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ns-DBA-3,4-dihydrodiol

검색결과 1건 처리시간 0.017초

7H-Dibenzo [c,g] carbazole과 Dibenz[a,j] acridine에 의한 DNA adduct의 32P-postlabeling 분석 (32P-postlabeling Analysis of 7H-Dibenzo [c,g] carbazole and Dibenz [a,j] acridine DNA Adduct in Mice)

  • 노재훈;문영한;데이비드 봐르쇼브스키;글렌 탈라스카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4-21
    • /
    • 1993
  • 7H-dibenzo[c,g]carbazole(DBC)과 dibenz[a, j]acridine(DBA) 및 이의 대사물 trans-DBA-1,2-dihydrodiol(DBA-1,2-DHD), trans-DBA-3,4-dihydrodiol(DBA-3,4-DHD), trans-DBA-5,6-dihydrodiol(DBA-5,6-DHD)]에 의한 DNA adduct형성을 알기 위해 Hsd:ISR 생쥐 피부에 이를 투여하고 용매 추출법으로 DNA를 분리하고 $^{32}P$-postlabeling법으로 DNA adduct를 분석하였다. DBC를 피부에 투여하여 DNA adduct가 국소작용 부위인 피부와 내장기관인 간, 폐 및 신장에 형성되어 DBC는 국소 및 전신 발암작용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DNA adduct활성도가 간에서는 높고 피부, 폐, 신장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아 DBC에 의한 발암의 주 표적 장기는 간임을 추측할 수 있었다. DBA, DBA-3,4-DHD 및 DBA-5,6-DHD 투여에 의해 두개의 adduct가 피부에서 관찰되었다. 대사 물질인 DBA-5,6-DHD에 의해 2개의 adduct가 형성되었으나 그 양상이 DBA 및 DBA-3,4-DHD와는 달랐으며 DBA-1,2-DHD에 의해서는 DNA adduct 형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DBA는 국소발암작용이 있으며 활성 대사물인 DBA-3,4-DHD가 최종 발암원(ultimate carcinogen)이고 DBA-1,2-DHD는 무독화 대사물질로 추측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