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nsition politics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22초

지속가능성 전환의 관점에서 본 서울시 정책 평가 : '공유도시'와 에너지 전환 정책을 중심으로 ('Sharing City' and Energy Transition Policy of Seoul : A Sustainability Transition Perspective)

  • 김민재 ;박순열 ;김지혜 ;안새롬 ;구도완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
    • 제22권2호
    • /
    • pp.7-40
    • /
    • 2018
  • 이 글은 지속가능성 전환의 개념과 이론을 살펴보고 지속가능성 전환의 관점에서 박원순 서울시정의 '공유도시'와 에너지 전환 관련 정책을 평가하는데 목적이 있다. 지속가능성 전환 개념은 현존하는 사회 제도와 이해관계 속에서 어떻게 지속가능성을 지향하는 장기간의 전환 과정이 일어나고 이 과정을 누가 어떻게 조정할 수 있는지를 탐구하기 위한 개념이다. 체계적 문제로서 환경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지속가능성을 목표로 하는 체계와 레짐의 전환이 필요하며, 지속가능성 전환 과정에는 성찰적 거버넌스가 필요하다. 특히 이러한 성찰적 개입에 있어 전환의 정치에 대한 고려가 필수적이다. 이 글은 서울시의 '공유도시' 정책 가운데 나눔카와 따릉이, 에너지 정책으로서 원전하나줄이기 정책과 성대골 에너지자립마을 사례를 분석한다. 지속 가능성 전환의 관점에서 나눔카는 전환 정책의 성공 사례라고 보기 어려운 반면 따릉이는 그 자체의 성과는 크지 않지만 자동차 중심의 교통체계를 지속가능한 교통체계로 전환시킬 수 있는 잠재력이 큰 정책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두 정책 모두 새로운 전환 정치를 창출해 내는 힘은 부족하다고 볼 수 있다. 원전하나줄이기 정책과 성대골 마을 사례는 생태적 지속가능성을 높이는 데 어느 정도 성공했고 사회적 정의와 포용을 높였을 뿐만 아니라 원전을 줄일 수 있다는 믿음을 가능하게 했다는 점에서 체계와 레짐을 전환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두 사례의 경우, 거버넌스와 전환 정치의 관점에서 볼 때, 지속가능성 전환의 거버넌스와 새로운 정치적 권력관계의 형성이 이루어졌다고 평가할 수 있다.

탈경계와 이행의 문화정치학 - 미하일 바흐친의 민중-이미지 - (Cultural Politics of Transgredience and Transition : "people-image" in Bakhtinian Thought)

  • 최진석
    • 비교문화연구
    • /
    • 제35권
    • /
    • pp.35-58
    • /
    • 2014
  • This article aims to explain the 'people-image' of Bakhtin's works in the light of "Transgredience" and "Transition." According to Bakhtin, the real core of every culture is the people. But he did try to answer the question "what is the people?" I think, the secret of Bakhtinian thought is located in the people-image, because it is the one of the territories that have not been explained. For this purpose, we have to examine four images represented by Bakhtin, - rogue, clown, fool, thief. These images are the concrete and individualized images of people, who can characterize the power of transgredience and transition. They commonly act for changing ordinary borders of identities formulated with nationality, property, status, classes, sex and so forth. In this sense, Bakhtin thinks that the masks are the real nature which can show the mutational power of Being. That is the kernel of Bakhtin's people-image that makes and changes every cultural world. When we accept and practise this perspective positively, we will realize that Bakhtin's position is close to the cultural politics, because a practical power of thought cannot help but being political. That's why we have to investigate Bakhtin's people-image from a vantage point of "Transgredience" and "Transition."

김영삼 정권하의 노동정치: 갈등적 다원주의에서 사회적 합의주의로 (Labor Politics under the Kim Young-Sam Regime: from Conflictual Pluralism to Social Partnership)

  • 김용철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567-584
    • /
    • 2014
  • 이 글은 김영삼 정권하의 노동정치의 성격과 그 변화과정을 체계적으로 분석한다. 분석의 결과는 'IMF 경제위기'를 계기로 노동정치는 '갈등적 다원주의'에서 '사회적 합의주의'로 전환되었으며, 그 전환은 경제위기에 의해 촉발되었고, 변동의 방향은 정권적 차원의 제도적 맥락과 사회연합의 역학에 의해 규정되었음을 보여준다. 이 분석 결과가 함의하는 바는 경제위기나 국제적 압력이 노동정치의 변화 양상 및 방향을 규정짓는 변수가 아니고, 사회연합의 역학적 구도와 내용이 행위자들에게 새로운 인식과 전략적 선택을 강요하며, 이는 행위자들의 상호작용을 통해 최종적으로 노동정치의 변동을 낳는다는 점이다.

  • PDF

민주화 20년의 한국정치: 지체된 개혁과 전환기의 혼돈 (Korean Politics of 20 years after Democratic Transition: Delayed Reform and New Challenge)

  • 김만흠
    • 의정연구
    • /
    • 제15권2호
    • /
    • pp.131-158
    • /
    • 2009
  • 민주화와 더불어 선거정치에 토대를 둔 대의제가 본격적으로 가동된 지 20여 년이 지났다. 그동안 선거를 통한 정권교체도 이루었고, 민주화 세력이 적어도 두 번 이상 집권에 성공했다. 또 민주화 세력에 대한 실망으로 또 다시 정권교체가 일어나기도 했다. 선거를 통한 정권교체라는 대의정치의 기본 동력이 발휘된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대의권력이 민주적 안정의 구심점이 되지 못하고 있다. 더구나 우리의 불안정한 민주체제는 정권변동과 대의제 환경의 변화라는 이중적인 전환 속에서 과도기의 혼돈을 겪고 있다. 민주주의 후퇴 논란도 제기되고 있다. 이 연구는 지체된 개혁과제와 변화된 대의제의 환경에 주목해 한국 민주주의의 현실을 진단한다. 전환기적 상황으로는 민주화 동력의 소진에서 정권 재교체에 이르는 정치변동, 그리고 인터넷 시대와 정치동원 구조의 변화, 직접행동과 대의민주주의 등을 주요 논제로 다룬다. 그리고 분열의 정치와 '반쪽 정당성', 대권정치에 종속된 의회 정치라는 한국정치의 구조적 한계를 극복하는 개혁과제로 현행 대통령제의 개편을 주장한다.

신문매체에 나타난 한국 남성복 변천에 관한 연구 -1998년부터 1997년까지- (A Study on Transition of Men`s Wear on Newspaper Media)

  • 조양래;나수임
    • 복식문화연구
    • /
    • 제7권5호
    • /
    • pp.46-55
    • /
    • 1999
  • This research, as a study of the documentary records, examined the process of men\`s wear development year by year, looking into the newspapers which show objectively social phenomena in those days. The outcomes therefrom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important factors of dress and ornaments\` modeling i. e. style, color, pattern, material, ornamentation method. And then, the process of men\`s wear transition was analyzed based on the aforesaid examination with its classification. The above analyses revealed that a transition of a dress and ornaments closely correlates with a social and cultural change and also meant that the dress and ornaments symbolizes the social phenomena in those days. Thanks to the holding of Seoul Olympic Games in 1988, Korean society had tremendously grown with rapid changes in its politics, economy and culture. Also, men\`s wear type became innovative, breaking from the existing orthodox one due to the transition of men\`s viewpoints on value and their lives\` style.

  • PDF

Democratization and Politics of Trasformismo : Explaining the 1990 Three-Party Merger in South Korea

  • Kwon, Hyeokyong
    • 분석과 대안
    • /
    • 제1권2호
    • /
    • pp.2-12
    • /
    • 2017
  • Research on democratic transitions has relatively ignored the question of why some countries experience a regressive form of political pacts, while others do not. This paper develops a simple game-theoretic model to explain the phenomenon of collusive pacts in the process of democratization. Trasformismo is a term that refers to a system of political exchange based on informal clientelistic politics. The existing studies of the politics of trasformismo have emphasized the timing of industrialization and the tradition of strong state as conditions of the politics of trasformismo. However, not every late industrializers and not every strong states experienced some variants of collusive political pacts in their trajectories of democratization. In this paper, I contend that the politics of trasformismo is rather a generalizable pattern of political elites' behavior under particular circumstances. By developing a simple game theoretic model, this paper suggests the conditions under which political actors are likely to collude to a regressive form of political pacts. The model shows that the likelihood of collusion to a regressive form of political pacts is a function of a set of parameters. First, a higher level of incumbency advantage in electoral competition is likely to be associated with a higher probability of collusive political pacts. Second, a higher degree of the monopoly of political representation of political parties without a close link with a variety of societal forces is likely to induce collusive behavior among politicians. Third, the ruling party leader's expectations about the likelihood of a safe extrication are related to collusive political pacts. This paper then engages in a case study of the 1990 three-party merger in South Korea. The 1990 Korean case is interesting in that the ruling party created a new party after having merged with two opposition parties. This case can be considered a result of political maneuver in a context of democratization. The case study suggests the empirical relevance of the game-theoretic model. As the game of trasformismo and the case study of the 1990 three-party merger in South Korea have shown, the collusive political pact was neither determined by a certain stage of economic development nor by a particular cultural systems. Rather, it was a product of the art of trasformismo based on party leaders' rational calculations of the expected likelihood of taking governing power.

  • PDF

A History of Vietnam's Integration in Modern Times: The Case of Franco-Chinese Conflict over the Sino-Tonkinese Border (1885-1895)

  • Hanh, Nguyen Thi
    • 수완나부미
    • /
    • 제11권2호
    • /
    • pp.85-105
    • /
    • 2019
  • Investigating the clash among different forms of international relations has been a frequent issue in modern research and attracts interest in the fields of history and politics. In the nineteenth-century, Asia witnessed a fierce struggle between traditional relations in Asia that existed during the feudal period, that of "The Heavenly Dynasty, China and its vassal states"; and a the new form of relations introduced by the West, that of relations between "colonial powers and colonized countries." As a result, the formation of "colonial societies" in Asia with very specific features was established. However, as stated by Vu (2015), for many reasons, which include the lack of material resources, the politically sensitive nature of the object, and the focus on gains and losses in previous studies, there were little studies on the process of demarcating the Tonkinese border between Franco and Chinese in Vietnam, especially from a globalization perspective. This study thus aims at examining the issue of the demarcation of the Tonkinese Border between Franco and Chinese (1885-1895), in view of globalization, as a case study for the transition process of the modern history of Vietnamese society.

  • PDF

A Multidisciplinary Frame for Studying Democratic Shifts in Southeast Asia: Mixing Politics, Sociology And Psychology Across Historical Time

  • Montiel, Cristina Jayme
    • 수완나부미
    • /
    • 제7권2호
    • /
    • pp.57-78
    • /
    • 2015
  • Southeast Asia has been a showcase for democratic transitions in the past 30 years. This paper proposes a conceptual lens for studying political shifts in the Southeast Asian region. The argumentative storyline follows two fundamental propositions about democratic transitions. My first proposition is that during democratic transitions, human phenomena arise on nested analytical layers namely the global arena, the state, prodemocracy movements, and individuals. Each layer is conventionally studied by international relations, political science, sociology, and psychology respectively. I propose a multidisciplinary lens that transverses all these analytical layers. A second proposition is that during political shifts, social conditions are historically-situated. Historicity is anchored on stages of democratization, namely the authoritarian regime, toppling the regime, power shift, state building, and nation building. This paper describes a 4 × 5 matrix (analytical layer × historical stage) that may guide a regional agenda on the empirical study of democratic transitions in the Southeast Asian region. It likewise gives examples of research findings in Philippine-based studies that have already begun to provide empirical data about segments of this research matrix.

  • PDF

원자력 정치의 부재와 탈원전의 정책규범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absence of nuclear energy politics and the policy norms for nuclear phase-out)

  • 김수진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
    • 제22권1호
    • /
    • pp.139-170
    • /
    • 2018
  •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은 한편으로 원자력 확대 정책에 본격적인 제동을 걸고 정책적 관성을 벗어났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 탈원전의 윤리적 근거가 명확하게 정책 규범으로 정립되지 않음으로써 국내 탈원전 전략과 국외 원전수출 진흥 전략이라는 모순적 상황을 초래하고 있다. 탈원전 시점에 대한 정치적 비전 부재와 탈원전 정책의 입법 부재는 탈원전 정책을 정치적으로 모호하고 무책임하게 만들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탈원전 정책의 문제가 궁극적으로 의회 정당의 정치적 역할 부재에서 비롯되었다고 간주하고 원자력 정치의 부재 원인과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논문은 원자력 정치의 부재에 대한 원인을 한국의 발전국가적 특성과 행정 관료에 의해 수립되는 '계획'의 특성으로 파악하고, 원자력 정책에서 정치 부재의 효과를 원자력 관련 국회상임위원회 회의록에 나타난 국회의원들의 발언을 통해 정성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원자력 정치의 부재로 인해 원자력 행정에 대한 입법부의 통제 실패와 원전 사후 관리 분야에서 무책임한 정치가 초래됨을 보였다. 이에 원자력 정책에 대한 정치의 책임 있는 개입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막스 베버(Max Weber)의 정치인의 신념윤리 및 책임윤리의 개념에 기초하여 탈원전 정책의 정책 규범을 제시하였다.

에너지 민주주의의 쟁점과 에너지 커먼즈의 가능성 (Critical Issues of Energy Democracy and the Possibility of Energy Commons)

  • 홍덕화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
    • 제23권1호
    • /
    • pp.75-105
    • /
    • 2019
  • 에너지 전환이 가시화되면서 에너지 전환의 전략과 경로에 대한 관심이 늘고 있다. 이제 누가, 어떤 방식으로 에너지 전환을 추진하는지가 중요한 쟁점으로 부상하고 있는 것이다. 전환의 정치가 확산되고 있는 상황에서 시장 주도의 에너지 전환을 비판하며 에너지체계의 근본적인 재구성을 모색하는 담론으로 에너지 민주주의가 주목받고 있다. 다만 사회운동 속에서 형성되고 있는담론이자 에너지 전환을 정치사회적으로 평가하는 잣대로서 에너지 민주주의에 대한 상상은 하나가 아니다. 본 연구는 에너지 민주주의의 쟁점을 분석하고커먼즈의 시각에서 재해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다양한 운동이 결합된 만큼에너지 민주주의는 지역화·분산화, 자유화, 공유화·사회화 사이에서, 나아가투자자·소비자, 노동자, 에너지 시민 사이에서 흔들리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에너지 기반시설을 커먼즈로 사고하는 것은 에너지 민주주의 내부의 균열을 이해하고 새로운 전환 실험을 모색하는 데 도움이 된다. 에너지 민주주의는 분산형 재생에너지체계로의 전환을 둘러싼 경합 속에서 스케일을 가로지르는 새로운 커먼즈가 생성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