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ditional yeast

검색결과 280건 처리시간 0.039초

시판 막걸리로 제조한 전통발효유 타락의 발효 특성 (Fermentation and Microbial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Milk, Tarak)

  • 정진경;고성희;오세욱;임지영;전태훈;김수아;명길선;장성식;허철성;한영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602-609
    • /
    • 2015
  • 한국 전통 발효유인 타락을 제조하기 위하여 4종의 시판 막걸리와 시판 우유를 사용한 '타락'을 제조하여 발효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관여 미생물을 분석하였다. 제조된 타락에서의 pH는 발효시간에 따라 유의적으로(P<0.001) 감소되어 pH 5.56~6.49를 나타내고 산도는 유의적으로(P<0.001) 증가하여 0.17~0.40%의 값을 나타내었다. 점도는 유청이 분리되기 전까지 유의적으로(P<0.001) 증가하였다. 당도는 유의적으로(P<0.001) 감소하였다. 에탄올 함량은 시간에 따라 증가하여 발효 24시간에 0.51~0.71 mg/mL를 나타내었다. 발효산물로는 주된 유기산이 lactic acid로 발효시간에 따라 점차 증가하여 발효 24시간에서는 모든 시료에서 전체 유기산 생성량의 80% 이상을 차지하였으며 이외에 미량의 acetic acid, citric acid, succinic acid도 검출되었다. 발효와 더불어 검출된 주된 유리당은 lactose였고 소량의 glucose가 나타났다. 타락의 젖산균 수는 발효시간에 따라 증가하여 발효 24시간에는 9.87~10.41 log CFU/mL로 나타났으며 효모 수는 6.99~7.73 log CFU/mL였다. 타락에서의 분리된 균주는 효모인 Saccharomyces cerevisiae와 다양한 Pediococcus acidilactici, Lactobacillus fermentum, Leuconostoc mesenteroides 등의 다양한 젖산균이 나타났다. 따라서 타락은 효모와 젖산균이 공존하는 효모-젖산균 발효유임을 알 수 있었다.

간장 유래 혈전분해 효소 생산 균주의 분리 및 배양학적 특성 (Isolation and Optimized Culture Conditions of Fibrinolytic Enzyme Producing Strain Isolated from Korean Traditional Soybean Sauce)

  • 백성열;윤혜주;박희동;여수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330-336
    • /
    • 2011
  • 전통발효식품인 재래간장에서 fibrinolytic enzyme를 생산하는 미생물을 분리하였고 산업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분리된 미생물 중 fibrinolytic enzyme 활성이 우수한 YJ11-21 균주를 선발하였다. YJ11-21을 분자수준에서 16S rDNA 유전자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Bacillus licheniformis로 동정되었다. Fibrinolytic enzyme 생산을 위한 최적 배양조건으로서 탄소원은 glucose, 질소원은 yeast extract를 첨가하였을 때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1% NaCl를 첨가한 배지에서 혈전용해 효소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10% NaCl에서도 높은 효소활성과 생장률 또한 양호하여 YJ11-21는 내염성균으로 추정된다. YJ11-21를 $30^{\circ}C$에서 배양시 가장 높은 효소 활성과, 초발 pH 5-10까지 안정한 효소활성을 보였다. 그리고 pH 9에서 가장 높은 혈전용해 효소활성과 균주의 생장률이 나타났다.

전통발효식품 유래 Enterococcus faecium JK29에 의한 γ-aminobutyric acid의 생산 최적화 (Optimization of γ-Aminobutyric Acid Production by Enterococcus faecium JK29 Isolated from a Traditional Fermented Foods)

  • 임희선;차인태;이현진;서명지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26-33
    • /
    • 2016
  • ${\gamma}$-Aminobutyric acid(GABA)를 생산하는 희귀 젖산균을 분리하기 위하여 전통발효식품으로부터 총 147개의 젖산균을 확보한 후 1% 글루탐산 나트륨(L-monosodium glutamate, MSG)를 사용하여 GABA를 생산하는 23개의 균주를 1차 분리하였다. 2차 분리를 위하여 글루탐산 탈탄산효소(glutamate decarboxylase)와 16S rRNA 유전자의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기본 MRS 배지에서 48시간 배양 후 1.56 mM의 GABA를 생산하는 Enterococcus faecium JK29를 최종 분리하였다. E. faecium JK29에 의한 GABA의 생산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배양 조건을 최적화하였으며 그 결과 0.5% 자당(sucrose), 2% 효모 추출물(yeast extract), 0.5% 글루탐산 나트륨이 포함된 최적화 MRS 배지를 개발하였다. 최적화 MRS 배지를 활용하여 $30^{\circ}C$, pH 7.5에서 48시간 배양을 한 결과 E. faecium JK29이 14.86 mM의 GABA를 생산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전통 장류에서 분리된 알칼리성 Cellulase 생성 Bacillus subtilis 4-1 균주의 효소학적 특성 (Characterization of alkaline cellulase from Bacillus subtilis 4-1 isolated from Korean traditional soybean paste)

  • 백성열;이유정;윤혜주;박혜영;여수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442-450
    • /
    • 2014
  • 수집한 장류 시료에서 분리한 균주들을 CMC를 함유하는 배지에 접종하여 섬유소 분해 활성이 우수한 4-1 균주를 선발하였다. 4-1 균주의 16S rRNA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B. subtilis로 동정되었다. B. subtilis 4-1의 효소생산을 위한 최적 배양조건은 탄소원으로 1.0% soluble starch와 질소원으로 0.1% yeast extract를 첨가하여 $45^{\circ}C$에서 24시간 배양하였을 때로 나타났다. 최적 배양 pH를 조사한 결과, pH 5.0~9.0에서 cellulase 효소활성이 높았다. B. subtilis 4-1의 조효소 특성은 효소반응의 최적 pH가 pH 9.0, 반응온도는 $60^{\circ}C$에서 효소활성이 가장 높았으며, $20{\sim}90^{\circ}C$ 온도에서 60분간 열처리시 효소 활성이 80%이상 유지되었다. 따라서 B. subtilis 4-1에 의해 생산되는 cellulase는 내알칼리성 효소로 추정되며, 높은 열에도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B. subtilis 4-1이 생산하는 cellulase는 CMC에 가장 높은 효소활성을 나타내었으며 avicel과 pNPG에서도 활성을 보여 복합효소로 생각된다.

오디를 첨가한 막걸리의 발효기간 중 이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and Microbial Properties of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Makgeolli, Supplemented with Mulberry during Fermentation)

  • 김은경;장윤혁;고재윤;정윤화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10호
    • /
    • pp.1682-1689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오디를 첨가하여 제조한 막걸리의 이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발효 7일째의 알코올 함량은 오디 막걸리(17.1%)와 대조군(17.0%)간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pH는 발효 1일째 급격히 감소한 후 완만한 증가를 보이며 발효 7일째 각각 4.48 및 4.51로 유사하게 나타났다. 총산은 두 시료 모두 발효 1일째에 급격히 증가하고, 그 이후 완만히 증가하였다. 총 균수, 효모 수, 유산균 수는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점차 증가하였으며 오디막걸리의 발효 7일째 총 균수, 효모 수, 유산균 수는 대조군과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색도(L, a, b)는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대조군과 오디 막걸리 모두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유리당 중 glucose는 모든 막걸리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발효가 진행하면서 감소하였다. 유기산 함량은 succinic acid가 오디 막걸리와 대조군 모두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발효가 진행되면서 증가하였다. 오디막걸리와 대조군에서 검출된 47종의 휘발성 화합물 중 가장 많이 동정된 성분은 3-methyl-1-butanol이었다.

Microbial Diversity in Korean Traditional Fermenting Starter, Nuruk, Collected in 2013 and 2014

  • Seo, Jeong Ah
    • 한국균학회소식: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균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 /
    • pp.11-11
    • /
    • 2015
  • A total of sixty-six samples of Nuruk, a fermention starter used to make the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Makgeolli, were collected from central and southern regions of Korea in 2013 and 2014. We classified two groups of the Nuruk samples, "commercial" and "home-made",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procedure and purpose of use. Commercial Nuruks were made in a controlled environment where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are fixed and the final product is supplied to Makgeolli manufacturers. Home-made Nuruks were made under uncontrolled conditions in the naturally opened environment and were intended for use in the production of small amounts of home-brewed Makgeolli. We obtained more than five hundred isolates including filamentous fungi and yeasts from the Nuruk samples followed by identification of fungal species. Also we stored glycerol stocks of each single isolate at $-70^{\circ}C$. We identified the species of each isolate based on the sequences of ITS regions amplified with two different universal primer pairs. We also performed morphological characterization of the filamentous fungi and yeast species through observations under the microscope. We investigated the major fungal species of commercial and home-made Nuruks by counting the colony forming units (CFU) and analyzing the occurrence tendency of fungal species. While commercial Nuruks contained mostly high CFU of yeasts, home-made Nuruks showed relatively high occurrence of filamentous fungi. One of the representative Nuruk manufacturers used both domestic wheat bran and imported ones, mainly from US, as raw material. Depending on the source of ingredient, the fungal diversity was somewhat different. Another commercial Nuruk sample was collected twice, once in 2013 and again in 2014, and showed different diversity of fungal species in each year. Nuruks obtained from the southern regions of Korea and Jeju island showed high frequency of yeast such as Saccharomycopsis fibuligera and Pichia species as well as unique filamentous fungus, Monascus species. S. fibuligera was easily found in many Nuruk samples with high CFU. The major filamentous fungi were Aspergillus, Lichtheimia, Mucor and Penicillium species. In order to further our understanding of the isolates and their potential industrial applications, we assayed three enzymes, alpha amylase, glucoamylase and acid protease from 140 isolates out of about five hundred isolates and selected about 10 excellent strains with high enzyme activities. With these fungal isolates, we will perform omics analyses including genomics, transcriptomics, metabolic pathway analyses, and metabolomics followed by whole genome sequencing of unique isolates associated with the basic research of Nuruk and that also has applications in the Makgeolli making process.

  • PDF

한국재래간장으로 부터 분리한 Bacillus subtilis globigii CCKS-118이 생성하는 pretense의 특성 및 작용양상 (Characteristics and Action Pattern of Protease from Bacillus Subtilis Globigii CCKS-118 in Korean Traditional Soy Sauce)

  • 최광수;조영제;임성일;이선호;손준호;최희진;이희덕;최청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9권6호
    • /
    • pp.460-465
    • /
    • 1996
  • 한국재래간장으로 부터 분리한 Bacillus subtilis globigii CCKS-118가 생성하는 pretense 생산 최적조건은 2% soluble starch, 0.2% yeast extract, 0.1% $(NH_4)_2SO_4$, 0.2% $MgSO_4$, pH 7.5, $35^{\circ}C$에서 20시간이었다. 효소의 최적작용 pH와 온도는 pH 9.0, $50^{\circ}C$였으며, $pH\;6.0{\sim}11.0$의 범위와 $40^{\circ}C$이하에서 안정하였다. 금속이온중 $Cu^{2+}$에 의하여 활성이 증대되었으나 $Hg^{2+}$ 등에 의하여 효소활성이 저해되었다. Phenylmethylsuldonyl fluoride, ethylendiaminetetraacetic acid처리에 의해 활성이 저해되어 금속이온의 영향을 받는 serine pretense로 확인되었다. Km값은 $1.899{\times}10^{-4}M$, $V_{max}$값은 $34.36\;{\mu}g/min$이었으며, hemoglobin보다 casein을 더 잘 가수분해하였다.

  • PDF

전통 된장으로부터 분리한 향균물질 생산 Bacillus subtilis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Antibacterial Substance - Producing Bacillus subtilis Isolated from Traditional Doenjang)

  • 유현순;손미예;조수정;박석규;이상원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0권2호
    • /
    • pp.87-94
    • /
    • 2007
  • 전통 장류 발효식품의 발효도와 저장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전통 콩 발효식품으로부터 cellulase, amylase, protease 활성 및 항균활성 물질 생성이 우수한 바실러스 HS25 균주를 분리하여 그 배양학적 특성을 검토하였다. HS25 균주는 편모와 내생포자를 가지며, 다량의 점질물을 형성하는 그람양성 간균으로 catalase 양성, oxidase 음성으로 esculin을 가수분해하였고, 16S rDNA분석 등을 통하여 Bacillus subtilis로 밝혀져 B. subtilis HS25로 명명하였다. B. subtilis HS25 균주의 생육 및 항균물질 생산을 위하여 최적 배지조성은 soluble starch 1%, yeast extract 0.5%, peptone 0.5% 및 $MgCl_2{\cdot}6H_{2}O$ 0.05%이었으며, 최적 배양온도는 $25{\sim}45^{\circ}C$, 초기 pH는 $6.5{\sim}9.5$, 최적 교반속도는 $160{\sim}200$ rpm이었고, 항균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나는 배양 시간 범위는 $12{\sim}36$시간째였다.

더덕 분말 첨가량을 달리한 고추장의 효소력 변화 및 관능적 특성 (Changes in Enzyme Activ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Kochujang with Different Ratios of Added Deoduk (Codonopsis lanceolata) Root Powder)

  • 성정민;김옥선;류혜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8호
    • /
    • pp.1150-1156
    • /
    • 2011
  • 본 연구는 맛과 기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더덕 분말 첨가량을 달리하여 고추장을 제조하여 숙성 중 효소활성의 변화 및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더덕분말 함량은 1%, 3%와 5%로 달리 첨가하여 30$^{\circ}C$에 보관하면서 2주 간격으로 pH, 미생물, 유리당, 효소활성 및 관능 등의 품질을 평가하였다. 초기 pH는 더덕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낮았으며 저장기간 동안 감소하였다. 총균수는 저장기간 동안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효모 및 곰팡이균은 증가하였다. 대조구와 1% 첨가구의 효모 및 곰팡이균수는 저장 6주째 5 log scale에 도달한 반면 3%, 5% 첨가구는 저장 8주째에 같은 수준에 도달하였다. 전분분해 효소인 amylase는 저장 4주째 활성이 가장 높았으며 glucose와 fructose 함량도 4주째 가장 높게 나타났다. 유리당 함량 결과 glucose와 fructose가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glucose 함량은 저장 2주째 급격하게 증가하였고 4주째 최고치에 달했으며 대조구에 비해 더덕분말 첨가 고추장의 유리당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관능평가 결과 맛 및 종합적인 기호도는 1, 3%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첨가구들 가운데 1% 첨가구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통 메주로부터 분리한 Bacillus subtilis PCA 20-3 유래의 Protease 생산과 특성 (Characteristics of Protease Produced by Bacillus subtilis PCA 20-3 isolated from Korean Traditional Meju)

  • 임성일;김현규;유진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54-160
    • /
    • 2000
  • 한국 전통 메주로부터 분리 동정한 Bacillus subtilis PCA20-3이 생산하는 protease의 생산조건과 특성을 조사하였다. Protease의 생산 최적조건을 0.2% soytone, 2% starch, 0.1% $(NH_4)_2SO_4,\;0.2%\;CaCl_2,\;0.01%\;yeast\;extract,\;0.1%\;K_2HPO_4,\;0.1%\;KH_2PO_4$, pH 7.0, 30에서 20시간이었다. 효소의 최적작용 pH와 온도는 6.0-11.0, $55^{\circ}C$였고 pH $6.0{\sim}11.0$의 범위와 $50^{\circ}C$이하에서 안정하였다. 금속이온중 $Fe^{(2+)}$$Cu^{(2+)}$에 의해 효소활성이 저해되었다. 2mM의 phenymethanesulfonyl fluoride에 의해 89.2%의 활성이 저하되어, 활성 serine을 가진 serine protease임이 시사되었다. 조효소액의 Km값은 $5.0{\times}10^{(-4)}M,\;V_(max)$값은 $100\;{\mu}g/min$이었으며 bovine serum albumin, isolated soybean protein 보다 casein에 대해 초기 가수분해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