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tal polyphenolic compound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21초

볶음 오크라 종자의 주요 기능성분 분석 (Analysis of Functional Components in Roasted Okra (Abelmoschus esculentus L. Moench) Seeds)

  • 안율균;장기창;김천환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61-64
    • /
    • 2013
  • 본 연구는 오크라 종자를 볶았을 때의 기능성을 성분을 분석하여 용도 다양화를 위한 볶음차로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꼬투리 당 오크라 종자의 수는 '그린소드' 품종이 78개, '베니' 품종이 88개 이었고, 과실 당 종자무게는 각각 4.4g과 6.3g이었다. 볶은 오크라 종자의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2.69mg{\cdot}g^{-1}$으로 생체종자의 $0.31mg{\cdot}g^{-1}$에 비해 8.7배나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볶은 오크라 종자가 12.61mg CGA로 서 생체 상태보다 5배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오크라 종자의 항산화 활성은 DPPH 및 ABTS의 경우 볶은 오크라 종자가 생체 상태의 오크라 종자 보다 약 2배 이상 월등히 높게 나타내었다.

인삼 1차 부산물의 생산량 및 기능성 성분 특성 (Yield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Ginseng's First Byproducts)

  • 김관후;성봉재;김선익;한승호;김현호;이가순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313-318
    • /
    • 201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utilize the byproducts (flower, immature and mature berry, leaf and stem) of ginseng. Yield of byproducts were $32.7{\pm}9.8g$ in flower, $68.2{\pm}2.2g$ in immature berry, $48.5{\pm}4.3g$ in mature berry, $316.2{\pm}20.5g$ in leaf, and $296.6{\pm}15.4g$ in stem per $3.3m^2$ ($180{\times}90cm$, ginseng root $675.5{\pm}35.7g$/drybasis. The total saponin contents of ginseng byproducts and root are $52.36{\pm}1.24$, $68.71{\pm}1.98$, $168.89{\pm}0.57$, $68.26{\pm}1.32$, $7.85{\pm}0.61$ and $35.08{\pm}0.96$ mg/g, respectively. The main ginsenoside of all byproducts was Re and the highest content was $132.23{\pm}1.56$ mg/g in mature berry. But flower and berry was not detected Rf and Rh1, respectively. Total polyphenolic compound content on mature berry was the highest, $2.242{\pm}0.140%$, after, immature berry > leaf > flower > root > stem order.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n mature berry was the highest, $0.115{\pm}0.004$ mg/mL($IC_{50}$), and the others were the same order of polyphenolic compound and ginsenoside content on byproducts.

참오동나무(Paulownia tomentosa Stud.) 열매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tive Activities of Fruit Extracts of Paulownia tomentosa Stued)

  • 전방실;차재영;조영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231-238
    • /
    • 2001
  • The concentrations of total polyohenolic compound from extract of Paulownia tomentosa Stued. were water-soluble extract 7.98%, methanol extract 12.30% and ethanol extract 11.63%. The free radical scavenger activities of three extracts at the levels of 0.5% were higher than that of BHT(butylated hydroxytoluene). In antioxidative activities measured the concentrations of TBARS(thioba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in tissues microsome induced with Fe$\^$++/ascorbate, the water-soluble extract was errdctively suppressed in liver and spleen. In antioxidative activities determined by thiocyanate method against lipid peroxidation using linoleic acid, the methanol extract showed the higher compared with other extracts, but BHT showed the highest antioxidative activ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fruit extracts of Paulownia tomentosa Stued. showed to have relatively high concentrations of polyphenolic compound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 PDF

식이성 고지혈증에 미치는 감자 폴리페놀의 영향 (Effect of Potato Polyuphenolics on the Hyperlipidemia in Rats)

  • 조영수;차재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74-279
    • /
    • 2000
  • 중요한 식물성 자원 식품 중의 하나인 감자로부터 생리활성 인자를 탐색할 목적으로, 강자의 폴리페놀 화합물을 추출하여 콜레스테롤 무첨가 식이 및 콜레스테롤 식이에 각각 0.5% 수준으로 첨가한 반합성 식이를 흰쥐에 급여하여 혈청 및 간장지질 농도, 혈당치, 뇨 단백질량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콜레스테롤 첨가 식이에서 감자 폴리페놀 화합물 첨가에 의해 혈청 총 콜레스테롤 및 VLDL+ LDL-콜레스테롤 농도, 동맥경화 지수는 유의성은 없었으나 약간 감소하였고, 콜레스테롤 무첨가 식이에서는 이러한 경향들이 나타나지 않았다. 뇨 단백질량은 콜레스테롤 무첨가식이 및 콜레스테롤 첨가 식이에 감자 폴리페놀 화함물 첨가에 의하여 실험 1주일 째에는 각각 12% 및 27% 증가하였으나, 2주일 째에는 콜레스테롤 무첨가 식이군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혈당치는 각 실험군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 PDF

항산화 활성을 지닌 귤피 분말을 이용한 초콜릿의 동서 융복합적 예방식품개발 연구 (Research for the Development of Oriental and Western Convergence Prevention Food of Tangerine Peel Powdered Chocolate with Antioxidant Activity)

  • 박성혜;차경옥;박해령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9호
    • /
    • pp.531-540
    • /
    • 2015
  • 귤피가 비습을 제거하는 효능을 가지 수 있어 과도한 단맛의 식품 섭취에 의해 증가되는 비습을 제거하여 소화기능을 증진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고 또한 초콜릿의 향에도 기여할 것으로 판단되어 초콜릿의 기능성과 귤피의 기능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생리활성을 기대할 수 있는 초콜릿을 개발가능성을 타진해보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귤피가루를 첨가한 초콜릿의 일반성분과 무기질 조성, 물리적 특성, 항산화 활성 및 관능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약식 동원의 개념과 질병 예방의 중요성 및 현대인의 생활형태 등을 고려할 때 올바른 식생활은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이에 오감을 고려한 관능적 특징을 가지고 경제적이면서 손쉽게 섭취할 수 있는 식품의 개발은 꾸준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는 한방 재료를 이용하여 그 기능성을 전통적인 효능에 의한 접근이 이루어져야하며 그 기능성에 관한 동서 융복합적 연구의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함이다.

적송잎 추출물의 proanthocyanidin 함량 분석 및 항산화 활성 검증을 통한 추출공정 확립 (Establishment of the Extraction Process by Evaluation of Proanthocyanidin Content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Pine (Pinus densiflora) Needle Extracts.)

  • 이옥희;김기영;장민경;유기환;유병홍;김성구;김미향;이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7호
    • /
    • pp.992-998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 솔잎추출제품 제조를 위한 보다 효율적인 추출공정 확립을 위하여 두 가지 추출법을 조합한 추출법에 의해 얻어진 솔잎 추출물들의 proanthocyanidin 성분, 총 polyphenolic 함량 및 이들을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고 기존의 단독 추출법에 의한 추출물들과의 비교를 행하였다. 아임계 열수추출 침전물(SSHP)과 아임계 열수추출 상층액(SSHS)의 총 폴리페놀성 성분의 농도는 각각 225.4 및 116.6mg/g으로 타 추출물들에 비하여 높은 농도를 보였으며, proanthocyanidin농도 또한 각각 9.9 and 3.6 mg/g으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또한, 적송잎 추출물에 포함된 총 폴리폐놀성 성분에 대한 proanthocyanidin의 함량을 계산한 결과, 아임계 열수추출 침전물(SSHP) 및 아임계 열수추출 상층액(SSHS)의 경우 각각 4.3%와 3.9%로 열수 추출물(3.6%)보다 높은 proanthocyanidin 함량을 보였다. DPPH radical scavenging으로 아임계 열수추출 침전물(SSHP) 및 아임계 열수추출 상층액(SSHS)의 항산화 활성($IC_{50}$)을 측정한 결과 각각 41.5 및 $50.7\;{\mu}g/m$로 타 추출물들에 비하여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또한, tiocyanate법과 TBA법으로 측정한 linolic acid system에 의한 항산화 활성의 경우도 아임계 열수추출 상층액(SSHS)과 아임계 열수추출 침전물(SSHP)에서 높은 활성이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두 가지 추출법을 조합한 추출물인 아임계 열수추출 상층액(SSHS)과 아임계 열수추출 침전물(SSHP)은 단독 추출법에 의한 추출물들 보다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여준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러한 추출공정은 식품소재로부터 기능성 성분을 보다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국내 시판되는 일부 다류 제품의 항산화 효과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Some Commercial Teas)

  • 최용민;김명희;신정진;박주미;이준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723-727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일상생활에서 손쉽게 음용할 수 있는 차 추출물에 대해 항산화력과 항산화 성분의 함량을 측정함으로써 그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차 추출물의 항산화력은 ABTS 와 DPPH radical을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항산화력 성분은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총 비타민 C 함량을 각각 측정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홍차, 허브티 I, 녹차 I, 허브티 II, 녹차 II, 한차 I에서 101.51~62.60 mg범위로 다른 차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허브티 II, 한차 I, 홍차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반면 총 비타민 C의 경우 한차 I이 15.78 mg을 나타낸 제품을 제외 하고 다른 것들은 모두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항산화력이 높게 나타난 차는 주로 녹차류와 홍차였으며 이들의 항산화력에 기여하는 물질이 주로 비타민 C나 플라보노이드가 아닌 폴리페놀성 화합물임을 알 수 있었다.

커피박 퇴비 추출물의 식물병원균에 대한 항균력 검정 (The Antifungal Activity of Coffee Ground Compost Extract against Plant Pathogens)

  • 김민정;심창기;김용기;박종호;한은정;김석철
    • 유기물자원화
    • /
    • 제24권4호
    • /
    • pp.85-94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기능성 커피박 퇴비를 개발하고자 커피박과 커피박 퇴비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커피전문점의 커피박 pH, EC, Zn 함량이 상업용 커피박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K_2O$, CaO, MgO, $Na_2O$, Mn 함량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주요 식물병원균 6종(Rhizoctonia solani, Sclerotinia sclerotiorum, Fusarium oxysporum, Phytophthora capsici, Alternaria alternata, and Botrytis cinerea)에 대한 커피전문점과 상업용 커피박 퇴비의 수용성 추출물의 항균활성을 검정한 결과, 공시한 6종의 식물병원균에 대한 항균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커피박 추출물의 A. altanata 포자발아 억제 및 P. capsici 유주자낭 형성 억제효과를 조사 한 결과, 10% 깻묵+커피박 퇴비 수용성 추출물이 A. altanata의 분생포자 발아관의 신장과 P. capsici의 유주자낭 형성을 유의적으로 억제하였다. 커피박 퇴비의 기능성을 조사하고자 커피박을 90일간 부숙시키면서 30일 간격으로 총 폴리페놀 함량을 조사한 결과, 총 폴리페놀 함량은 부숙시간의 경과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10% 깻묵+커피박 퇴비에서 90일째에 가장 높은 총 페놀 함량인 평균 $0.35{\pm}0.03mg\;GAE/g$로 나타냈다.

솔잎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Effects of Pine (Pinus denstifora) Needle Extracts.)

  • 유지현;차재영;정영기;정경태;조영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863-867
    • /
    • 2004
  • 식물성 성분 중에서 생리활성 인자를 탐색할 목적으로 솔잎의 수용성 추출물에 의한 항산화 활성을 DPPH법, thiocyanate법, TBA법 및 microsome 생 체 막 지 질 과산화물 생성정도를 TBARS법으로 측정 하고, 총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하였다. 솔잎 수용성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화합물 함량은 1.61%이었으며, DPPH 측정법에서는 짙은 자색의 탈색되는 정도로 나타내는 전자 공여능이 솔잎 수용성 추출물의 0.1% 농도에서 BHT와 비슷한 수준으로 항산화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간 microsome을 이용한 생체막 지질 과산화 억제정도는 솔잎 수용성 추출물의 0.1% (67.7%)>0.05% (63.1%)>0.01%(28.2%) 순으로 농도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Linoleic acid 산화 실험계를 이용한 thiocyanate법에서는 0.01%, 0.05%, 0.1%의 농도에서 모두 반응 7일째까지 대조구에 비해 매우 강한 항산화 활성을 보였으며, TBA법에서는 반응 6일째까지 는 0.1%>0.05%>0.01%의 순으로 농도 증가에 따라 항산화 활성도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솔잎 수용성 추출물 중에는 in vitro 항산화 실험에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생리활성 성분이 존재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므로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미성숙 솔방울 열수추출물의 항균성 (Anti-bacterial Effects of Aqueous Extract Purified from the Immature Cone of Red Pine (Pinus densiflora))

  • 정경희;황인식;김지은;이영주;곽문화;이영희;이재호;황대연;정영진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45-52
    • /
    • 2014
  • Red pine (Pinus densiflora) is widely used traditional medicine, pharmacological and nutritional values from which the phytochemical compounds are derived. The present study was aimed to examine the antibacterial effects in the absence and presence of a immature red pine cone extract against 13 microorganisms. The components in the aqueous extract from immature red pine cone were identified by GC-MS. About 1.4% of total polyphenolic compound was measured in aqueous extract collected from immature red pine cone. Also, the high concentration of ${\beta}$-phellenandrene, ${\alpha}$-pinene, limonene, bornyl acetate and aldehyde was detected in total ion chromatograms. Of total 13 microorganisms, 4 microorganisms including Pseudomonas aeruginosa, Vibrio cholera, Listeria monocytogenes, Klebsiella pneumonia were effectively killed by aqueous extract of immature red pine cone. The highest anti-bacterial effect was detected in P. aeruginosa, followed by V. cholera, L. monocytogenes and K. pneumonia. In case of P. aeruginosa, the largest diameter of inhibition zone was maintained to 1/2 solution treated cells and slightly decreased at 1/4 and 1/8 solution treated cells. Also, in test used V. cholera and L. monocytogenes, the inhibition zone was strongly formed in only 1 and 1/2 solution treated cells, while K. pneumonia showed the very small diameter of inhibition zone in all concentrations. Therefore,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aqueous extracts of immature red pine cone should be considered as a new and potentially important anti-bacterial substrate to effectively prevent the microbial infection and pene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