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oth enamel

검색결과 437건 처리시간 0.026초

방사선치료 후 영구치 치배 발육장애 증례보고 (DEVELOPMENTAL DISTURBANCE OF PERMANENT TOOTH GERMS AFTER RADIOTHERAPY : REPORT OF CASE)

  • 강명봉;김영재;김정욱;장기택;이상훈;한세현;김종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51-255
    • /
    • 2005
  • 두경부 악성 종양에 대한 방사선치료는 유용한 방법이다. 하지만 방사선치료의 부작용으로 다양한 구강내 합병증을 동반한다. 이 글에서 치열 발육 단계에 방사선치료를 받은 두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첫 번째 증례는 생후 19개월에 급성 골수성 백혈병으로 진단 받아 방사선치료를 받은 7세 여자 환아로 영구치 치배의 선천적 결손과 왜소치 소견을 보였다. 두 번째 증례에서는 생후 13개월에 양측성 망막아세포종으로 진단 받아 방사선치료를 받았고 영구치 치배의 선천적 결손, 왜소치, 치근의 저형성 그리고 법랑질 저형성증 소견을 보였다.

  • PDF

비정상적인 맹출 경로를 보이는 소구치의 자발적 맹출 유도 (SPONTANEOUS NORMAL ERUPTION OF PERMANENT TOOTH WITH ABNORMAL ERUPTION PATH)

  • 김상민;박호원;이주현;서현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82-87
    • /
    • 2011
  • 유치의 치수 감염에 대한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거나 치료가 실패한 경우 치근단 병소를 야기할 수 있다. 이는 발육중인 계승 영구치에도 영향을 주어 법랑질 형성 부전, 치배의 위치 및 맹출 경로 변화, 치근 만곡, 치아 매복 등의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계승 영구치의 맹출 방향에 이상을 일으키는 장애 요인으로는 유치의 만기 잔존, 유구치의 불균형적인 치근 흡수, 유치의 치근단 병소 등의 맹출 전 장애 요인과 외상이나 구강 악습관과 같은 맹출 후 장애 요인이 있다. 맹출 경로의 이상을 보이는 계승 영구치의 치료 방법으로는 주기적인 관찰, 외과적 노출, 교정적 견인, 치아 이식, 발치 등이 있으며 치료 방법 선택시 치아의 위치, 상태, 치근 형성 정도 및 만곡 여부, 맹출 방향, 인접 구조물과의 관계 등을 고려하여야 한다. 본 증례들은 유치의 치근단 병소에 의해 비정상적인 맹출 경로를 보이는 소구치를 가진 환자들에서 감염된 유치의 발거와 공간 유지만으로 이환된 소구치의 양호한 자발적 맹출을 보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함치성낭종과 단방성 법랑모세포종의 감별에 관한 방사선학적 연구 (A RADIOGRAPHIC STUDY OF DIFFERENTIAL DIAGNOSIS BETWEEN DENTIGEROUS CYSTS AND UNICYSTIC AMELOBLASTOMAS)

  • 나채영;최갑식
    • 치과방사선
    • /
    • 제23권2호
    • /
    • pp.255-264
    • /
    • 199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tain some informations for the radiographic differential diagnosis between dentigerous cysts and unicystic ameloblastomas in the mandible. The authors observed and compared the clinico-radiographic features of 38 cases of dentigerous cyst and 32 cases of unicystic ameloblastoma associated with impacted mandibular molar.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Dentigerous cysts occurred the most frequently in the 3rd decade, but unicystic ameloblastomas in the 2nd decade, and both lesions occurred with slight predilection in males. Average of lesional size of unicystic ameloblastomas was larger than that of dentigerous cysts, and lesions of over 25㎠ were only in unicystic ameloblastomas. Cortical thinning and expansion were more frequently observed in unicystic ameloblastomas at 72.9% than in dentigerous cysts at 15.8%. Dentigerous cysts showed smooth border at 89.5%, but unicystic ameloblastomas showed smooth border at 53.1% and scalloped border at 46.9%. Dentigerous cysts showed well-defined outline at 81.6%, but unicystic ameloblastomas showed well-defined outline at 53.1% and moderate-defined outline at 46.9%. In both lesions, the mandibular 3rd molar was the most frequent causative tooth. Average of distance between the cemento-enamel junction and lesional wall attachment of the causative tooth was longer in unicystic ameloblastomas than in dentigerous cysts. Severe displacement of causative tooth was more frequent in unicystic ameloblastomas at 62.5% than in dentigerous cysts at 23.7%. Dentigerous cysts showed homogeneous lesional radiolucency at 89.5%, but unicystic ameloblastomas showed inhomogeneous lesional radiolucency at 53.1%. Root resorption of adjacent tooth and displacement of mandibular canal were more frequent in unicystic ameloblastomas at 65.2% and 61.5% than in dentigerous cysts at 15.8% and 38.1% respectively.

  • PDF

An analysis on the factors responsible for relative position of interproximal papilla in healthy subjects

  • Kim, Joo-Hee;Cho, Yun-Jung;Lee, Ju-Youn;Kim, Sung-Jo;Choi, Jeom-Il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43권4호
    • /
    • pp.160-167
    • /
    • 2013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s that can be associated with the appearance of the interproximal papilla. Methods: One hundred and forty-seven healthy interproximal papillae between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s were examined. For each subject, a digital photograph and periapical radiograph of the interdental embrasure were taken using a 1-mm grid metal piece. The following parameters were recorded: the amount of recession of the interproximal papilla, contact point-bone crest distance, contact point-cemento-enamel junction (CEJ) distance, CEJ-bone crest distance, inter-radicular distance, tooth shape, embrasure space size, interproximal contact area, gingival biotype, papilla height, and papilla tip form. Results: The amount of recession of the interproximal papilla was associated with the following: 1) increase in contact point-bone crest, contact point-CEJ, and CEJ-bone crest distance; 2) increase in the inter-radicular distance; 3) triangular tooth shape; 4) decrease in the interproximal contact area length; 5) increase in the embrasure space size; and 6) flat papilla tip form. On the other hand, the amount of gingival recession was not associated with the gingival biotype or papilla height. In the triangular tooth shape, the contact point-bone crest distance and inter-radicular distance were longer, the interproximal contact area length was shorter, and the embrasure space size was larger. The papilla tip form became flatter with increasing inter-radicular distance and CEJ-bone crest distance. Conclusions: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interproximal papilla in healthy subjects was associated with the multiple factors and each factor was related to the others. A triangular tooth shape carries a higher risk of recession of the interproximal papilla because the proximal contact point is positioned more incisally and the bone crest is positioned more apically. This results in an increase in recession of the interproximal papilla and flat papilla tip form.

초기 영구 전치 파절시의 치아 재부착술의 임상 증례 (CLINICAL EFFORTS FOR TECHNICAL IMPROVEMENT IN TOOTH FRAGMENTATION)

  • 최성철;이긍호;최영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25-131
    • /
    • 2002
  • 본 증례는 경희대학교 치과대학병원 소아치과학교실에 상악 중절치의 치수노출을 동반한 외상을 주소로 내원한 아동의 치험례이다. 증례 1은 미성숙 치근을 가지는 만 8세의 남아로 치아의 치수 노출에 따른 수산화칼슘 치수절단술을 이용한 치근단 형성술을 시행한 후 치아 재부착술을 시행한 증례이며, 증례 2는 점상의 치수노출을 보이는 미성숙 영구 중절치를 직접 치수 복조 추 석회화 층을 형성하는 기간동안 레진을 이용하여 유지한 후 치아 재부착술을 시행하였고 증례 3은 치은 연하로 치경부 파절을 보이는 만 12세의 환아로 신경치료 후 골 삭제술과 골 성형술을 동반한 판막술을 시행하여 carbon fiber post를 이용한 치아 재부착술을 시행한 증례이다 이상의 증례를 통하여 치아 재부착술을 성공적으로 시행하였으며 심미적으로 양호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접착형 구조 금 인레이의 접착 형태, 강도 및 파절 양태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ADHESION PATTERN, ADHESION STRENGTH AND FRACTURE PATTERN OF THE ADHESIVE CAST GOLD INLAY)

  • 한승렬;홍찬의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19권1호
    • /
    • pp.64-72
    • /
    • 1994
  • Zinc Phosphate Cement hand been used for about more than 100 years in luting of cast gold inlay. But many scientists had been trying to develop the new form of luting agent because the ZPC hand shown the lack of adhesiveness on the tooth structure and the toxicity to the pulp tissue. Recently many researches about the surface treatment of the cast body are being done to increase the adhesion of cement to it. The conventional Class I gold inlays were fabricated in the 20 permanent molars. After the internal surface of the cast body was sandblasted with $Al_2O_3$ particles and was tin-plated, the inlays were cemented with adhesive cement [G I cement and resin cement(Super-Bond & $Panavia_{EX}$)] and the evaluation on the adhesion pattern, adhesive strength and the fracture pattern of the adhesive cast gold inlay was compared to that of the cast gold inlay cemented conventionally with ZPC.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cast body was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sandblasting with the $Al_2O_3$ particles and the tin oxide layer, which was consisted of round particles, came into being. 2. The bond strength was in the order of Super-Bond, ZPC, Fuji I, $Panavia_{EX}$ group. The group cemented with Super-Bond showed statistically greater strength than the other groups(p<0.05). 3. The group cemented with ZPC was fallen apart by principal adhesion failure and that with Fuji I was by complete adhesion failure. But the group with Super-Bond showed pricncipal cohesive failure pattern and in the group with $Panavia_{EX}$, complete cohesive fracture pattern was shown and small protion of tooth structure was fractured out with cast body and the fractured surface showed the figure just as the enamel prism. 4. Various gaps were shown at the pulpal side regardless of little gap at the side walls of the cavity in all groups. Only the Super-Bond was attached to the tooth structure and the other cements were detached from both the tooth and the cast body.

  • PDF

지각과민처치제가 초음파 스케일링 처리한 비우식성 치경부 병소가 있는 치아의 지각과민증에 주는 영향 (Effect of Dentin Desensitizer on the Hypersensitivity of Teeth with Non-carious Cervical Lesions Subsequent to Ultrasonic Scaling)

  • 조재형;석수황;이상혁;임범순
    • 대한치과재료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17-28
    • /
    • 2016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hanges in dentinal permeability after application of dentin desensitizer on exposed dentin immediately after ultrasonic scaling to teeth with non-carious cervical lesions. Thirty caries-free extracted molars were fixed to slide glasses after horizontally being sectioned at 5 mm below the cemento- enamel junction (CEJ). The prepared specimen was connected to a fluid flow measuring device (nano-Flow), and a V-shaped cavity was formed at the CEJ to imitate the non-carious cervical lesion. After no fluid leakage was confirmed in the connected system with specimen, tooth surface was treated ultrasonic cleaning with piezoelectric ultrasonic scalers until dentinal tubules were exposed. And 6 different desensitizers were applied on exposed dentin. Real-time measurements of dentinal fluid flow were performed during ultrasonic scaling and application of dentin desensitizer. To evaluate the occlusion of exposed dentinal tubules, tooth surface was examined by SEM. Following results were observed. After ultrasonic scaling, more dentinal tubules were exposed on the tooth with non-carious cervical lesions compared to tooth without lesions. The rate of fluid flow measured with nano-Flow system had correlation with the degree of dentin occlusion observed with SEM after application of desensitizers on exposed dentin. Desensitizers with glutaraldehyde and HEMA did not decrease the rate of fluid flow and did not show dentin occlusion. Desensitizers with oxalate showed the limited effects on the rate of fluid flow and dentinal tubule occlusion. Desensitizer with resin monomer showed the significant effect on the rate of fluid flow and dentin occlusion.

고정식 장치를 이용한 조기 맹출 소구치의 안정화 (STABLIZATION OF THE EARLY ERUPTED FIRST PREMOLAR WITH FIXED APPLIANCE)

  • 황지원;김성오;최형준;최병재;손홍규;이제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62-67
    • /
    • 2011
  • 치아의 맹출은 일반적으로 치근의 1/2~2/3이 완성(Nolla stage 7)되었을 때 임상적으로 출은(emergence)하여 치근 형성이 완성되기 전에 교합평면에 도달한다. 조기 맹출이란 맹출이 가속화되어 정상 맹출 시기 보다 이른 시기에 맹출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정상 범주를 벗어나는 영구치의 조기 맹출은 매우 드물며 유치의 만성 치근단 주위염 등의 국소적 원인으로 인한 계승 영구치의 상방 치조골이 광범위하게 파괴되었을 때 치아의 치관이나 치근의 형성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채 계승 영구치가 조기 맹출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또한 영구치의 조기 맹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여러 전신 질환이 있는 경우에도 영구치의 조기 맹출이 가능하다. 조기맹출 치아의 임상 소견으로는 심한 동요도와 저작 시 동통, 법랑질의 저석회화, 치아의 편향과 변위, 회전 등이 있으며, 방사선학적 소견으로는 미발육된 치근과 골지지의 부족 등이 있다. 조기 맹출 영구치의 발생 가능한 합병증으로는 만성적인 외상과 동통 및 부종이 있을 수 있고, 맹출 순서의 변경과 인접치의 이동으로 인한 소구치 매복율의 증가, 치아의 변위와 회전이 야기될 수 있으며, 영구치의 탈락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증상이 있는 조기 맹출 영구치의 경우 공간 유지 및 영구치 고정과 주위 조직의 회복, 치근 발육의 유도를 위해 적절한 처치가 필요하다. 전신 질환이 없는 만7세 여환이 상악 양쪽 제 1소구치의 심한 동요도와 동통을 주소로 치과 의원에서 의뢰되었다. 임상 및 방사선 검사상 치근 형성이 거의 없이 양측 상악 제 1소구치들이 조기 맹출되어 심한 동요도와 부종 및 저작 시동통을 나타내어 상악 제 2유구치에 교정용 band와 spur를 이용한 구내 고정식 장치를 제작하여 14개월 간 장착하여 조기 맹출한 치아들을 안정화시키고 성공적으로 치근 형성을 도모하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접착치의학 개념에 따른 최소 침습적 치아 삭제법을 적용한 심미적인 치은 연상 변연 도재 부분피개관 수복 증례 (Clinical performance of esthetic ceramic partial-coverage restorations with supra-gingival margin using minimally invasive tooth prepa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concept of adhesive dentistry)

  • 홍명식;최유성;이종혁;하승룡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9권3호
    • /
    • pp.319-332
    • /
    • 2021
  • 심미적인 도재 재료와 레진 시멘트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임상에서 금속도재관에서 전부도재관으로의 전환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도재 수복물 제작 시 그에 적합한 형태와 기술을 이용하여야 그 장점을 최대화할 수 있다. 최근 법랑질을 최대한 보존하고 접착 효율을 높이는 최소 침습적 치아 삭제법을 적용하여 치은 연상 변연을 가진 심미적인 도재 부분피 개관 수복방법이 소개되었는데, 이를 통해 치질 삭제의 최소화, 시멘트 제거의 용이성 등 여러 장점들을 얻을 수 있다고 보고된다. 또한 이 제작법은 치은 압배사의 삽입이 불필요하여 치은 압배사 삽입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환자의 불편감도 감소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 치은 열구액이나 혈액의 개입 없이 명확하게 변연을 채득할 수 있어 더 정확한 수복물 제작이 가능하다고 보고된다. 본 증례에서는 각각 해당 치아 부위에 부분적인 결함이 있는 환자에서 통상적인 전부피개관이 아닌 접착치의학 개념에 따른 최소 침습적 치아 삭제법을 적용한 치은 연상 변연 도재 부분피개관으로 다양한 제작 방법을 활용하여 수복함으로써 불필요한 치아 삭제를 방지하고 잔존 치질을 최대한 보존할 수 있었다. 치료 후 환자와 술자 모두 심미적, 기능적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전치부 개방교합을 보이는 법랑질형성부전증 환자의 CAD/CAM system을 이용한 전악 수복 증례 (Full-mouth rehabilitation in an amelogenesis imperfecta patient with anterior open bite using CAD/CAM system)

  • 이상훈;이양진;조득원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5권4호
    • /
    • pp.410-418
    • /
    • 2017
  • 법랑질 형성 부전증은 유전적인 결함으로 인해 구조적으로 약한 법랑질이 형성되는 질환이다. 이들 환자들은 이른 나이부터 진행되는 법랑질 마모에 의한 시린 증상과 비심미적인 치아를 주소로 치과에 내원하게 되며, 성장기 이후에는 전악 보철 수복을 통해 치아의 기능성과 심미성을 회복해 주게 된다. 법랑질 형성 부전증 환자에서 보여지는 전치부 개방 교합은, 구치의 교합면 마모 및 보상성 맹출에 의한 수직적 수복 공간 문제와 결부되어 보철 치료를 어렵게 하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전치 길이의 결정 및 교합 고경의 거상 여부, 전방유도의 설정은 신중히 결정되어야 한다. 근래에는 Computer aided design-computer aided manufacturing (CAD/CAM) 기술을 이용하여 진단 및 최종 수복으로의 이행이 용이해 졌다. 본 증례에서는 전치부 개방교합을 가지고 있는 법랑질 형성 부전증 환자에서, CAD/CAM을 이용한 전악 수복을 시행한 후, 양호한 경과를 보이고 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