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tal peroxide

검색결과 597건 처리시간 0.025초

30% 과산화수소를 함유한 전문가 미백제의 안전성 평가 (A CLINICAL EVALUATION OF SAFETY OF AN OFFICE BLEACHING GEL CONTAINING 30% HYDROGEN PEROXIDE)

  • 김신영;박재억;김창현;양성은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5권3호
    • /
    • pp.198-210
    • /
    • 2010
  • 30% 과산화수소를 함유한 전문가 미백제인 레메화이트(Remewhite, Remedent Inc., Deurle, Belgium)를 시험군 피험자 37명, 시험용 미백제에서 과산화수소를 제외한 동일한 제재를 대조약으로 대조군 피험자 34명에게 1일 3회씩, 2차례에 걸쳐서 시행하였다. 미백의 임상적 안전성은 전기치수검사, 치은염증지수, 지각과민증, 이상반응, 활력징후 등을 통하여 평가하였다. 미백시행 직후, 14주 후, 26주 후에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30% 과산화수소를 함유한 전문가 미백제를 임상적 적용시에 전기치수검사 결과에서는 미백 전후에 차이가 없었다. 치은염증지수, 지각과민증 평가 결과에서는 시험군에서 다소 경미한 통증 반응이 나타났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사라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30% 과산화수소를 함유한 전문가 미백제를 사용하여 미백시에 임상적 안전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온도에 따라 산화된 Methyl Linoleate의 물리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Methyl Linoleate Oxidized at Various Temperatures)

  • 김인환;김철진;김동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600-605
    • /
    • 1999
  • 산소 존재하에 4가지 온도$(60,\;90,\;120,\;150^{\circ}C)$에서 methyl linoleate를 산화시켰다. 각 온도에서 시간에 따른 과산화물가를 조사한 후 4가지의 산화된 methyl linoleate 총 16종을 제조하여 이들의 과산화물가, 총 산화물함량, 중합체함량 및 그 결합특성, 점도, 굴절률, DSC에 의한 열분해 특성 등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비교하여 보았다. High Performance Size Exclusion Chromatography (HPSEC)에 의하여 분석된 산화된 methyl linoleate의 결합특성은 $60^{\circ}C$$90^{\circ}C$에서 산화된 시료의 경우에는 C-O-O-C 결합형태를 갖는 중합체가 확인되었으나 $120^{\circ}C$$150^{\circ}C$에서는 단지 C-O-C/C-C 결합형태를 갖는 중합체만이 확인되었다. 한편 DSC에 의한 열분해 특성은 과산화물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엔탈피값은 비례적으로 증가하였으나 최대분해온도는 반대로 낮아지는 경향을 보여 주었다. 이상의 물리적 측정치와 화학적 측정치와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DSC에 의한 물리적 측정치들과 과산화 물가 및 C-O-O-C 결합을 갖는 중합체 함량 사이에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 PDF

실험계획법을 이용한 석고 혼입 기포콘크리트의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perties of Foamed Concrete with Plaster Using the Experimental Design)

  • 이상안;김화중;윤상천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7권6호
    • /
    • pp.130-137
    • /
    • 2013
  • 본 연구는 실험계획법을 통하여 과산화수소로 발포된 석고 혼입 경량기포콘크리트로 통계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경량기포콘크리트를 구성하는 각 재료의 혼합비율을 실험인자로 설정하고, 실험을 통해 얻어진 반응변수에 대한 통계적 분석으로 역학적 특성을 평가 하였다. 실험인자는 석고혼입율, 물결합재비 및 발포제첨가비 이며, 반응변수는 겉보기밀도, 압축강도, 휨강도이다. 경량기포콘크리트의 배합은 반응표면설계의 Box-Behnken (B-B)계획법에 의해 총 15회의 실험점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반응변수에 대한 각 설명인자 (석고혼입율, 물결합재비, 발포제첨가비)의 유의확률값은 유의수준 ${\alpha}$=0.05에서 유의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경량기포콘크리트의 겉보기밀도에 대한 반응표면 분석 결과, 물결합재비 와 발포제첨가비만 유의 (${\alpha}$=0.05)한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겉보기밀도와 기포량 및 함수율과의 관계는 반비례함을 확인 알 수 있었다. 경량기포콘크리트의 압축강도에 대한 반응표면 분석 결과, 물결합재비, 발포제첨가비 및 발포제첨가비의 제곱항이 유의 (${\alpha}$=0.05)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경량기포콘크리트의 휨강도에 대한 반응표면 분석 결과, 물결합재비 와 발포제첨가비만 유의 (${\alpha}$=0.05)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다중 반응 최적법을 통해 반응변수들의 목표값을 만족하는 최적조건 영역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항산화물첨가 들깨기름식이가 흰쥐의 혈청과 조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ntioxidants added perilla Oil Diet on Serum and Tissue in Rats)

  • 이인실;조정순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29-38
    • /
    • 1988
  • This study was done to determine the effect of antioxidants added perilla oil diet on the content of cholesterol, vitamin E, and lipid peroxide in serum and tissue of rats. Four groups of experimental diets, such none added perilla oil diet, ascorbic acid added perilla oil diet, vitamin E added perilla oil diet, EDTA added perilla oil diet were fed ad libitum to the 4 weeks white male rats of Sprague-Dawley strain.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 1) The body weight gain in all experimental diet groups was higher than the control gorup and EDTA added diet group was lower than the other experimental diet group, while food intake in vitamin E added diet group was the highest and vitamin C added diet group was the lowest in the control group. 2) Total cholesterol levels in serum of all experimental diet groups were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and especially the level of total cholesterol in none added diet group and vitamin C added diet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3) HDL-cholesterol levels of all experimental diet groups were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and especially none added diet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4) The activities of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 (GOT) in serum of all experimental diet group except EDTA added diet group were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and especially none added diet group was significan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he activites of glutamic pyruvic transaminase (GPT) in serum of all experimental diet groups except vitamin C added group were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5) Vitamin E levels in serum of none added diet group and vitamin C added diet group were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and vitamin E added diet group and EDTA added diet group were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6) Vitamin E levels in liver of all experimental diet groups were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and especially none added diet group and vitamin E added diet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7) Lipid peroxide in serum of all experimental diet group were low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and especially EDTA added diet group. 8) Lipid peroxide in liver and spleen of all experimental diet groups were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and lipid peroxide in kidney of all experimental diet groups except EDTA added diet group were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Four these results, as vitamin C, vitamin E and EDTA added diets have an effect to lipid peroxide by antioxidants, it could be suggested that perilla oil diet has required to add antioxidant because it has not sufficient vitamin E for antioxidant and intake and overtake level of perilla oil diet should be studied to go ahead.

상황버섯의 화학성분 및 생리활성 효과 (Chemical Compounds and Biological Activity of Phellinus baumii)

  • 손미예;서권일;최선영;성낙주;이상원;박석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524-529
    • /
    • 2006
  • 상황버섯의 활용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상황버섯의 화학성분과 그 추출물의 과산화수소 및 아질산염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상황버섯의 총 무기질 함량은 534.3 mg%였으며, K는 224 mg%로 가장 높았고, 총당과 환원당은 각각 56.2%와 9.8%였다. 유리 아미노산 함량은 $16.9{\sim}765.5mg%$범위였으며, 주요 유리 아미노산은 phenylalanine, aspartic acid, glutamic acid, glutamic acid, leucine, serine 및 valine이었는데, 그 중에서 phenylalanine의 함량이 765.5 mg%로 가장 높았다. 상황버섯 메탄올과 열수추출물의 총 페놀성 화합물은 각각 33.3 mg/100 mL와 20.7 mg/100 mL로서, 다른 용매 추출물에 비하여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H_2O_2$ 소거효과는 methanol 추출물 10 ${\mu}g/mL$에서 30분간 반응하였을 때 80%를 나타내어 대조구인 tocopherol 83.1%와 비슷하였다. 아질산염 소거효과는 낮은 pH에서 높았으며, pH 1.2에서 물과 methanol추출물 500 mg/mL은 각각 57.3%와 51.8%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상황버섯의 물과 메탄올 추출물은 $H_2O_2$와 아질산염 소거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수분 부족 스트레스 처리시 Monodehydroascorbate Reductase (MDHAR)의 반응 (Response of Monodehydroascorbate Reductase (MDHAR) in Lettuce (Lactuca sativa L.) Leaves Subjected to Water Deficit Stress)

  • 강상재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73-282
    • /
    • 2008
  • 수분 공급을 제한하여 수분 부족 스트레스를 처리한 상추식물에서 산화적 스트레스와 관련된 monodehydroascorbate reductase (MDHAR)의 활성도, 엽록소 함량, 과산화수소의 함량 등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생육배지의 수분의 함량이 감소함에 따라 식물체내 과산화수소의 생성량이 증가($R^2$=0.8851)하였으며, 수용성단백질 함량은 점차 감소($R^2$=0.9826)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총 엽록소함량은 수분 부족 스트레스를 처리한 공시작물에서의 함량이 정상 생육시 보다 그 함량이 대체적으로 낮은 경향을 보였으며, 엽록소 a와 엽록소 b함량 변화도 총 엽록소의 함량변화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총 엽록소에 대한 카로티노이드의 비율은 수분 부족 스트레스를 처리한 식물에서 정상생육 시 보다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 수분 부족 스트레스가 진행됨에 따라 아스코브산의 함량은 정상 생육 시 보다 더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환원형인 디하이드로아스코브산의 함량은 수분 부족 스트레스를 처리한 초기에 정상생육 시 보다 더 낮은 경향을 보였다. MDHAR의 활성도는 사이토졸(cytosolic) 분획과 엽록체(chloroplastic) 분획에서 공히 크게 증가하였으며 MDHAR의 mRNA 전사 정도도 수분 부족 스트레스가 진행됨에 따라 크게 증가하였다. 수분함량이 감소함에 따라 MDHAR의 활성도가 크게 증가하였으며, 또한 과산화수소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서도 MDHAR의 활성도가 크게 증가($R^2$=0.9937과 0.8645)되어 수분 부족 스트레스로 나타나는 요인들과 MDHAR 사이에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확시기별 제주재래종 감귤과피의 활성산소종 소거활성 (Reactive Oxygen Species Scavenging Activity of Jeju Native Citrus Peel during Maturation)

  • 김용덕;마힌다;고경수;전유진;김수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462-469
    • /
    • 2009
  • 제주재래종 감귤류 10종에 대해서 수확시기별 총 폴리페놀 함량과 활성산소종 소거활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지각과 홍귤이 미숙과인 8월 하순과 9월 하순에 200 mg% 내외로 가장 높았고 대부분의 감귤종이 수확시기가 늦어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수확시기별 감귤과피의 superoxide anion radical 소거활성은 홍귤과 지각에서 60% 이상으로 가장 높았고 사두감이 가장 낮은 활성을 보였으며 홍귤과 지각을 제외한 감귤류의 수확시기별 차이는 크지 않았다. Hydrogen peroxide 소거활성은 8월 하순에 사두감이 73.8%로 가장 높은 소거활성을 나타내었고 그 다음에 지각이 거의 70%의 소거활성을 보였으며, 대부분의 감귤종이 수확시기가 늦어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Hydroxy radical 소거활성은 대부분의 재래감귤종의 과피에서 비교적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지각과 당유자가 8월 하순에 각각 75.1%와 74.6%로 가장 높은 소거활성을 보였고, 그 외 감귤종도 60% 이상의 소거능을 보였으며 수확시기별 차이는 거의 없었다. 감귤이 성숙됨에 따라 hydrogen peroxide 소거능, superoxide anion 라디칼 소거능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나 nitric oxide 라디칼 소거활성은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고, 병귤이 58.4%로 가장 활성이 높았으며 다른 활성산소종에서 활성이 높았던 사두감, 지각, 당유자가 활성이 가장 낮았다. 본 실험결과 제주재래종 감귤 중 특히 지각이 대부분의 활성산소종에 높은 소거활성을 보였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진행될 필요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연꽃수술추출물이 과산화수소로 손상된 배양 인체피부흑색종세포에 대한 항산화효과 및 멜라닌화에 미치는 영향 (Antioxidative Effect and Melanogenesis of Nelumbo nucifera Stamen Extract on Cultured Human Skin Melanoma Cells Injured by Hydrogen Peroxide)

  • 김명섭;박윤점;손영우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45-150
    • /
    • 2010
  • 활성산소의 하나인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 $H_2O_2$)에 대한 세포독성과 이에 대한 연꽃수술(Nelumbo nucifera stamen, NNS)추출물의 항산화효과 및 멜라닌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세포부착율 (cell adhesion activity, CAA)을 비롯한 티로시나제활성저해능 및 총멜라닌합성량을 분석하였다. 본 실험 결과 hydrogen peroxide($H_2O_2$)는 배양 인체피부흑색종세포 (SK-MEL-3)의 CAA를 유의하게 감소시킴으로서 세포독성효과를 나타냈다. 이에 대하여 NNS추출물은 $H_2O_2$의 산화적 손상에 의하여 감소된 CAA를 유의하게 증가시킴으로서 항산화효과를 나타냈다. 한편, $H_2O_2$에 대한 NNS추출물의 멜라닌화에 대한 영향에 있어서 NNS추출물은 $H_2O_2$에 의하여 활성화된 티로시나제활성과 총멜라닌합성량을 감소시킴으로서 멜라닌화에 대하여 억제효과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로 부터 $H_2O_2$는 배양 인체피부흑색종세포에 고독성을 나타냈으며 NNS와 같은 식물추출물은 $H_2O_2$와 같은 활성산소에 의한 산화적 손상 및 멜라닌화를 방어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35% Hydrogen Peroxide Gel의 미백효과 및 법랑질의 변화 (35% Hydrogen Peroxide Gel in the Whitening Effect and Enamel Changes)

  • 이혜진;김민영;김교한;권태엽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255-260
    • /
    • 2008
  • 본 연구는 전문가 미백제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35% hydrogen peroxide를 사용하여 인공적으로 변색시킨 법랑질에 노출시킨 후 법랑질의 색, 경도 및 표면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35% HP 미백처리군의 색조변화량(${\Delta}E^*$)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색조 변화를 보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NBS unit로 환산해본 결과 30분 노출군에서는 appreciable에 해당이 되며 1시간, 2시간 노출군에서 각각 much, very much에 해당이 되어 임상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p < 0.05). 2. 법랑질 표면의 경도를 분석한 결과 대조군에서는 3주동안 거의 변화를 보이지 않은 반면 미백제 노출군에서는 법랑질 표면경도가 매우 낮게 나타났다. 특히 2시간 노출군에서 각 주마다 큰 변화를 보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 < 0.05). 3. 미백처리 전 후의 법랑질 표면에 대한 미세구조를 분석하기 위해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한 결과 미백 후 노출시간이 길수록 법랑질 표면의 불규칙한 표면양상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EDX를 사용하여 법랑질 표면의 성분 분석을 시행해본 결과 모든 군에서 Ca, P의 전반적인 감소를 볼 수 있었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 > 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35% HP 치아 미백은 미백노출 시간이 길어질수록 법랑질 표면에 영향을 미쳐 술후 치아의 시림이나 거칠어짐과 같은 부작용을 야기 할수 있으므로 짧은 기간 동안 정확한 방법으로 전문가에 의하여 시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솔잎 추출물의 기능적 특성과 대두유 산화억제 효과에 관한 연구 (Functional Properties of Pine Needle Extract and Its Antioxidant Effect on Soybean Oil)

  • 정갑섭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7권10호
    • /
    • pp.1139-1146
    • /
    • 2008
  • To investigate the functional properties and the antioxidant effect of pine needle(Pinus densiflora), the pine needle extract was obtained with methanol and its functionality was measured by spectrophotometric method, and the antioxidant experiment on soybean oil was carried out by the active oxygen method. The extraction yield of pine needle with 99% methanol was about 19%, the total flavonoid content of the pine needle-methanol extract was 11.32 mg/g on dry basis and the superoxide dismutase-like activity was 94.3%. The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the extract was pH dependent with the values of 77.44% at pH 1.2, 48.45% at pH 3.0 and 11.04% at pH 6.0, respectively. The peroxide value was 92.6 meq/kg at 5% dosage, 138.4 meq/kg at 2% dosage of the extract on 8 oxidation days. The period of the peroxide value to be 100 mg/kg was 4.9, 6.3 and 8.5 days at control, 2% and 5% dosage of extract, respectively. And the relative antioxidant effectiveness of the extract was 27.9% and 72.3% increase at 2% and 5% dosage, respectively, compared to control. The thiobarbituric acid value showed few differences within 4 oxidation days, but with the dosage of the extract it fairly decreased with considerable antioxidant effect to control above 4 day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