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ditional wedding foods.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3초

부산.경남지역 주부들의 혼례음식에 대한 인식과 전망 (A Study on Cognition and Prospect of Wedding Food among Housewives in Busan and Kyungnam Area)

  • 김경묘;신애숙;김경자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517-527
    • /
    • 2002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ttitude toward and practices of the wedding foods among housewives. Data were collected from 525 housewives living in areas of Busan and Kyungnam and analyzed by bivariate analyses. Most of the respondents were from Busan metropolitan area (77.9%) and in the age of thirties and forties (66.3%). About the occupation, 43.5% of them were full-time housekeepers and 34.7% were workers. The highest proportion was found in those completed the high school (49.3%), those with a monthly family income of a million won (44.2%), and those from the nuclear family type (66.9%). For the attitude toward the continuity of wedding foods, most respondents (52.1%) had an opinion that the practice of serving the traditional wedding foods should be disappeared in a near future. The respondents had a general attitude that procedures of wedding ceremony including wedding foods should be changed to reflect the degree of modernization. Also, they showed an attitude that one of the wedding ceremonial procedure, Pebaek had to reflect the current custom. The kinds and the volume of wedding foods should be lessened so that the ceremonial procedure should be brief which included only the basic one. Most of the respondents preferred the basic one to the luxurious one. These attitudes toward and practices of wedding foods varied depending o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 PDF

부산.경남 지역 주부들의 전통혼례음식 인식 정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Housewives' Perception Level on Wedding Food in Busan & Kyungnam Area)

  • 김경묘;조용범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36-152
    • /
    • 200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urvey the degree of the perception and necessity of wedding food prepared by housewives. The participants of the survey were 331 housewives lived in Busan and Kyungnam area. The findings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housewives lived in Busan and Kyungnam area had evaluated the necessity of wedding foods, Paebaek foods or Yedan foods. The respondents of 36.6% answered that they will order wedding foods from specialists, whereas 28.7% said that they will prepare them by themselves. More than half of the respondents(56.2%) thought that current wedding foods were prodigal and have to be done in thrifty manner. Broadly 46.8% of the respondents considered that the ritual practices of wedding foods will decrease steadily. A conclusion was that lots of participants had a negative view of wedding foods and pointed out the necessity of developing them to reflect traditional wedding customs with economic costs.

  • PDF

한국 전통음식 통합검색 시스템 구축을 위한 통과의례음식 연구 (A Study on the Traditional Korean Rites Foods for the Construction of a Traditional Korean Food Data Integration System)

  • 신승미;손정우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44-354
    • /
    • 2008
  • The traditional ritual foods of Korea have developed with for many years, and differ by locality, family customs and religious characteristics. In an efforts to establish the database on that addresses the difficult issue of a classification system for traditional Korean foods, we have conducted a survey of a traditional Korean ritual foods. In the database, typical 10 rites are represented, covering birth to death, these are birth, the hundredth day after birth, the first birthday, the commemoration of finishing books(graduation), the coming of age ceremony, marriage, the birthday feast for an old man, the 60th wedding anniversary, the funeral, and the memorial service. For each rite, the appropriate traditional Korean foods are classified into 6 categories-main dishes, side dishes, tteok lyou, hangwa lyou, eumchung lyou and the others. Some of these have varied considerably with the passage of time, and some have since disappeared. This database provides a basis for generational transmission, preservation and development of traditional Korean ritual foods as one of the components traditional Korean culture.

소설 "혼불" 속 전통음식의 문화적 이해 - 통과의례음식을 중심으로 - (Cultural Characteristics of Korean Food in the Novel "Hon-bool" - Focused on 'rites of passage' Foods -)

  • 정혜경;우나리야;김미혜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16-427
    • /
    • 2010
  •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elucidate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Korean food based on a traditional understanding on the Korean novel. To achieve this, food characteristics related to 'rites of passage' were analyzed in the representative Korean literary work "Hon-bool", which describes the life of a first-son's wife every three generations in the going to ruin but historic 'Lee's family of Maean district' family and the life of the common 'Geomeong-gul' people who lived with farming on the Lee's land at Namwon of Junbook province in the 1930~1940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Every nation possesses rites of passage at important points in life, such as at birth, age of majority, wedding and death. Korean culture, in particular, has several memorial rites relating to birth, death and passage into the afterlife in which special foods are prepared. In this manner, ceremonial foods represent the Korean peoples' traditional vision of the universe and life. The book "Hon-bool" describes these traditions. Especially, the book describes the table-settings related to the main character's childbirth, first birthday, wedding and death. Therefore "Hon-bool" represents a living history of Korean traditional food and the work of storytelling through the traditional understanding is expected that perform an important role in making of cultural contents of Korean foods.

중년주부 가정의 전통음식 이용에 관한 연구 - 경기.인천 지역을 중심으로 - (A Study on Korean Traditional Food Use Patterns in Households of Middle Aged Women living in Kyunggido and Incheon Area)

  • 강업순;천종희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461-474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atterns of Korean traditional food use in the households of middle aged women living in Kyunggido and Incheon area Four hundred eighty seven housewives whose children were in middle school answered the questionnaire about Korean traditional food use patterns in ordinary days, national festive days and in private celebration or memorial days. Most households have used Korean traditional table setting called Bansang as daily meals(96.7%) and have used home-made Kimchi(97.3%). However, the use of home-made Jang such as soy sauce, soybean paste and red pepper soybean paste was not very high(64.3%). Most households have celebrated New Years day(99.6%) with Ddukguk and Manduguk, Chusuk(95.1%) with Songpyun, and fruits, Full-Moon day(95.1%) with Ogokbap, Namul and Brum. Dongji was celebrated with Patjug by 73.3% of households. However, Samjitnal and Danho were celebrated with Whajeon and Ssukjulpyun by only 18.9% and 43.8% of the households respectively. The households using Korean traditional food to celebrate the birthday, the 1st birthday of child, the wedding or to memorize the passing day of ancestors were 96.0%, 80.7%, 81.3% and 86.7% respectively. Compared to households of urban and nuclear family, households of rural and extended family tended to use significantly more Korean traditional foods in many occasions and showed significantly higher rate of using home-made Kimchi and Jang.

  • PDF

남녀 대학생의 행사식에 대한 인식과 계승의지에 관한 조사연구 (A Study of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and Willingness to Pass on Dietary Practices of Special Foods on Special Events to the Next Generation)

  • 한재숙;김경아;김기선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417-429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university students' eating habits during special occasions and the willingness to pass on traditions of cooking certain dishes on special occasions to the next generation. The procedure of this study included a questionnaire to collect data for this study.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ellows: there were 689 participants. 314 male and 375 female. Most participants were nuclear families(84.5%), Practicing cooking traditions during the special occasions at home on New year's day. Chusuk, Ceremony of a forefather's death, the 15th of the first month. and Winter solstice exceeded 70% of households. In every event, most persons who make the food during the special events at home are mothers. Furthermore, most persons who teach the cooking method are mothers. too. Most foods which were taken In the annual events generally were as fellows : rice cake soup on New Year's Day. boiled rice admixed with four other staple cereals on the 15th of the first month, half-moon-shaped rice cake on Chusuk. a rice-and-mugwort cake on Buddha's birthday, rice and adzuki-bean on the winter solstice and cake on Christmas and wedding anniversary. The results of the survey of perception of food traditions during the special events was as follows ; ‘annual events helped peoples to make relationships with family and relatives deeper’ showed the highest agreement. The willingness to pass on traditional foods for the special days showed the highest agreement on New Year's Day and Chusuk, followed by Ceremony of a forefather's death. the 15th of the first month, and finally the winter solstice.

  • PDF

한국 전통 폐백음식에 대한 인식과 전망 (II)-대구지역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Prospect for Korean Traditional Pyebaeck Foods in Daegu Area(II))

  • 한재숙;이연정;이수영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353-361
    • /
    • 2003
  • 본 연구는 우리 고유의 전통음식인 폐백음식이 더욱 더 계승$.$발전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대구지역 주부를 대상으로 하여 폐백음식의 조리법에 대한 인식과 전망에 대하여 조사한 것으로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폐백음식을 본 경험은 “있다”가 94.2% 이었고, 본 장소로는 “예식장”이 62.5%로 가장 많았으며 폐백음식을 장만하는 이유로는 “옛날부터 전해 내려온 전통이라서”가 44.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폐백음식을 가정에서 직접 만들어 본 경험은 “있다”가 51.0%, “없다”가 49.0%이었고, 반면에 폐백음식 전문점에서 구입한 경험은 “있다”가 59.5%, “없다”가 40.5%로 나타났다. 폐백음식을 가정에서 직접 만드는 이유로는“정성이 많이 들어가므로”가 48.8%로 가장 많았고, 반면에 전문점에서 구입하는 이유로는 “편리하므로”가 38.7%로 가장 높았다. 2. 폐백음식의 조리법에 대한 견해는 “복잡하다”가 79.8%로 가장 많았고 폐백음식 조리방법에 대해 아는 정도는 5점 만점에 2.80점으로 대부분의 주부들이 폐백음식의 조리방법을 잘 모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리법의 전수자는 “친정어머니”가 31.3%로 가장 많았다. 3. 폐백음식에 대한 전망은 “일부분만 전해질 것이다”가 43.3%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고 폐백음식을 계승$.$발전시키기 위한 방안으로는 “현대인의 감각에 맞는 다양한 폐백음식 개발”이 31.5%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폐백음식의 산업화 방안으로는 “폐백음식의 우수성에 대한 홍보와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가 30.4%로 가장 많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폐백음식의 조리법에 대한 낮은 인식을 극복하고 더욱 계승$.$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조리법에 대한 산$.$$.$연 합동의 꾸준한 연구와 교육, 대중홍보 등을 통해 주변에서 많이 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여겨지며 나아가 폐백음식 전문점의 확충과 전문가 활성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또한 전통성과 현대화가 부합되는 조리법을 발굴해 시대에 맞는 폐백음식의 조리법을 개선$.$보완해 나간다면 우리의 아름다운 폐백음식 문화의 전승은 계속 이어질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한국의례음식과 상차림에 관한 인식과 실행(재미 한인 주부를 중심으로) (The Knowledge of Korean Ceremony Foods and Table Setting of Korea]1 American Housewives in the New York/New Jersey area)

  • 심영자;김정선;전희정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46-157
    • /
    • 1999
  • 본 연구는 뉴욕 뉴저지 주에 살고 있는 재미한인 주부들을 대상으로 하여 우리 나라 의례음식과 상차림에 대한 의식과 실행을 알아보아 미국생활에서의 한국전통음식문화를 얼마만큼 보전 계승하고 있는지 조사하였다. 1. 의례음식과 상차림의 중요성은 응답자의 57.9%가 중요하다고 생각했고, 의례음식과 상차림을 알게 된 경위는 49.8% 친정어머니, 24.7%가 시어머니한테 배웠다고 응답하였다. 2. 의례음식과 명절차례상차림에 대한 견해는 응답자의 78%가 간소화되어야 한다고 생각했으며 의례음식이 계승발전하기 위하여 중점을 두어야 할 교육은 50.6% 가정교육, 27.3% 대중홍보교육으로 가정교육을 가장 강조하였다 3. 재미 한인 주부들이 가장 잘 알고 있는 상차림은 생일상차림(66.8%), 돌상차림 (43.5%), 백일상차림 (42.4%), 설날과 추석의 차례상차림(52.8%)으로 나타났고, 장국상 차림(21.0%), 주안상차림(23.6%), 혼례시 폐백상차림 (21.4%), 제사상차림(29.2%)으로 나타났으며, 반상차림, 죽상차림, 교자상차림, 회갑상차림은 잘 아는 정도가 17% 미만이었다. 4. 자녀의 돌상차림에 관한 견해는 응답자의 60%가 평소보다 음식을 더 준비하여 가족과 함께 축하해 주었고, 38%는 전통적인 돌잡이 상을 차려 축하하였다. 자녀의 생일상차림은 응답자의 40%는 친구를 집으로 초대하여 생일 잔치해 주고, 37%는 간단하게 집에서 미역국 끓여먹고 선물해 준다고 하였다. 5. 어른들의 생신상차림은 49%가 친척 친지를 초대하여 식사를 대접하여 축하해 드리고, 38%는 집에서 가족끼리 축하해 드린다고 응답했으며, 부모님의 회갑상차림은 41.3%가 친척 친지와 연회장에서 축하해 드리고, 26.6%가 전통적인 큰상차림으로 친척 친지와 함께 가정에서 축하해 드린다하였다. 6. 결혼식의 폐백음식은 50.9%가 폐백을 준비해주는 집에 맡긴다고 하였고, 30.3%는 일부는 집에서 만들고 일부는 맡긴다고 했으며, 14%만이 전통적인 폐백음식을 집에서 준비한다고 하였다. 결혼식 때의 손님접대 음식 준비에 관한 견해는 66.4%는 연회장에서 대접한다, 29.9%는 집에서 음식을 준비하고 연회장에서 대접한다고 조사된 것으로 보아 결혼음식 준비방식이 상업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7 제사상차림에 관한 견해는 40.2%가 전통적인 상차림으로 제사를 지내고 32.5%가 교회 식으로 지내며, 설날과 추석의 차례상차림에 관한 견해는 41.7%는 전통적인 상차림을 하고 31.7%는 조상 님들이 평소에 좋아하시던 음식을 간단하게 마련하여 지낸다고 했으며, 24.7%는 교회 식으로 지낸다고 응답한 것으로 보아 이들 음식은 집에서 전통적으로 차리는 주부가 많았음을 알 수 있었다. 재미한인 주부들의 우리 나라 의례음식과 상차림에 대한 중요성에 대한 인식은 비교적 높은 편이나 알고 있으며 행하는 정도는 몇몇 상차림을 제외하고는 많은 상차림에 대하여 낮았음을 볼 수 있었다. 집안의 여러 가지 풍속과 생활습관, 음식솜씨들을 친정어머니와 시어머니를 통하여 물려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는데 이러한 맥락에서 다양한 문화와 함께 살고 있는 재미 2세들의 한국 전통음식문화의 계승은 어려움이 많으리라 사료된다. 주부 자신들의 전통음식에 대한 진정한 이해와 함께 우리음식의 뿌리를 내리고 외국음식과 조화를 이루어 나가도록 하는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그러므로 또한 재미한인 사회에서의 한국전통음식에 대한 홍보, 교육 강화와 함께 재미교포들 모두 관심과 실행이 촉구되어져야 하겠다.

  • PDF

서울지역 주부들의 혼례음식에 대한 인지도 조사 (A Study of Recognition of Housewives on Wedding Food in Seoul Area)

  • 이미영;윤숙자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569-577
    • /
    • 2002
  • 본 연구는 서울 지역의 주부를 대상으로 하여 혼례음식(폐백과 이바지 음식)의 인식상황과 실태를 파악함으로써 혼례음식 발전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폐백음식의 인식에 대해서는 '결혼 후 시댁에 인사를 드리는 것'이라는 응답이 55.2%, '옛날부터 내려오는 하나의 풍습'이 35.8%로 나타나 상당히 정확하게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폐백음식에 대한 중요도 인식수준은 전체 응답자의 10.2%가 '매우 중요하다'라고 응답하였으며, '중요하다' 48.5%, '중요하지 않다'는 11.9%로 나타나 폐백음식의 중요성에 대하여 공감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특히 주부의 연령별로 20대 집단에서 30대 이상의 집단에 비해 '중요하지 않다'는 응답율이 높게 나타났다(p<0.05). 둘째, 폐백음식 준비방법으로는 '가정에서 직접마련'한다와 '시장이나 떡집에서 마련'하겠다는 응답이 비슷한 비율을 보였으며, 연령별 교육수준별(p<0.05)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폐백음식 장만시 드는 비용으로는 '30-50만원'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50%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10-30만원'29%>'50-100만원'18%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선호하는 폐백음식으로는 '밤 대추고임'을 준비한다는 의견이 77.5%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떡류'>'육포'>'술'>'한과'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이바지음식에 대한 의미로는 48.2%가 '신부측에서 마련한 음식을 시댁에 보내는것'이라고 응답하였으며, 이바지 음식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반드시 준비해야한다'라는 의견이 15.5%, '형편에 맞추어 준비한다'는 78.7%, '준비할 필요가 없다'5.8%로 나타나 전반적으로 이바지 음식의 필요성에대해서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취업주부가 '필요하다'라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고, 종교적으로도 불교를 믿는 주부보다 기독교를 믿는 주부들에게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1). 다섯 번째, 혼례음식의 개선점으로 메뉴의 간소화> 가격을 저렴하게 하는 문제> 폐백음식 선택의 다양화 순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 40대 주부집단에서 '메뉴의 간소화' 응답율이 높게 나타났다(p<0.01). 이상의 같은 연구 결과로 보아 우리나라의 모범이 되는 혼례음식의 계승을 위해서 꾸준한 노력과 관심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과거와 다른 신식혼례를 치르면서도 폐백을 드리고 이바지 음식 보내는 풍습은 계속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혼례 풍습은 계속 이어질 것이기에 혼례음식이 가지고 있는 기복과 주술적인 의미를 되살리면서 저렴한 가격으로 누구나 손쉽게 장만할 수 있는 간편한 방법이 모색되어 전통을 살리면서 모범이 되는 혼례음식문화를 계승 발전시켜 나가야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