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tal image

검색결과 2,308건 처리시간 0.036초

정신증적 척도에 의한 대학생의 정신건강 평가 (A Study on Psychoticism in College Students)

  • 서혜수;이중훈;정성덕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2권1호
    • /
    • pp.149-159
    • /
    • 1985
  • 영남대학교에 재학중인 5,869명 (남대생 3,893명, 여대생 1,976명)을 대상으로 정신증 척도를 사용하여 평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정신증 척도의 총점은 남대생 $6.81{\pm}5.13$, 여대생 $8.14{\pm}5.05$으로 여대생이 유의하게 높은 성적을 보였다 (P<0.001). 정신증척도의 항목별 성적은 운항 (6) 성문제(sexual problemes)를 제외하고 모두가 여대생에서 유의하게 높은 성적을 보였다. 정신증척도의 성적분포는 20점 이상의 고득점자가 남대생 88명 (2.4%), 여대생 63명 (3.2%)으로 여대생에서 다소 높은 성적을 보였다. 정신증적 경향과 관련된 사회정신의학적 요인들중 남녀 대학생에서 공통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성적을 보인 것은 소속대학 및 현 소속학과 선택에서 불만인 경우 (P<0.001) 그리고 자기 자신의 과거, 현재 및 미래에 대한 비관인 경우 (P<0.001) 등에서 유의하였다. 남대생 단독으로 유의하게 높은 성적을 보인 것은 저학년인 경우 (P<0.001)와 월 잡비별 성적중 일만원 이하일 경우 (P<0.05)였다. 여대생 단독으로 유의하게 높은 성적을 보인 것은 성장지가 중소도시의 경우 (P<0.05)였다. 상관계수 (r=0.40 이상)인 문항들은 정신증적 척도 문항인 (9) 소외감 (r=0.46), (10) 정서불균형 (r=0.43), (5) 고독감 (r=0.40) 등과 우울척도 문항인 (1) 우울감과 사이에 각각 상관이 있었다.

  • PDF

단일 투사 절대 코드 패턴을 이용한 3차원 얼굴 데이터의 유클리디안 복원 (A Euclidean Reconstruction of 3D Face Data Using a One-Shot Absolutely Coded Pattern)

  • 김병우;유선진;이상윤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2권6호
    • /
    • pp.133-140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3차원 얼굴 인식기에서의 입력 데이터로 적합한 얼굴 데이터의 유클리디안 복원 시스템을 제안한다. 카메라 영상을 통한 유클리디안 복원을 위해서는 카메라의 보정정보와 복원할 특징 점의 대응 쌍 정보가 필요한데, 보정정보는 시스템의 변경이 없다면 불변한다. 따라서 고속의 유클리디안 복원을 위해서는 스테레오 영상간의 대응 쌍 정보 획득이 가장 중요하다. 시스템은 두 개의 카메라와 프로젝터 한 대로 구성하며, 피사체에 패턴을 투사하고 두 개의 카메라로부터 영상을 획득함으로써 동작한다. 사용 패턴은 단일 투사 줄무늬 패턴을 사용하며 줄무늬의 색도 정보와 채도 정보를 이용하여 '절대 코드 패턴'을 생성한다. 사용 시스템은 두 개의 카메라를 사용하기 때문에 색도 정보와 채도 정보가 비슷한 두 개의 영상을 얻을 수 있으며 이것은 획득한 두 개의 영상에 있는 줄무늬들에 대해 동일한 절대 라벨을 얻을 수 있게 한다. 절대 라벨링 된 줄무늬는 에피폴라 라인(epipolar line)상의 점들과 일대일 정합을 통해 고속의 3차원 데이터 복원을 가능하게 한다. 제안 방식은 얼굴 데이터에 적용되었으며 정확도와 총 소요 시간의 측정을 통해 제안 방식이 기존 방식에 비해 정확도 면에서 뒤지지 않으면서도 복원 속도 면에서 장점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관형 천연 셀룰로오스막 도관을 이용한 말초신경 재생에 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F PERIPHERAL NERVE REGENERATION BY USING NON-TUBULAR NATURAL CELLULOSE MEMBRANE NERVE CONDUIT)

  • 김성민;이종호;이석근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2권4호
    • /
    • pp.295-307
    • /
    • 2006
  • Styela clava, called non-native tunicate or sea squirt, is habitat which include bays and harbors in Korea and several sites in the sea faced world. We fabricate cellulose membrane nerve conduit (CMNC) from this native sea squirt skin, and evaluate the capacity of promoting peripheral nerve regeneration in the rat sciatic nerve defect model. After processing the pure cellulose membrane from the sea squirt skin as we already published before, CMNC was designed as a non-tubular sheet with 14 mm length and 4 mm width. Total eleven male Spraque-Dawley rats (12 weeks, weighing 250 to 300g) were divided into sham group (n=2), silicone tube grafted control group (n=3) and experimental group (n=6). Each CMNC grafted nerve was evaluated after 4, 8 and 12 week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after 12 weeks, sciatic function was evaluated with sciatic function index (SFI) and gait analysis, and histomorphology of nerve conduit and the innervated tissues of sciatic nerve were all examined using image analyzer and electromicroscopic methods in the all groups. The regenerated axon and nerve sheath were found only in the inner surface of the CMNC after 4 weeks and became more thicker after 8 and 12 weeks. In the TEM study, CMNC grafted group showed more abundant organized myelinated nerve fibers with thickened extracellular matrix than silicone conduit grafted group after 12 weeks. The sciatic function index (SFI) and ankle stance angle (ASA) in the functional evaluation were $-47.2{\pm}3.9$, $35.5^{\circ}{\pm}4.9^{\circ}$ in CMNC grafted group (n=2) and $-80.4{\pm}7.4$, $29.2^{\circ}{\pm}5.3^{\circ}$ in silicone conduit grafted group (n=3), respectively. And the myelinated axon was 41.59% in CMNC group and 9.51% in silicone conduit group to the sham group. The development of a bioactive CMNC to replace autogenous nerve grafts offers a potential and available approach to improved peripheral nerve regeneration. As we already published before, small peptide fragment derived from the basement membrane matrix proteins of squirt skin, which is a kind of anchoring protein composed of glycocalyx, induced the effective axonal regeneration with rapid growth of Schwann cells beneath the inner surface of CMNC. So the possibilities of clinical application as a peripheral nerve regeneration will be able to be suggested.

노천광산 모니터링을 위한 드론 사진측량의 정확도 및 활용성 평가 (Evaluation of Accuracy and Utilization of the Drone Photogrammetry for Open-pit Mine Monitoring)

  • 박준규;엄대용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2호
    • /
    • pp.191-196
    • /
    • 2019
  • 노천광산의 개발은 고지대 산림에 대한 넓은 면적의 지형변화를 가져오며, 심각한 산림 훼손을 야기할 수 있어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드론 사진측량은 기존 유인항공 사진측량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고도에서 수행되므로 비교적 높은 정확도를 보이며, 지상측량 보다 단위 시간 당 작업 가능 영역이 크다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드론 사진측량 기법을 이용하여 대규모 노천광산의 공간정보를 구축하고, 정확도 및 성과물의 활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드론 사진측량 성과물의 정확도는 수평방향으로 0.018~0.063m, 수직방향으로 0.027m~0.088m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1:1,000 수치지형도의 허용정확도를 만족하는 것으로 노천광산 모니터링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구축된 노천광산의 공간정보는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며, 주기적인 촬영에 의한 데이터 관리를 통해 시계열적 변화에 대한 특정 지역의 정량적인 변화를 모니터링 하는데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향후 향후 노천광산 모니터링을 위한 다양한 현장의 추가적 연구가 필요하며, 이를 통해 실무적 차원의 활용성이 제시된다면 드론 사진측량 방법은 기존의 GNSS나 토털스테이션에 비해 작업시간과 비용을 크게 절감하고, 보다 가시적인 데이터의 생성이 가능하기 때문에 업무의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것이다.

LATEST RESULTS OF THE MAXI MISSION

  • MIHARA, TATEHIRO
    • 천문학논총
    • /
    • 제30권2호
    • /
    • pp.559-563
    • /
    • 2015
  • Monitor of All-sky X-ray Image (MAXI) is a Japanese X-ray all-sky surveyer mounted on the International Space Station (ISS). It has been scanning the whole sky since 2009 during every 92-minute ISS rotation. X-ray transients are quickly found by the real-time nova-search program. As a result, MAXI has issued 133 Astronomer's Telegrams and 44 Gamma-ray burst Coordinated Networks so far. MAXI has discovered six new black holes (BH) in 4.5 years. Long-term behaviors of the MAXI BHs can be classified into two types by their outbursts; a fast-rise exponential-decay type and a fast-rise flat-top one. The slit camera is suitable for accumulating data over a long time. MAXI issued a 37-month catalog containing 500 sources above a ~0.6 mCrab detection limit at 4-10 keV in the region ${\mid}{b}{\mid}$ > $10^{\circ}$. The SSC instrument utilizing an X-ray CCD has detected diffuse soft X-rays extending over a large solid angle, such as the Cygnus super bubble. MAXI/SSC has also detcted a Ne emission line from the rapid soft X-ray nova MAXI J0158-744. The overall shapes of outbursts in Be X-ray binaries (BeXRB) are precisely observed with MAXI/GSC. BeXRB have two kinds of outbursts, a normal outburst and a giant one. The peak dates of the subsequent giant outbursts of A0535+26 repeated with a different period than the orbital one. The Be stellar disk is considered to either have a precession motion or a distorted shape. The long-term behaviors of low-mass X-ray binaries (LMXB) containing weakly magnetized neutron stars are investigated. Transient LMXBs (Aql X-1 and 4U 1608-52) repeated outbursts every 200-1000 days, which is understood by the limit-cycle of hydrogen ionization states in the outer accretion disk. A third state (very dim state) in Aql X-1 and 4U 1608-52 was interpreted as the propeller effect in the unified picture of LMXB. Cir X-1 is a peculiar source in the sense that its long-term behavior is not like typical LMXBs. The luminosity sometimes decreases suddenly at periastron. It might be explained by the stripping of the outer accretion disk by a clumpy stellar wind. MAXI observed 64 large flares from 22 active stars (RS CVns, dMe stars, Argol types, young stellar objects) over 4 years. The total energies are $10^{34}-10^{36}$ erg $s^{-1}$. Since MAXI can measure the spectrum (temperature and emission measure), we can estimate the size of the plasma and the magnetic fields. The size sometimes exceeds the size of the star. The magnetic field is in the range of 10-100 gauss, which is a typical value for solar flares.

인포그래픽 관점을 이용한 과학 잡지 분석 (An Analysis of Science Magazine in the View of Infographic)

  • 전성수;정진규;박종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601-611
    • /
    • 2014
  • 본 연구는 과학적 사실, 현상, 첨단 과학 소식, 과학적 이슈 등을 독자들에게 알기 쉽게 제공하기 위한 표현수단으로 인포그래픽을 활용하고 있는 과학동아를 대상으로 인포그래픽의 시계열적 특성을 분석하여 과학 교육에 인포그래픽의 활용 가능성을 짐작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과학동아의 인포그래픽을 분석하기 위해 스토리텔링 유형, 시지각 특성, 프레임워크의 수준을 차원으로 하는 3차원 구성틀을 개발하였다. 이 구성틀에 의해 분석한 결과 과학동아는 1986년부터 2014년까지 이미지를 강조한 과학 기사를 발행하였으며 특히 2008년 이후부터는 인포그래픽이 포함된 기사가 유의미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2008년을 인포그래픽 특성 변화의 중요 기준이 되는 $T_c$(Critical time Point)로 설정하였다. 2008년 이후의 과학 기사의 인포그래픽은 위치, 시간, 수치, 관계, 기능, 과정 기반형의 6가지 스토리텔링 유형이 2008년 이전 보다 다양하게 분포하였고, 게슈탈트 시지각 이론의 시지각 특성(근접성, 유사성, 연속성, 폐쇄성)도 2008년 이후에 더욱 많이 적용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프레임워크의 수준은 위치, 시간, 수치, 과정 기반 인포그래픽은 전체 범위 수준이 주를 이루며 시간의 흐름에 변화가 없는 반면, 기능과 관계 기반 인포그래픽에서는 프레임워크의 수준이 2008년을 기준으로 변화가 나타났다. 인포그래픽 관점에서 과학동아를 분석한 결과를 통해 인포그래픽의 특성이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 분석하여 과학교육에서 인포그래픽을 적용할 때 기초적인 기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복식문화와 여성 (Clothing Culture and Korean Women)

  • 임숙자
    • 복식문화연구
    • /
    • 제4권2호
    • /
    • pp.113-124
    • /
    • 1996
  • This research was designed to find out what is a distictive feature of the design elements of Korean women's costume and its influence by analizing the trend of Korean women's constume during the period of 1890 and 1995. The research was analized by a total of 854 random samples of clothing styles collected from materials in the museums and from articles of three leading newspapers and one of the best women's magazines in Korea. The changing trend of Korean women's costume was found out to be as follows: 1. In around 1910s, the trend of Korean women's costume has been changed into two-tier structure of both Korean and Western styles, and the typical and traditional Korean women's street wears such as 'Chang-ot' and 'Tsdechima' have been gradually diminished. 2. From 1920s, length of the Korean skirt, which was unnecessarily long and inconvenient, has been getting shorter for the convenience of walking. In addition, Korean women's underwear has become simplified, and sports wear could be seen for the first time in Korea. 3. During 1960s, the Western clothing styles have been increased rather than Korean styles as the street wear of the Korean women. 4. In 1970s, blue jeans, mini-skirts and casual wears have become a trend or fashion for women in Korea. 5. In 1980s, a fashion of unisex mode has arrived in this country, and from the year of 1987, wearing of panties among the Korean women has been increased rather than skirts wearing for the street wear. 6. During 1990s, various forma of complex styles came into being in such styles as so-called 'orange class style,' 'protruding navel T-shirts' and 'runner wear speedy.' From mid-1990s, Korean women have turned out to prefer the cute and light costumes by placing emphasis on the image of intellectual, professional and functional wears. The changing special feature of the Korean women's clothing designs could be distinctively observed during 1960s as the modernization policies in Korea have been processed during the period. The clothing trend before 1960 was to change and to solve problems of inconvenient and impractical wears, but the trend after 1960 was seen as a change to confirm a trend of the world fashion. From mid-1990s, however, preference of Korean women's self-conceited conception socially and an unquestionable changing pattern of Korean women's life.

  • PDF

UAV를 활용한 비행고도별 지적기준점 및 필지경계점 정확도 분석 (Accuracy Analysis of Cadastral Control Point and Parcel Boundary Point by Flight Altitude Using UAV)

  • 김정훈;김준현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23-233
    • /
    • 2018
  • 본 연구는 지적기준점과 필지경계점에 대하여 무인항공기를 비행고도별로 40m, 100m로 구분하고 정사영상과 GNSS 지상현황측량을 통한 필지경계점 좌표간의 차이를 비교하여 정확도를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공간해상도 분석에서 비행고도별 정사영상에 대한 평균오차는 40m일 때 0.024m, 100m일 때 0.034m의 정확도로 나타났고, 비행고도 100m보다 40m에서 공간해상도와 위치 정확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비행고도에 따른 지형지물별 영상인식의 정확도 분석을 위해 대공표지 없음, 녹색, 적색의 세가지 경우로 구분하여 비교한 결과 적색의 경우 RMSE가 X=0.039m, Y=0.019m, Z=0.055m로 가장 높은 정확도로 나타났다. 셋째, 정사영상과 현장실측을 통한 좌표를 비교한 결과 지적기준점의 경우 전체 RMSE는 X=0.029m, Y=0.028m, H=0.051m로 나타났고, 필지경계점의 경우 X=0.041m, Y=0.030m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볼 때, 지적측량을 위한 정사영상 관련 법률규정에서 비행고도별 평균오차 0.05m 미만으로 제한한다면, 공간정보취득 뿐만 아니라 지적측량에도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방법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농경지 지역 무인항공기 영상 기반 시계열 수치표고모델 표고 보정 (Elevation Correction of Multi-Temporal Digital Elevation Model based on Unmanned Aerial Vehicle Images over Agricultural Area)

  • 김태헌;박주언;윤예린;이원희;한유경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23-235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무인항공기 영상 기반의 정밀농업(precision agricultural) 구현에 있어 핵심 데이터 중 하나인 수치표고모델의 표고를 보정하기 위한 수치표고모델 표고 보정 방법론을 제시한다. 먼저 정사영상에 방사보정을 수행한 다음 ExG (Excess Green)를 생성한다. ExG에 Otsu 기법을 적용하여 산출된 임계값을 기준으로 비식생지역을 추출한다. 이어서, 비식생지역의 위치에 대응되는 수치표고모델의 표고를 표고 보정을 위한 데이터인 EIFs(Elevation Invariant Features)로 추출한다. 추출된 EIFs 간 차이값을 기반으로 정규화된 Z-score를 산출하여 포함된 특이치를 제거한다. 그리고 선형회귀식을 구성하여 수치표고모델의 표고를 보정함으로써 지상기준점 데이터 없이 고품질의 수치표고모델을 제작한다. 총 10장의 수치표고모델을 활용하여 제안기법을 검증하기 위해 표고 보정 전과 후의 최대/최소값, 평균/표준편차를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검사점을 선정하여 RMSE (Root Mean Square Error)를 산출한 결과, 정확도는 평균 RMSE 0.35m로 도출되었다. 이를 통해 지상기준점 데이터 없이 고품질의 수치표고모델을 제작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전 프레임의 시공간 모션 정보에 의한 예측 탐색 알고리즘 (A Prediction Search Algorithm by using Temporal and Spatial Motion Information from the Previous Frame)

  • 곽성근;위영철;김하진
    •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23-29
    • /
    • 2003
  • 비디오 시퀀스의 현재 블록의 모션 벡터와 이전 블록의 모션 백터는 시간적 상관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이전 프레임 블록들로부터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다면 현재 블록의 오션 추정에 대한 성능을 높일 수 있고 또한 탐색 횟수를 줄임으로써 계산 복잡도를 크게 줄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전 프레임 블록과 주위 블록들의 모션 벡터로부터 예측된 모션 정보를 구하여, 이를 탐색 원점으로 사용하지 않고, 탐색 구간에 따라 적응적으로 해당 초기점으로 탐색 원점을 이동시켜 고속 탐색 패턴을 이용하여 블록 정합을 수행하는 블록 정합 모션 추정 방식을 제안한다. 실험 결과 제안된 방식은 기존의 예측 탐색 방식들에 비해 PSNR 값에 있어서 평균적으로 0.33~0.37[dB] 개선되고 영상에 따라 최고 1.05[dB] 정도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탐색 횟수에서는 기존의 탐색 알고리즘보다 29~97%를 줄일 수 있었고, 정확한 모션 벡터를 찾는 비교에 있어서도 월등히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제안된 방식은 정량적인 결과뿐만 아니라 부호화후 복호화한 영상의 화질에 있어서도 다른 고속 탐색 알고리즘보다 월등히 우수한 화질을 제공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