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ditional Korean rice cake

검색결과 156건 처리시간 0.029초

축·수산·전통식품 중 황색포도상 구균의 정량적 분석을 위한 PetrifilmTM Staph Express Count Plate의 성능 평가 (Efficiency of PetrifilmTM Staph Express Count Plate for the Enumeration of Staphylococcus aureus in Meat, Fishery Product, and Korean Traditional Foods)

  • 유윤정;최유나;최승호;방현조;윤요한;하지명;이수민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309-315
    • /
    • 2019
  • 본 연구는 식품으로부터 S. aureus를 분리하는 데 사용되는 선택배지들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먼저 BPA와 MSEY agar의 민감도 비교를 통해 BPA를 선택하였고, 이 배지의 회수율을 $3M^{TM}$ $Petrifilm^{TM}$ Staph Express Count Plate(STX petrifilm)의 회수율과 비교하였다. 축산식품 중 돼지고기 주물럭과 육회용 꾸릿살, 수산식품 중 쥐포와 반건조 오징어, 전통식품 중 떡과 잡채를 선정하여 S. aureus를 접종한 후 BPA와 STX Petrifilm 배지를 사용하여 회수율 분석 실험을 실시하였다. 6가지 식품에 대해 인위적으로 S. aureus를 저농도에서부터 고농도까지 접종한 후 0시간과 24시간 후의 검출률을 측정하였다. 두 배지 간의 유의 수준을 분석한 결과 식품의 종류, 접종 농도에 관계없이 두 선택배지 간에 통계적 유의차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P>0.05). 따라서 STX Petrifilm은 BPA를 대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지의 준비 및 도말에 소요되는 분석시간을 절감하고 배양에도 최소한의 공간이 필요하게 되어 신속, 정확한 분석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커피음식 조화도에 영향을 미치는 맛 선호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Taste Preference on Harmony of Coffee Food)

  • 복혜자;진양호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58-77
    • /
    • 2011
  • 본 연구에서 커피 음식 조화도에 영향을 미치는 맛선호도를 알아보기 위해 커피음식조화도와 맛선호도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맛 커피음식 조화도에 영향을 미치는 맛선호도가 있는지 조사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커피음식 조화도에서 외국음식은 제과 제빵류에서 보통수준 또는 그 이상의 조화도가 있는 것으로 인식되었고, 커피믹스보다는 원두커피가 더 조화롭다고 인식하였고, 한국음식은 커피와의 조화도에서 보통수준 또는 그 이하의 조화도가 있다고 인식하였는데 이중 후식류인 떡류와 전통간식류, 한과류에서 상대적으로 조화도의 인식이 높았다. 맛 선호도와 커피 음식조화도와의 상관관계에서 외국음식은 단맛과 짠맛이 낮을수록 커피와 어울리는 것으로 신맛과 쓴맛, 매운맛, 담백한 맛은 선호도가 높을수록 어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커피음식조화도에 영향을 미치는 맛 선호도로 외국음식은 일부음식을 제외하고 전반적으로 단맛과 단백한 맛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한국음식은 일부를 제외하고 전반적으로 쓴맛과 단백한 맛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전통 유과의 제조방법 조사 연구 (Survey on traditional Yukwa(oil puffed rice cake) making method in Korea)

  • 신동화;최웅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243-248
    • /
    • 1993
  • 전남북, 경남북, 충남북, 강원도 지역에서 유과를 가정에서 만들어 먹는 사람을 대상으로 미리 만들어진 설문에 의하여 유과 제조방법을 조사한 결과 설문지 151건을 회수, 그 내용을 정리하였다. 유과용 원료는 절대 다수가 찹쌀(96.3%)을 기본으로 하였으며, 제조의 첫 단계로 수침시간은 조사자의 47.5%가 $2{\sim}5$일로서 근래 밝혀진 수침시간보다는 길었고, 지역에 따라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분쇄방법은 주로 떡방아간에서 가루내었고 가루를 반죽하는 데는 쌀가루와 물의 비율이 $2{\sim}4.5{\;}:{\;}1$로 상당히 되게 반죽하였다. 첨가물로는 설문 응답자의 1/3 이상이 술, 콩, 베이킹파우다를 넣고 있으며, 콩과 술을 넣는 빈도가 가장 높았고 전북지역에서 첨가물 종류가 많았다. 반죽의 찌는 시간은 김이 나오기 시작하여 $15{\sim}35$분이 32.3%이었고 충분히라는 경험적 방법(45.1%)이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꽈라치기는 반수 이상이 절구통을 이용하였고 나머지는 집에서 쉽게 구하는 용구를 사용하였다. 반데기의 두께는 $2{\sim}3mm$에 크기는 $10{\times}10{\sim}15cm$가 많았고 같은 두께에 크기만이 다른 경우가 다음이었고 호남쪽이 영남쪽보다 큰 경향이었다. 건조방법은 응답자의 82%가 아랫목에서 건조하고 건조 정도는 끊어서 바삭 부서질 정도(44%)로 경험에 의해서 건조 정도를 정하였다. 튀김기름은 77.5%가 대두유를 사용하였고 튀김 용기는 후라이팬(40.8%), 솥(24.5%)를 주로 사용하였다. 튀김매체는 식용 기름 외에 가열 모래(28건), 직화(5건), 가열 자갈(3건) 등이 이용되었고 전북과 경남지역에서 이런 사례가 많이 수집되었다. 집청은 주로 물엿(55.0%)과 조청(20.8%)을 사용하였고 매화(찰벼튀김), 밥풀튀김, 깨를 바르거나 잣, 참깨, 대추 및 밤과 같은 견과류, 곶감, 석이버섯 등으로 모양을 내고 있었다.

  • PDF

누에분말을 첨가한 절편의 영양성분 및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Julpyun added with Silkworm Powder)

  • 임영희;김애정;김명희;김미원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29-134
    • /
    • 2002
  • 쌀가루에 누에가루를 0, 3, 6, 9%로 섞어서 누에분말 절편을 제조하여 일반성분, 관능검사, 색상검사, 조직감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요약은 다음과 같다. 누에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수분, 조단백질, 조회분 모두가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관능검사 결과 색에서는 누에분말 6% 첨가한 절편이 가장 높은 선호도를 나타내었고 flavor는 누에 분말 3% 첨가한 절편이 가장 높은 선호도를 나타내었고 그 다음이 6% 첨가 절편이었으나 서로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또한 맛, 조직감, 전반적인 기호도는 모두 누에분말 3% 첨가한 절편이 높은 선호도를 나타내었다. 색도검사 결과 누에분말을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명도는 낮아졌고 적색도는 누에분말 6% 첨가한 절편이 가장 낮은 값을 보이긴 하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황색도는 누에분말 6% 첨가한 절편이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가 9% 첨가 절편에서는 다소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누에분말 3% 첨가한 절편과 비교하여 볼 때 현저히 증가된 값을 나타내었다. 조직감을 측정한 결과 경도는 누에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아졌고 응집성은 무첨가 절편이 114.9로 가장 높았으며 누에분말 3% 첨가한 절편이 104.9로 가장 낮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점성과 부서짐성은 누에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누에분말 3% 첨가한 절편이 각각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 PDF

올리고당 첨가가 백설기의 호화와 노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ligosaccharide Addition on Gelatinization and Retrogradation of Backsulgies)

  • 유지나;김영아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56-164
    • /
    • 2001
  • 올리고당 첨가가 백설기의 호화 및 노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사이클로덱스트린, 이소말토올리고당, 프럭토올리고당, 말토테트로오즈를 3%, 6%, 9%씩 각각 첨가하여 아밀로그래프 특성 검사, 호화도 검사, 경도 및 색도 측정, X선 결정성 검사와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싸이클로 덱스트린은 아밀로그래프 특성 검사에서 전분의 호화중진 및 노화 지연 효과를 보였고, 백설기에 첨가한 후 호화도 검사, 경도 측정, 결정성 검사에서 모두 노화 억제 효과를 나타냈다. 이소말토올리고당과 프럭토올리고당의 경우 아밀로그래프 특성에서는 전분의 노화억제 효과가 있었으나 백설기에 첨가한 후에는 호화도 검사와 경도 측정에서 노화억제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말토테트로오즈는 사이클로덱스트린보다는 효과가 크진 않지만 아밀로그래프 특성 검사, 경도측정, 결정성 검사에서 떡의 노화 억제 효과를 보였다. 그리고 이들 올리고당들을 첨가한 백설기의 관능적인 특성들은 무첨가군과 큰 유의차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백설기에 사이클로덱스트린 6% 첨가군과 말토테트로오즈 6% 첨가군에서 노화가 효과적으로 억제되었고, 무첨가군과 비교해서 관능적인 특성에서 큰 유의차가 없으므로 기호도를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백설기의 저장성 개선을 위한 방안으로 사이클로덱스트린 6% 첨가가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되며, 말토테트로오즈 6% 첨가도 좋은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펙틴, 알긴산가루를 첨가한 증편의 이화학적 특성과 저장 중 변화 (Change in Physicochemical and Storage Characteristics of Jeungpyun by Addition of Pectin and Alginate powder)

  • 박미자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1권6호통권90호
    • /
    • pp.782-793
    • /
    • 2005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2\%$ addition of pectin and alginate on the Physicochemical and retrogradation Properties of Jeungpyun, a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rice cake. The volume of batters with alginate and Pectin was significantly larger than that of control. Jeungpyun samples with Pectin and alginate had a larger volume with uniform and smaller cell size. All samples showed largest foaming capability after second fermentation. Foaming capability of the control ($0\%$ addition of pectin and alginate) was significantly larger than that of the treated samples. The amount of reducing sugar tended to increase during fermentation but decreased after steaming, which was due to the increase in hydrolysis of starch. On the contrary, the content of free sugar was slightly decreased during fermentation but slightly increased after steaming. The control contained the largest amount of free sugar after steaming. The microstructure of starch particles after fermentation showed completely dispersed starch granules with air bubbles. After steaming, the structure was sponge-like in all samples. Samples with added alginate and pectin had significantly higher water binding capacity than those of the control. All samples showed noticeably increased solubility and swelling power at $70^{circ}C$ with the control being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treated samples. Retrogradation was measured with $\alpha$-amylase and the retrogradation process of the sample with added alginate and pectin proceeded s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The relative crystallinity was observed through X-ray diffraction method and samples with added alginate and pectin had smaller crystallinity and delayed retrogradation compared to the control. Thus, Jeungpyun with the addition of alginate and Pectin demonstrated improved functionality and dietary fiber addition effect. The storage period of was extended as the retrogradation rate was delayed by the addition of dietary fibers.

잣가루가 석탄병(惜呑餠)의 기호도와 Texture에 미치는 영향 및 석탄병 제조법의 표준화에 관한 연구 (Studies in the Influence of Ground Pine Nuts on the Degree of the Taste and Texture of Seoktanbyung and in the Standardization of the Preparing Method of Seoktanbyung)

  • 이춘자;김귀영;박혜원;조후종;강인희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39-146
    • /
    • 1995
  • Seoktanbyung, a traditional rice cake, was named in old literature, since from old times its taste was so good that one was not able to eat it without much regret. To suggest its standard preparing method, we prepared it by 0%, 10%, 15%, and 20% of the moderate standard of ground pine nuts which had much influence on its own special soft texture. The result of the analysis was as follows: The water content of Seoktanbyung was $31.62{\sim}34.62%$. The degree of colour was L value: $48.17{\sim}56.88$, a value: $6.07{\sim}8.24$, and b value: $12.67{\sim}15.25$, and the higher the degree of the addition of ground pine nuts was, L value and a value were more or less decreased, but b value was increased. The measured result of texture was: as for hardness and gumminess, there was a significance (p<0.05) between Seoktanbyung with and without ground pine nuts, and as for cohesiveness, there was a significance (p<0.05) between Seoktanbyung added 20% of ground pine nuts and another material, but each material showed a similar value of measure. The result of sensory evaluation was: as for sweetness and flavor, there was no significance among material, so ground pine nuts had no influence on the sweetness and flavor of Seoktanbyung, and as for crumbness and chewiness, there was a significance between Seoktanbyung with and without ground pine nuts. The general degree of the taste was: Seoktanbyung added 20% of ground pine nuts was the highest among others.

  • PDF

고추장 발효 중 갈변 요인에 대한 분석 (Analysis of Browning Factors During Fermentation of Kochujang)

  • 김문숙;안용선;신동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1149-1157
    • /
    • 2000
  • 고추장 변색 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전통적인 방법으로 떡고추장과 식혜고추장을 만들고 가열처리, 포장중 질소치환 및 U.V 조사여부에 따른 변화를 관찰하였다. 각 고추장의 색도 변화는 일반적으로 숙성기간이 경과됨에 따라 L, a, b값은 감소하고 ${\delta}E$ 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 중 떡고추장의 ${\delta}E$ 값은 자외선 조사구에서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높았고 식혜고추장의 ${\delta}E$ 값은 비열처리구에서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갈변 요인 분석에서는 떡고추장의 주요 갈변 요인으로는 빛이, 식혜고추장에서는 열처리와 빛이 작용하였으며 각각의 갈변 요인들이 상호 작용함으로 서 고추장의 갈변에 관여함을 확인하였다. 고추장 추출물의 흡광도 변화에서는 고추장을 아세톤으로 추출하여 흡광도를 측정한 결과 $450{\sim}470$ nm에서, 물 추출물의 흡광도는 $200{\sim}205$ nm에서 가장 최고치를 나타내었다.

  • PDF

연잎가루 첨가량에 따른 증편의 이화학적, 관능적 특성 (Qualitative Characteristics of Jeung-Pyun Following the Addition of Lotus Leaf Powder)

  • 김성향;박금순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60-68
    • /
    • 201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lotus leaf powder on the qualitative characteristics of Jeung-Pyun (traditional Korean fermented rice cake). To achieve the highest volume and specific volume, 4% lotus leaf powder was required. However the moisture content dropped as the lotus leaf powder was added to the mixture. In addition, pH of Jeung-Pyun decreased the longer it was allowed to ferment, but the pH increased after steaming. We also evalusted the transparency of Jeung-Pyun as lotus leaf powder was added. As the lotus leaf powder was added, the L-value decreased and the a-value and b-value increased. Additionally, the hardness, chewiness and brittleness of Jeung-Pyun increased as more lotus leaf powder was added (p<0.05), but the springiness and cohesiveness did not change. The Jeung-Pyun also became darker and the cells became less uniform as the level of lotus powder increased. A control group of Jeung-Pyun without lotus leaf powder produced the strongest takju flavor, while the sourness decreased as more lotus leaf powder was added. The addition of 2% and 4% lotus leaf powder resulted in the chewiest and most flexible Jeung-Pyun. The results of this evaluation showed that Jeung-Pyun with 4% lotus leaf powder had the best appearance, flavor, texture, and taste, and was generally the most preferred Jeung-Pyun. Finally, SEM evaluation of the Jeung-Pyun, revealed that, higher levels of lotus leaf powder resulted in larger and less consistent pores and bubbles.

소규모 가공경영체 떡류의 생산과정에 따른 미생물학적 품질조사를 위한 모니터링 (Monitoring for Microbiological Quality of Rice Cakes Manufactured by Small-Scale Business in Korea)

  • 한상하;김경준;변계환;김덕현;최송이;하상도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400-406
    • /
    • 2021
  • 편의식 소비가 증가하는 식문화가 정착되면서 쌀의 소비형태가 전통적인 쌀밥에서 편의식 가공제품 형태로 변화되면서 떡류는 훌륭한 대체재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떡은 소규모의 영세한 업체에서 제조되고 있으며 구입 후 별도의 조리과정 없이 그대로 섭취하므로 떡의 미생물학적 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증가되는 추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떡류에서 발생하는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개선하고자 소규모 업체의 떡류, 생산 환경 및 작업자의 미생물 오염도를 조사하였다. 3가지 떡(가래떡, 인절미, 경단)을 선정하여 원료, 제조공정 및 제조환경에 대한 미생물 오염도를 측정한 결과, 6가지 원재료에서 일반세균 3.76-4.48, 대장균군 2.21-4.14, B. cereus 1.02-1.15 log CFU/g 수준으로 검출되었고, E. coli는 검출되지 않았다. 떡의 제조공정별 오염도 분석결과, 세척과정 후 원재료의 일반세균, 대장균군 및 B. cereus의 오염도가 감소하였지만 불림, 분쇄공정에서 다시 증가하였고, 증자 후에는 3종류의 떡에서 모두 검출한계 이하의 수준을 보였다. 그러나 증자 이후 성형 및 냉각과정을 거치면서 오염도가 다시 증가하여 이 과정에서 냉각수 및 성형떡의 고물관리에 대한 주의를 시사하였다. 떡의 제조환경에 대한 미생물학적 오염도 분석결과, 쌀 분쇄기 및 떡고물 작업환경에 대한 오염 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성형기에서도 일반세균, 대장균 및 B. cereus가 검출되어 작업환경에서의 기구 및 제조설비 관리가 필요하였다. 제조설비 및 환경에서의 오염은 원재료와의 교차오염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체계적인 세척 및 소독 등으로 미생물학적 위해를 감소시켜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