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ditional Korean medicine treatment

검색결과 2,699건 처리시간 0.036초

맥문동탕과 정천화담항기탕이 알레르기 천식 모델 흰쥐의 BALF내 면역세포 및 혈청 IgE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aekmoondong-tang and Jeongcheonhwadamgangki-tang on Immune Cell and Serum OA-specific IgE in BALF in Rat Asthma Model)

  • 김진주;정희재;정승기;이형구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37-49
    • /
    • 2002
  • Objectives: Maekmoondong-tang and Jeongcheonhwadamgangki-tang are herbal decoctions which have been used as traditional therapeutic agents for asthma.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aekmoondong-tang and Jeongcheonhwadamgangki-tang on immune Cell & serum OA-specific 19B in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BALF) in rat asthma model. Methods: Rats were sensitized with ovalbumin (OA); at day I the sensitized group and Maekmoondong-tang and Jeongcheonhwadamgangki-tang groups were systemically immunized by subcutaneous injection of 1mg OA and 300mg of $Al(OH)_3$ in a total volume of 2ml. At the same time, 1ml of 0.9% saline containing $6{\times}10^9$ B. pertussis bacilli was injected by i.p. for 14 days. After systemic immunization, the rats received local immunization by inhaling 0.9% saline aerosol containing 2% (wt/vol) OA. A day after local immunization, BAL fluid was collected from the rats. A day after local immunization, rats were orally administered with each of Maekmoondong-tang and Jeongcheonhwadamgangki-tang extract for 14 days. Lymphocyte, CD4+T-cell CD8+ T-cell counts, CD4+/CD8+ ratio in BALF, change of serum OA-specific IgE level, and CD4+T-cell CD8+T-cell percentage in the peripheral blood were measured and evaluated. Results: Maekmoondong-tang and Jeongcheonhwadamgangki-tang showed a suppressive effect on the rat asthma model. Maekmoondong-tang decreased total cell, lymphocyte, CD4+T-cell, CD8+T-cell in BALF, and serum OA specific 19B level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whereas Maekmoondong-tang decreased CD4+/CD8+ ratio in BALF with statistical nonsignificance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1 decreased total cell, CD4+T-cell, CD4+/CD8+ ratio in BALF, and serum OA specific IgE level, whereas Jeongcheonhwadamgangki-tang decreased ymphocyte, and CD8+T-cell in BALF with statistical nonsignificance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CD4+T-cell and CD8+ T-cell percentage in peripheral blood were not changed significantly in all the experimental groups. Conclusions: This study shows that Maekmoondong-tang and Jeongcheonhwadamgangki-tang have a suppressive effect on asthma. Maekmooruiong-tang and Jeongcheonhwadamgangki-tang would be useful asthma treatment agents.

  • PDF

교모세포종 암줄기세포에 대한 진피 소수성 추출물의 항암 활성 (Anticancer activity of chloroform extract of Citrus unshiu Markovich peel against glioblastoma stem cells)

  • 김유진;심예은;정혜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28-34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진피 소수성 추출물(CECU)의 U87MG 교모세포종 암줄기세포에 대한 항암 활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CECU는 25-200 ㎍/mL의 농도 범위에서 U87MG 교모세포종 암줄기세포의 증식, 종양구체 형성과 이동능력을 유의적으로 저해하였다. 특히, CECU는 G0/G1기에서 세포주기 정지와 세포사멸을 유도하여 교모세포종 암줄기세포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었다. 게다가, 교모세포종 암줄기세포에 대한 CECU의 항암 활성은 CD133, Oct4, Nanog, Integrin α6, ALDH1A1과 같은 줄기세포능 조절인자들의 발현과 STAT3 신호전달경로를 저해함으로써 유도된 것임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CAM assay를 통해 CECU가 U87MG 교모세포종 암줄기세포의 in vivo 종양 형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을 입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진피 소수성 추출물이 주요 stemness marker들의 발현과 핵심 stemness 조절 신호전달경로를 억제함으로써 U87MG 교모세포종 암줄기세포에 대한 항암 활성을 나타냄을 입증하여, 교모세포종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천연물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새롭게 제시하였다.

ICR 마우스를 이용한 오미자, 상엽 에탄올 단독추출물 및 복합추출물의 단회경구투여 독성시험 (Single Dose Oral Toxicity Test of Ethanol Extracts of Schisandrae fructus and Mori folium, and their Mixture in ICR Mice)

  • 최은옥;권다혜;김민영;황보현;김홍재;안규임;정진우;이기원;김기영;김성구;최영환;홍수현;박철;최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10호
    • /
    • pp.1207-1213
    • /
    • 2016
  • 오미자(Schisandrae Fructus)와 상엽(Mori folium)은 한국, 중국, 일본을 포함한 아시아 지역에서 오랫동안 식품자원 및 전통 의약제로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왔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오미자와 상엽은 항균, 항염증, 항산화, 면역기능 조절 및 혈관신생억제 등과 같은 많은 효능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오미자(SF), 상엽(MF) 에탄올 단독추출물 및 복합추출물(medicinal herber mixture, MHMIX)에 대한 독성 및 안전성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F, MF 및 MHMIX가 유발하는 급성독성 및 안전성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하여 ICR mice를 대상으로 SF, MF 및 MHMIX 5,000 mg/kg을 최고농도로 설정하여 단회 경구 투여하였으며, 투여 후 14일 동안의 치사율, 체중 변화, 임상증상, 음수율 및 사료섭취량과 함께 부검 소견, 장기무게 변화, 혈액학 및 혈액생화학적 검사를 실시하였다. 결과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SF, MF 및 MHMIX의 투여 후 치사율, 임상증상, 체중 및 부검 소견 상의 유의적인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SF, MF 및 MHMIX 투여에 따른 각 장기의 무게, 혈액학적 및 혈청학적 임상 화학적 지표에도 유의적인 변화는 관찰할 수 없었다. 따라서 SF, MF 및 MHMIX는 단회 경구 투여에 따른 치사량이 5,000 mg/kg 이상일 것으로 추정되어 ICR 마우스에 대하여 급성독성이 없는 비교적 안전한 물질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향후 천연물 소재로서의 효능 규명을 통한 활용이 기대된다.

ICR 마우스를 이용한 오미자 종자 정유의 단회경구투여 독성시험 (Single Dose Oral Toxicity of Schisandrae Semen Essential Oil in ICR Mice)

  • 한민호;김주완;김기영;김성구;유경진;조용복;황혜진;김병우;김철민;최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91-195
    • /
    • 2014
  •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 Baillon., Schisandrae Semen)의 열매는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지역에서 오랫동안 전통 의약제로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왔다. 식물에서 분리된 정유(essential oils)는 다양한 약리효능을 지니고 있지만, 오미자 열매에서 추출한 정유의 약리학적 기전은 밝혀진 바 없다. 본 연구에서는 오미자 종자의 정유(Schisandrae Semen essential oil, SSeo)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단회경구투여 독성시험을 ICR 마우스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SSeo은 ICR mice에 5,000 mg/kg 농도로 경구 투여하였으며, 14일 후 희생시켰다. SSeo 투여 후 치사율, 임상 증상, 체중 및 부검 소견 상의 유의적인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각 장기의 무게, 혈액학적 및 혈청학적 임상 화학적 지표에도 총 bilirubin량을 제외한 유의적인 변화는 관찰할 수 없었다. 따라서 SSeo 단회 투여에 따른 치사량은 5,000 mg/kg 이상일 것으로 추정되어 급성 독성 측면에서 유해성이 없다는 의미를 지니며, 경구투여에 따른 어떤 부작용도 나타내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생쥐 대식세포에서 HO-1 발현 유도를 통한 chrysoeriol의 항산화 효과 (Fortified Antioxidative Potential by Chrysoeriol through the Regulation of the Nrf2/MAPK-mediated HO-1 Signaling Pathway in RAW 264.7 Cells)

  • 박충무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43-49
    • /
    • 2018
  • Chrysoeriol은 alfalfa에서 주로 발견되는, 식물계에 많이 분포하고 있는 flavone으로 전통의학에서 소화불량, 천식, 비뇨기계 이상의 치료에 사용되어 왔다. 최근의 연구에서는 항염증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나 항산화 효과에 대한 분석은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chrysoeriol의 항산화 효과와 그 분자적 기전을 RAW 264.7 cell에서 세포생존율, reactive oxygen species (ROS)와 Western blot분석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Chrysoeriol은 lipopolysaccharide(LPS)에 의해 발생한 ROS를 세포독성없이 농도의존적으로 제거하였다. 그리고 항산화효과를 보이는 2상 효소 중 하나인 heme oxygenase (HO)-1의 발현을 강하게 유도하였고, 그와 동시에 전사인자인 Nrf2의 핵내 이동도 촉진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산화스트레스에 대한 세포내 산화환원항상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mitogen activated protein kinase (MAPK)와 phosphoinositide 3-kinase (PI3K)의 분석결과, chrysoeriol은 extracellular signal regulated kinase (ERK), c-Jun NH2-terminal kinase (JNK)와 p38의 인산화를 통해 HO-1의 발현을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HO-1에 의한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chrysoeriol을 전처리한 후 t-BHP에 의한 산화 스트레스에 세포를 노출시킨 결과, chrysoeriol 처리에 의해 세포사멸이 줄어드는 것을 확인하였고, HO-1의 유도제와 억제제의 처리에 따라 세포생존율 또한 조절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chrysoeriol은 HO-1의 발현을 유도하여 항산화 효과를 높이고 이것은 Nrf2/MAPK 신호전달 체계에 의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자보양영환의 물추출물이 사염화탄소로 유발된 간 손상에 미치는 영향 (Protective Effect of Jaboyangyeong-hwan Water Extracts on CCl4-Induced Liver Damage)

  • 전병훈;이형철;황상구;남은영;김대근;박정원;이영찬;박승택
    • 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36-143
    • /
    • 2002
  • 자보양영환은 자보폐간의 효능이 있어 간허증상의 치료제로 사용되었던 전통약물로 잘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염화탄소로 간 손상을 유도한 흰쥐에서 자보양영환의 물추출물이 간 보호효과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사염화탄소의 1회 복강투여는 혈청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alkaline phosphatase (ALP)의 유의적인 증가가 관찰되어 사염화탄소에 의한 간 손상이 유발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자보양영환 물 추출물(300, 600, and 1200 mg/kg, 7 days)을 전 처리한 횐쥐에서는 사염화탄소 단독 투여군인 대조군에 비해 AST, ALT, ALP의 유의한 감소양상이 관찰되었다. 또한 사염화탄소의 투여는 microsome의 지질과산화가 유도되었으며, 이물질대사효소(cytochrome P450 및 P450 reductase)의 유의한 감소가 확인되었다. 자보양영환 물추출물의 경구투여는 간의 지질과산화 지표인 microsome의 TBARS 생성을 억제하였으며 cytochrome P450 및 P450 reductase 활성도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증가되어 정상수준으로 회복되었다. 자보양영환 추출물의 투여는 사염화탄소의 투여에 따른 생화학적 지표들의 변화를 억제하는데, 이러한 실험결과에서 자보양영환의 물추출물은 사염화탄소로 유도한 간 독성에 대하여 해독작용 및 간 보호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귤나무 과피 유래 한약재 주정 추출물의 위장관 운동 촉진 효과 (Prokinetic Activity of Ethanolic Extracts from Dried Citrus unshiu Peels in Mice)

  • 이현태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60-265
    • /
    • 2014
  • 귤나무(Citrus unshiu)의 과피를 말린 한약재인 진피(Aurantii Nobilis Pericarpium; ANP)는 오래 전부터 대한민국을 비롯한 동아시아에서 위장관 운동 관련 질환의 치료에 전통적으로 쓰여 왔다. 본 연구에서는 진피 주정 추출물(ANP-E)을 제조하여 실험하였는데, 우선 ANP-E는 5 g/kg의 고용량을 mouse에 경구 투여하였을 때에도 급성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ANP-E가 위장관 운동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이를 cisapride의 효과와 비교하기 위하여, mouse를 대상으로 위장관 이송률을 측정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Cisapride는 20세기 말까지 다양한 위장관 운동 저해 상황에서 임상적으로 광범위하게 적용되었던 최고의 위장관 운동 촉진제였으나, 치명적인 부작용으로 인하여 2000년 이후 시장에서 철수된 약물이다. 실험 결과, ANP-E는 정상 및 위장관 운동 저해 상황에서 모두 용량 의존적으로 위장관 운동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ANP-E의 위장관 운동 촉진 효과를 cisapride와 비교해 보면, 정상 mouse에서는 cisapride와 거의 대등한 위장관 이송률 수치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위장관 운동 저해 상황에서는 cisapride보다 약효 및 안전성 측면에서 모두 비교 우위를 점하는 강력한 위장관 운동 기능개선 효과를 보였다. 이상과 같은 결과들은, ANP-E가 인간의 위장관 운동 기능 저해 상황을 개선할 수 있는 새롭고 강력한 신약 후보 물질이자, 아직 시장에 출현하지 않고 있는 cisapride의 대체 의약품으로서 개발 가능함을 시사하고 있다.

Latex of Ficus carica L. Induces Apoptosis Through Caspase and Bcl-2 Family in FaDu Human Hypopharynx Squamous Carcinoma Cells

  • Shin, Bo Su;Lee, Seul Ah;Moon, Sung Min;Han, Seul Hee;Hwang, Eun Ju;Kim, Su-Gwan;Kim, Do Kyung;Kim, Jin-Soo;Park, Bo-Ram;Kim, Chun S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Oral Biology
    • /
    • 제42권4호
    • /
    • pp.183-190
    • /
    • 2017
  • Ficus carica L. (common fig), one of the first plants cultivated by humans, originated in the Mediterranean basin and currently grows worldwide, including southwest Asia and South Korea. It has been used as a traditional medicine for treatment of metabolic, cardiovascular, and respiratory diseases as well as hemorrhoids and skin infections. Its pharmacological properties have recently been studied in detail, but research on the anti-cancer effect of its latex has been only been studied on a limited basis on several cell lines, such prostate cancer, breast cancer, and leukemia.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cancer activity of the latex of Ficus carica L.and its underlying mechanism in FaDu human hypopharynx squamous carcinoma cells. (See Ed. note above) We confirmed through SDS-PAGE analysis and gelatinolytic activity analysis that the latex of Ficus carica contains cysteine protease ficin. Our data showed that the latex inhibited cell growth in a dose-dependent manner. In addition, the latex treatment markedly induced apoptosis in FaDu cells as determined by FACS analysis, elevated expression level of cleaved caspase-9, -3 and PARP (poly (ADP-ribose) polymerase), and. increased the expression of Bax (pro-apoptotic factor) while decreasing the expression of Bcl-2 (anti-apoptotic factor).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latex containing the ficin inhibited cell growth and induced apoptosis by caspase and the Bcl-2 family signaling pathway in FaDu human hypopharynx squamous carcinoma cells. These findings point to the potential of latex of Ficus carica to provide a novel chemotherapeutic drug due to its growth inhibition effects and induction of apoptosis in human oral cancer cells.

고려인삼의 항암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titumor Activity of Panax ginseng)

  • Hwang, Woo-lk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7권1호
    • /
    • pp.52-60
    • /
    • 1993
  • Panax ginseng has been extensively used in the traditional oriental medicine as a restorative, tonic and Prophylactic agent. Recently, several reports regarding to anticancer effects of Panax ginseng has accumulated. These studies emphasized the fact that the anticancer activities might be due to a glycoside group called ginsenoside or pan.u saponin which has a water soluble characteristic. However, the authors and collaborates demonstrated that a highly lipid soluble component in extract of Panax ginseng roots contains a considerable cytotoxic activities against marine leukemic cells (L1210, P388) and human censer cells (HRT-18, HT-29, HCT48). This study was devised to observe the cytotoxic activities of Petroleum-ether extract of Panax giuseng roots (crude GBD and its Partially Purified fraction from silicic acid column chromatography (7 : 3 GX) against sarcoma-180 (5-180) and Walker carcinosar- coma 256 (Walker 256) in vivo, and murine leukemic Lymphocytes (L1210) and human rectal cancer cells (HRT-18) and human colon cancer cells (HT-29 and HCT48) in vitro. Each cell-line was cultured in medium containing serial concentration of the crude GX or 7 : 3 GX in vitro. A highly lipid soluble compound in the extract of Panax ginseng root was cytocidal to murine leukemic cells and human colon and rectal cancer cells in vitro. In the meantime, ginseng saponin derivatives did not have cytotoxic effects at its corresponding concentration. The growth rates of the cancer cells in medium containing ginseng extracts were inhibited gradually to a significant degree roughly in proportion to the increase of the extract concentration. The cytotoxic activity of 7 : 3 GX was about 3 times more potent than that of crude GX, one unit of cytotoxic activity against L1210 cells being equivalent to 2.54 Ug and 058 Ug for the crude GX and 7 : 3 GX, respectively. The Ri value of the active compound on silica- gel thin layer chromatography with petroleum-ether/ethyl ether/acetic acid mixture (90 : 10 : 1, v/v/v) as a developing so lvent was 053. While, the Panaxydol and Panaxynol as active compounds were purified from Petroleum-ether extract of Panax ginseng root by Drs. Ahn and Kim, and author found out that the one unit of cytotoxic activity of the Panaxydol and Panaxynol against L1210 cells being equivalent to 056 Ug and 0.3918 respectively. The survival times of mice inoculated with S-180 cells were extended about 1.5 to 2 times by the 7 : 3 GX treatment compared with their control group. The significantly decreased hemoglobin values of rats after inoculation with Walker 256 were recovered to normal range by oral administration of the crude Gt The synthetic levels of protein, DNA and RNA in human colon and rectal cancer cells were significantly diminished by treatment with the crude GX, which can explain a part of the origin of its anticancer activity.

  • PDF

여러 통상적인 전뇌방사선치료 기법에서의 정상조직의 조사선량 비교 (Comparison of the Dose of the Normal Tissues among Various Conventional Techniques for Whole Brain Radiotherapy)

  • 강민규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8권2호
    • /
    • pp.99-105
    • /
    • 2010
  • 목 적: 여러 통상적인 전뇌방사선치료 기법에서의 뇌와 수정체의 방사선 조사선량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전뇌방사선치료를 위한 치료계획을 1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컴퓨터단층촬영 영상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수립하였다. 중심점이 조사영역의 중앙에 위치하고 가쪽눈구석(lateral bony canthus)에서 양측 빔이 평행한 통상적인 계획을 수립하고, 뇌에서 1 cm (렌즈에 대해서는 5 mm)의 여유로 차폐물을 생성하였다(P1). 이후 중심점을 가쪽눈구석으로 옮기고(P2), 조준기를 90도 회전시킨 후 5 mm 두께의 다엽조준기로 차폐를 하였다(P3). 각 환자의 모든 계획에서 P1의 중심점에 30 Gy를 처방하였다. 뇌와 수정체의 선량 지표들은 paired t-test를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결 과: 뇌의 $D_{max}$$V_{105}$는 P1에서 111.9%와 23.6%였다. 뇌의 $D_{max}$$V_{105}$는 P2와 P3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는데, 그 값은 각각 107.2%와 4.5~4.6%였다(p<0.001). 수정체의 $D_{mean}$의 평균값은 P1에서 3.1 Gy, P2와 P3에서는 2.4~2.9 Gy였다(p<0.001). 결 론: 전뇌방사선치료 시 다른 복잡한 방법을 이용하지 않고, 중심점을 가쪽눈구석에 위치시키는 것만으로도 뇌와 수정체의 조사선량 측면에서 유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