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tal free amino acid contents

검색결과 711건 처리시간 0.031초

물김(Pyropia sp.)의 생산 시기별 및 지역별 주요 식품 성분 변화 분석 (Analysis of Seasonal and Regional Changes in Major Food Components of Raw Laver Pyropia sp.)

  • 강민균;정민철;박슬기;이장원;조정형;엄성환;허만규;김영목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1권5호
    • /
    • pp.510-517
    • /
    • 2018
  • The study investigated the seasonal and regional changes in the food components of raw laver Pyropia sp.. Samples were obtained monthly from December 2017 to March 2018 at auction markets located in Gangseo-gu, Busan (Nakdong-raw laver), Seocheon-gun, Chungnam, Wando-gun, Jeonnam and Goheung-gun, Jeonnam. The general components, heavy metals and minerals, free amino acids, total phenolic compounds (TPC),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samples were analyzed. No significant physicochemical changes in the moisture, crude lipid, and ash contents were observed in the raw lavers tested. However, the crude protein content of Nakdong-raw laver was the highest in December 2017 at $7.20{\pm}0.28%$ and the content was higher seasonally and regionally than those of the other raw lavers. In addition, the taurine, zinc, manganese and TPC contents of Nakdong-raw laver was higher seasonally and regionally than those of the other raw lavers. The ethanolic extract of Nakdong-raw laver also had higher antioxidant activity, including as DPPH (2,2'-diphenyl-1-picrylhydrazyl) and ABTS (2,2'-azino-bis [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PC and the antioxidant activity. This study is the first analysis of seasonal and regional changes in the major food components of raw laver cultivated in Korea.

Effects of Tannery Wastes on the Fattening of Growing Cattle, Carcass, and Meat Quality

  • Alam, Jahangir;Hossain, Mufazzal;Beg, Anwarul Haque;Nam, Ki-Chang;Lee, Sang-Suk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90-197
    • /
    • 2010
  •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tannery waste protein concentrate (TWPC) on fattening of cattle and the carcass and meat quality, with the aim of replacing the costly commercial protein concentrate (Jasoprot) with a more economical and effective alternative. Twelve young cattle (six male and six female) were fed during the study period on a control diet (T1) with 10% Jasoprot and on two test diets: 5% TWPC + 5% Jasoprot (T2) and 10% TWPC (T3). The test diets significantly affected (p<0.05) live weight gain and profitability compared to the control diet, perhaps due to the increased protein and essential amino acid content, relative to Jasoprot. TWPC was free of aflatoxin. Sensory-evaluated organoleptic scores did not differ among the groups. Chemical composition was normal as other beef and was non toxic especially within recommended chromium level ($1.90{\pm}0.6{\mu}g$) Total lipid contents were higher (p<0.05) in T3, and moisture, ash and crude protein contents were almost similar (p>0.05) among the three groups. It is concluded that TWPC or an equal mixture of TWPC and Jasoprot may be an economic and efficient alternative protein source to Jasoprot in the cattle industry, which minimizes adverse effects on carcass and sensory meat quality.

효소제 처리에 따른 늙은 호박의 추출 특성 (Extract Characteristics of Old Pumpkin on Enzyme Treatment)

  • 윤선주;김경은;정용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302-307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늙은 호박의 효소처리 조건에 따른 추출특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pectinase에 의한 영향에서는 효소제 처리를 한 모든 구가 대조구보다 품질 특성이 우수하였으며, 특히 0.15%(w/w) pectinase 처리구의 품질특성이 가장 높게 분석되었다. 혼합 효소제 처리에서는 pectinase와 cellulase의 단독 처리구에 비해 pectinase와 cellulase의 혼합 효소제의 추출율이 높게 나타났다. 최적 효소제 처리조건 설정을 위한 늙은 호박의 추출조건(I~IV)에서 추출물의 수율은 pectinase와 cellulase를 혼합 처리한 구(III)에서 86.9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가용성 고형분 및 pH는 모든 처리구에서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환원당과 전당 함량은 각각 2.81, 4.60%로 나타난 효소제 혼합 처리구(III)가 높았으며 total carotene은 pectinase 처리구가 5.36mg%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모든 처리구에 대한 아질산염소거능 결과는 pH 6.0을 제죄한 pH 1.2, 3.0, 4.0에서 소거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유리 아미노산 분석에서는 총 함량이 176.85, 171.89 mg%인 II, III 처리구가 무처리구에 비해 높은 함량으로 분석되었으며 citrulline은 I, IV 처리구에서는 분석되지 않았으나 II, III 처리구에서는 1.61, 1.4l mg%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늙은 호박의 추출조건으로는 무처리구보다는 효소제를 처리한 구에서 높은 수율 및 품질의 우수성이 인증되었으며 그 중 III 처리구인 pectinase와 cellulase(0.15 : 0.05, %)를 혼합하여 추출함으로써 추출율 및 품질특성이 우수한 추출물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제스프리 그린 키위의 주요 영양성분 및 헥산 분획물의 신경세포 보호효과 (Nutritional Components of Zespri Green Kiwi Fruit (Actinidia delicosa) and Neuronal Cell Protective Effects of the n-hexane fraction)

  • 진동은;김현주;정지희;조유나;권오준;최성길;허호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369-374
    • /
    • 2014
  • Zespri green kiwi의 무기질은 K, P, Ca 순으로 많았으며,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aspartic acid, arginine 순으로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지방산 함량은 a-linolenic acid, oleic acid 순으로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유리당은 fructose 함량이 가장 높았다. Vitamin C와 ${\beta}$-carotene 함량은 각각 29.21 mg/100 g, $1.35{\mu}g/100g$이었다. Total phenolics는 n-hexane 분획물이 11.83 mg GAE/g으로 가장 높았으며, ABTS radical 소거활성 및 지질 과산화 억제활성에서는 농도 의존적으로 in vitro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oxidative stress에 대한 신경세포 보호효과 역시 농도의존적 경향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볼 때, 생리활성 소재로서의 phenolics를 함유한 kiwi fruit (A.deliciosa)는 in vitro 항산화 활성과 함께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기초로 한 고부가 가치 건강지향식품 소재로서의 활용가치가 높다고 판단된다.

완효성 비료 분시방법에 따른 두물차의 수량 및 품질 (Effect of Split-Application of Slow-Release Fertilizer on Yield and Quality of 2nd Harvested Tea Leaves)

  • 박장현;국용인;최형국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90-194
    • /
    • 2003
  • 두물차의 수량은 관행시비 (4회 분시)에 비해 완효성 비료 9월, 3월 분시 2회 와 3월 1회 분시는 수량차가 없었으나 9월 1회 분시는 감수되었다. 관행시비에 비해 완효성비료 2회 분시가 총 질소, 총 아미노산은 많았고, tannin과 caffeine 함량은 적은 경향이었으며 엽록소, 비타민 C, 유리당 함량과 감칠맛 주성분인 theanine 함량은 차이가 없었다. 형상, 향, 맛 등 제다품질은 완효성 비료 2회 분시가 1회 분시나 관행 시비 (4회 분시)에 비해 우수하였다. 그러나 완효성 비료처리는 토양비료성분 중 질소, 인산, 칼리의 효율성을 향상시켜 차잎 수량 및 품질을 증가시킨다고 생각된다.

시판 넙치용 배합사료의 품질평가 (Quality Evaluation of Commercial Extruded Pellet Diet for Olive Flounder, Paralichtys olivaceus)

  • 지승철;문경수;유진형;이시우;김홍범;정관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291-297
    • /
    • 2005
  • This study evaluated the quality of commercial extruded pellet (EP) diet of five companies (A, B, C, D and E) for olive flounder Paralichtys olivaceus by biochemical analyses, physical properties and growth performance. The proximate analyses of five EP diets showed $3.2-10.0\%$ of moisture, $49.3-55.5\%$ of crude protein, $4.6-14.7\%$ of crude lipid, $7.0-13.8\%$ of crude ash, $0.7-10.5\%$ of crude fiber, $10.0-27.3\%$ of itrogen free extract (NFE), 304.3-395.4kcal/100g of digestible energy (DE) and 6.1-7.1 of calorie/protein ratio (C/P). Peroxide value (POV) was highest in diet D (47.4 meq/kg) as compared to other diets which in the range of 4.0-11.7 meq/kg. Total amino acid contents were ranged from 46.54 to $55.46\%$ with the highest content in diet B and the lowest content in diet C. Essential amino acid of diet C was lowest $(7.43\%)$ as compared to other diets which in the range of $19.43-20.30\%$. Saturated fatty acid was higher in diet A $(37.65\%)$ followed by diet B $(36.32\%)$, diet E$(34.39\%)$, diet C$(30.95\%)$ and diet D$(30.10\%)$. EPA+DHA were highest in diet E$(30.78\%)$ and lowest in diet C$(15.48\%)$. The floating rate after 6 hours on the sea water was highest in diet C$(100\%)$ followed by diet B$(40\%)$ and A$(10\%)$. However, diets D and E were completely settled down after 1 and 2 hours, respectively. The range of relative expansion rate was $27.2-49.3\%$ for all diets and all reached the peak at 2-3 hours. The water absorption rate of diets C and D was lowest, and diet E was highest at 1 hour after deposition of sea water. Growth rate was higher in diet B$(22.3\%)$ and E$(21.3\%)$. Feed efficiency was higher in diet A$(109.7\%)$ and E$(105.3\%)$ and was significantly lowest in diet D$(80.7\%)$. The protein efficiency ratio was highest in diet E (2.72) and lowest in diet D (1.76).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re is a necessity for improvement of nutrients balance and feed physical properties to fulfill the nutrient requirements and digestive characteristics of fishes in commercial EP diets.

열풍 건조한 돼지감자 분말의 영양성분 및 이화학적 특성 분석 (Analysis of Nutritional Components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Hot-air Dried Jerusalem Artichoke (Helianthus tuberosus L.) Powder)

  • 김하늘;유석영;윤원병;장선민;장용진;이옥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73-78
    • /
    • 2014
  • 본 연구는 돼지감자를 이용한 가공식품 개발 시 돼지감자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돼지감자의 영양성분 및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돼지감자의 수분함량은 $5.06{\pm}0.08%$, 조회분 $5.04{\pm}0.03%$, 조단백질은 $8.30{\pm}0.26%$, 조지방 $0.70{\pm}0.16%$, 탄수화물은 80.90%이었다. 돼지감자의 총당 함량은 $50.48{\pm}1.11$ mg/g 이었다. 색도를 측정한 결과 L값은 $94.16{\pm}0.03$, a값은 $0.32{\pm}0.01$, b값은 $0.30{\pm}0.01$로 측정되었다. 돼지감자의 수분결합능은 $4.04{\pm}0.16$ g/g, 수분활성도는 $0.245{\pm}0.005$였다. 돼지감자의 총 아미노산은 $1.337{\times}10^4$ mg/kg였고, 그 중 필수아미노산의 함량은 2,737 mg/kg였다. 아미노산 중 histidine이 7,305 mg/kg로 가장 많았고 leucine이 184.16 mg/kg로 가장 적은 양을 함유하고 있었다. 유리당은 fructose를 0.8%, maltose는 3.2% 함유하고 있었으며 지방산은 linoleic acid가 0.21%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무기질 함량은 K함량이 2,489 mg%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돼지감자의 비타민 C 함량은 $3.43{\pm}0.07$ mg%으로 측정되었다. 총 페놀 함량과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3.06{\pm}0.07$ mg GAE/g, $1.89{\pm}0.03$ mg QE/g으로 나타났다.

질소 비료 시용량에 따른 두물차(Camellia sinensis var. sinensis)의 수량 및 품질 (Effect of Nitrogen Levels on Yield and Quality of 2nd Harvested Tea(Camellia sinensis var. sinensis))

  • 박장현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38-245
    • /
    • 1998
  • 환경오염을 줄임과 동시에 수량과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적절한 질소시비량이 요구된다. 질소시비량에 따른 두물차의 수량과 품질에 관해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험토양은 일반토양보다 유기물($49.9g\;kg^{-1}$)과 유효인산($937mg\;kg^{-1}$) 함량이 높았고, pH(5.07)는 낮은 약산성 토양이었다. 질소시비량이 증가함에 따라 수량은 증가하였으나, 과도한 질소비료시용에 따른 수량증가는 극히 미미한 편이었다($N=60kg\;10a^{-1}$: 392 kg ${\Rightarrow}$ $N=150kg\;10a^{-1}$ : 403kg). 질소시비량이 증가할수록 T-N, total free amino acid, caffeine, chlorophyll 함량은 증가하였으나, vitamin C, tannine 함량은 감소하였다. Theanine을 포함해 11종의 유리아미노산이 분리되었는데 그들중 theanine함량은 $665{\sim}763mg\;100g^{-1}$을 차지했다. 총 지방산과 카테킨 함량은 비료수준 증가와 별 상관이 없었고, 총 지방산 함량은 $1,742{\sim}2,643mg\;100g^{-1}$, 카테킨 함량은 12.47~13.54%이었다. 질소 $60kg\;10a^{-1}$ 처리구가 다른 처리에 비해 관능검사시 0.5~6.0점 더 높은 점수를 받았고, 전질소 함량도 0~0.37% 더 많았다. 질소 $60kg\;10a^{-1}$처리가 다른 처리에 비해 수량 증가율이 컸고, 차 품질관련 성분 및 품질평가도 우수하여 차나무의 적정시비량이라 생각된다.

  • PDF

Aspergillus oryzae를 이용한 캡슐형 메주의 품질특성 (Quality Properties of Capsule Type Meju Prepared with Aspergillus oryzae)

  • 최재훈;권선화;이상원;남상해;최상도;박석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339-346
    • /
    • 2003
  • 전통메주의 표면에서 발생하는 야생곰팡이 착생, 유해곰팡이에 대한 mycotoxin 생성 및 메주 표면의 과도한 건조 등을 해결하기 위하여 메주 외층에 Aspergillus oryzae로 만든 쌀 종국(0.3%, w/w)을 혼합시킨 증자 검정콩으로 얇게 코팅한 후, $25^{\circ}C$, 상대습도 80%에서 14일간 발효시킨 캡슐형 메주를 개발하였다. 캡슐형 메주의 표면에서 야생곰팡이의 오염은 발견되지 않았으나, 대조구 메주는 12일 이후에 푸른곰팡이가 많이 관찰되었다. 메주의 수분 함량은 평균 32.7%로서 34.7~29.4%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적정산도는 캡슐형 메주가 대조구 메주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대두 캡슐형 메주와 검정콩 캡슐형 메주는 비슷하게 나타났다. 유리당의 함량은 검정콩 캡슐형 메주가 123.98 mg%로 대조구 메주 15.02 mg%와 대두 캡슐형 메주 59.85 mg%보다 각각 10배, 2.1배 높게 나타났다. 아미노산성 질소의 함량은 대조구 메주에서 147.00 mg%였으며, 검정콩 캡슐형 메주는 255.50 mg%로서 대두 캡슐형 메주 187.25 mg%보다 약 1.37배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총 유기산의 함량은 캡슐형 메주(대두 119.98 mg%, 검정콩 95.94 mg%)가 대조구 메주 (26.44 mg%)보다 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캡슐화에 따라 lactic acid와 malic acid가 가장 큰 변화를 나타내었다. 색차계 색도는 검정콩 캡슐형 메주가 대두 캡슐형 메주보다 명도값(L)이 크게 나타났으며, 지방산 조성은 메주의 종류에 따라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총 유리 아미노산의 함량은 검정콩 캡슐형 메주(1039.70 mg%)가 대두 캡슐형 메주(556.07 mg%)와 대조구 메주(236.45 mg%)에 비하여 각각 2.4배, 4.4배 높았다.후부터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0.33$\pm$0.08 to 0.32$\pm$0.08, 0.31$\pm$0.07, and 0.27$\pm$0.05*, p<0.01:술 전과 비교). 결론: 심실중격결손증 수술 후 심실의 수축기 시간 간격은 술 후 1년 후까지도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이 기간동안에는 추적관찰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경미하게 나타났으며, 이는 2% 흥국 첨가식이의 섭취로 인한 bromobenzene 대사 및 유해산소 해독의 촉진에 기인되기 때문일 것으로 생각된다.다.과 및 지질과산화억제효과의 순과 일치하였다. 총 flavonoid 함량은 DPPH 라디칼 제거효과에 대한 $IC_{50}$/ 값과 높은 상관관계(r=-0.9924, p<0.01)를 나타내었다.이 우수한 심근보호 효과를 나타내나, 허혈시간이 2시간을 초과하면 심근의 혈역학적 기능과 미세구조의 변화는 중등도의 저온(22∼24$^{\circ}C$)에서 유의하게 악화되었다. 이 같은 결과로 볼 때 심근 허혈시간이 2시간을 초과한다면 심근 온도를 낮추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7.2, with 64.0% of office workers having an average level between 6- and 9. The degree of stress was higher for females than males, for unmarried salaried and hot-tempered persons. Those not doing exercise were subject to the highest levels of stress, and those a having sufficient sleep were found to be subject

매화의 품종과 건조방법에 따른 화학성분 조성 (Chemical Composition of Prunus mume Flower Varieties and Drying Method)

  • 김용두;정명화;구이란;조인경;곽상호;김보은;김기만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86-191
    • /
    • 2006
  • 매화의 품종과 건조방법에 따른 화학성분을 분석하여 매화차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이용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한 결과 매화의 건조별, 품종별 일반성분은 생화를 기준으로 수분 함량은 $82.5{\sim}84.2%$, 조섬유 $2.5{\sim}3.1%$, 조단백질 $2.6{\sim}3.1%$, 조지방 $0.67{\sim}0.84%$, 조회분 $0.22{\sim}0.60%$ 이었으며, 가용성 무질소물은 $10.1{\sim}11.2%$로 나타났으며, 동결 건조에서는 수분 16.4%, 음건 13.3%로 나타났다. 품종에 따른 일반성분은 회분 함량을 제외하고는 큰 차이가 없었다. 매화의 생화, 동결건조, 음건의 유리당 분석결과 fructose, glucose가 검출되었으며 sucrose는 생화를 제외한 동결건조와 음건시료에서 미량 검출되었다. 품종에 따른 유리당 함량은 큰 차이가 없었다. 청축 생화 유기산 분석결과 citric acid, malic acid가 각각 0.82%, 0.41% 검출 되었고 품종별 함량은 청축>고성>백가하순으로 나타났다. 매화의 품종별 무기성분의 함량은 3품종 모두 K가 가장 높았으며 건조별 무기성분 함량을 보면 음건한 시료가 동결 건조된 시료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주요 지방산으로는 각각의 품종별로 palmitoleic acid가 가장 많았고 건조별로는 지방산 함량이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화의 비타민 C 함량은 청축의 경우 생화 64.3 mg%, 동결건조 480.5 mg%, 음건 442.3 mg%로 나타났다. 품종별로 구성 아미노산의 함량을 살펴보면 세 품종 모두 aspartic acid의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유리아미노산의 경우 총 함량은 청축>백가하>고성 순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