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ditional meju

검색결과 185건 처리시간 0.027초

숙성 기간에 따른 전통 간장의 맛 특성 변화(II) - 질소 화합물 분석 및 관능 특성 - (Changes in Tast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Korean Soy Sauce with Ripening Period - Analysis of Nitrogen Compound Content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

  • 주명숙;손경희;박현경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83-389
    • /
    • 199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analyze the changes in nitrogen containing taste compounds of traditional Korean soy sauce with varying Meju concentrations (Meju-water ratios of 1:4 and 1.3:4) and ripening periods (up to 2 years), and to investigate correlation between sensory characteristics and taste compound contents via contents assay and sensory evaluation of soy sauce samples. Nitrogen compound contents were higher in 1.3:4 than in 1:4 for all nitrogen compounds. Free amino acid contents were highest in soy sauce ripened for 210 days. Among amino acids, glutamic acid was highest concentration. Nucleotides and their related compound contents did not vary with concentrations and were highest in the sample ripened for 210 days. In direct sensory evaluation of soy sauce, overall taste preference showed positive correlation to sweet taste. Likewise, overall taste preference showed positive correlation to umami, nutty, sweet taste in the sensory evaluation of seaweed soup seasoned with soy sauce. Sensory evaluation score was higher in 1.3:4 than in 1:4.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assay of taste compound contents and sensory evaluations, nitrogen compounds (such as amino type nitrogen), amino acids (such as glutamic acid, aspartic acid, and lysine, and etc.), nucleotides (such as AMP, IMP, and etc)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soy sauce, and therefore we can conclude that these compounds affect the taste and quality of soy sauce.

  • PDF

Bioconversion of Ginsenosides from Red Ginseng Extract Using Candida allociferrii JNO301 Isolated from Meju

  • Lee, Sulhee;Lee, Yong-Hun;Park, Jung-Min;Bai, Dong-Hoon;Jang, Jae Kweon;Park, Young-Seo
    • Mycobiology
    • /
    • 제42권4호
    • /
    • pp.368-375
    • /
    • 2014
  • Red ginseng (Panax ginseng), a Korean traditional medicinal plant, contains a variety of ginsenosides as major functional components. It is necessary to remove sugar moieties from the major ginsenosides, which have a lower absorption rate into the intestine, to obtain the aglycone form. To screen for microorganisms showing bioconversion activity for ginsenosides from red ginseng, 50 yeast strains were isolated from Korean traditional meju (a starter culture made with soybean and wheat flour for the fermentation of soybean paste). Twenty strains in which a black zone formed around the colony on esculin-yeast malt agar plates were screened first, and among them 5 strains having high ${\beta}$-glucosidase activity on p-nitrophenyl-${\beta}$-D-glucopyranoside as a substrate were then selected. Strain JNO301 was finally chosen as a bioconverting strain in this study on the basis of its high bioconversion activity for red ginseng extract as determined by thin-layer chromatography (TLC) analysis. The selected bioconversion strain was identified as Candida allociferrii JNO301 based on the nucleotide sequence analysis of the 18S rRNA gene. The optimum temperature and pH for the cell growth were $20{\sim}30^{\circ}C$ and pH 5~8, respectively. TLC analysis confirmed that C. allociferrii JNO301 converted ginsenoside Rb1 into Rd and then into F2, Rb2 into compound O, Rc into compound Mc1, and Rf into Rh1. Quantitative analysis using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showed that bioconversion of red ginseng extract resulted in an increase of 2.73, 3.32, 33.87, 16, and 5.48 fold in the concentration of Rd, F2, compound O, compound Mc1, and Rh1, respectively.

균주를 달리한 된장의 발효기간에 따른 대두의 조직학적 변화에 관한 연구 (Histological Changes of Doenjang during the Fermentation with Different Strains)

  • 박정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477-481
    • /
    • 1992
  • 품질이 좋은 된장을 제조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재래식 된장과 Aspergillus oryzae와 Bacillus natto를 혼합한 된장을 제조해서 발효기간에 따른 대두조직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가압, 가열처리에 의하여 세포벽이 붕괴되거나 ghost 상태를 보였고 표피부와 내부의 세포질은 원형질 분리가 현저한 차이가 있으며 protease에 의한 당단백 구상체의 융합과 amylase에 의하여 전분이 분해되어 작은 공포를 보였으며 발효에 의한 균침투 과정이 시일이 경과함에 따라 표피부에서 내부로 이행되어지며 Aspergillus oryzae와 Bacillus natto 혼합 된장의 표피부와 유세포에서 점질물이 보인다. 또한 발효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염색성이 나빠지고 세포벽이 다각형으로 되는데 재래식 보다는 Aspergillus oryzae와 Bacillus natto 혼합구가 현저하였다.

  • PDF

Bacillus subtilis B-4와 Aspergillus oryzae F-5로 제조한 코오지의 특성 비교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of Koji Manufactured with Bacillus subtilis B-4 and Aspergillus oryzae F-5)

  • 권동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873-878
    • /
    • 2002
  • 재래식 메주의 맛을 지닌 코오지의 산업화를 유도하기 위해 재래식 메주에서 분리한 세균과 곰팡이를 이용한 코오지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코오지 제조에 선정된 곰팡이와 세균은 재래식 메주에서 분리한 Bacillus subtilis B-4와 Aspergillus oryzae F-5로, B. subtilis B-4와 A. oryzae F-5는 amylase와 protease 등의 효소분비능이 우수한 것이었다. B. subtilis B-4와 A. oryzae F-5를 각각 코오지 제조에 이용한 결과 색깔은 B. subtilis B-4로 제조한 코오지가 A. oryzae F-5로 제조한 코오지에 비해 약간 어두운 편이었고, 효소분비능은 B. subtilis B-4로 제조한 코오지가 A. oryzae F-5로 제조한 코오지에 비해 우수한 편이었다. 제국이 끝난 코오지에 대한 맛, 향, 색깔 및 전반적인 기호도에 대한 관능검사에서는 B. subtilis B-4로 제조한 코오지가 A. oryzae F-5로 제조한 코오지에 비해 색깔을 제외한 모든 면에서 높은 점수를 얻고 있었다. 수분활성도가 제국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수분활성도를 조절하여 제조한 코오지가 색도, 효소분비능, 생균수 및 관능검사에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전통 메주 유래의 Rhizopus stolonifer, Rhizopus oryzae 및 Absidia corymbifera가 생성하는 Protease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Protease Produced by Rhizopus stolonifer, Rhizopus oryzae and Absidia corymbifera from Korean Traditional Meju)

  • 임성일;곽은정;최신양;유진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11-215
    • /
    • 2002
  • 전통 메주의 산업화를 위해서는 먼저 제조공정이 확립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적합한 종균이 개발되어야 한다. 재래식 메주로부터 Rhizopus stolonifer, Rhizopus oryzae 및 Absidia corymbifera를 분리하여 균주 유래 protease의 특성을 조사하여 장류산업에 있어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한다. 세 균주를 각각 배양한 밀기울 배지에서의 protease 최적 생산조건은 모두 3$0^{\circ}C$, 4일간이었으며 초기 pH에 의한 영향은 없었다. 3$0^{\circ}C$에서 4일간 각 균주를 배양하고 증류수로 조효소액을 추출하여 효소작용을 위한 최적 pH와 온도를 조사한 결과, 각각 pH 6.0, 5$0^{\circ}C$였고 pH 4.0~7.0의 범위인 약산성 영역과 4$0^{\circ}C$이하에서 안정하였다. 된장의 염도 범위를 고려해서 16% 이내의 영도에 의한 영향을 조사한 결과, 염농도는 효소활성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Rhizopus stolonifer, Rhizopus oryzae 및 Absidia corymbifera로부터 유래된 각 효소액의 Hammastein casein 기질에 대한 결합력과 가수분해속도를 비교한 결과 $K_{m}$ 은 각각 3.3$\times$$10^{-4}$ , 0.75$\times$$10^{-4}$ , 1.3$\times$$10^{-4}$ 로 상호간에 큰 차이가 없었으며, $V_{max}$도 17.2$\mu\textrm{g}$/min, 9.4 $\mu\textrm{g}$/min, 7.8 $\mu\textrm{g}$/min으로 유사하였다.

전통 메주로부터 분리한 Bacillus subtilis PCA 20-3 유래의 Protease 생산과 특성 (Characteristics of Protease Produced by Bacillus subtilis PCA 20-3 isolated from Korean Traditional Meju)

  • 임성일;김현규;유진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54-160
    • /
    • 2000
  • 한국 전통 메주로부터 분리 동정한 Bacillus subtilis PCA20-3이 생산하는 protease의 생산조건과 특성을 조사하였다. Protease의 생산 최적조건을 0.2% soytone, 2% starch, 0.1% $(NH_4)_2SO_4,\;0.2%\;CaCl_2,\;0.01%\;yeast\;extract,\;0.1%\;K_2HPO_4,\;0.1%\;KH_2PO_4$, pH 7.0, 30에서 20시간이었다. 효소의 최적작용 pH와 온도는 6.0-11.0, $55^{\circ}C$였고 pH $6.0{\sim}11.0$의 범위와 $50^{\circ}C$이하에서 안정하였다. 금속이온중 $Fe^{(2+)}$$Cu^{(2+)}$에 의해 효소활성이 저해되었다. 2mM의 phenymethanesulfonyl fluoride에 의해 89.2%의 활성이 저하되어, 활성 serine을 가진 serine protease임이 시사되었다. 조효소액의 Km값은 $5.0{\times}10^{(-4)}M,\;V_(max)$값은 $100\;{\mu}g/min$이었으며 bovine serum albumin, isolated soybean protein 보다 casein에 대해 초기 가수분해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한국 전통 메주 유래의 Aspergillus wentti가 생성하는 Protease 의 정제 및 특성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rotease Produced by Aspergillus wentti Isolated from Korean Traditional Meju)

  • 임성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61-167
    • /
    • 2000
  • 한국의 재래식메주로부터 분리 동정한 Aspergillus wentti가 생산하는 protease를 정제하고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기본배지[밀기울 :1% glucose 함유$H_2O=1:1\;(w/v)]$에서의 효소생산 최적조건은 pH 9.0, $30^{\circ}C$, 4일 이었다. 효소의 정제는 먼저 배양 밀기울로부터 20mM phosphate(pH 8.0)로 효소를 추출하고 QAE-Sephadex와 SP-Sephadex의 ion exchange chromatography로 비흡착성 활성단백질을 분리한 후 두차례의 Sephadex G-100 gel filtration로서 분자량 약 32,000(SDS-PAGE분석 : 단일밴드)의 비활성도 213unit/mg, 정제배수 27.3배로 효소를 정제하였다. 본 효소의 $K_m$값은 $3.049{\times}10^{(-4)}M,\;V_(max)$값은 $151.1\;{\mu}g/min$이었으며 ISP, hemoglobin, bovine albumin 보다 casein에 대해 가수분해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제효소의 최적작용 pH와 온도는 pH 9.0, $50^{\circ}C$였으며 pH $4.0{\sim}11.0$의 범위와 $40^{\circ}C$이하에서 안정하였으며 효소활성은 금속이온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고 2mM의 phenylmetanesulfonyl fluoride에 의해 86% 실활되었다. 이 결과로부터 본 효소는 효소 활성부위가 serine의 OH기인 serine protease인 것으로 밝혀졌다.

  • PDF

된장의 혈전용해효소 활성과 미생물 분포와의 상관관계 (A Correlation Between Fibrinolytic Activity and Microflora in Korean Fermented Soybean Products)

  • 김동호;송현파;김기연;김정옥;변명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41-46
    • /
    • 2004
  • 전통된장과 공장산 된장 제품, 메주와 Koji, 그리고 된장발효공정에서의 혈전용해효소 활성과 microflora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전통된장의 혈전용해 활성은 평균 2.42 unit/g으로 공장산 된장의 평균 1.58 unit/g보다 1 unit 이상 높은 분포를 나타내었으며 전통된장에서는 Bacillus의 밀도가 높았고 acid producing bacteria, 곰팡이, 효모는 모두 공장산 된장에서 높은 밀도를 나타내었다. 된장의 Bacillus group 분포와 혈전용해효소활성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fungal group 분포와 혈전용해효소활성은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메주의 혈전용해 활성은 평균 6.54 unit/g수준으로 Koji의 1.46 unit/g보다 5 unit 이상 높은 분포를 나타내었으며 Bacillus의 서식밀도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된장 발효과정 중 Bacillus와 곰팡이는 휴지 상태를 유지하였으며 혈전용해효소 활성도 담금 초기의 수준을 유지하였다. 결과적으로 된장의 혈전용해활성은 된장 담금 이전의 원료구성에 따라 결정되며, 메주나 Koji에서 유래된 혈전용해 효소는 된장의 발효과정에서도 계속 활성을 유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실험 결과, 혈전용해효소 활성이 높은 된장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메주나 Koji의 제조공정에서 효소활성을 유도하여 된장 담금 시 첨가하는 공정의 설정이 유효할 것으로 제안하였다.

국산한약재 추출물을 이용한 전통 콩된장의 품질특성 (Quality Properties of Traditional Doenjang Supplemented with Extracts of Korean Herb Medicines.)

  • 박석규;정회정;김성희;권선화;이상원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553-559
    • /
    • 2004
  • 국산 한약재를 이용하여 식품학적 품질 및 기능성이 증진된 전통된장을 개발할 목적으로 여러 종류의 국산 한약재를I∼IV군으로 조합하여 121$^{\circ}C$에서 2시간 동안 추출물을 제조한 다음, 담금용 염수에 여러 농도로 첨가한 후 3개월 동안 자연발효시킨 한방 콩된장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한약재 첨가 된장의 일반성분 분석에서 대조구는 수분 61.9%, pH 5.50, 총산도 3.25 ml, 염도 12.6%를 나타내었으나 시험구는 수분 58.2% ∼61.9%, pH 5.32∼5.56, 총산도 3.07∼3.70 ml, 염도 11.7∼13.9%범위로 거의 비슷한 값을 나타내었으며, 환원당, 조단백, 조지방 및 아미노태 질소함량은 대조구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다. 지용성 갈변도는 대조구와 큰 차이가 없었지만, 수용성 갈변도는 I군과 II군은 III군과 IV군에서 매우 높은 경향이었다. 한약재 첨가 된장의 색도 측정에서 명도(L)는 대조구 된장(31.72)에 비하여 I군과 II군의 된장이 낮은 수치(24.32∼27.71)를 나타내어 된장의 색깔이 검은 색을 띄었다. 적색도(a)는 제 I군을 제외한 나머지 된장에서는 대조구보다 약간 낮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황색도(b)는 III군과 IV군의 경우 대조구 된장과 비슷하였으나 I군과 II군은 낮게 나타났다.

Questionnaire Survey of the Methods Used in Household Doenjang Production in Korea

  • Ryu, So Young;Lee, Sang Yoo;Woo, So Young;Kang, Seung Yoon;Song, Jeonghun;Jeong, A-Yeong;Chun, Hyang Sook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42-350
    • /
    • 2020
  • This study examined the methods used in household doenjang (Korean soybean paste) production. Nine hundred forty-three responses were obtained using a nationwide, questionnaire-based survey (2018-2019) with non-probabilistic snowballing sampling. Consistent with previous studies, the respondents were primarily over the age of 50 years (97.1%) and female (97.9%). In addition to soybeans, the most used ingredients were red pepper (85.8%) and charcoal (85.5%), which most respondents obtained through direct farming (50.4-59.9%). Seasonal production occurred later in the higher latitude regions (Gyeonggi-do, Gangwon-do, Chungcheong-do) (p < 0.01), which have lower average temperatures, and the fermentation period was shorter in the lower latitude regions (Jeolla-do, Gyeongsang-do, Jeju-do) (p < 0.01), which have higher average temperatures. There were no significant regional differences in the season when doenjang was made, with most production occurring during January and February (81.1%). Most respondents (71.3%) made doenjang using homemade meju (soybean block used as a starter) in a traditional way to allow the microorganisms to be naturally inoculated. These results could be used as a basis for future research on topics such as starter development, standardized production, and safety of household doenja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