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tal SOD

검색결과 890건 처리시간 0.027초

고온기 생균제 급여가 육계의 혈액, 소장 점막 및 간 조직에서 항산화 생화학 지표 및 항산화 효소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obiotics on Antioxidant Biochemical Parameters and Antioxidant Enzymesin the Blood, Intestinal Mucosal Tissues and Liver of Broiler Chicks under High Ambient Temperature Conditions)

  • 서문강민;장인석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09-118
    • /
    • 2023
  • 본 연구는 고온기 복합생균제(L. plantarum, B. subtilis, Saccharomyces cerevisiae) 급여가 육계의 항산화 방어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대조군(CON), 0.25% 생균제 급여군(LPB) 및 0.5% 생균제 급여군(HPB) 등 3 처리군으로 설정하여 혈장, 소장 점막 및 간 조직에서 항산화 지표를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혈장 total protein, albumin, bloodurea nitrogen(BUN) 및 glutathione(GSH) 수준 등 질소화합물은 처리군 간 차이가 없었다. 혈장에서 조사한 항산화 효소 superoxide dismutase(SOD), glutathione peroxidase(GPX)와 glutathione S-transferase(GST) 및 지질과산화(MDA) 역시 생균제 급여에 따른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소장점막조직에서 SOD 활성도는 0.5% 생균제 급여군(HPB)에서 대조군과 LPB군 보다 유의하게(P<0.05) 증가하였다. 소장 점막조직의 MDA 수준은 대조군보다 HPB군에서 현저하게(P<0.05) 감소하였다. 그러나 소장 점막조직의 GPX와 GST 활성도는 생균제 급여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간 조직에 존재하는 SOD, GPX, GST 활성도 및 MDA 수준은 생균제 급여와 급여 수준에 따른 영향을 받지 않았고 모든 군에서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따라서 HPB군의 소장 점막조직에서 SOD 활성도가 증가하고 지질과산화도가 감소하는 결과로 보아 고온기에 0.5% 생균제 급여는 육계 소장 점막조직의 항산화 방어작용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Fenofibrate decreases radiation sensitivity via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alpha}$-mediated superoxide dismutase induction in HeLa cells

  • Liu, Xianguang;Jang, Seong-Soon;An, Zhengzhe;Song, Hye-Jin;Kim, Won-Dong;Yu, Jae-Ran;Park, Woo-Yoon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30권2호
    • /
    • pp.88-95
    • /
    • 2012
  • Purpose: The fibrates are ligands for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PPAR) ${\alpha}$ and used clinically as hypolipidemic drugs. The fibrates are known to cause peroxisome proliferation, enhance superoxide dismutase (SOD) expression and catalase activity. The antioxidant actions of the fibrates may modify radiation sensitivity. Here, we investigated the change of the radiation sensitivity in two cervix cancer cell lines in combination with fenofibrate (FF). Materials and Methods: Activity and protein expression of SOD were measured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FF. The mRNA expressions were measured by using real time reverse-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Combined cytotoxic effect of FF and radiation was measured by using clonogenic assay. Results: In HeLa cells total SOD activity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FF doses up to 30 ${\mu}M$. In the other hand, the catalase activity was increased a little. As with activity the protein expression of SOD1 and SOD2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doses of FF. The mRNAs of SOD1, SOD2, $PPAR{\alpha}$ and $PPAR{\gamma}$ were increased with increasing doses of FF. The reactive oxygen species (ROS) produced by radiation was decreased by preincubation with FF. The surviving fractions (SF) by combining FF and radiation was higher than those of radiation alone. In Me180 cells SOD and catalase activity were not increased with FF. Also, the mRNAs of SOD1, SOD2, and $PPAR{\alpha}$ were not increased with FF. However, the mRNA of $PPAR{\gamma}$ was increased with FF. Conclusion: FF can reduce radiation sensitivity by ROS scavenging via SOD induction in HeLa. SOD induction by FF is related with $PPAR{\alpha}$.

사람의 세포질 Superoxide Dismutase 유전자의 클로닝과 대장균내에서의 대량발현에 관한 연구 (Molecular Cloning and High-Level Expression of Human Cytoplasmic Superoxide Dismutase Gene in Escherichia coli)

  • 이우길;김영호;양중익;노현모
    • 미생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91-97
    • /
    • 1990
  • 생체내의 유해산소를 제거하는 superoxide dismutase (superoxide : superoxide oxidoreductase E.C.1.15.1.1) 중 세포질내에서 그 활성을 지니는 인체의 세포질 superoxide dismuta~ie (SODl) 유전자를 사람의 간 cDNA library로부터 동위원소로 표지된 oligonucleotide probe를 이용, in situ plaque hybridization 방법으로 선별 분리하여 내장균 벡터로 클로닝하였다. 이 클론은 SOD1 유전자의 5"L"TR과 3’UTR을 포함한 1.6 kb 정도의 cDNA였다 SOD1 구조유전자만을 선택적으로 분리하기 위해서 ATG를 포함하는 sense strand primer와 3’UTR 부위의 antisense strand primer를 이용하여 중합효소연쇄반응(Polymerase Chain Reaction) 방법을 써서 SOD1 구조유전자 부위만을 선택적으로 증폭시켰다. Taq DNA polymerase에 의해 증폭된 DNA를 벡터 pUCl9의 multiple cloning site (MCS) 내의 Hinc II 위치에 넣였으며 이 insert DNA를 M13 mp19으로 옮겨 dideoxy chain termination 방법으로 sequenase를 사용하여 염기서열을 결정하였다. 클론닝된 cDNA는 153개의 아미노산을 포함하고 있는 하나의 open reading frame (ORF)을 가셨다. 중합효소연쇄반응에 의해 이때 증폭된 SOD1 구조유전자를 $\lambda P_{L}$ 프로모터를 포함하고 있는 발현 벡터 pUPL에 옮긴 후 대장균에서 대량으로 발현시켰다. 이때 발현된 단백질 SOD1은 고유의 효소활성을 가지고 있었다.

  • PDF

익수강지령(益壽降脂靈)이 흰쥐의 고지혈증 병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ksugangjiryung on Hyperlipidemia in Rats)

  • 노현숙;김정범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1283-1292
    • /
    • 2008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hyperlipidemia-healing effect of water extract from Iksukangjiryung, it was performed on the hyperlipidemia of rats induced by Triton WR-1339 and high cholesterol diet. We prepared two types of hyperlipidemia model in rats induced by Triton WR-1339 and high cholesterol diet. The amount of total cholesterol, HDL-cholesterol, LDL-cholesterol, triglyceride, lipid peroxide, glutathione and the activity of superoxide dismutase(SOD) were measured. The water extract from Iksukangjiryung showed significant decreasing effects on total cholesterol, LDL- cholesterol, triglyceride, lipid peroxide in the both model. And it showed significant increasing effects on the activity of SOD in both model and amount of glutathione in Triton WR-1339 model. These results suggest that water extract from Iksukangjiryung has healing efficacy on hyperlipidemia induced by Triton WR-1339 and high cholesterol diet.

Changes in Total Polyphenol, Total Flavonoid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Hibiscus cannabin us L.

  • Ryu, Seung-Won;Jin, Cheng-Wu;Lee, Han-Shin;Lee, Ji-Yeon;Sapkota, Kumar;Lee, Beom-Goo;Yu, Chang-Yeon;Lee, Myoung-Ku;Kim, Myong-Jo;Cho, Dong-Ha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307-310
    • /
    • 2006
  • This study purposed to look for its uses by analyzing useful substances in kenaf (Hibiscus cannabin us L.) leaves based on the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in the leaves,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leaf extract, SOD activity, etc. by different growth stage and variet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xperiment,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was highest in Everglade-41 (27.9 mg/g dw.), the total flavonoid content was highest in Tainung-2 (42.3 mg/g dw.), and SOD activity was highest in Dowling (96.1 %). However,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similar among the three varieties.

마카 추출액의 생리활성 효과 (Biological Activities of Maca (Lepidium meyenii) Extracts)

  • 권윤숙;전인숙;황진현;임동민;강용수;정해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7호
    • /
    • pp.817-823
    • /
    • 2009
  • 본 실험에서는 마카를 기능성식품 소재로 사용하기 위한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마카분말을 다양한 용매로 추출하고 추출수율, 총 폴리페놀 함량, 전자공여능, SOD 유사활성 및 아질산염 소거능 등을 측정하여 최적의 추출조건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일반성분 분석 결과 수분, 조단백질, 조지방, 회분 및 탄수화물 함량은 각각 6.57%, 12.83%, 1.05%, 4.80 및 74.75%로 나타났다. 추출수율은 물을 사용할 경우 46.2%로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등으로 추출하는 것보다 약 $2{\sim}200$배 높게 나타났다. 추출용매에 따른 총 폴리페놀 함량은 물 추출액에서 328.68 mg/100 mL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전자공여능은 메탄올 추출액이 52.36%로 가장 높았고 아질산염 소거능은 pH 1.2의 조건에서 물 추출액이 77.5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최적의 추출용매로 물을 선정하였고 물 추출 온도(30, 70, $100^{\circ}C$)와 시간(1, 3, 5시간)을 달리하여 생리활성 물질의 함량변화를 측정한 결과 $100^{\circ}C$에서 3시간 또는 5시간 추출할 때 총 폴리페놀함량, 전자공여능 및 SOD 유사활성이 다른 조건에서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시간과 에너지의 효율적 측면을 고려하여 마카분말을 $100^{\circ}C$에서 3시간 물로 추출하는 것이 가장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 고유의 산채류 첨가 식이가 흰쥐의 지방 대사 및 항산화능과 Cadmium 제독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Korean Native Plant Diet on Lipid Metabolism, Antioxidative Capacity and Cadmium Detoxification in Rats)

  • 박진아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2권4호
    • /
    • pp.353-368
    • /
    • 1999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Korean native plant diets on lipid and cadmium (Cd) metabolisms and also antioxidative enzyme activities in rats. Seventy male Sprague-Dawley rats weighing 210.3$\pm$2.7g were blocked into ten groups according to body weight. Rats were raised for four weeks with diets containing 0 or 0.04%(w/w) cadmium chloride and 5%(w/w) plant powder-Ssook(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HARA), Chamchwi(Aster scaber THUNB), Gomchwi(Lingularia fischeri TUBCZ). or Solbeerum (Portulaca oleracea LINNE). Food intake, weight gain, food efficiency ratio, and weights of liver, kidney, spleen and epididymal fat were significantly lower in Cd-exposed groups, food efficiency ratio, and weights of liver, kidney, spleen and epididymal fat were significanlty lower in Cd-exposed groups. Plasma total lipid level, liver total lipid, cholesterol and triglycerde concentrations, and fecal total lipid,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excretions were decreased by Cd administration. Total lipid and triglyceride concentration in plasma and liver were lower in Chamchwi groups together with increased fecal total lipid and triglyceride excretions. Cholesterol concentration in plasma and liver were lower in Gomchwi groups with increased fecal cholesterol excretions. Activities of red-blood-cell superoxide dismutase(SOD), and liver catalase, SOD and glutathione peroxidase (GSH-px)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by Cd administration.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TBARS) concentrations of plasma and liver were increased by Cd administration.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TBARS) concentration of plasma and liver were increased by Cd administration. Administration of plant diets decreased plasma and liver catalase, SOD and GSH-px activities in Cd-free diet groups and increased them in Cd-administered groups. Plasma and liver TBARS concentrations were decreased in animals fed plant diets, with Chamchwi showing the most effective antioxidative capacity. The concentration of Cd accumulated in blood and tissue decreased in Cd-exposed groups fed plant diets. Liver Cd concentration were lower in the Chamchwi and Gomchwi groups, and kidney Cd levels were lower in the Ssook and Chamchwi groups. Among them, Chamchwi was the most effective in Cd detoxification. In conclusion, Chamchwi and Gomchwi were effective in lowering tissue lipid levels, with Chamchwi having the greatest antioxidative and detoxifying effects.

  • PDF

홍삼 사포닌이 수태중인 흰쥐의 항산화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ota1 Saponin from Red Ginseng on Acvtivities of Antioxidant Enzymes in Pregnant Rats)

  • 송용범;곽이성;박기현;장성근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6권3호
    • /
    • pp.139-144
    • /
    • 2002
  • 수태는 많은 신체적인 기능들의 높은 에너지 요구 및 산소요구량 증가로 인하여 생리적인 변화를 수반한다. 때문에 산소 섭취량 및 이용이 증가하여 산화적인 스트레스의 증가를 기대할 수 있다. 수태중에 발생되는 free radical에 대하여 홍삼사포닌 투여가 간 항산화효소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수태중에 superoxide dismutase(SOD)의 활성은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사포닌 투여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한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그리고 glutathione peroxidase(GPX) , gluthatione reductase (GRD)와 catalase의 활성도는 수태중에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반면에 사포닌 투여군은 대조군 비하여 GRD 및 catalase의 활성도에 유의한 변화를 나타냈다. 사포닌 투여군의 GPX의 활성도는 대조군에 비하여 감소하는 경향이 다소 적게 나타났다. 수태중 대조군의 glutathione-S-transferase (GST) 활성도는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사포닌 투여군도 대조군에 비하여 이 효소의 활성도가 더욱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분만 후 대조군 및 사포닌 투여군은 정상수준으로 회복되었다. 수태와 같은 생체변화에도 불구하고 수태한 흰쥐의 간 항산화 효소활성에 대한 사포닌의 영향은 산소독성에 대하여 모체간을 보호해주는 생리적 항상성의 적응메카니즘에 의하여 조절되는 것으로 보인다.

참깨박, 흑참깨박 및 들깨박 에탄올 추출물의 효소처리에 따른 생리활성 (Physiological Activities of Enzyme Hydrolysates in Ethanol Extracts from Sesame, Black Sesame and Perilla cake)

  • 손종연;장성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07-416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참깨박, 흑참깨박 및 들깨박의 80% 에탄올 추출물과 그들의 효소분해물의 총 플라보노이드와 총 페놀함량, DPPH에 의한 전자공여능 측정, 아질산염 소거능, SOD 유사활성능, ferrous ion chelating 효과를 비교, 조사하였다. 참깨박, 흑참깨박 및 들깨박의 80% 에탄올 추출물의 총페놀 함량은 각각 116.90, 102.20 및 141.90 mg/g이었으며,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64.10, 32.00 및 131.90 mg/g이었다. 참깨박, 흑참깨박 및 들깨박 추출물의 효소분해물의 총페놀 함량은 각각 413.30, 221.20 및 409.10 mg/g이었으며, 총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각각 361.80, 103.30 및 345.80 mg/g이었다. 전자공여능, 아질산염 소거능, SOD 유사활성능 및 금속제거능은 80% 에탄올 추출물보다 효소분해물에서 더 높았다. 전자공여능, SOD 유사활성, Ferrous ion chelating 효과의 크기는 들깨박 > 참깨박 > 흑참깨박의 순이었으며, 아질산염소거능(pH 1.2)의 크기는 참깨박 > 들깨박 > 흑참깨박의 순이었다.

홍삼 추출물 투여가 생쥐간에서 항산화 효소 활성과 지질과산화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Red Ginseng Component on the Antioxidative Enzymes Activities and Lipid Peroxidation in the Liver of Mice)

  • 성금수;전철;권용훈;김경현;장재철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4권1호
    • /
    • pp.29-34
    • /
    • 2000
  • 홍삼 사포닌의 항산화 작용을 나타내는 활성성분을 screening하기 위하여 홍삼 추출물(물 추출물, 알코올 추출물, 지용성분획, 총 사포닌, PD 및 PT)이 항산화 효소(SOD, catalase)의활성도 변화와 $H_2O$$_2$ 및 MDA의 함량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항산화 효소인 SOD의 활성도를 조사해 본 결과 지용성 추출물, PD, 알코올 추출물 투여군 순으로 활성도를 높이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SOD에 의한 중간 생성물인 $H_2O$$_2$의 함량을 조사한 결과 모든 추출물 투여군에서 감소하였으며, 그 중에서도 PT 알코올 추출물 및 PD투여군이 유의성있게 감소하였다. catalase 활성도는 지용성 추출물 투여군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총 사포닌, 알코올 추출물 투여군 순으로 조사되었다. 유리기에 의해 생성된 지질과 산화의 최종산물인 MDA의 함량은 모든 추출물 투여군에서 유의성(p<0.01) 있게 감소하였으며, 그 중에서도 지용성 추출물, 알코올 추출물, PD투여군 순으로 가장 많이 감소하였다. 이와 같은 홍삼 사포닌의 항산화 효과는 SOD및 catalase와 같은 항산화 효소의 직접적인 작용과 홍삼의 특정 성분들이 생체내에서 내인성 항산화 물질의 합성능력을 강화시킴으로서 산화적 손상에 대한 방어기전을 향상시키는 결과로 생각되며, 그중에서 지용성 추출물과 PD분획물이 가장 효과적인 성분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