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ols to develop design platforms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4초

네트워크 보안 인프라 구성을 위한 표준화된 플랫폼 디자인 방법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ethodology for Standardized Platform Design to Build Network Security Infrastructure)

  • 서우석;박재표;전문석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203-211
    • /
    • 2012
  • 네트워크 보안 인프라는 다양한 형태의 기기별 조합과 융합을 기반으로 지속적인 발전을 하고 있다. 방화벽, 가상 사설 통신망, 침입 방지 시스템, 침입 탐지 시스템, 기업 보안 관리, TSM(Telebiometrics System Mechanism)과 같은 단계별 방어정책인 분산제어 형태에서 현재는 보안기기와 솔루션들을 병합함으로써 집중화와 인공 지능화 하는 단계까지 발전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보안 기기와 솔루션을 집중화 하는 네트워크 보안 인프라 디자인 형태를 플랫폼 형태로 제안하고 각각의 경우에 따른 플랫폼 디자인 표준화를 위한 기초자료인 네트워크 보안 인프라 플랫폼 디자인 선정 방법론을 제공함으로써 실무에서 손쉽게 적용하고 구현하는 과정을 통해 침해로 인한 장애제어 등의 문제점을 최소화한 디자인 구현과 구축에 대한 방법론을 제안하고자 한다.

확장성과 개방성을 지원하는 SCADA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CADA system to support scalability and openness)

  • 김형일;이승룡;전태웅;박영택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5권6호
    • /
    • pp.753-763
    • /
    • 1999
  • The existing SCADA(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system software is usually developed to suitable for the specific hardware platforms. However, as per rapid improvement of computer performance and development of network technology, it is required to support scalability and inter-operability in existing different SCADA systems. In order to meet such requirements,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type of SCADA testbed using Java for electric distribution applications. The system consists of three modules; development support tools, client and server modules. The basic architecture of the proposed SCADA system is similar to existing one, however, we improve the function of MTU and MMI interface to facilitate LAN and WAN environment. Also, the proposed system can deals with alarm and history data by using heterogeneous DBMS. Since the system is built in Java environment, the development cost is cheap and it can support sacalability and portability. Our experience can be utilized to develop next generation of small and medium size of SCADA system.

  • PDF

차세대 웹을 위한 SWRL 기반 역방향 추론엔진 SMART-B의 개발 (Development of an SWRL-based Backward Chaining Inference Engine SMART-B for the Next Generation Web)

  • 송용욱;홍준석;김우주;윤숙희;이성규
    • 지능정보연구
    • /
    • 제12권2호
    • /
    • pp.67-81
    • /
    • 2006
  • 현재의 웹이 HTML을 바탕으로 인간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데 비하여, 차세대 웹은 XML 및 XML 기반 각종 표준들을 바탕으로 소프트웨어 에이전트간의 상호작용에 초점을 맞추어 나가고 있다. 차세대 웹에서 소프트웨어 에이전트의 두뇌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추론엔진은 차세대 웹의 표준 언어인 시맨틱 웹 - (Semantic Web)을 충실히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한 기초 작업의 일환으로 OWL(Web Ontology Language) 과 RuleML(Rule Markup Language)을 조합한 SWRL(Semantic Web Rule Language)이 W3C에 제안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SWRL을 규칙 표현 방법으로 사용하고, OWL을 사실 표현 방법으로 사용하는 역방향 추론엔진인 SMART-B(SeMantic web Agent Reasoning Tools -Backward chaining inference engine)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SWRL 기반 역방향 추론을 위한 요구 기능을 분석하고, 기존 역방향 추론 알고리즘에 차세대 시맨틱 웹의 요구 기능을 반영한 역방향 추론 알고리즘을 설계하였다. 또한,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각종 플랫폼간의 독립성과 이식성을 확보하고 기기간의 성능 차이를 극복할 수 있도록 사실 베이스 및 규칙 베이스의 관리도구와 역방향 추론 엔진 등을 Java 프로그래밍 언어를 이용하여 단위 컴포넌트의 형태로 개발하였다.

  • PDF

임베디드 리눅스 단말기를 이용한 위치 기반 전자지도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location based map system using linux-based embedded terminals)

  • 전봉기;김정원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66-74
    • /
    • 2007
  •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네비게이션 시스템들은 윈도우 CE 플랫폼에서 동작한다. 리눅스는 무료 운영체제이기 때문에 리눅스 기반 임베디드 단말기들은 가격 경쟁력을 가진다. 하지만 리눅스 기반 임베디드 단말기에 지도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풀어야 할 많은 기술적인 장애가 있다. 임베디드 리눅스 단말기는 저출력, 저비용, 낮은 연산 처리 능력을 가진 작은 크기의 플랫폼이기 때문에, 디스크 접근 횟수를 최소화하는 공간 데이터베이스 엔진을 개발하여야 한다. 한글처리, 디버깅 도구의 부재 등의 문제들을 해결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임베디드 리눅스를 사용하는 휴대 단말기에 공간 데이터베이스 엔진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하여 위치 기반 지도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구현 결과, 임베디드 리눅스 단말기가 텔레 매틱스 또는 네비게이션 단말기로서 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