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tal flavanoid contents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7초

Extraction Conditions for Phenolic Compounds with Antioxidant Activities from White Rose Petals

  • Choi, Jae Kwon;Lee, Yoon Bok;Lee, Kyun Hee;Im, Hae Cheon;Kim, Yun Bae;Choi, Ehn Kyoung;Joo, Seong Soo;Jang, Su Kil;Han, Nam Soo;Kim, Chung Ho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8권2호
    • /
    • pp.117-124
    • /
    • 2015
  • The extract of white rose petals has an antioxidant effect and can be used to treat allergic disea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optimal conditions for extracting antioxidative compounds from white rose petals with 2,2-diphenyl-1-picrylhydrazyl scavenging activities. A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based on a central composite design was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ree independent variables: ethanol concentration ($X_1$), extraction temperature ($X_2$), and extraction time ($X_3$). The estimated optimal conditions for obtaining phenolic compounds with antioxidant activities were as follows: ethanol concentration of 42% ($X_1$), extraction time of 80 min ($X_3$), and extraction temperature of $75^{\circ}C$ ($X_2$). The estimated optimal conditions for obtaining flavonoid compounds with antioxidant effects were an ethanol concentration of 41% ($X_1$), extraction time of 119 min ($X_3$), and an extraction temperature of $75^{\circ}C$ ($X_2$). Under these conditions, predicted response values for the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s were 243.5 mg gallic acid equivalent/g dry mass and 19.93 mg catechin equivalent (CE)/g dry mass, respectively.

자두와인 내 폴리페놀 화합물의 항산화 및 항바이러스 활성 (Antioxidant and Antiviral Activities of Polyphenolics in Plum Wine)

  • 강병태;권두한;최화정;김순희;박동철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891-896
    • /
    • 2008
  • 피자두와 후무사로 만든 자두와인 내 총 페놀화합물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비교분석한 결과, 총 페놀화합물은 피자두 와인 ($478.4{\pm}5.6\;mg/L$)이 후무사 와인 ($200.6{\pm}7.5\;mg/L$)보다 2배,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피자두 와인 ($202.4{\pm}7.5\;mg/L$)이 후무사 와인 ($64.4{\pm}6.8\;mg/L$)보다 3배 이상 많았다. 자두와인 자체의 항산화 효과를 DPPH 전자공여능으로 비교분석하였을 때 정제된 페놀화합물보다 그 활성이 크게 낮았으나, ethyl acetate로 추출한 중성 페놀화합물과 산성 페놀화합물의 항산화 활성은 mg/mL의 농도에서 정제된 페놀화합물과 비슷하게 나타났다. 특히, 중성페놀화합물의 경우, $100{\mu}g/mL$의 농도에서 64.5%의 전자공여능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동일 농도의 정제된 페놀화합물(chlorogenic acid 15.5%, quercetin 24.6%)의 활성보다 3배 이상 높은 값이었다. vero cell에 돼지설사바이러스(PEDV)를 감염시켜 페놀화합물의 항바이러스 활성을 분석한 결과 중성 페놀화합물이 저농도 ($10\;{\mu}g/mL$이하)에서 상용 항바이러스제인 ribavirin보다 세포독성효과 (CPE)를 더 억제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종류의 페놀화합물간에는 중성 페놀화합물이 산성 페놀화합물에 비해 최대 1.5배 정도 더 높은 항바이러스 활성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고농도 ($100\;{\mu}g/mL$)에서는 ribavirin이 페놀화합물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정상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은 모든 실험군에서 나타나지 않아 페놀화합물의 항바이러스 활성이 바이러스 특이적인 효과임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