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tal bacteria

검색결과 3,161건 처리시간 0.03초

군산부근 조간대에서의 해양종속영양 세균의 계절적 분포와 특성 (Seasonal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Heterotrophic Marine Bacteria in the Intertidal Zone Near Kunsan of Yellow Sea, Korea)

  • 이건형;김상진;이원호;이다미
    • 미생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31-336
    • /
    • 1990
  • Annual distribution of hiterotrophic marine bacteria and seasonal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in the intertidal waters and sediments in the vicinity of Kunsan of Yellow Sea, Korea. Annual distribution of heterotrophic marine bacteria ranged from $ 7.5*10^{2}$ to $1.1*10^{5}$ c.f.u./ml in water and from $1.6*10 ^{4}$ to $4.8*10^{6}$ c.f.u.per g dry sediments. As for the morphological distribution measured by epifluorescence microscopy, rod-form bacteria were distributed more than 74% of total observed bacteria during surveying periods. Average biovolume of sampled bacteria ranged from $3.19\;+-\;0.59*10^{-2}$ to $6.19\;+-\;0.76*10^{-2}$ $\mu$$m^{3}$ for coccus-form bacteria. Isolated bacteria showed various utilization of carbon sources such as glucose, maltose, lactose, xylose and arabinose, and showed tolerance at various range of salinity. It was isolated 82 genus in seawater and 114 genus in sediments. Dominant genera were Pseudomonas, Vibrio, Flavobacterium and Acinetobacter in seawater, and Pseudomonas, Acinetobacter, Vibrio, and Mycobacterium in sediments.

  • PDF

부추첨가 김치의 발효특성 변화 (Changes i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Kimchi Added with Leek)

  • 이귀주;김유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780-785
    • /
    • 1999
  • The effect of addition in different amounts of leek(4, 8, 12% respectively) during fermentation of kimchi was investigate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such as pH, acidity and total reducing sugars as well as microbiological properties were determined. During fermentation, pH was more slowly lowered in kimchi added with leek than in control and titrable acidity of these kimchi was lower than that of control. Viable cells of total bacteria and lactic acid bacteria in these kimchi were higher than that of control during fermentation. Content of total reducing sugars was higher than that of control. Three kinds of reducing sugars such as fructose, glucose and galactose were detected and the dominant one appeared to be fructose.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addition of leek seems to retard fermentation of kimchi due to their anti microbial actvity.

  • PDF

효소와 유산균 전처리 밀싹분말의 이화학적 성분 및 항산화 활성 (Physicochemical Components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Wheat Sprout Powder Prepared by the Enzyme and the Lactic Acid Bacteria)

  • 주뤠이위;박영민;오종철;유현희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459-472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hysicochemical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wheat sprout powder prepared by the enzymatic hydrolysis and lactic acid bacteria treatment. The four kinds of pre-treatment were: no treatment (WP), treated with enzyme (WPE), treated with lactic acid bacteria (WPL), and treated with enzyme and lactic acid bacteria (WPEL) were applied to the wheat sprout powder. The WPEL had higher total free amino acid and essential amino acid content than the other samples. As for the volatile aroma of the wheat sprout powder, 29 types of compounds were identified in the WP and WPL, 28 types in the WPE, and 27 types in the WPEL, respectively. The total polyphenols and flavonoids contents, in the wheat sprout powder was enhanced with the enzyme and the lactic acid bacteria pre-treatment. The WPEL had highes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The overall acceptability was the highest at 6.24 points in the WPEL. Based on these observations, it was confirmed that the enzyme and lactic acid bacteria pre-treatment could improve the antioxidant activities and active component of the wheat sprout powder.

Impacts of Soil Texture on Microbial Community of Orchard Soils in Gyeongnam Province

  • Kim, Min Keun;Sonn, Yeon-Kyu;Weon, Hang-Yeon;Heo, Jae-Young;Jeong, Jeong-Seok;Choi, Yong-Jo;Lee, Sang-Dae;Shin, Hyun-Yul;Ok, Yong Sik;Lee, Young Han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81-86
    • /
    • 2015
  • Soil management for orchard depends on the effects of soil microbial activities. The present study evaluated the soil microbial community of 25 orchard (5 sites for sandy loam, 7 sites for silt loam, and 13 sites for loam) in Gyeongnam Province by fatty acid methyl ester (FAME) method. The average values for 25 orchard soil samples were $270nmol\;g^{-1}$ of total FAMEs, $72nmol\;g^{-1}$ of total bacteria, $34nmol\;g^{-1}$ of Gram-negative bacteria, $34nmol\;g^{-1}$ of Gram-positive bacteria, $6nmol\;g^{-1}$ of actinomycetes, $49nmol\;g^{-1}$ of fungi, and $7nmol\;g^{-1}$ of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In addition, silt loam soils had significantly low ratio of cy17:0 to $16:1{\omega}7c$ and cy19:0 to $18:1{\omega}7c$ compared with those of loam soils (p < 0.05), indicating that microbial activity increased. The average soil microbial communities in the orchard soils were 26.7% of bacteria, 17.9% of fungi, 12.6% of Gram-negative bacteria, 12.5% of Gram-positive bacteria, 2.5% of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and 2.2% of actinomycetes. The soil microbial community of Gram-negative bacteria in silt loam soil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sandy loam and loam soils (p < 0.05).

형광현미경을 이용한 음용 지하수내 배양불능 세균의 관찰 및 정량적 평가 (The Observation and a Quantitative Evaluation of Viable but Non-Culturable Bacteria in Potable Groundwater Using Epifluorescence Microscopy)

  • 김인기;;황경숙
    • 미생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180-185
    • /
    • 2002
  • 직접생균수측정법(direct viable count; DVC)과 평판법(p1ate count; PC)을 이용하여 시판되고 있는 먹는샘물, 약수, 도시 인근 지역과 축산농가 밀집지역의 음용 지하수로부터 채수된 시료에 대하여 정략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DVC법에 의한 생균수는 전균수(total direct count: TDC)의 약 30~80%, 평판법에 의한 생균수는 DVC의 약1~30%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지하수내에 배양 불가능한(viable but non-culturable: VBNC)세균이 높은 비율로 존재함이라고 판단된다. 한편, 통상농도의 영양배지(nutrient broth; NB)와 이를 $10^-2 -2/배로 희석한 영양배지(diluted nutrient broth; DNB)및 R2A배지를 이용하여 계수한 결과, 통상농도의 NB배지에 비해 저영양배지인 DNB와 R2A에서 2~50배 이상 높은 계수치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지하수와 같이 빈영양한 환경 내에는 통상농도의 NB배지에서는 중식이 현저히 저해되고 저영양배지에서 중식 가능한 저영양세균이 다수 분포해 있음이라 판단되었다.

방사선 조사가 Ethylene oxide 처리가 건조수산가공품(건새우, 건멸치)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amma Irradiation and Ethylene Oxide Fumigation on the Quality of Dried Marine Products (Shrimp, Anchovy))

  • 조한옥;변명우;권중호;이재원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21-27
    • /
    • 1987
  • 건조수산가공품의 새로운 살균, 저장법의 개발을 목적으로 건새우 및 건멸치 분말의 현행 살균방법인 ethylene oxide에 의한 훈증처리와 방사선 조사와의 미생물 살균효과 및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료의 미생물 오염은 중온성 전세균이 $10^{3}-10^{7}/g$, 내열성 세균이 $10^{2}~10^{4}/g$, 내산성 세균이 $10^{2}-10^{6}/g$ 정도였고, 내삼투압성 곰팡이를 포함한 곰팡이류와 대장균군도 건새우에서 $10^{2}/g$ 이상 오염되었다. 살균효과 실험에서 중온성 전세균, 내열성 세균 및 내산성 세균은 5~7 kGy 조사로 2-4 log cycles 정도 격감되었고, 7-10 kGy 조사로서 허용한계 이하로 살균되었으며, 이들의 D10값은 1.53~2.73 kGy였다. 곰팡이와 대장균군은 5~7 kGy 조사로 완전 사멸되었다. 한편 ethylene oxide 처리는 전 미생물의 살균이 불충분하였다. 이화학적 특성 즉 TBA가, TMA-N 함량, 아미노산, 무기질, 색도는 적정선량의 조사로는 무처리군과 거의 차이가 없었으나 ethylene oxide 처리군은 심한 품질의 변화를 보였다. 실온에서 3개월 저장 후 관능적 품질평가에서도 감마선 조사군이 ethylene oxide 처리 및 무처리군 보다 우수하게 나타났다.

  • PDF

GAP 인증·미인증 상추 및 오이 농가의 미생물학적 오염도 평가 (Investigation of Microbial Contamination Levels between GAP and non-GAP Certified Farms of Lettuce and Cucumber)

  • 김정숙;정덕화;심원보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414-419
    • /
    • 2016
  • 본 연구는 상추와 오이의 GAP 인증 및 미인증 농가를 대상으로 토양, 용수, 작물 (상추, 오이), 장갑, 포장재 (비닐)에 대한 미생물 오염도를 비교 평가하고 농가의 위생관리 실태를 조사하여 GAP 인증 농가에 대한 미생물학적 안전성 강화를 위한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미생물 오염도 조사 결과 상추 농장의 경우 위생지표세균 오염도는 GAP 인증 농가가 미인증 농가 보다 조금 낮거나 유사하였고, 병원성미생물인 S. aureus와 B. cereus는 GAP 인증 농가의 토양과 용수에서 미인증 농가 보다 높게 검출되었다. 오이농장은 토양의 대장균군과 B. cereus, 장갑의 일반세균 및 대장균군 오염도가 GAP 미인증 농가보다 GAP 인증 농가에서 높았고, 그 외에는 GAP 인증 농가와 미인증 농가가 유사한 오염도를 나타내었다. 전체적으로 결과를 비교했을 때 GAP 인증 농가와 미인증 농가의 미생물 오염도 수준이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어 GAP를 인증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미생물에 대한 관리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가의 위생관리 실태 조사 결과에서는 GAP 인증 농가가 미인증 농가보다는 미생물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노력들을 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GAP 인증 및 미인증 농가 모두 농업용수의 관리와 작업 시 사용되는 작업자의 장갑 관리에 있어서는 미흡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농산물의 미생물 오염방지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고 GAP 인증을 개선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김밥 제조공정에서의 미생물 오염도 평가 및 감마선 조사를 이용한 김밥의 보존안정성 향상 (Determination of Microbial Contamination in the Process of Rice Rolled in Dried Laver and Improvement of Shelf-life by Gamma Irradiation)

  • 김동호;송현파;김재경;김정옥;이현자;변명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7호
    • /
    • pp.991-996
    • /
    • 2003
  • 김밥 원료 및 김밥 보존 중의 일반 호기성세균과 대장균군의 분포를 측정하고 감마선 조사에 의한 김밥의 위생성 및 보존성 개선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김밥 원료 중 미생물 오염이 가장 큰 것은 김이었으며 비가열 채소인 오이의 오염가능성도 높았으나 실제로 김밥에 오염된 미생물의 대부분은 제조과정에서 환경으로부터 유입되었다. 김밥의 보존 중 일반세균의 생장은 밥과 계란에서 가장 높았으며 대장균군의 생장은 동물성 원료인 계란과 햄에서 현저하였다. 김밥의 감마선 조사에서 일반세균은 2kGy 이상의 선량에서 2∼4 log cycle 수준으로 감소하였으며 대장균군은 2 kGy 이상의 선량에서 대부분 사멸되었다. 감마선 조사선량에 따른 김밥의 관능평가 결과 3 kGy 조사구는 대조구에 비하여 관능적인 선호도가 현저히 낮았으며 2 kGy 조사구는 감마선 조사 직후 대조구에 비하여 다소 선호도가 낮았으나 15$^{\circ}C$에서 24시간 보존 후에도 안정적인 관능특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김밥의 위생성 및 보존성 개선을 위하여 2 kGy의 감마선 조사가 적정 수준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초고압 처리에 의한 좁쌀탁주의 미생물 살균 및 효소 불활성화 (Inactivation of Microorganisms and Enzymes in Foxtail Millet Takju by High Hydrostatic Pressure Treatment)

  • 좌미경;임상빈;목철균;박영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26-230
    • /
    • 2001
  • 좁쌀탁주를 초고압으로 처리하여 미생물 살균 및 효소불활성화의 효과를 측정하였다. 무처리 좁쌀탁주의 세균은 $6.8{\times}10^7\;CFU/mL$, 젖산균은 $1.3{\times}10^8\;CFU/mL$, 효모는 $8.4{\times}10^7\;CFU/mL$이었다. 좁쌀탁주를 상압에서 열처리($65^{\circ}C$/30분)하였을 때 젖산균과 효모는 완전히 사멸되었으나 세균은 $2.2{\times}10^5\;CFU/mL$ 잔존하였다. 좁쌀탁주를 초고압으로 처리한 결과 젖산균과 효모는 압력의 증가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400 MPa에서는 완전히 사멸되었다. 세균은 상온에서 압력을 600 MPa로 높여도 멸균되지 않았으며, 400 MPa/10분에서 처리온도의 증가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66^{\circ}C$에서도 완전히 사멸되지 않았으며, $66^{\circ}C/400$ MPa에서 60분, 600 MPa에서 10분 처리로 완전히 사멸되었다. ${\alpha}-amylase$의 활성은 처리압력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상온/600 MPa/10분에서 73.2% 잔존한 반면, glucoamylase의 활성은 압력의 증가에 따라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다. 400 MPa에서 처리온도의 증가에 따라 ${\alpha}-amylase$와 glucoamylase 모두 활성이 감소하였는데, $66^{\circ}C$에서 ${\alpha}-amylase$는 59.7%, glucoamylase는 20.5% 불활성화되었다. 가열처리($65^{\circ}C$, 30 분)에 의한 ${\alpha}-amylase$의 잔존활성은 14.1%이었는데 반하여, $66^{\circ}C/600\;MPa$에서 30분 처리로 잔존활성이 1.2% 이하가 되었다.

  • PDF

이산화염소수 또는 푸마르산 처리된 고추, 생강, 당근의 미생물학적 변화 (Microbial Changes in Hot Peppers, Ginger, and Carrots Treated with Aqueous Chlorine Dioxide or Fumaric Acid)

  • 김민희;김윤정;김관수;송영복;서원준;송경빈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1013-1017
    • /
    • 2009
  • 이산화염소수 또는 푸마르산이 전처리된 고추, 생강, 당근의 초기 미생물수 감소 효과에 관한 연구를 하기 위하여 이산화염소수 5, 10, 50 ppm과 푸마르산 0.1, 0.3, 0.5%를 고추, 생강, 당근에 5분간 각각 처리하였다. 이산화염소수와 푸마르산 전처리는 총균수, 효모와 곰팡이 수를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는데, 특히 50 ppm의 이산화염소수를 고추에 처리 시 총균수, 효모 및 곰팡이 수가 1.52, 1.81 log CFU/g 감소시킨 반면 0.5% 푸마르산의 처리는 총균수, 효모 및 곰팡이를 완전히 제거하였다. 또한 50 ppm의 이산화염소수 처리된 생강은 총균수, 효모와 곰팡이 수가 0.53, 0.92 log CFU/g 감소를 보였고, 푸마르산의 처리는 1.44, 1.28 log CFU/g 감소시켰다. 당근에 50 ppm의 이산화염소수 처리시 총균수, 효모 및 곰팡이 수를 1.76, 2.22 log CFU/g까지 줄였고 푸마르산 처리는 1.94, 1.73 log CFU/g 감소를 보였다. 따라서 이산화염소수와 푸마르산 전처리가 고추, 생강, 당근의 초기 미생물 수 감소에 효과적인 전처리 방법이라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