4 mm 이상을 차지하였다.

  • PDF

Fenton 산화를 이용한 김포매립지 침출수내 난분해성 (A Study on the Removal of Refractory Organic Matter in Leachate sampled at Kimpo Landfill by means of Fenton Oxidation Process)

  • 정동환;조일형;김익수;한인규;정문호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9-57
    • /
    • 200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the optimal condition to treat refractory organic matter which can’t treat clearly with biological treatment and to find the optimal division dosage and division dose timing in the modification of Fenton oxidation which is used resolve the problem that hydrogen peroxide is too expensive. The results are following; 1. The highest TOC removal efficiency was 41% and color removal efficiency was 64% when the dilution magnitude of leachate is fold. This suggests that dilution is efficiency when high concentration of leachate is treated. 2. The removal efficiency of TOC and color increased up to the molar ratio between ferrate and hydrogen peroxide was 1:1. However above that ratio, removal efficiency hardly increased. The highest removal efficiency of TOC and color were 38% and 71% when the mole ratio of ferrate to hydrogen peroxide was 1.5:1. 3. When the mole ratio between ferrate and hydrogen peroxide was fixed, the removal efficiency of TOC and color increased as the dosage of hydrogen peroxide increased. 4. pH of samples were adjusted at pH 3, 5, 7, 9, 11. After oxidation reaction, pH of samples were dropped to 2.59, 2.54, 5.34, 6.36 and 9.68. The highest color removal efficiency was 75.7% when initial pH was at pH 7. 5. The removal of TOC and color was ended within 10. min. and the removal efficiency increased logarithmically within 10min. However after 10 min., the removal efficiency of hardly increased. 6. The color removal efficiency was higher with modification of fentone oxidation than that with fentone oxidation by 5%. Optimal division dosage ratio was 1:1 and optimal dose timing ratio was 2:1. However the TOC removal efficiency was not higher with modification of Fenton oxidation than that with Fenton oxidation.7. The CO $D_{Mn}$ /BO $D_{5}$ Ratio decreased with the time went by. It meant bioresolution increased as time went by. However, after 15 min., the CO $D_{Mn}$ /BO $D_{5}$ Ratio did not decrease any more. 8. In the case of $H_2O$$_2$ Divisiom Dose experiment, the increase of bioresolution was highest at the $H_2O$$_2$ Division dosage Ratio of 3:7.3:7.

  • PDF

A Study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Municipal Solid Wastes

  • Kim, Young-Sik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5-41
    • /
    • 2003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investigate the generation rates, composition, proportion and calorific values each of material in the municipal solid wastes as well as the effect of incineration residual leachate on the environment in Yangsan sanitary landfill sit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The annual average generation rate of municipal solid wastes in Yang-san is approximately 2.0 kg/cㆍd. The weight percent of combustible matters is on average 78∼87% and the lower heating values of municipal solid wastes is measured to be more than 2,151 kcal/kg after removing the briquette component. The food waste was major source of solid wastes in Yang-san city as 35% and its variation by seasons was negligible. Combustible part was larger than incombustible part of the domestic solid wastes in spring and summer. It is recommended that municipal solid wastes be treated by multiple methods such as the sanitary landfill, resources and recovery, composting and incineration.

Evolution of Sudokwon Landfill: from Waste Containment to Energy Generation

  • Chung, Moon-Kyung;Kim, Yun-Hee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9년도 세계 도시지반공학 심포지엄
    • /
    • pp.186-193
    • /
    • 2009
  • Since its opening in 1992, Sudokwon Landfill has become a landfill in which wastes generated from more than 22 million people are treated and disposed of. Its first phase landfill was closed in 2000 and the second phase landfill is in operation since then. The Korean environmental policies on refuse have drastically evolved for the last decade or so. From merely safe containment of wastes, the utilization of them as a source for energy generation and the minimization of waste volume to be filled in landfills are in the mainstream. Keeping in pace with the new trends, several challenging projects are in their way to blossom in Sudokwon Landfill. This paper briefs some important activities in the landfill. They are (1) geotechnical issues related to the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of the $1^{st}$ and $2^{nd}$ Landfills and (2) landfill gas and bioreactor which are recently emerging in the market.

  • PDF

$Fe^0$, $Fe^{2+}$, $Fe^{3+}$ / $H_2O_2$ 시스템을 이용한 침출수의 Fenton 산화반응 (Fenton Oxidation of Landfill Leachate by $Fe^0,\;Fe^{2+},\;Fe^{3+}\;/\;H_2O_2$ Systems)

  • 박성호;한인섭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02-408
    • /
    • 2005
  • Fenton 산화공정을 매립지 침출수에 적용하여 최적의 촉매를 선정하고 최적의 반응조건을 도출하기 위해 Lab scale로 상온에서 실험하였다 본 실험의 연구 결과, 다음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1) TOC의 제거효율로 최적 pH를 살펴본 결과 $Fe^{2+}$는 pH 3.0, $Fe^{3+}$는 pH 4.5, $Fe^0$는 pH 4.0으로 각각 관찰되었다. 2) 각 촉매별 최적 주입량을 결정하고 반응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TOC, $COD_{Cr}$, $UV_{254}$를 변수로 보았고, 2가철의 경우 $H_2O_2$ : $Fe^{2+}\;=\;1,200\;mg/L$ : 1,200\;mg/L로 결정되었다 또한 3가철의 경우 $H_2O_2$ : $Fe^{3+}\;=\;1,200\;mg/L$ : 1,200 mg/L, 0가철의 경우 $H_2O_2$ : $Fe^0\;=\;900\;mg/L$ : 1,200 mg/L로 각각 결정되었다. 3) 최적조건에서 3가철($Fe^{3+}$)이 TOC와 $COD_{Cr}$에서 가장 높은 제거효율을 나타냈지만 0가철($Fe^0$)과 큰 제거율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에 따라 경제적인 측면을 고려할 때 0가철($Fe^0$)이 동일한 철염주입량에서 가장 적은 과산화수소 주입량이 필요하므로 상대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4) 실험에 적용된 최적 pH를 검증하기 위해 처리수를 pH 중화제(NaOH)로 적정했을 때 각 촉매별로 실험에 사용된 pH가 최적조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5) 촉매별로 시간에 따른 redox potential을 사용하여 모든 촉매에 대해 산화반응의 정도 및 반응이 일어나고 있는 계의 산화환원력을 간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실제 Fenton 공정을 적용할 때 "on-line monitoring"의 기초 자료로써 산화환원전위를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를 이용한 매립지 침출수로 오염된 지하수의 세균 군집 분석 (Analysis of Bacterials Community Structure in Leadchate-Contaminated Groundwater using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 김재수;김지영;구소연;고경석;이상돈;조경숙;고동찬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66-173
    • /
    • 2006
  • 본 연구는 매립지 침출수로 오염된 지하수에서 수지화학적 분석결과와 미생물 군집구조 사이의 관계를 밝히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 연구를 위해 5개의 시료, 즉 침출수(KSG1-12), 처리수(KSG1-16), 두 개의 오염 지하수(KSG1-07과 KSG1-08), 비오염 지하수(KSG1-13)를 채취하여 분석하였다. 각 시료의 pH는 순서대로 8.83, 8.04, 6.87, 6.87, 6.53이였으며, 산화환원전위(Eh)는 각각 108, 202, 47, 200, 154 mV 이였고, 전기전도도(EC)는 3710, 894, 1223, 559, 169.9 $\mu$S/cm이였으며, 부유물질(SS)의 농도는 각각 86.45, 13.74, 4.18, 0.24, 11.91 mg/L이었다. KSG1-12 시료의 음이온 농도가 전체적으로 높았는데, 특히 염소이온($Cl^-$)와 중탄산염 ($HCO_3^-$)이 높았다. 기타 전자수용체와 관련 있는 이온들의 농도에서, 철(Fe), 망간(Mn), 황산염($SO_4^{2-}$)은 KSG01-08보다 KSG1-07에서 더 높았고 질산염은 반대로 나타났다. DGGE fingerprint 분석을 통한 유사도 비교는 KSG1-13과 KSG1-16이 57.2%로 가장 높았는데, 둘 다 오염도가 낮거나 오염이 전혀 없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한편, KSG1-08은 KSG1-13과 25.8% 그리고 KSG1-12와 27.6%의 유사성을 나타냈는데 이는 오염도의 차이 때문일 것으로 사료된다. 각 시료 별 우점종들의 가장 많이 분포된 계통발생학적 집단을 보면 KSG1-12는 분석된 클론 중 55.6%가 $\alpha$-Proteobacteria에 속하였고, KSG1-16은 50.0%가 $\gamma$-Proteobacteria, KSG1-07은 66.7%가 $\beta$-Proteobacteria, KSG1-08은 54.5%가 $\gamma$-proteobacteria, KSG1-13은 36.4%가 $\beta$-Proteobacteria에 속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매립지 침출수가 지하수를 따라 흐르면서 미생물 군집구조가 바뀌었음을 알 수 있었는데, 오염물질의 농도변화, 이용 가능한 전자수용체, 및 기타 여러 환경요인들의 차이에 의한 것임을 추측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