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oth mobility

검색결과 168건 처리시간 0.025초

외상성 치아모형에서의 레진 스플린트 시스템의 유연성 비교연구 (Flexibility of resin splint systems for traumatized teeth)

  • 박진홍;신주희;류재준;이정열;신상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5권4호
    • /
    • pp.389-393
    • /
    • 2017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탄성력이 높게 개발된 레진의 굽힘 강도를 평가하고, resin wire splint (RWS)와 유연성을 비교 평가하는 것이다. 재료 및 방법: 세가지 레진 G-aenial flo (GA, GC), Superbond (SB, Sun medical), G-fix (GF, GC)의 세 점 굽힘 강도는 ISO4049/2000에 따라 진행하였다. GA, SB, GF를 이용한 세개의 RS군과 GA와 교정용 016" SS wire를 이용한 RWS군간의 치아 동요도 비교는 영구치 모형을 이용하였다. 상악좌측중절치에 3도의 동요를 부여하고, 치아의 수평적인 동요도를 splint 전후에 각 3회씩 periotest vale로 평가하였다. Splint 전후 periotest value는 splinting 효과로 환산하여 평가하였다. 통계적인 평가는 one-way ANOVA와 turkey HDS test를 이용하였다(${\alpha}=.05$). 결과: SB와 GF가 GA에 비해 낮은 굴곡강도를 보였으나, 세가지 RS군은 RWS에 비해 높은 splinting 효과를 나타내었다 (P < .05). 결론: 제한된 본 연구에서 사용된 재료와 상관없이 RS는 RWS에 비해 높은 견고성을 보였으며, 이는 탈구치아 치료를 위한 flexible splint에 부적합한 것으로 보인다.

소아에서 자가치아이식에의한 매복치의 처치 (MANAGEMENT OF IMPACTED TEETH BY AUTOTRANSPLANTATION IN CHILDREN)

  • 류현섭;이창섭;이상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564-572
    • /
    • 2000
  • 치아매복에 의한 미맹출시 치아 매복의 방향과 위치 치근단의 완성정도, 맹출공간의 존재여부, 매복치 주변에 과잉치, 치아종, 낭종 등의 존재여부 등에 따라 발치, 교정적 견인, 외과적 자가이식중 어떤 술식을 시행할 것인지 결정하게 된다. 자가 치아이식은 치아의 위치가 교정력을 가할 수 없는 위치에 존재하거나 치아이동이 제한을 받게 되어 통상적인 치료가 불가능할 경우에 발거에 앞서 고려할 수 있다. 자가치아이식의 예후는 치근의 완성도, 외과적 시술능력 환자의 나이, 근관치료, 고정기간과 형태, 치주인대의 보존, 저장 방법 등에 영향을 받는다. 특히 이식 수여부의 골의 결손이 너무 클 경우 치아의 동요도를 감소시키고 골치유를 빠르게 하기위해 골이식을 고려할 수 있다. 치아 미맹출을 주소로 본원에 내원한 증례들로 상악과 하악의 여러 부위에서 과잉치, 치아종, 이소맹출 등의 다양한 원인요소들이 발견되었다. 자가치아이식전 필요시 공간확보를 행하고, 과잉치 및 치아종의 발거로 인해 골결손이 클 때, 탈회냉동건조골과 자가골 이식을 시행하였다. 치아고정은 $2\sim3$주정도 시행하고 $3\sim4$주 후 방사선적 검사와 임상검사후 근과치료의 필요성을 결정하고 정기적인 검사를 시행한 결과 치근흡수소견 등의 비정상적인 소견은 보이지 않고 정상적인 치유소견을 관찰할 수 있었다.

  • PDF

당뇨병환자의 치주질환 분석에 관한 연구

  • 최구영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20권1호통권152호
    • /
    • pp.59-62
    • /
    • 1982
  • 290 cases of diabetics and 290 cases of non-diabetics who came to the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nd Dental clinic in the National Medical Center were examined with oral examination and intra-oral x-ray study from February, 1977 to January, 1981.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In the diabetics gingival inflammatory changes, alveolar bone resorption and tooth mobility were more severe than non-diabetics who had similar local irritants in the oral cavities.

  • PDF

고정식 장치를 이용한 조기 맹출 소구치의 안정화 (STABLIZATION OF THE EARLY ERUPTED FIRST PREMOLAR WITH FIXED APPLIANCE)

  • 황지원;김성오;최형준;최병재;손홍규;이제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62-67
    • /
    • 2011
  • 치아의 맹출은 일반적으로 치근의 1/2~2/3이 완성(Nolla stage 7)되었을 때 임상적으로 출은(emergence)하여 치근 형성이 완성되기 전에 교합평면에 도달한다. 조기 맹출이란 맹출이 가속화되어 정상 맹출 시기 보다 이른 시기에 맹출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정상 범주를 벗어나는 영구치의 조기 맹출은 매우 드물며 유치의 만성 치근단 주위염 등의 국소적 원인으로 인한 계승 영구치의 상방 치조골이 광범위하게 파괴되었을 때 치아의 치관이나 치근의 형성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채 계승 영구치가 조기 맹출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또한 영구치의 조기 맹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여러 전신 질환이 있는 경우에도 영구치의 조기 맹출이 가능하다. 조기맹출 치아의 임상 소견으로는 심한 동요도와 저작 시 동통, 법랑질의 저석회화, 치아의 편향과 변위, 회전 등이 있으며, 방사선학적 소견으로는 미발육된 치근과 골지지의 부족 등이 있다. 조기 맹출 영구치의 발생 가능한 합병증으로는 만성적인 외상과 동통 및 부종이 있을 수 있고, 맹출 순서의 변경과 인접치의 이동으로 인한 소구치 매복율의 증가, 치아의 변위와 회전이 야기될 수 있으며, 영구치의 탈락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증상이 있는 조기 맹출 영구치의 경우 공간 유지 및 영구치 고정과 주위 조직의 회복, 치근 발육의 유도를 위해 적절한 처치가 필요하다. 전신 질환이 없는 만7세 여환이 상악 양쪽 제 1소구치의 심한 동요도와 동통을 주소로 치과 의원에서 의뢰되었다. 임상 및 방사선 검사상 치근 형성이 거의 없이 양측 상악 제 1소구치들이 조기 맹출되어 심한 동요도와 부종 및 저작 시동통을 나타내어 상악 제 2유구치에 교정용 band와 spur를 이용한 구내 고정식 장치를 제작하여 14개월 간 장착하여 조기 맹출한 치아들을 안정화시키고 성공적으로 치근 형성을 도모하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골유착된 견치의 교정적 치험례 : 탈구 및 인위적 맹출 (The Treatment of on Ankylosed Canine : Luxation and Forced Eruption)

  • 임동혁;남동석;장영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395-400
    • /
    • 2002
  • 본 증례는 외상으로 골유착된 견치를 탈구와 인위적 맹출 유도로 치료한 환자에 대한 것이다. 초진시에는 견치가 골유착되었다는 어떠한 증거도 발견되지 않아 하악에 가철식 장치와 악간 고무줄을 이용하여 인위적 맹출을 시도하였으나 3개월 후에도 전혀 움직임을 보이지 않았다. 이 시기에 견치는 생리적인 움직임을 전혀 보이지 않았고 타진시 날카로운 울림소리가 나는 것으로 골유착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골유착된 견치를 탈구시키고 인위적 맹출을 즉시 도모하여 교정적, 치주적으로 양호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골유착성 임플랜트 보철치료시 자연지대치와의 연결형태에 관한 유한요소적 응력분석 연구 (A STUDY ON THE CONNECTION MODALITY BETWEEN IMPLANT AND TOOTH IN OSSEOINTEGRATED PROSTHETIC TREATMENT USING FINITE ELEMENT ANALYSIS)

  • 김용호;김영수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32
    • /
    • 1991
  • Tho osseointegrated dental prosthetic treatment has develped for the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ly resorbed alveolar ridge, and has given us a successful clinical results to date. Nowadays the partially edentulism is included among the indications of the osseointegrated prosthetic treat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ress distribution at supporting bone according to the types of connection modality between implant and tooth in the superstructure. Two dimensional finite element stress analysis was applied for this study. FEM models were created using software Super SAP for MBM 16bit personal computer. Three modalities of connection were modeled and analyzed under load condition. The results were as follws: 1. The stress develped at tooth and implant in the cancellous bone was lower in the case of rigid connection than in the case of norigid connection, but higher between the two implants in the case of rigid connection than in the case of nonrigid connection. 2. The stress developed at the cortical bone and at the supporting bone interface was lower in the case of rigid connection than in the case of nonrigid connection 3. The stress developed at the supporting tissue interface of the implant nearby the tooth, was lower in the case of rigid connection than in the case of nonrigid connection. 4. The stress developed at the supporting tissue interface of posteriormost implant, was same between the cases of rigid and nonrigid connection. 5. The stress distribution related to the freestanding case was generally similar to the stress distribution pattern of nonrigid connection case. 6. The magnitude of applied load which produces deformation within elastic limit, had influence on the absolute value of stress, but had no influence on the pattern of stress distribution of the same case.

  • PDF

치주질환 환자의 주소에 관한 분석 (AN ANALYSIS OF CHIEF COMPLAINTS OF PERIODONTAL PATIENTS)

  • 노기성;김병옥;한경윤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5권1호
    • /
    • pp.56-66
    • /
    • 1995
  • It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the chief complaint of a patient prior to evaluation of prognosis and establishment of treatment pla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pare the basic data available for dental practitioners in establishing the treatment plan of periodontal patients. The chief complaint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according to age and sex from 5.843 periodontal cases(age range: $20{\sim}70,male$: 3,048, female: 2,795) by means of Chi-Square Test in Microstat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The proportion of each chief complaint, except routine check was in the following order: pain(32.84%) ; gingival swelling(13.35%); tooth mobility(13.2S%); hypersensitivity(12.53%) ; gingival bleeding(8.45%) ; pus discharge(8.33%) ; food impaction(3.80%); gingival recession(3.59%); halitosis(2.70%) ; itching sensation(1.90%); spacing(O.48%) ; implant(O.39%) ; gingival discoloration(0.38%). 2. The pain was the predominant chief complaint of periodontal patients regardless of age and sex(p

  • PDF

Comparative study on the results of non-surgical periodontal treatment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affected site

  • Lee, Ju-Min;Kim, Joo-Hee;Kwon, Eun-Young;Kim, Yi-Kyeong;Lee, Ju-Yeon;Kim, Sung-Jo;Choi, Jeom-Il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41권2호
    • /
    • pp.92-97
    • /
    • 2011
  • Purpose: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treatment outcomes of non-surgical periodontal treatment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of attachment loss of a given patient. Methods: Forty-five patients with moderate to severe periodontitis were divided in two subgroups; Group I patients with teeth manifesting attachment loss of ${\geq}$ 6 mm at one or more sites on the buccal/labial aspect while maintaining an attachment level ${\leq}$ 5 mm at the lingual/palatal aspect, Group II patients with teeth manifesting an attachment level ${\geq}$ 6 mm at more than one site on the lingual/palatal aspect while maintaining an attachment level ${\leq}$ 5 mm at the buccal/labial aspect. The probing pocket depth, probing attachment level, tooth mobility, and chewing discomfort were recorded at baseline and 6 months examinations following non-surgical periodontal therapy. Results: The buccal/ abial surfaces of teeth with moderate to severe periodontitis in Group I patients demonstrated a greater amount of pocket reduction, gain of attachment level, and tooth mobility reduction than the lingual/palatal aspects of teeth examined in Group II patients. Conclusions: Within the limits of the present study, the patients demonstrating attachment loss ${\geq}$ 6 mm at buccal/labial surfaces responded better to the nonsurgical periodontal therapy than those demonstrating comparable attachment loss at lingual/ palatal surfaces.

III급 악골 관계를 가진 상악 편악 무치악 환자의 수복 (A Case Report of Maxillary Complete Edentulous Patient with a Class III Jaw Relations)

  • 박미희;홍준원;최지하;이정준;박주미;송광엽;안승근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5권4호
    • /
    • pp.431-436
    • /
    • 2009
  • 심한 치조골 흡수를 동반한 III급 악골 관계 환자의 총의치 제작의 경우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교합을 제공하는 치료계획을 세워야 한다. 불리한 치관 대 치근 비와 임상적 동요도가 관찰되는 하악 잔존치를 고정하여 사용함으로써 환자의 불편감을 줄이고 시간적, 경제적으로 효율적인 치료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증례에서는 상악 편악 무치악 환자의 기능적인 하악 운동과 조화로운 총의치 균형 교합을 이루기 위해 T-Scan System을 이용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