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nsparent polyethylene film

검색결과 80건 처리시간 0.019초

남부 도서지역에서 황칠나부의 주요형질에 미치는 멀칭재료의 효과 (The Effect of Mulching Materials on Agronomic Chracteristics of Dendropanox morbifera LEB. In Southern Area of Korea)

  • 최성규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77-181
    • /
    • 1996
  • 우리나라 황칠나무의 주요 자생지인 완도지방에서 황칠나무의 재배시 생육을 촉진 시키는 방법을 연구하고자, 피복의 재료별로 멀칭시험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멀칭에 의한 토양 수분함량과 지온은 무멀칭가 짚피복에 비하여 투명 P.E 멀칭과 검정 P.E 멀칭이 높은 경향이었다. 황칠나무의 재배시 Pot 육묘한 $2\sim3$년생의 묘목을 이식재배 할 경우, 투명 P.E 벌칭재배는 묘목의 활착율을 높이고, 월동기간 지표의 보온으로 지온이 상승하여 추기 생장이 촉진되어 알맞은 멀칭재료로 생각된다. 그러나 Pot 육묘한 묘목의 투명 P.E 멀칭재배시 잡초의 발생이 증가됨으로 멀칭이 반드시 재초 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노동력의 부족으로 제초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검정 P.E 멀칭재배는 잡초의 발생이 억제되어 투명 P.E 멀칭재배보다 잡초의 발생량이 감소되므로 권장할 만한 멀칭재로로 생각된다.

  • PDF

우리 나라 남부지역에서 강황 (Curcuma longa L.)의 생육특성 (Growth Characteristics of Curcuma longa L. in Southern Part of Korea)

  • 최성규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85-88
    • /
    • 2004
  • 우리 나라에서 비교적 온난한 남부 도서지역인 진도지방에서 강황의 멀칭재배를 실시한 바, 진도지역에서 강황을 4월 30일 정식할 경우 4주 후에 출현되고, 출현율은 $80{\sim}88%$이었다. 강황의 초장은 $97{\sim}137\;cm$로서 1주의 근경중은 $759{\sim}983\;g$ 이었으며, 10a 당 수량은 약 $3,567{\sim}4,620\;kg$이였다. 강황의 재배시 초장은 무피복에 비하여 멀칭재배에서 크고, 멀칭은 PE 필름에서 생장이 촉진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진도에서 강황을 PE 필름으로 멀칭 재배할 경우 어느 정도 수확이 가능하였다. 특히 흑색 PE 필름으로 밀칭채대를 하면 근경이 비대 되고, 영농의 가장 큰 장해요인인 잡초도 방제할 수 있어 농가에 장려할 만한 재배법으로 판단된다.

주요 한약재인 목단피의 저장에 관한 기초 연구 (A Basic Study on the Storage of Major Chinese Herbal Medicine Materials , Moutan Radicis Cortex)

  • 최경주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83-186
    • /
    • 199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desirable storage method to major chinese herbal medicine materials, Moutan Radicis Cortex in different packing materials and sealing degree. The loss in weight of Moutan Radicis Cortex as influenced by packing materials was the lowest at complete sealing treatment with transparent or black polyethylene film. The rot ratio of Moutan Radicis Cortex during the storage period was not difference between packing materials, transparent and black polyethylene film, but rot ratio of complete sealing condition was lower than punch ($\phi$J5mm) on polyethylene film.

  • PDF

Mulching Methods and Removing Dates of Mulch Affects Growth and Post Harvest Quality of Garlic (Allium sativum L.) cv. Uiseong

  • Kwon, Kwon-Seok;Azad, Md. Obyedul Kalam;Hwang, Jae-Moon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9권4호
    • /
    • pp.293-297
    • /
    • 2011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lucidate the effects of mulching materials and removing time of the transparent polyethylene (PE) film on the growth of garlic at Uiseong experimental field, Korea. The experimental mulching materials comprised of transparent polyethylene film (0.025 mm) and net polyethylene (NPE). Plant height and leaf number of garlic were highest at PE treatment when the PE removing date was March 18 and this treatment also promoted the no. of cloves. Length of leaf sheath and bolting rate were highest and bulb weight loss rate was lowest at PE + NPE treatment when the PE removing date was March 18. But clove number was the lowest in this treatment compared to conventional PE film treatment. Conventional mulching method accelerated secondary growth rate but bulb weight loss was vice versa. There were statistically no differences in bulb diameter among treatments but conventional treatment positively focused on bulb diameter. Whenever PE film remove can suppress weeds compared to no mulching treatment but the dry weight of weeds were increasing trends as the removal dates of PE film were delayed. Transparent PE or PE + NPE treatments can be recommended to grow best quality garlic when PE film removing date is March 18.

비닐하우스내 토양 피복이 스타티스 절화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il Mulching on the Cut Flower Quality of Statice Plants Grown in Plastic House)

  • 정성수;김정만;정종성;최창학;최정식;김형무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43-47
    • /
    • 1997
  • 본 시험은 시설내에서 미스티블루 재배시 잡초의 발생을 억제하고 절화의 품질을 향상시키고자 피복재료(볏짚, 투명 polyethylene film 및 흑색 polyethylene film)를 공시하여 그 효과를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는데 지온의 변화를 4월부터 10월까지 조사한 결과 볏짚피복한 것과 흑색비닐 피복한 것은 온도 상승과 하강이 완만하였으나 투명비닐과 무피복구는 온도 변화가 심하였다. 고온기인 7월과 8월의 지온은 무피복구와 투명비닐피복구가 3$^{\circ}C$ 이상 높았다. 피복재료별 잡초발생량은 흑색비닐 피복구가 타피복구나 무피복구에 비해 현저히 적어 잡초발생억제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피복처리별 초기의 생육상황을 조사한 결과 흑색비닐피복구가 초장에서 약간 양호하였으나 엽장 등 생육은 큰 차이가 없었다. 화수폭, 화경경, 절화장 및 절화중 등은 흑색비닐피복구가 타처리구에 비해 양호하여 절화품질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피복재료별 1등급 절화비율과 상품화율도 흑색비닐피복구가 90.5%와 81.8%로서 타처리구에 비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Effects of Package Materials on Quality Change of Pine Bud Beverage Under Ultraviolet Light

  • An, Duek-Ju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4권4호
    • /
    • pp.349-353
    • /
    • 2009
  • The effects of packaging materials on preserving the functional component of pine bud beverage stored under UV (ultraviolet) light exposure conditions were studied. The order of UV light blocking properties of the selected packages was: opaque can> opaque PET (polyethylene terepthalate) with green lamination=transparent PET with 10% PEN (polyethylene naphthalate) blending> transparent PET, and did not depend on film thickness in specified range. At 20${^{\circ}C}$, the order of preserving degree of original color and endobornyl acetate, which is quality index of pine bud beverage, was the same as above. Exposure to UV light can cause of deterioration of functional food components, but green color lamination and blending of PEN materials with transparent PET help to preserve the UV sensitive pine bud beverage components. However, the treated PET bottles have poorer preservation capabilities than the opaque cans. Transparent PET with PEN blending, in particular, will be very useful packaging material for colorful functional beverage preservation by helping to protect the ingredients while attracting consumer attention.

완도군 황칠나무의 생육특성 (Growth Characteristics of Dendropanax morbifera $\textrm{L}_{EV}$ in Wando Area of Korea)

  • 최성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8권6호
    • /
    • pp.434-437
    • /
    • 2003
  • 우리나라 황칠나무의 주요 자생지인 완도지방에서 황칠나무의 재배 시 기초 자료를 얻고자 자생지 입지조건과 토양특성을 조사하고, 묘목의 생육을 촉진시키는 방법을 연구 하고자, 피복의 재료별로 황칠나무의 삽목묘를 재식한 후 생장을 비교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완도 지역의 황칠나무 자생지는 해발 20-280m 사이에 분포하였다 자생지 토양 경사도는 5-$20^{\circ}$사이에서 생육되고, 방향은 주로 동남향에 분포되어 있었고, 지형은 사면에 자생하고 있었으며, 자생지의 토양 pH는 5.3-5.5로 약산성 이며, 유기물 함량은 8.8-9.5%로 유기물이 풍부한 토양으로 회색빛을 띤 적습한 토양이었다. 2. 황칠나무의 삽목묘을 이식재배 할 경우, 폴리에틸렌 필름 피복재배는 묘목의 활착율을 높이고, 월동기간 지표의 보온으로 지온이 상승하여 초기 생장을 촉진시킬 수 있는 재배방법으로 생각된다.

Effect of Packing Condition of Polyethylene film on Storage of a Major Herbal Medicine Material, Anemarrhena Rhizome

  • Choi, Seong-Kyu
    • Plant Resources
    • /
    • 제6권1호
    • /
    • pp.53-56
    • /
    • 2003
  • To develop optimal storage method of root of Anemarrhena Rhizome, which has been grown as major cultural herbal medicine material, root of Anemarrhena Rhizome was stored for 10 months with different packing materials and sealing methods. The loss in dry weight as influenced by packing materials and sealing methods was the lowest at vacuum packing and followed by complete sealing methods with transparent polyethylene film. The rot ratio of root during the storage period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packing materials bu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sealing conditions. Conclusively vacuum packing and complete sealing with polyethylene film appears to be optimal for storage of Anemarrhena Rhizome.

  • PDF

A Basic Study on Storage of Leaf, Stem and Root in Angelica acutiloba Kitag

  • Choi Seong-Kyu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436-439
    • /
    • 2006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btain basic information for optimum storage method of leaf, stem and root of Angelica acutiloba Radix, which is being utilized as major cultivated herbal medicine materials, root of Angelica acutiloba was stored for 3 months in different packing materials and sealing methods, such as punched packing, sealing and vacuum packing.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loss in weight as influenced by packing materials and sealing degree was the lowest at vacuum packing and complete sealing condition with transparent polyethylene film. The ratio of root rot during the storage period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polyethylene films, but i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sealing conditions. Therefore, vacuum packing and complete sealing with polyethylene film are desirable storage condition for Angelica acutiloba Radix.

폴리에틸렌필름 멀칭 및 종묘종류가 가을감자의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Polyethylene Film Mulch and Seedling Types on Growth and tuber Yield of Fall-Grown Potato)

  • 강봉균;강영길;강시용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147-151
    • /
    • 2003
  • 제주지역에서 상위급 씨감자 가을채종재배 시 폴리에칠렌(PE)멀칭이 감자의 생육 및 수량성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하고자 일반종서, 경삽 및 소서 플러그묘를 2001년 8월 20일에 직파 또는 정식한 후 무멀칭, 투명 및 흑색 PE멀칭재배를 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주당 총서수는 멀칭처리에 큰 영향을 받지 않고 4.6개 내외였으나, 종묘종류별로는 직파구에서 5.14개로 가장 많았고 경삽묘 및 소서묘정식구에서는 각각 4.15, 5.15개였다. 2. 총서수량은 무멀칭구에서 21.16톤/ha이었는데, 투명 및 흑색 PE멀칭에 의하여 각각 16, 8% 증수되었고, 경삽묘정식구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소서묘, 직파구 순이었다. 3. 평균서중은 무멀칭구에서 평균 72.2g이었고 투명 및 흑색 PE멀칭에 의하여 각각 14, 12%증가되었는데, 멀칭효과는 경삽묘정식구에서 가장 컸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