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ditional Doenjang

검색결과 180건 처리시간 0.027초

전통 된장의 담금용기에 따른 숙성 중 품질변화 (Quality Changes of Traditional Doenjang Fermented in Different Vessels)

  • 김진숙;신동화;유선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4권4호
    • /
    • pp.230-234
    • /
    • 2001
  • 재래법으로 제조한 된장을 담금용기를 달리하여 각각 담가 숙성시키면서 숙성기간 중 담금용기에 따른 된장의 품질변화를 조사하였다. 사용된 담금용기는 오지항아리, 오지항아리와 유리덮개 그리고 플라스틱통이었다. 된장의 수분 함량은 숙성 중 감소하였는데 오지항아리와 유리덮개를 사용한 구의 수분 함량이 가장 크게 감소하였다. 수용성 질소 함량은 숙성 8개월에 $4.56{\sim}5.80%$로 가장 높았고 오지항아리와 유리덮개에 담근 된장이 최대 함량을 보였다. 아미노산성 질소 함량은 숙성 12개월까지 계속 증가하였고 숙성 12개월의 아미노산성 질소 함량은 오지 항아리에 담근 된장이 $1.25{\sim}1.27%$로 플라스틱 통에 담근 된장 보다 높았다. 플라스틱통에 숙성시킨 된장의 품질을 관능적으로 평가한 결과 숙성 4개월부터, 다른 용기를 사용하여 담근 된장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 PDF

된장 제조방법의 표준화 연구 1. 문헌에 의한 된장 제조방법의 표준화 (Studies on the Standardization of Doenjang (Korean Soybean Paste) 1. Standardization of Manufacturing Method of Doenjang by Literatures)

  • 박건영;황경미;정근옥;이규복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343-350
    • /
    • 2002
  • 문헌과 실제 공장에서 채택하고 있는 된장의 제조방법을 조사하여 재래식과 개량식 방법으로 나누어 각 단계별로 표준화하였다. 재래식 된장 제조는 먼저 재래식 메주 제조로 시작되는데 재래식 메주는 자연발효로 대두를 증자하고 분쇄하여 벽돌형의 메주를 성형 한다. 이를 건조시킨 후 볏짚으로 엮어 매달아 2~3개월간 발효시켜 메주를 제조한다. 발효가 끝난 메주는 소금물에 띄우고(meju : salt : water = 18.4 : 14.6 : 67.0) 고추, 숯을 넣어 2~3개월 발효 숙성하고 된장과 간장을 분리한다. 이를 다소 수정하여 콩알메주를 만들어 재래된장을 만들기도 하는데, 증자대두에 Asp. oryzae를 접종하여 기존B. subtilis와 함께 콩알 메주를 제조하여 염수와 함께 6개월 정도 발효 숙성하여 콩알메주 재래된장을 제조 한다. 한편 개량 된장 제조방법은 기본적으로 일본식을 따르는데 재래식과 일본식을 수정한 방법을 선택하고 있다. 증자된 소맥분에 Asp. oryzae로 제국을 하고 증자된 대두를 혼합 한다. 이때 전분질원으로 증자된 밀쌀을 첨가하기도 하고 재래식 된장의 맛을 주기 위해 증자대두에 B. subtilis를 접종하여 발효시킨 메주 또는 재래식 메주를 혼합하기도 한다. 혼합된 소맥제국과 증자대두 등에 염수를 첨가하여 45~60일 발효숙성하고 살균($65^{\circ}C$, 30분) 과정을 거치고 제품화한다. 이제는 한국의 재래식과 재래 된장 맛을 포함하여 기능성이 우수한 한국의 된장을 만들기 위해 기존 장류 공장은 재래 된장의 제조 방법을 공정에 사용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일본 미소와는 완전히 다르면서 한국 전통적인 된장 제조법을 개발하여 수출 및 세계화를 이를 필요가 있다. 따라서 재래식 된장 공장은 재래식 방법을 좀더 과학화 및 산업화하여 전통을 이어가며 안전성 확보와 일정한 맛과 기능성이 우수한 재래 된장을 제조해야 한다. 현대의 실정 에 맞는 과학적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산업화한다면 재래식으로 인해 걸리는 시간, 노력 에 걸맞은 가격, 품질 등을 유지해 나갈 수 있으리라 본다.

미생물 급원을 달리한 숙성 된장의 질소성분과 아미노산 조성 (Compositions of Nitrogen Compound and Amino Acid in Soybean Paste(Doenjang) Prepared with Different Microbial Sources)

  • 박정숙;이명렬;김정수;이택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609-615
    • /
    • 1994
  • Aspergillus oryzae, Bacillus natto균주와 재래식 메주를 사용하여 담금한 재래식 된장, 고오지 된장, 나토 된장, 고오지와 나토의 혼용된장의 질소성분과 아미노산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아미노산성 질소는 숙성 90일에 $271{\sim}868\;mg/100g$으로 최대치를 보였으며 시험된 장별 함량은 고오지 된장, 재래식 된장, 고오지-나토 된장, 나토 된장의 순으로 높았다. 총 아미산은 Glutamic acid, Aspartic acid가 양적으로 많았고 함량은 고오지 된장에서 높았으나 시험 된장간의 함량 차이는 크지 않았다. 유리 아미노산은 시험된장에 따라서 다소 차이는 있지만 Glutamic acid, Tyrosine, lysine Aspartic acid 등이 비교적 많이 검출 되었다. 90일 유리 아미노산 총량은 고오지 된장이 3,339.5 mg/100g로 가장 높았고, 다음이 재래식 된장, 고오지-나토 된장, 나토 된장의 순이었다. 총 아미노산에 대한 유리 아미노산의 비율은 45일에는 $3.3{\sim}19.8%$였으나 90일에는 $10.98{\sim}25.1%$로 증가 되었고 90일의 총 아미노산에 대한 유리 아미노산의 비율은 재래식 된장, 고오지 된장 고오지-나토 된장, 나토 된장의 순으로 높았다. Methionine, Histidine 등은 총 아미노산에 대한 유리 아미노산의 비율이 높으나 Glutamic acid, Aspartic acid 등은 낮았다. 본 실험의 결과로 볼 때 유리 아미노산 및 총 아미노산에 대한 유리 아미노산의 비율이 높은 재래식이나 고오지 된장이 된장 숙성에 유리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순창지역 메주 발효 중 미생물과 효소역가의 변화 (Changes in Microflora and Enzyme Activities of Traditional Meju during Fermentation at Sunchang Area)

  • 유진영;김현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448-454
    • /
    • 1998
  • Meju for doenjang and kochujang was prepared as a model at Sunchang areaand monitored with major changes. Kochujang meju was prepared on September 12 and doenjang meju on November 12, 1995. Kochjang meju was found to be naturally fermented at 80~90% RH, 15~2$0^{\circ}C$ and doenjang meju was at 80~90% RH and 0~5$^{\circ}C$. The shapes of kochujang meju and doenjang meju were doughnut-type and rectangular, respectively. Weight losses during fermentation were 48% and 28%, respectively. The pH drop and acip production of kochujang meju were negligible. However, pH of doenjang meju decreased from 6.29 to 5.88 and acidity increased from 0.08 to 0.23% as lactic acid. Protein in meju was found to be rapidly solubilized during the early stage of fermentation. Soluble protein cotents of kochujang meju after 7 days and 60 days were 8.23%, respectively. The doenjang mejus were 2.15% after 20 days and 5.72% after 60 days. Soluble suger content increased with the fermentation time. The soluble sugar content was higher in kochjang meju. Acidic protease was highly produced during meju fermentation. $\alpha$-Amylase and $\beta$-amylase were detected in the kochujang meju, of which glutinous rice consisted, but negligible in doenjang meju. Lipase was detected in kochujang meju, but was, negligible in doenjang meju. Microbial population increased drastically after 7 days of fermentation in kochujang meju and 20 days of fermentation in doenjang meju.

  • PDF

혼합콩이 전통된장의 숙성 중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ixed Soybeans Materials on Qulity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Soybean Paste(Doenjang) during Aging)

  • 김귀영;문혜경;이수원;문재남;윤원중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14-322
    • /
    • 2010
  • The effects of five colored soybean (blue, red, yellow, white, and black) varieties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ybean paste (Doenjang) were investigated for proximate composition, salt content, pH, color, organic acid content, amino acid content, and mineral content after 80 days of aging. Soybean paste (Doenjang) samples were divided into TDS (traditional Doenjang prepared with soybean) and TDM (traditional Doenjang prepared with mixed soybeans, kidney bean, black soybean, kind of small bean, sword bean, green bean, red bean, at a radio of 1:1:1:1:1(w/w)). Moisture content was 49.66% for TDM and 49.52% for TDM. Protein and salt contents of the TDS sample were higher than those of TDM. The "L" values of the TDB sample increased the aging period was decreased. In contrast, the "L" and "$\alpha$" values of TDM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The main organic acids detected were malic acid > lactic acid > tartaric acid in the TDS and TDM samples. Glutamic acid contents were 2.83 g/100 g for the TDS sample and 2.15 g/100 g for the TDM. The levels of K, Mg, and Ca of the TDS sample were higher than those of TDM. No significant difference occurred between TDS and TDM regarding their quality characteristics after 80 days of aging. Further studies needed include sensory evaluation and functionality of soybean paste made from mixed soybean materials.

전북지역 전통 된장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 활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Regional Traditional Soybean Pastes (Deonjang) in Jeonbuk Province)

  • 송영은;한현아;이송이;신소희;최소라;김소영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598-610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by collecting four times on six samples of Jeonbuk regional soybean pastes (Doenjang) traditionally prepared for this study. The water content of samples decreased according to progress of the aging period and the water content of the fourth sample collected was 42.40~59.64% (p<0.05). The salinity of the fourth Doenjang samples was 11.80~18.60%. The amino-type nitrogen content was 122.67~540.33 mg% immediately after the preparation of Doenjang in the Jeonbuk region and the content of the fourth collection samples increased from 251.49 to 982.36 mg% (p<0.05). The isoflavone glycosides decreased but daidzein, genistein and glycitein, which are aglycones, increased during aging periods.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of the fourth collected samples was 11.99~19.27 mg GAE/g (p<0.05).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FARP of the fourth Doenjang samples were 51.88~81.21%, 84.14~90.32%, and 1.08~3.11 mg Trolox/g, respectively. As a result of quality analysis on Doenjang, the superiority of traditional Doenjang has been proven by the increase of amino nitrogen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according to the aging period. However, factor analysis on quality differences of regional Doenjang should be conducted to ensure standardization and quality improvement.

Pyrosequencing을 이용한 전통된장 제조과정 중 세균군집구조의 분석 (Bacterial Community Profiling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raditional Soybean Paste by Pyrosequencing Method)

  • 김용상;정도연;황영태;엄태붕
    • 미생물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275-280
    • /
    • 2011
  • 전통 방식으로 된장을 만드는 과정 동안 세균군집의 다양성과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16S rRNA 유전자 서열을 기반으로 하는 pyrosequencing을 수행하였다. 전통 된장 제조에 가장 중요한 접종원으로서 볏짚에 존재하는 세균 군집을 문수준에서 확인했을 때, 상대적 군집 비율로 1% 이상의 분포를 보였던 4종류는 Proteobacteria (71%), Actinobacteria (20.6%), Bacteroidetes (4.2%), Firmicutes (1.3%) 문이었다. 그러나 볏짚 세균 군집구조 결과와 달리 메주의 군집구조에서는 99.1%가 Firmicutes 문이었다. 문 수준에서 숙성 전 된장의 군집분포를 보면 Firmicutes 문 비율이 99.85%로 메주와 비슷한 수준이었다. 그러나 종 수준의 군집구조에서는 메주에서 32.54%의 가장 높은 군집빈도를 보였던 Bacillus siamensis는 0.1%로 거의 사라진 반면 B. amyloliquefaciens가 63.64%로 가장 높은 우점종이 되었다. 숙성 후 된장의 세균군집구조를 보면 숙성 전에 비해 Bacillus 비율이 증가되었으며 이들 중 군집의 상대밀도가 가장 높았던 우점종은 B. amyloliquefaciens (67.3%)였고, 5위까지 모두 Bacillus 종들(전체 군집분포의 92.2%)이 차지했다. 또한 메주 내 상위 11 위까지 우점을 이루던 세균 종들 중 10종이 숙성 후 된장에서도 우점종을 형성하여, 메주 미생물들이 숙성 후 된장 발효까지 영향을 준다는 것을 보였다. 이 결과들로부터 전통 장류에서 발효 주 세균은 Bacillus 종이며 이들은 기본적으로 볏짚으로부터 기원되어 메주에서 우점종을 형성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따라서 풍미와 위생성이 동시에 요구되는 전통 장류의 제조를 위해서는 볏짚 표면에 이 기능을 가진 Bacillus 종들의 군집 분포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가시오가피, 당귀와 산수유 성분이 함유된 메주로 제조한 전통 된장의 이화학적 특성 및 관능적 특성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Doenjang Prepared using a Meju Containing Components of Acanthopanax senticosus, Angelica gigas, and Corni fructus)

  • 이임진;한진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90-97
    • /
    • 2009
  • Changes i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doenjang prepared with a meju containing components of Acanthopanax senticosus, Angelica gigas and Corni fructus during storage were evaluated. Three types of doenjang produced using each of these components showed lower Hunter's L and a values than the values of the control during the initial stage of storage: however, these values were similar to those of the control after 60 days of storage. Doenjang containing A. gigas showed a similar degree of browning to that of the control during the early stage of storage, while the degree of browning observed in the other samples was much higher than that og the control during this period. Despite these initial differences, the browning in all samples became similar after extended storage. The level of acidity increased gradually for up to 60 days, after which it decreased slightly. The pH of all treatments decreased with storage time. The amino-N contents of all types of doenjang increased gradually, reaching peak values after 60 days. Doenjang with A. senticosus and A. gigas had a strong characteristic flavor that reduced the native flavor of doenjang. Doenjang with C. fructus showed a similar overall palatability to that of the control.

된장 제조를 위한 바로 사용 종균의 개발 (Development of Ready-to-use Starters for the Production of doenjang)

  • 이은진;허병석;이인형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234-241
    • /
    • 2019
  • In Korea, traditional doenjang is manufactured using the conventional method at home and by small-scale enterprises. Because this age-old process depends on natural inoculation of various microorganisms, it is difficult to reproduce or maintain consistency in the final product quality across batches. Moreover, doenjang occasionally prepared by this method raises safety concerns related to aflatoxin, biogenic amine, and Bacillus cereus contamination. To develop starters that can be conveniently used at home or in small industry settings for the manufacturing of safe and flavor-improved doenjang, autochthonous microbe starters were developed in dried forms as ready-to-use starters. Each starter powder prepared by heat- or freeze-drying methods remained stable even after 24-week storage. These ready- to-use starter powders were successfully applied to lab-scale fermentation for the production of safe and flavor-improved doenjang. We believe that these ready-to-use starter powders will benefit small-scale enterprises in the manufacturing of doenjang of good reproducible quality.

된장의 Aflatoxin $B_1$에 대한 항돌연변이 효과 (Antimutagenic Effect of Doenjang(Korean Fermented Soy Paste) toward Aflatoxin)

  • 박건영;문숙희;백형석;최홍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56-162
    • /
    • 1990
  • Antimutagenic effect of doenjag (Korean fermented soy paste) on mutagenesis induced by aflatoxin B1 (AFB1) in Salmonella typhimurium strains TA98 and TA100 was studied. AFB1 revealed maximum mutagenicity at dose level of 1 $\mu$g/plate with metabolic activation system in both strains. Strong antiutagenic activity toward AFB1 was completely inhibited at the level of 50% of the doenjang extract. At the same concentration 64-66% and 39-53% of the AFB1 induced mutageneses were blocked when the methanol extracts of raw and cooked soybeans were added in the system respectively Raw soybeans showed higher ihhibition rate to the mutagenicity than cooked soybeans but the fermented soybeans(doenjang) was the most effective (p<0.05) Other soybean fermented foods such as commercial doenjang natto and miso were also exhibited some antimutagenic activities however the traditional doenjang was the most effective and then commercial doenjang. Natto and miso were less effectiv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