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ditional soybean paste(doenjang)

Search Result 69,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미생물 급원을 달리한 숙성 된장의 질소성분과 아미노산 조성 (Compositions of Nitrogen Compound and Amino Acid in Soybean Paste(Doenjang) Prepared with Different Microbial Sources)

  • 박정숙;이명렬;김정수;이택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609-615
    • /
    • 1994
  • Aspergillus oryzae, Bacillus natto균주와 재래식 메주를 사용하여 담금한 재래식 된장, 고오지 된장, 나토 된장, 고오지와 나토의 혼용된장의 질소성분과 아미노산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아미노산성 질소는 숙성 90일에 $271{\sim}868\;mg/100g$으로 최대치를 보였으며 시험된 장별 함량은 고오지 된장, 재래식 된장, 고오지-나토 된장, 나토 된장의 순으로 높았다. 총 아미산은 Glutamic acid, Aspartic acid가 양적으로 많았고 함량은 고오지 된장에서 높았으나 시험 된장간의 함량 차이는 크지 않았다. 유리 아미노산은 시험된장에 따라서 다소 차이는 있지만 Glutamic acid, Tyrosine, lysine Aspartic acid 등이 비교적 많이 검출 되었다. 90일 유리 아미노산 총량은 고오지 된장이 3,339.5 mg/100g로 가장 높았고, 다음이 재래식 된장, 고오지-나토 된장, 나토 된장의 순이었다. 총 아미노산에 대한 유리 아미노산의 비율은 45일에는 $3.3{\sim}19.8%$였으나 90일에는 $10.98{\sim}25.1%$로 증가 되었고 90일의 총 아미노산에 대한 유리 아미노산의 비율은 재래식 된장, 고오지 된장 고오지-나토 된장, 나토 된장의 순으로 높았다. Methionine, Histidine 등은 총 아미노산에 대한 유리 아미노산의 비율이 높으나 Glutamic acid, Aspartic acid 등은 낮았다. 본 실험의 결과로 볼 때 유리 아미노산 및 총 아미노산에 대한 유리 아미노산의 비율이 높은 재래식이나 고오지 된장이 된장 숙성에 유리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제조 원료를 달리한 된장의 숙성중 당과 지방산 조성의 변화 (Compositions of Sugars and Fatty Acids in Soybean Paste (Doenjang) Prepared with Different Microbial Sources)

  • 박정숙;이명렬;이택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917-924
    • /
    • 1995
  • 재리식 메주, 고오지, 나토 메주, 고오지와 나토의 혼용 메주로 담금한 된장의 일반성분 유리당 및 지방산 조성은 다음과 같다. 조단백질은 10.3~14.6%로 재래식 메주 사용의 된장과 나토된장이 높았고 고오지 된장이 낮았다. 수분은 46.9~54.5% 범위로 숙성과정 중 다소 증가하였고 나토된장이 많았다. 에틸알코올은 숙성 75일 까지는 고오지와 나토의 혼용 된장에서 높았으나 숙성 90일에 고오지 된장이 2.8%로 최대치를 보였다.총당과 환원당은 숙성기간의 경과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이들 당 함량은 고오지 된장, 고오지와 나토의 혼용된장, 재래식 메주사용의 된장, 나토된장의 순으로 높았다. 된장의 유리당으로 glucose, galactose, mannose, arabinose가 동정되었으며 이중 glucose, galactose가 타유리당 보다 많았다. 숙성 90일 후에는 glucose나 총 유리당 함량은 재래식 메주로 담근 된장에서 높았고, galactose는 고오지 된장에서 높았다. 된장의지방산으로 palmitic, stearic, oleic, linoleic, linolenic, arachidonic acid가 분리되었고, 이 중 oleic acid가 38.5~46.9%로 시험된장 모두에서 많은 비율로 나타났다. 그러나 숙성기간이나 시험구에 따른 지방산 조성 비율은 뚜렸한 차이가 없었다.

  • PDF

혼합콩이 전통된장의 숙성 중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ixed Soybeans Materials on Qulity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Soybean Paste(Doenjang) during Aging)

  • 김귀영;문혜경;이수원;문재남;윤원중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14-322
    • /
    • 2010
  • The effects of five colored soybean (blue, red, yellow, white, and black) varieties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ybean paste (Doenjang) were investigated for proximate composition, salt content, pH, color, organic acid content, amino acid content, and mineral content after 80 days of aging. Soybean paste (Doenjang) samples were divided into TDS (traditional Doenjang prepared with soybean) and TDM (traditional Doenjang prepared with mixed soybeans, kidney bean, black soybean, kind of small bean, sword bean, green bean, red bean, at a radio of 1:1:1:1:1(w/w)). Moisture content was 49.66% for TDM and 49.52% for TDM. Protein and salt contents of the TDS sample were higher than those of TDM. The "L" values of the TDB sample increased the aging period was decreased. In contrast, the "L" and "$\alpha$" values of TDM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The main organic acids detected were malic acid > lactic acid > tartaric acid in the TDS and TDM samples. Glutamic acid contents were 2.83 g/100 g for the TDS sample and 2.15 g/100 g for the TDM. The levels of K, Mg, and Ca of the TDS sample were higher than those of TDM. No significant difference occurred between TDS and TDM regarding their quality characteristics after 80 days of aging. Further studies needed include sensory evaluation and functionality of soybean paste made from mixed soybean materials.

균주를 달리한 된장의 향기 성분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Soybean Paste(Doenjang) Prepared from Different Types of Strains)

  • 박정숙;이명렬;김경수;이택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55-260
    • /
    • 1994
  • 재래식 메주, 고오지, 나토 메주, 고오지-나토의 혼용 메주를 사용하여 90일 수성시킨 된장의 향기 성분은 다음과 같다. 된장의 향기 성분을 Headspace 방법으로 추출하여 GC-MS로 분석한 결과 36종이 검출되었는데 이중 알콜류 5종, 알데히드류 5종, 케톤류 8종, 유기산류 3종, 에스테르류 9종, 그 외 6종으로 확인되었다. 시험 된장별로는 재래식 된장에서 29종으로 가장 많았고, 고오지 된장과 고오지-나토 된장에서 각각 $26{\sim}24$종, 그리고 나토 된장에서 20종으로 가장 적었다. 관능기별 향기성분 조성비는 각 시험구에서 알콜 함량이 가장 많았으며 재래식 된장은 다른 시험된장 보다 카보닐 화합물, 에스테르 함량비가 높았고 고오지-나토된장에서는 이들의 조성비가 가장 낮았다. 된장의 향기 성분으로 아직까지 제시되지 않은 화합물인 3-ethoxy-1-propene, dihydro-2-methyl-3-furanone, 1-hydroxy-2-propanone, 1-(2-furanyl)ethanone, 2-acetyl-ethylhexanoate 등 5종이 확인되었다.

  • PDF

색상이 개선된 재래식 된장 개발 (Development of Traditional Doenjang Improved in Color)

  • 이시경;김남대;김현진;박종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400-406
    • /
    • 2002
  • 된장제품의 경우 갈변의 해결은 소비자의 불만을 해소시킬 수 있는 중요한 개선책으로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기호도에 맞는 색상의 재래식 된장을 개발하였다. 우리나라 장류 제조사에서 제조된 시판 재래식 된장의 이화학 성분 및 색도를 조사 분석하고 이를 위해 대두를 수침, 증숙, 냉각 및 쵸핑한 것에 분쇄시킨 재래식 메주를 다양한 비율로 배합하여 시료 된장을 제조한 후 $30^{\circ}C$에서 27일 동안 저장 보관하면서 발효기간에 따른 아미노태질소, pH, 색상을 분석하고 현재 시판 중인 재래식 된장제품과 비교 하였으며, 관능검사도 실시하였다. 재래식 메주와 증숙대두의 배합비를 달리하여 제조한 된장 처리구를 비교시, 재래식 메주만으로 처리시킨 처리구에서 아미노태질소함량이 가장 높았고 증숙대두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아미노태질소함량이 줄었다. 발효기간에 따른 pH변화는 모든 처리구에서 초기 알칼리성으로부터 약산성쪽으로 변화되었다. 재래식된장의 색상이 가장 많이 개선된 것은 재래식 메주와 증숙대두의 비가 1.0 : 4.0인 처리구였으며, 이를 시판 된장과 관능적 비교를 한 결과 색, 향 및 맛에서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어 기존제품과 비교하여서도 시장성이 있다고 판단되었다.

혼합콩으로 제조한 전통된장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Soybean Paste (Doenjang) Manufactured with Mixed Beans)

  • 윤원중;이수원;문혜경;문재남;김봉규;김분주;김귀영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75-384
    • /
    • 2011
  • 혼합콩을 이용하여 제조한 전통된장의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혼합콩을 이용하여 제조한 전통된장의 일반 성분 함량은 모두 전통 식품기준규격에 만족하는 값을 나타내었고, 염도는 12.30~13.20%의 범위를 나타냈으며, 혼합콩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염도의 함량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pH 값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색도는 L값 VSP2 $45.06{\pm}0.41$, a값 VSP3 $6.50{\pm}0.15$, b값 VSP2 $13.89{\pm}0.73$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유기산은 malic acid가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oxalic acid, citric acid, tartaric acid, succinic acid, lactic acid, acetic acid 등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성아미노산은 aspartic acid>leucin>lysine 순으로 함유되어 있었고, 유리아미노산은 proline>glutamic acid>arginine의 순으로 함유되어 있었다. 무기질은 Na, K, Ca, Mg 순으로 많이 함유되어 있고, Co, Cu, Zn은 미량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페놀화합물, DPPH 전자공여능은 전반적으로 혼합콩으로 만든 된장이 Control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평가 결과,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TDM2(soybean 1 : mixed beans 1)가 3.78로 가장 높은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현재 혼합콩으로 만든 전통된장에 관한 연구가 미흡하지만 지속적인 연구를 진행한다면 건강한 양질의 삶을 추구하는 현대인의 욕구 충족과 전통장류의 고급화와 기능성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Bacillus brevis 로 제조한 된장의 품질 (The Quality of Doenjang (Soybean Paste) Manufactured with Bacillus brevis)

  • 양성호;최명락;지원대;정영건;김종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980-985
    • /
    • 1994
  • We investigated the quality of soybean paste(Doenjang) fermented by BAcillus brevis.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 soybean paste fermented by Bacillus brevis had alkaline pH and yellow ochre color. Dextrinizing activity was about 98 D.P. unit from 5th to 25th day of fermentation at 3$0^{\circ}C$ and after that day somewhat decreased . Saccharifying activity was respectively 6.1, 7.2, 6.8, 6.4 S.P. unit on 5, 15, 25 and 35th day of fermentation. Protease activity suddenly increased after 15th day of fermentation and was 250, 275, 299 unit on15, 25, 35 th day of fermentation , respectively. The most abundant free amino acid was found to be glutamic acid (561.8mg%) in soybean paste fermented by Bacillus brevis. In case of free sugar and non-volatile organic acid, fructose and oxalic acid showed highest content of 10.25mg% on 25th day and 12.20mg% on 15th day. The contents of free amino acids, free sugars, organic acids in soybean paste fermented by B.brevis were most abundant after 25 days of fermentation and this results were similar to that of traditional soybean paste. The odor of soybean paste fermented by Bacillus brevis was improved to be a nice soybean paste odor on 25th day of fermentation. However, sensory evaluation value of the taste of it decreased after 10 th day of fermentation.

  • PDF

지역별 전통된장과 개량된장의 품질특성 (Analysis of Quality Characteristics of Regional Traditional and Commercial Soybean Pastes (Doenjang))

  • 박선영;김슬기;홍상필;임상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686-695
    • /
    • 2016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and commercial soybean pastes (Doenjang) for development of traditional soybean pastes. Methods: Proximate compositions, amino acid nitrogen contents, pH, acidity, salt contents, chromaticity, viable bacteria and inorganic substance contents of nineteen traditional and three commercial Doenjang were investigated. Results: Analysis of proximate compositions indicat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amples. In moisture content, D10 did not meet the standard of food codex. The contents of moisture, fat, protein and ash were slightly higher in traditional than commercial Doenjang. However, the carbohydrate content was 2-fold higher in commercial than traditional, and thus, the calories were also higher. The amino nitrogen content was lower in commercial than traditional Doenjang. pH, acidity and salt contents of Doenjang were pH 4.67-6.15, 1.53-3.29%, and 9.01-18.78%, respectively. pH and acidity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raditional and commercial Doenjang, however, salt cont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raditional than commercial Doenjang. In case of chromaticity, the averages of L, a, b values were higher in traditional Doenjang. In microbiological analysis, total bacteria counts were higher in traditional than commercial Doenjang. The number of Bacillus cereus in D12 and D19 exceeded the standard of food codex. Staphylococcus aureust was undetected in all samples. The number of fungi varied widely between samples, with no detection in five traditional and all commercial Doenjang. Results of inorganic substance analysis indicated that contents of inorganic substances in Doenjang were in order of Na, K, Mg and Ca. Overall, Na content was higher in traditional Doenjang. Contents of inorganic substances showed wide variations in traditional Doenjang. Conclusion: For the development of traditional Doenjang, quality standardization and ensuring safety are considered necessary.

국내에서 분리된 황국균을 활용한 된장 제조 및 특성 분석 (Manufacturing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Doenjang made with Aspergillus oryzae Strains Isolated in Korea)

  • 이록경;조한나;신미진;양진화;김은성;김형회;조성호;이지영;박영수;조용식;이정미;김현영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40-47
    • /
    • 2016
  • 국내 전통발효식품으로부터 protease 활성이 높은 Aspergillus oryzae SCF-6, SCF-37, 그리고 JJSF-1 균주를 선발하여 된장을 각각 제조하고 60일간 숙성하면서 품질을 비교 평가하였다. 60일 숙성 동안 수분 염도 및 pH는 시료 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된장의 숙성지표가 되는 아미노산성 질소의 함량은 숙성 경과에 따라 증가하여 60일 숙성 후 SCF-6을 활용하여 제조한 된장이 971.6 mg%로 다른 시료보다 높았으며, 유리아미노산 함량도 상대적으로 높은 8,064.9 mg%이었다. SCF-6과 37로 제조한 된장은 60일 숙성 후 GABA 함량이 각각 61.3과 53.7 mg%로 측정되었다. 색도는 숙성 경과에 따라 명도와 황색도는 점차 감소한 반면 적색도는 점차 증가하였다. 아플라톡신은 모든 된장에서 불검출 되었고, 바이오제닉 아민 중 histamine 함량은 2.55-5.60 mg/kg 그리고 tyramine은 3.70-5.87 mg/kg으로 매우 낮게 측정되었다. 본 결과로 A. oryzae SCF-6은 장류 제조의 종균으로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Inhibitory effects of Doenjang,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soybean paste, on oxidative stress and inflammation in adipose tissue of mice fed a high-fat diet

  • Nam, Ye Rim;Won, Sae Bom;Chung, Young-Shin;Kwak, Chung Shil;Kwon, Young Hye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9권3호
    • /
    • pp.235-241
    • /
    • 2015
  • BACKGROUND/OBJECTIVES: Doenjang,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soybean paste has been reported to have an anti-obesity effect. Because adipose tissue is considered a major source of inflammatory signals, we investigated the protective effects of Doenjang and steamed soybean on oxidative stress and inflammation in adipose tissue of diet-induced obese mice. MATERIALS/METHODS: Male C57BL/6J mice were fed a low fat diet (LF), a high-fat diet (HF), or a high-fat containing Doenjang diet (DJ) or a high-fat containing steamed soybean diet (SS) for 11 weeks. RESULTS: Mice fed a DJ diet showed significantly lower body and adipose tissue weights than those in the HF group. Although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dipocyte size and number were observed among the HF diet-fed groups, consumption of Doenjang alleviated the incidence of crown-like structures in adipose tissue. Consistently, we observed significantly reduced mRNA levels of oxidative stress markers (heme oxygenase-1 and $p40^{phox}$), pro-inflammatory adipokines (tumor necrosis factor alpha and macrophage chemoattractant protein-1), macrophage markers (CD68 and CD11c), and a fibrosis marker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 1) by Doenjang consumption. Gene expression of anti-inflammatory adipokine, adiponectin was significantly induced in the DJ group and the SS group compared to the HF group. The anti-oxidative stress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bserved in mice fed an SS diet were not as effective as those in mice fed a DJ diet, suggesting that the bioactive compounds produced during fermentation and aging may be involved in the observed health-beneficial effects of Doenjang. CONCLUSIONS: Doenjang alleviated oxidative stress and restored the dysregulated expression of adipokine genes caused by excess adiposity. Therefore, Doenjang may ameliorate systemic inflammation and oxidative stress in obesity via inhibition of inflammatory signals of adipose tiss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