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transepidermal water loss

검색결과 108건 처리시간 0.026초

Anti-wrinkle Effects of Water Extracts of Teas in Hairless Mouse

  • Lee, Kyung Ok;Kim, Sang Nam;Kim, Young Chul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30권4호
    • /
    • pp.283-289
    • /
    • 2014
  • Tea flavonoids and polyphenols are well known for their extraordinary antioxidant activity which is considered important for anti-aging processes in animals. This study evaluated the anti-wrinkle effects of three different kinds of tea (Camellia sinensis) water extracts (CSWEs) including green, white, and black teas using a photoaged hairless mouse model. Data showed that the CSWE-treatment greatly improved skin conditions of mice suffering from UVB-induced photoaging, based on the parameters including the skin erythema index, moisture capacity, and transepidermal water loss. In addition, the wrinkle measurement and image analysis of skin replicas indicated that CSWEs remarkably inhibited wrinkle formation. In histological examination, the CSWE-treated mice exhibited diminished epidermal thickness and increased collagen and elastic fiber content, key signatures for skin restoration. Furthermore, the reduced expression of MMP-3, a collagen-degradative enzyme, was observed in the skin of CSWE-treated animals. Interestingly, comparative data between green, white, and black tea indicated that the anti-wrinkle activity of white tea and black tea is equally greater than that of green tea. Taken together, these data clearly demonstrated that CSWEs could be used as an effective anti-wrinkle agent in photoaged animal skin, implying their extended uses in therapeutics.

아토피 피부염 환자에서 황연해독탕(黃連解毒湯)이 함유된 한방화장품에 대한 임상 연구 (Clinical Research of Atopic Dermatitis Treated by Hwangryeonhaedok-Tang in Cosmetics)

  • 윤대철;김희택;김이화;호동수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1611-1620
    • /
    • 2008
  • This clinical research was conducted to test patients with Atopic Dermatitis by external application with Hwangryeonhaedok-Tang in cosmetics. We gave scores to 31 patients who visited the Dept. of Oriental Medical Opthalmology & Otolaryngology & Dermatology of Semyung University Jecheon Oriental Medical Hospital from May 15th, 2008 to June 26th. Fifteen patients were treated with the ointment that contain Hwangryeonhaedok-Tang (experimental group) and sixteen patients were treated with normal ointment that doesn't have Hwangryeonhaedok-Tang (control group) for 4 weeks. We observed change of total IgE, eosinophil count, Skin Temperature, Transepidermal Water Loss(TEWL), Skin Hydration and Skin pH. Also Clinical Index of Atopic Dermatitis(SCORAD Index) and global assesment of efficacy were us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Hwangryeonhaedok-Tang.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by using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analysis.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achieved if the probability was less than 5%(p<0.05). After 4 weeks of external application treatment, SCORAD Index in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 statistically decreased compared with control group. After 4 weeks of external application treatment, total IgE of both groups were decreased and eosinophil count in control group was decreased but experimental group was unstatistically decreased. Unstatistically, both groups didn't showed significant effect on Skin Temperature. Transepidermal Water Loss(TEWL) in both groups were increased but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 decreased compared with control group. Skin Hydration in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 statistically increased compared with control group. Statistically, both groups didn't showed significant effect on Skin pH. Only experimental group showed little increase. After 4 weeks of external application treatment,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effect on global assesment of efficacy. Considering the above results, we can speculate that cosmetics with Hwangryeonhaedok-Tang has some therapeutical effects in mitigating the symptoms of Atopic Dermatitis.

무모 마우스 피부에서 모자반 추출물의 자외선비(ultraviolet B)에 의해 유도된 광노화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 of Mojaban (Sargassum fulvellum) extract on ultraviolet B-induced photoaging in hairless mouse skin)

  • 임동빈;김창희;황재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2권5호
    • /
    • pp.467-475
    • /
    • 2020
  • 자외선(Ultraviolet radiation)은 피부 주름 형성과 피부 건조를 특징으로 하는 광노화의 주요 원인이다. 모자반과(Sargassaceae)에 속하는 모자반(Sargassum fulvellum)은 항염증, 항산화, 항아토피 활성을 갖고 있다. 특히, 모자반은 인간 각질세포(keratinocyte)와 실험동물의 피부에서 UVB에 의한 염증 반응을 완화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그러나, 현재까지 모자반 추출물의 광노화 억제 효과에 대해서는 보고된 바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광노화를 유도하기 위하여 UVB를 SKH-1 무모 마우스의 등 부분에 8주간 처리하였으며, 동시에 모자반 추출물을 300 mg/kg의 농도로 매일 경구 투여하였다. 현상학적으로, 모자반 추출물은 주름 형성, 홍반 및 피부 두께를 감소시켰으며, 피부 탄력을 증가시켰다. 모자반 추출물은 콜라겐 합성 유전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matrix metalloproteinase의 발현을 감소시킴으로써 콜라겐의 하이드록시프롤린(hydroxyproline) 함량을 증가시켰다. 추가적으로, 모자반 추출물의 경구 투여는 무모 마우스의 피부 수분 함량을 증가시켰으며, 경피수분손실(transepidermal water loss)을 감소시켰다. 모자반 추출물은 각질세포막 형성에 관여하는 involucrin, loricrin, transglutaminase의 발현과 자연보습인자 관련 생체지표인 filaggrin 및 caspase-14의 발현을 증가시켰다. 종합적으로, 모자반 추출물은 피부의 콜라겐 손실과 건조를 완화함으로써 광노화 억제 활성을 제공하였다. 모자반 추출물은 피부 광노화를 억제하기 위한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자초(Lithospermum erythrorhizon) 추출물이 UVB로 조사된 생쥐 피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Lithospermum erythrorhizon Extracts in UVB-Irradiated Mouse Skin)

  • 송선영
    • Applied Microscopy
    • /
    • 제38권3호
    • /
    • pp.195-204
    • /
    • 2008
  • 본 연구는 UVB 조사로 인해 손상된 피부에 있어서 자초추출물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생후 6주령된 제모한 C57BL/6 마우스를 대상으로 대조군, UVB 조사군(UVB군), UVB조사 후 자초추출물처치군(UVB+Le군)으로 구분하여 24시간, 48시간, 72시간, 120시간, 168시간의 시간대별로 관찰하였다. 경표피수분손실량을 측정한 결과, UVB+Le군이 UVB군 보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TEWL이 감소하였다. 특히 168시간군에서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p<0.05). 멜라닌 양 측정 결과, UVB+Le군이 UVB군 보다 낮게 나타났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은 없게 나타났다(p>0.05). 홍반 지수 측정 결과, UVB+Le group 24시간, 48시간, 72시간군에서 UVB group 보다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p<0.05). 주사전자현미경적 관찰 결과, UVB group 24시간군에서는 UVB group보다 팽윤현상이 완화되었다. 48시간군에서는 가피형성, 72시간군에서는 규칙적인 판상구조, 120시간군에서 새로운 각질세포 생성, 168시간군에서는 얇은 섬유망으로 덮혀 있는 것이 관찰되었다. 투과전자현미경적 관찰 결과, UVB+Le group은 층판소체의 증가와 층판소체의 재형성이 UVB group보다 모든 군에서 촉진되었다. 특히 165시간군에서는 지질이중막의 구조가 거의 회복되어졌다. 이상의 모든 실험결과를 통해 자초추출물이 UVB 조사로 손상된 생쥐 피부를 회복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참죽나무 새순 추출물의 항균 활성과 피부 보습효과에 관한 연구 (Antibaterial Activity and Skin Moisturizing Effect of Cedrela sinensis A. Juss Shoots Extracts)

  • 김선영;이민혜;조나래;박수남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315-321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피부 상재균에 대한 참죽나무 새순 추출물의 항균 작용과 참죽나무 새순 추출물을 함유하는 크림을 제조하여 인체 피부를 대상으로 보습 효능을 측정하였다. 참죽나무 새순 추출물의 네 가지 피부 상재균에 대한 MIC를 측정한 결과, P. acnes과 S. aureus에 대한 MIC는 각각 0.13 %, 0.03 %로 비교 물질인 methyl paraben보다 더 우수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고, P. ovale과 E. coli에 대한 MIC는 모두 0.25 %로 methyl paraben 보다 낮은 MIC를 나타내었다. 피부 보습 효능을 측정하기 위해, 참죽나무 새순 추출물의 ethyl acetate 분획을 0.25 % 함유하는 크림을 제조하고, 이를 14명의 피실험자의 피부에 도포한 후 피부 수분 보유랑과 경표피 수분 손실량을 각각 30 min, 60 min 간격으로 180 min 동안 측정하였다. 피부 수분 보유량은 placebo 크림에 비하여 참죽나무 새순 추출물 함유 크림이 10 ~ 15 % 정도 더 큰 수분 보유량 증가율을 나타내었다. 경표피 수분 손실량을 측정하였을 때, 무도포(control) 상태의 경표피 수분 손실량은 8.9 g/$m^2h$, 추출물 함유 크림은 6.7 g/$m^2h$으로, 추출물을 함유한 크림이 피부 표면의 수분 손실을 감소시킴을 알 수 있었다. 참죽나무 새순 추출물의 ethyl acetate 분획의 항균 활성과 피부 보습효과에 대한 결과로부터 화장품 원료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Sequential Tape Stripping에 따른 피부 Parameters의 변화에 관한 연구 (Changes in Skin Parameters after Sequential Tape Stripping)

  • 김승훈;김은주;남개원;안성연;이해광;문성준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99-104
    • /
    • 2007
  • 피부장벽 기능은 중요한 피부 기능 중 하나로 각질층과 표피층은 다른 피부층 보다 이러한 기능에 있어 큰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각질층은 표피 기저층에서부터 표피세포가 위층으로 올라오면서 분화의 과정을 거쳐 형성되게 된다. 이러한 분화 과정은 피부 표면에서 완성되게 되며 지속적으로 올라오는 새로운 각질로 대체되게 되어 건강한 방어막을 형성하게 된다. 본 연구는 tape stripping에 따른 깊이별 여러 인자들의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각질층의 각 부분의 역할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피부 표면 수분량에 있어서는 각질층 중 위쪽에 위치하고 있는 uppermost stratum corneum (SC)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분증발을 막는 장벽으로써의 역할은 lower SC가 주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pH는 각질의 산성 pH에서 표피 쪽으로 진행하면서 중성의 pH가 보여지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데 각질층만을 살펴봤을 경우, 아래층으로 내려가면서 오히려 다소 산도가 높아짐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tape stripping을 통한 각질량 분석에서는 stripping을 거듭할수록 채취되는 각질량도 감소되는 양상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를 통해 수 ${\sim}$ 수십 층으로 구성되는 각질층 중 윗부분은 수분량에, 아래 부분은 장벽으로서의 기능에 있어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각질층의 깊이가 증가할수록 pH와 각질량은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각질층 내의 위치 차이에 따른 역할에 대한 결과를 통해 화장품 개발에 있어서 다양한 접근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어진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각질층도 그 위치에 따라 다른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었고 향후 이러한 점에 초점을 맞춘 특화된 각질 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온양온천수를 이용한 피부개선 화장품의 개발 (The Study of Development Skin Improvement Cosmetic By Spring Water of Onyang)

  • 심승보;오성근;전용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9호
    • /
    • pp.4257-4260
    • /
    • 2011
  • 온천수는 땅 표면에 자연 용출되거나 인공적으로 시추하여 끌어올린 지하수로서 수온이 그 지역의 연평균 기온 또는 그 지역의 얕은 지층의 지하수 수온보다 높아야 한다. 우리나라는 섭씨 25도 이상을 온천으로 규정하고 있다. 온천수는 일반적으로 혈액순환, 진통완화, 진정작용, 피부미용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이것의 효능은 일반적으로 수온과 물속에 포함되어 있는 다양한 미네랄 성분의(Na, Si, Mg 등) 작용으로 알려져 있다. 온양 온천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온천지구로 우리나라의 가장 대표적인 온천중에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온천수를 화장품 제형에 적용하여 피부자극테스트를 통하여 피부자극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온양온천수를 이용한 제품에서 8.56%의 경피 수분함유량의 증가와 -67.74%의 상대 경피 수분증발량 감소가 나타나 온양온천수를 활용한 화장품의 피부개선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덕구온천수로 제조된 바디로션의 관능평가 (Sensory evaluation of a body lotion formulated with hot spring water from Deokgu, Korea)

  • 김소정;강민경;이택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420-427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바디로션 제조 시 화장품 첨가제로서의 덕구온천수를 평가하기 위함이다. 주요 수용성 구성성분으로서의 온천수의 적합성을 시험하였다. 온천수의 미생물 및 화학적 안전성 시험이 수행되었다. 대장균을 비롯한 미생물은 검출되지 않았거나 검출한도 이하로 검출되었으며, 유해한 중금속은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온천수의 세포독성이 평가되었으며, 온천수의 pH 변화를 3달 동안 측정하였다. 또한 덕구온천수 및 증류수로 제조된 바디로션에 대해서 관능시험을 수행함으로써 소비자의 적합성을 관능특성 분석을 통하여 평가하였다. 증류수로 제조된 바디로션보다 온천수를 사용한 바디로션을 피부에 적용하였을 때, 피부보습, 피부트러블 및 피부 장벽강화가 증진되었다. 종합해 보았을 때, 이 연구의 결과는 화장품 제조에 있어서 온천수를 사용하는 것은 화장품의 효능을 증진시킬 수 있음을 보여 준다.

미백, 보습 및 탈모방지에 대한 황칠나무(Dendropanax modifera Lev.)에서 분리한 1-tetradecanol, β-sitosterol의 효과 (Effects of 1-tetradecanol and β-sitosterol Isolated from Dendropanax morbifera Lev. on Skin Whitening, Moisturizing and Preventing Hair Loss)

  • 이선영;최은진;배동혁;이동욱;김선오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73-83
    • /
    • 2015
  • 황칠나무(Dendropanax mobifera Lev.)는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난대성 수종으로 대한민국 남쪽지방에 주로 분포하며 전통적인 민간요법 약재로 사용되어 왔으나 지금까지 피부에서의 효능이 잘 알려지지 않았다. 우리는 본 연구에서 황칠나무 잎의 열수추출물과 n-hexane 분획물에서 1-tetradecanol과 ${\beta}$-sitosterol 성분을 분리정제하여 다양한 피부개선효과와 탈모방지효과를 검증하였다. 1-tetradecanol의 타이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효과는 열수추출물과 n-hexane분획물 보다 높은 저해 활성이 나타났다. 그리고 B16F10 세포를 이용한 멜라닌 양을 측정한 결과 1-tetradecanol은 세포독성 없이 농도 의존적으로 멜라닌 양이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실험동물을 이용한 경표피수분손실량(TEWL)에서도 1-tetradecanol에서 수분 손실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beta}$-sitosterol의 탈모 방지에 대한 효과는 HR-1 hairless mice의 성장 주기별 특성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그 결과 ${\beta}$-sitosterol을 처리한 마우스의 탈모는 지연되었고 모발의 밀도도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황칠 n-hexane분획물에서 분리한 1-tetradecanol과 ${\beta}$-sitosterol이 미백과 보습 용도의 화장품 기능성 원료 및 탈모 개선에 가능성이 있는 화장품소재로서 상업적 발전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In vitro cell recovery methoc as an altermative to human damaged skin recovery test

  • An, Su-Sun;Nam, Ki-Taek;Park, Jong-Ho;Koh, Jae-Sook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97-100
    • /
    • 1997
  • These days, the raw materials that have the cell recovering effect are used commonly in cosmetics. In this study, six materials were rested for the characteristics of recovering effect both on vivo and in vitro. Tested raw materials were Soypol, 3-APPA, Apple extract, Polygonatum japonicum extract, Scutellarkd baicalensis extract, Aloe extract. Among these materials, Soypol and 3-APPA were synthesized and others were made by extraction at the Pacific R&D Center. Human forearm skin and cultured skin cell were damaged by sodium lauryl sulfare and then raw materials were applied for open treatment on SLS damaged human skin or cells. The recovering effects of raw materials in vivo were evaluated by measuring transepidermal water loss, skin hydration and erythema and in vitro effects of proliferationg cells were assessed by neutral red uptake assay. In the in vivo study, only the evaluation by TEWL showed correlation with the visual score. Our of six materials, 3-APPA had the most positive effect in both in vivo and in vitro studies and the correlation was r=0.8286 (p=0.042).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